KR930004151Y1 - 관 이음구 - Google Patents

관 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151Y1
KR930004151Y1 KR2019900007833U KR900007833U KR930004151Y1 KR 930004151 Y1 KR930004151 Y1 KR 930004151Y1 KR 2019900007833 U KR2019900007833 U KR 2019900007833U KR 900007833 U KR900007833 U KR 900007833U KR 930004151 Y1 KR930004151 Y1 KR 930004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sleeve
fluid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7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7461U (ko
Inventor
구니히꼬 고도우
요시가쯔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 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 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7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1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 이음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관 이음구의 소켓과 플러그의 분리상태의 일부 종단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관 이음구의 소켓과 플러그의 접속상태의 일부 종단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유체압 공급유로를 표시한 요부의 확대 종단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켓 6,13 : 환상돌기
9 : 가이드 주벽 10 : 플러그
15 : 환상홈 16 : 록볼
17 : 개구 18 : 록핀
19 : 계합공 20 : 슬리브
25 : 실린더실 30,42 : 코일스프링
36 : 압력실 37,38 : 유체통로
39 : 조임판 41 : 코일스프링서포트 샤프트
본 고안은 배관의 접속분리에 사용하는 플러그와 소켓으로된 관 이음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화하여도 취급이 용이한 관 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와 소켓으로 된 관 이음구는 종래부터 각종의 것이 공지된바 있지만 대량의 유체를 유통시키는 배관의 접속의 제공하는데는 대형화 하지 아니하면 아니된다. 대형의 관 이음구는 필연적으로 중량이 과다하여 플러그와 소켓의 접속분리가 용이 하게할수 없다.
그리하여, 상술한 종래의 대형 관 이음구에 있어서도, 소형의 관 이음구와 동일하게 플러그와 소켓의 접속, 분리에 있어서, 슬리브를 조작할 필요가 있었지만 중량이 있는 슬리브를 조작하는 것은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대형 관 이음구에는 사용시에 플러그와 소켓을 접속 상태로 유지하는 록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다.
본 고안은 대형관이음구의 플러그와 소켓의 접속, 분리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고 안전성이 높은 관 이음구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청구범위 제1항에 관한 관 이음구는 플러그와 소켓으로 되었고, 이 소켓의 내,외주 방향에 이동 가능한 록 볼과 상기 소켓의 외주면에 이 소켓의 축방향에 이동 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의 가세력으로 진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볼의 상기 플러그에 계지시켜주는 슬리브를 배설한 관 이음구에 있어서, 이 슬리브에는 상기 플러그와 소켓의 접속시에 상기 록 볼을 구속하는 상기 슬리브를 당해 록 볼 해방위치까지 후퇴시키도록 작용하는 유체의 공급통로를 설치한 구성으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청구범위 제2항에 의한 관 이음구는 플러그와 소켓으로 되었고, 이 소켓의 내,외주 방향에 이동가능한 록볼과, 상기 소켓의 외주면에, 이소켓의 축방향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의 가세력으로 진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볼을 상기 플러그에 계지시켜주는 슬리브를 배설한 관 이음구에 있어서, 이 슬리브에는 상기 플러그와 소켓의 접속시에 상기 소켓과 제합하는 방향에 스프링으로 가세되고 있는 턱 부설 피스톤형의 록핀을 배설함과 함께 일방에서는 상기 록핀의 상기 소켓의 계합을 해제시키는 상태로 작용하고, 타방에서는 상기 록 볼을 구속하는 상기 슬리브를 당해 록볼 해방위치 까지 후되시키도록 작용하는 유체의 공급통로를 설치한 구성으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플러그와 소켓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우선 소켓의 유체 통로에 유체를 공급하고, 슬리브에 유체압을 부가하므로서, 슬리브를 스프링의 탄발력에 항거하고 후퇴시켜서 소켓이 있는 록볼을 해방한다. 이와같이 하여 록볼이 자유상태가 된 소켓은 플러그와 자유롭게 감합과 혜탈을 할수 있게 되므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플러그를 소켓에 삽압한다. 이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공급을 정지하고 감압하면, 슬리브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전진하고, 록볼을 플러그의 제지홈(공)에 계합시켜서, 플러그와 소켓의 접속을 끝낸다. 또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접속에 있어서 행한바와같이 소켓에서 유체를 공급하고, 슬리브를 유체압으로 측방향에 이동시켜서 록볼을 플러그에서 이탈시킨다.
