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982Y1 -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 Google Patents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982Y1
KR930003982Y1 KR2019910001055U KR910001055U KR930003982Y1 KR 930003982 Y1 KR930003982 Y1 KR 930003982Y1 KR 2019910001055 U KR2019910001055 U KR 2019910001055U KR 910001055 U KR910001055 U KR 910001055U KR 930003982 Y1 KR930003982 Y1 KR 930003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ron
output
anode
antenna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1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732U (ko
Inventor
이환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1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982Y1/ko
Publication of KR920015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7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12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005Cooling method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습기차폐케이스의 저부에서 본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습기차폐케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극원통 2 : 양극베인
5 : 제2의 자극편 6 : 제1의 자극편
9 : 절열관 23 : 캡안테나
24 : 안테나 33 : 제1의 금속관
33a : 플랜지부 36 : 배기관
37 : 톱안테나 48 : 습기차페케이스(습기차폐수단)
48a : 천정부 48b : 원통부
48c : 열방출홈 48d : 플랜지부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사용되는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마그네트론을 전자렌지등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전자렌지의 내부에 발생한 증기 혹은 습기등이 도파관을 통해서 마그네트론의 캡안테나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캡안테나 상부에 고주파를 용이하게 통과시키는 습기차폐케이스를 장착한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네트론은 마이크로파를 효율좋게 발생하기 때문에 특히 전자렌지등에 조립되어서 식품의 가열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안정성, 고품질성 및 장수명의 것이 요망되고 있을뿐만 아니라, 전자렌지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음식물의 조리시에 발생되는 증기가 도파관을 통해서 마그네트론의 캡안테나에 접촉하는 것의 방지가 요망되고 있다.
종래의 대표적인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로써 본 출원인이 이미 특허출원한 1990년 특허출원 제3669호가 있다. 이 발명에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그네트론의 외부로 누설되는 복수종류의 고조파성분을 감쇠시키도록 양극원통(1)의 내부에 음극필라멘트(10)측으로 돌출해서 공진공동을 형성하는 복수에 양극베인(2)이 배치되어 있고, 또 양극원통(1)의 양측 개구단부에는 자계수속용의 제1 및 제2의 자극편(6) (5)이 서로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조파 쵸크용 제1원통(20)과 또 다른 고조파 쵸크용 제2의 원통(21)이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절연관(19)을 개재해서 제1의 금속관의 일단부에 기밀하게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1의 금속관(18)의 플랜지부(18a)가 제1의 자극편(6)을 기밀하게 피복하는 상태로 양극원통(1)의 한쪽 개구단부에 기밀하게 시열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의 금속관(18) 내에는 제2의 금속관(33) 및 제3의 금속관(34)이 고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의 금속관(33)에는 한쪽에 플랜지부(33b)가 외측을 향해서 뻗어 있으며 그 천정부에는 안테나(24)가 관통하는 관통구멍 및 특정고조파의 파장(λ)의 λ/2의 길이를 가진 슬롯(33c)이 형성되어 있고, 그 천정부는 특정고조파 파장(λ)의 λ/4에 해당하는 길이(L1)를 가진 원통부의 일단이 상기 플랜지부(33b)에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제3의 금속관(34)에는 하부에 플랜지부(34b)가외측을 향해서 뻗어있으며, 그 천정부에도 역시 상기 제2의 금속관(33)과 마찬가지로 안테나(24)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또 다른 특정고조파 파장(λ´)의 λ´/4의 길이(L2)를 가진 원통부(34a)의 일단이 플랜지부(34b)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제1의 금속관(18)의 원통부와 제2의 금속관(33)의 원통부(33a) 및 플랜지부(33b)에 의해서 구성되는 공간은 제1의 쵸크수단(40)으로 작용하며, 또 제2의 금속관(33)의 원통부(33a)와 제3의 금속관(34)의 원통부(34a)에 의해서 구성되는 공간은 제2의 쵸크수단(41)으로 작용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제1의 쵸크수단(40)은 제2의 쵸크수단(41)보다 낮은 고조파를 감쇠시키도록 길이(L1)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고조파의 누설을 차폐하기 위하여 절연관(19)의 상단으로부터 제1의 원통(20)을 하단부로 부터의 높이가 L3가 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에 있어서, 전자렌지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마그네트론이 발진하여 고주파를 발생하면 도시하지 않은 도파관을 통해서 전자렌지의 가열실내를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가열실내에 재치된 음식물의 가열에 의해서 발생된 증기가 도파관을 통해서 마그네트론의 캡안테나에 접촉하게 되어 