또한 청구범위 제2항에 의하여 플러그와 소켓을 접속할 경우에는 우선 소켓의 유체통로에 유체를 공급하고, 록핀과 슬리프에 유체압을 부가하므로서, 일방에서는 록핀을 소켓 주동체에서 후퇴시켜서 슬리브를 해방하고, 타방에서는 해방된 상기 슬리브를 스프링의 반발력에 항거하여 후퇴시켜서 소켓이 가지고 있는 록볼을 해방한다. 이와같이 하여 록볼이 자유상태가 된 소켓은 플러그와 자유롭게 감합 및 혜탈이 할수있게 되므로서 이상태에서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한다.
이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공급을 정지하고, 감압하면, 슬리브는 스르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전진되어 록볼을 플러그의 계지홈(공)에 계합시켜서 플러그와 소켓과의 접속을 끝낸다.
또 타방에서는 상기 슬리브의 전진에 수반하여 록 핀이 소켓주동체의 외부면부에 설치한 계지공과 내,외주방향에서 대향 하게된다.
만일 대향하지 않을때에는 슬리브를 회전하므로서 대향시키도록 하고, 록핀을 계지공에 계합시켜서 슬리브가 함부로 움직이지 못하게 구속하며, 소켓과 플러그의 접속상태를 불변적으로 유지한다.
다시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할때에는 상기 접속의 경우에 행한바와 같이 소켓에서 유체를 공급하고, 일방에서는 록핀으로 소켓 주동체의 계합을 해탈하고, 타방에서는 슬리브를 유체압으로 축방향이동을 시켜서 록볼을 플러그에서 이탈시킨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관 이음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에 있어서 부호1은 소켓이며, 이 소켓(1)은 유체의 유로를 구성하는 중심공(1A)은 유체의 유로를 수성하는 중심공(1A)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대략 원화형상으로 형성되었다. 또 이 소켓(1)의 후단(제1도에 있어서의 하단)에는 이 소켓(1)의 중심공(1A)과 합치하는 중심공(3A)이 형성된 소켓플랜지(3)가 복수의 볼트(4)에 의하여 착설되었다. 이들의 소켓(1)및 소켓플랜지(3)사이에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0링(5)이 소켓(1)에 매설되는 것같이하여 개장되어 있다. 상기 소켓플랜지(3)축의 상기 소켓(1)의 외주에는 환형돌기(6)가 일체로 주설되어 있고, 이 환형돌기(6)에는 소켓(1)을 크레인등에 의하여 이동할때에 도시하지 않은 혹이 게합되는 복수의 환형의 혹(7,7)이 착설되어 있다.
상기 소켓(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약 반분의 범위의 선단측(제1도에 있어서의 산단측)에는, 상기 중심공(1A)과 동심형상으로 박육부(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박육부(8)의 외주측에는, 박육부(8)와 동심형상으로 간격을 두고 슬리브상태의 소켓 주통체(9)가 소켓(1)에 주설되어 있다. 이 소켓 주통체(9)의 선단을 상기 박육부(8)의 선단에서 후부(하부)에 까지 밖에 도달되지 않는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일방, 상기 소켓(1)과 해방가능하게 접속되는 플러그(10)는 유체의 유로를 구성하고, 상기 소켓(1)의 중심공(1A)과 합치하는 중심공(10A)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편평한 대략 원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러그(10)의 반경은 상기 소켓(1)의 환형돌기(6)의 반경에 가까원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10)의 외주에는 플러그(10)를 크레인들에 의하여 이동할때에 도시하지 않은 혹이 계합되는 복수의 환형의 혹(11,11)이 착설되어 있다.
또 이 플러그(10)의 후단(제1도에 있어서의 상단)에는 이 플러그(10A)의 중심공(10A)과 합치되는 중심공(12A)이 형성된 플러그 플랜지(12)가 착설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10)의 선단(제1도에 있어서의 하단)에는, 상기 소켓(1)의 박육부(8)및 소켓주통체(9)간에 비교적 긴밀하게 더욱이 축방향으로의 상대 이동 가능하게 감합된 환형돌기(13)가 축방향에 연제하도록 돌설되어 있고, 이 환형돌기(13)의 내주면에는 상기 소켓(1)의 박육부(8)의 섭접하고, 박육부(8)및 환형돌기(13)간에 있어서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Y형 패킹(14,14)이 매설되어 있다. 또, 상기 환형돌기(13)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에 언제하고 단면 사다리꼴형의 환형홈(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형홈(15)내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록볼(16, 16)이 감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환형돌기(13)의 선단부는 감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1)의 소켓 주통체(9)에는 원주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외측에 향하여 확개하는 원뿔 사다리꼴형의 개구(17,17)가 형성되어 있고, 각 개구(17)에는 상기 각 록볼(16)이 비교적 긴밀하고 더욱이 소켓주통체(9)의 내외에 이동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각 록볼(16)의 외경은 상기 소켓주통체(9)의 두께의 2배 약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소켓주통체(9)의 각 개구(17)는 상기 소켓(1)과 플러그(10)의 접속위치에 있어서 플러그(10)의 환형홈(15)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었다.
더욱이 상기 소켓주통체(9)의 1쌍의 개구(17,17)간에는 후술하는 록핀(18)의 선단부가 감합하는 계합공(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1)의 외주에는 이 소켓(1)의 축방향에 이동가능하게 된 대략 원환형상의 슬리브(20)가 장착되었다. 이 슬리브(20)는 제3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측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슬리브본체 (20A, 20B)를 복수의 0링(21,21)을 개재하여 복수의 볼트(22,22)에 의하여 나착되어 일체화되어있다.
이 슬리브(20)의 선단부(제1도에 있어서의 상단부)의 내주면은 사기 소켓(1)의 소켓주통체(9)의 외주면에 섭접하도록 되어 있고, 이 슬리브(20)의 선단의 내주면에는 환형 가이드홈(23)이 형성되었다. 이 환형 가이드홈(23)내에는 슬리브(20)를 제1도에 있어서의 상방인 진출방향으로 이동된때에 각 록 볼(16)을 상기 소켓주통체(9)의 내방에 압입하기 위한 경사상태의 환형가이드면(24)이 형성되었다.
상기 환형 가이드면(24)의 근방이면서 또한 원주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켓주통체(9) 계합공(19)에 대향한 부위의 슬리브(20)에는 이 슬리브(20)의 반경방향에 연재하는 실린더실(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실린더실(25)는 상기 실리브(20)의 내주측 및 외주측을 각각 개방시켰다. 또 이 실리더실(25)은 슬리브(20)의 내주측보다 외주측이 대경이 되도록 중간에 복수(3개)의 환형이 턱부(26A, 26B, 26C)가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실(25)은 슬리브(20)의 내주측에서 외주측에 결쳐 순차로 반경을 증대시킨 제1실(25A), 제2실(25B), 제3실(25C)및 제4실(25D)로 구획하게 된다.
상기 실리더실(25)내를 섭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기 폭록핀(18)은 수압면이 되는 턱부(18C)를 개재하여 연설되어 있는 선단측의 소경부(18A)와 후단측의 대경부(18B)로 되어 있고, 이중 소경부(18A)의 외경은, 상기 실린더실(25)의 제1실(25A)의 내경과 대략 동등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이 소경부(18A)는 제1실(25A)내를 섭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경부(18B)의 외경은 상기 실린더(25)의 제3실(25C)의 내경과 대략 동등한 사이즈로 형성되고, 이 대경부(18B)는 제3실(25C)내를 섭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소경부(18A)의 길이는 상기 록 핀(18)의 턱부(18C)가 상기 실린더실(25)의 턱부(26B)에 계합하며, 슬리브(20)의 내주측으로의 소경부928A)의 그 이상의 돌출이 구속된때에 상기 소경부(18A)의 선단측이 상기 소켓(1)의 소켓주통체(9)의 계합공(19)의 측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전역에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도어 있다.
상기 슬리브(20)의 외주측에 개방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실(25)의 제4실(25D)에는 중심부에 공기공(28)이 천설된 록 너트(27)가 나착되어서 폐쇄되어 있고, 이 록 너트(27)와 상기 록 핀(18)의 후단에 형성된 요입부(29)와의 사이에는 압축상태로 된 코일스프링(30)가 개장되고, 상기 록핀(18)을 슬리브(20)의 내주방향에 돌출하도록 가세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실린더실(25)의 주벽에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복수의 0링(31,31)이 매설되어 있다. 또 상기 록핀(18)의 소경부(18A)의 선단은 원뿔 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되어 소경부(18A)의 상기 계합공(19)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상기 슬리브(20)의 후단부(제1도에 있어서의 하단부)의 내주면도 또한, 선단부의 내주면과 동일하게 상기 소켓(1)의 소켓주통체(9)의 외주면에 섭접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20)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의 내주면에는 환형요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요부(32)내에는 상기 소켓(1)의 소켓 주통체(9)에 복수개의 볼트(33,33)에 의하여 착설된 환형 부쉬(34)의 외주측에는 각각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O링(35)이 매설되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슬리브(20)는 환형 부쉬(34)에 섭접하면서 축방향에 이동할 수가 있다.
상기 환형부쉬(34)의 하방에는 이 환형 부쉬(34)및 상기 소켓(1)과 슬리브(20)에 둘러싸인 환형의 압력실(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력실(36)은 상기 슬리브(20)가 상기 록 볼(15)을 상기 소켓주통체(9)의 내측에 압동하도록 상승하여 전지하면 체적이 감속되게 되어있고, 상기 록핀(18)이 상기 소켓주퉁체(9)의 계합공(19)에 삽입되는 소켓(1)과 플러그(10)의 접속 위치에 있어서 그 체적은 최소로 된다.
상기 슬리브(20)내에는 상기 실린더실(25)의 제2실(25B)에 연통하는 유체통로(3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체통로(37)에 유체를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공압기기 또는 유압기기등의 유체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력실(36)과 유체통로(37)를 연통하는 다른 유체통러(3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체통로(38)에는 조임판(39)이 개장되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실(25)과 비교하여 지극히 소량씩의 유체가 압력실(36)내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조임판(39)은 유량 조정을 하여 록 핀(18)의 개방과 슬리브(20)의 후퇴의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되었다.
상기 소켓(1)의 환형돌기(6)에는 소켓(1)의 축방향에 언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공(40,4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리브(20)에는 대응하는 가이드공(40)내에 상시 삽입되어 있는 코일스프링 서포트 샤프트(41)가 돌설되어 있고, 이드르이 각 가이드공(40)및 코일스프링 서포트 샤프트(41)에 의하여 상기 슬리브(20)의 축방향 이동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소켓(1)및 슬리브(20)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이동을 구속하여 상기 록 핀(18)을 상기 계합공(19)에 확실하게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각 코일스프링 서포트 샤프트(41)의 외주에는 상기 소켓(1)과 슬리브(20)를 상호 이간하는 방향에 가세하는 코일스프링(42)이 권회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플러그(10)에 근접하는 상기 슬리브(20)의 상단면에는 상기 소켓(1)과 플러그(10)를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10)의 단면에 압접하고, 먼지들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시일(43)이 그 일부를 매설시키고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켓(1)과 플러그(10)를 접속할려면 우선, 제1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슬리브(20)내에 형성된 유체통로(37)내에 도시없는 유체압기기에 의하여 유체압을 공급한다. 그러면 이 유체통로(37)와 연통되고 있는 유체통로(38)에는 조임판(39)이 개장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시일(36) 내에는 소량씩의 유체밖에는 도입되지 아니하고, 유체통로(37)내에 공급된 유체의 대략은 실린더실(25)내에 도입되게 된다. 이 결과 이 실린더실(25)내에 도입된 유체의 유체압이 수압면이되는 록 핀(18)의 턱부(18C)에 작용하여 록핀(18)을 코일스프링(30)의 탄발력에 항거하여 제3도에 있어서 좌방향에 후퇴시키고 록핀(18)의 선단부가 소켓(10의 소켓 주통체(9)의 계합공(19)내에서 빠져나오게 되므로 슬리브(20)를 압상하고 있는 각 코일스프링(42)에 의하여 축심방향에 구속되고 있던 각 록 볼(16)이 구원심방향으로 자유롭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소켓(1)의 상방에 플러그(10)를 동축적으로 위치시키고 플러그(10)를 하강하여 이 플러그(10)의 환형돌기(13)를 소켓(1)의 박육부(8)및 소켓주통체(9)간에 삽입하고, 환형돌기(13)의 환형홈(15)을 각록볼(16)에 대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통로(37)및 유체통로(38)를 통하여 상기 실리더실(25)및 압력실(36)내의 압력을 감압시키면, 압력실(36)은 그 용적을 감소할 수 있게되므로, 각 코일 스프링(42)의 탄발력에 의하여 슬리브(20)가 소켓(1)에 대하여 축방향에 압상되고, 슬리브(20)의 환형 가이드홈(23)의 경사 상태의 환형 가이드면(24)에 의하여 각 록 볼(16)을 플러그(10)의 환형홈(15)내에 감합시키고, 다시 소켓(1)이 각 소켓주통체(9)의 각 개구(17)를 피복하여 각 록볼(16)의 환형홈(15)내로의 감합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술한 소켓(1)에 대한 슬리브(20)의 상대적인 상승에 의하여 록 핀(18)은 상술한 소켓(1)과 플러그(10)의 접속위치에 있어서 소켓(1)이 소켓주통체(9)의 계합공(19)에 대향되고, 코일스프링(30)에 가세되어 계합공(19)내에 삽입되고, 슬리브(20)를 고정한다.
한편, 접속상태에 있는 소켓(1)과 플러그(10)를 분리하는데는 상기 슬리브(20)의 유체통로(37)내로 도시하지아니한 유체압기기에 의하여 유체를 공급한다. 그러면, 이 유체통로(37)와 연봉하고 있는 유체통로(38)에는 조임판(39)이 개장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실(35)내에는 소량씩의 유체밖에 도입되지 않고, 유체통로(37)내에 공급된 유체의 대략은 실린더실(25)내에 도입되게 된다. 이 결과로 이 실린더실(25)내에 도입된 유체의 유체압이 수압면인 록 핀(18)의 턱부(18C)에 작용하여 록핀(18)을 코일스프링(30)의 탄발력에 항거하여 제3도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후퇴시켜서, 록핀(18)의 선단부가 소켓(1)의 소켓주통체(9)의 계합공(19)내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그러면 슬리브(20)는 소켓(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지만, 슬리브(20)는 각 코일스프링(42)에 의하여 상방에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1)은 아직 하강하지 아니한다.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37)로의 유체의 공급을 계속하면, 실린더실(25)내에 이미 유체가 도입될 수 없게된 이후는 상기 유체통로(38)를 통하여 압력실(36)에만 유체가 도입되는 것이된다. 그러면, 압력실(36)내의 내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압력실(36)은 그체적을 확대하도록 슬리브(20)를 하강시키고, 슬리브(20)의 환형 가이드홈(23)이 소켓(1)의 소켓주통체(9)의 각 개구(17)에 대향하는 것이된다. 이 결과 각 록볼(16)은 플러그(10)의 환형 홈(15)에 감합상태를 해제하게 되어 소켓주통체(9)의 외측(구원심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같이 하여 소켓(1)과 플러그(10)의 분리를 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소켓(1)과 플러그(10)를 접속하는 데는 단순하게 소켓(1)과 플러그(10)의 어느일방을 타방에 근접하는 방향에 상대 이동하면 된다. 그러면, 각 코일스프링(42)의 작용율에 의하여 소켓(1)과 플러그(10)의 접속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할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소켓(1)과 플러그(10)의 접속상태에 있어서는 소켓(1)과 플러그(10)를 직접 접속하기 위하여 플러그(10)의 환형홈(15)내에 감합되어 있는 복수의 록 볼(16)은 각 개구(17)의 외축을 슬리브(20)가 피복하고 있으므로, 이 접속상태를 지속할 수 가 있다.
그런데, 이 접속상태에 있어서는 슬리브(20)의 록핀(18)이 소켓(1)의 계합공(19)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슬리브(20)는 소켓(1)에 대하여 측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할수가 없고, 따라서 만일 각 코일스프링(42)에 의하여 슬리브(20)의 상승위치에서의 지지가 할수 없게 되더라도 각 록볼(16)의 환형홈(15)으로의 감합을 확보할수가 있고, 따라서 소켓(1)과 플러그(10)가 잘못하여 분리될 염려는 없다.
더욱이 소켓(1)과 플러그(10)의 분리도 유체통로(37)내에 유체를 공급하는 것만으로서 록 핀(18)이 계합공(19)에서 빠져나오게 될뿐만 아니라 플러그(10)가 소켓(1)에 대하여 측방향에 상대이동하므로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향의 관 이음구에 있어서도 작업성이 양호할뿐더러 소켓(1)과 플러그(10)의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지속하여 안전성이 우수하게 할수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핑으로 가세한 슬리브를 유체압 작용으로 조작하여 록 볼을 해방할 수 있어서 소켓과 플러그의 접속, 분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플러그와 소켓의 접속 및 분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따라서, 중량이 많고, 슬리브의 조작이 관란한 대향의 관 이음구에 본 고안은 지극히 유효하여서 종전의 대형 관이음구가 가지는 조작성, 안전성의 과제를 모두 해소할수가 있다.
또한 록핀을 설치하므로서 접속후에 있어서는 코일스프링의 작용으로 록핀을 소켓 주통체에 계합할수 있으므로 접속중 슬리브가 함부로 움직이는 일이없다. 따라서 접속시에 있어서의 안전성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플러그(10)와 소켓(1)으로 되었고, 이 소켓(1)의 내외주방향에 이동가능한 록볼(16)과, 상기 소켓(1)의 외주면에, 이 소켓(1)의 측방향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42)의 가세력으로 진출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볼(16)을 상기 플러그(10)에 계지시키는 슬리브(20)를 배설한 관이음구에 있어서, 이 슬리브(20)에는 상기 플러그(10)와 소켓(10)의 접속시에 상기 록 볼(16)을 구속하는 상기 슬리브(20)를 당해 록 볼(16) 해방위치까지 후퇴시키도록 작용하는 유체의 공급통로(3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
  2. 플러그(10)과 소켓(1)으로 되었고, 이 소켓(1)의 내외주방향에 이동가능한 록 볼(16)과, 상기 소켓(1)의 외주면에, 이 소켓(1)의 축방향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42)의 가세력으로 진출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볼(16)을 상기 플러그(10)에 계지시키는 슬리브(20)를 배설한 관이음구에 있어서, 이 슬리브(20)에는 상기 플러그(10)와 소켓(1)의 접속시에 상기 소켓(1)과 계합하는 방향으로 스프링(30)으로 가세되어 있는 단부 피스톤형의 록 핀(30)을 배설함과 동시에, 일방에서는 상기 록 핀(18)의 상기 소켓(1)과의 계합을 해제시키는 상태로 작용하고, 타방에서는 상기 록 볼(16)을 구속하는 상기 슬리브(20)를 당해 록볼(16)해방위치까지 후퇴시키도록 작용하는 유체의 공급통로(3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
KR2019900007833U 1989-10-26 1990-06-01 관 이음구 KR93000415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5209 1989-10-26
JP1989125209U JPH0743584Y2 (ja) 1989-10-26 1989-10-26 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461U KR910007461U (ko) 1991-05-29
KR930004151Y1 true KR930004151Y1 (ko) 1993-07-02

Family

ID=1490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7833U KR930004151Y1 (ko) 1989-10-26 1990-06-01 관 이음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43584Y2 (ko)
KR (1) KR9300041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0433B2 (ja) * 2004-01-30 2008-04-23 東亜高級継手バルブ製造株式会社 管継手
WO2016129605A1 (ja) * 2015-02-13 2016-08-18 日東工器株式会社 緊急離脱用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4720U (ko) * 1977-07-21 1979-02-17
JPS579391U (ko) * 1980-06-19 1982-01-18
JPS5790985U (ko) * 1980-11-27 1982-06-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43584Y2 (ja) 1995-10-09
JPH0367795U (ko) 1991-07-02
KR910007461U (ko) 1991-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1705A (en) Fluid coupling
CA2006954C (en) Refrigeration coupling
US5209528A (en) Pressure-tight plug coupling
JP3354574B2 (ja) 迅速連結式継手
EP0024068B1 (en) Quick coupling device for pressurized fluid conduits
AU2013370527A1 (en) Quick connect valve actuator
MXPA03007290A (es) Obturador de acoplamiento de fluido.
TWI705195B (zh) 具增力機構的流體壓力缸
US3460801A (en) Valved fluid coupling or conduit
US5265917A (en) Quick-acting, sealed connection
US3918492A (en) Minimum spill quick disconnect coupling
KR930004151Y1 (ko) 관 이음구
US5911447A (en) Pipe connector
CN206845570U (zh) 硬密封小流量换向阀
CN109996985A (zh) 密封组件
US3203714A (en) Quick opening coupling
CA2439004A1 (en) A plug-in safety coupling
US1949191A (en) Straight flow stop valve
KR940009346B1 (ko) 관이음구
CA2513335C (en) Pipe coupling
KR920005280Y1 (ko) 관 이음구
US2919144A (en) Quick operating coupling
JPH01158286A (ja) 抗圧力連結形カップリング
GB2038970A (en) Fluid flow couplings
CN114017567B (zh) 一种气动快插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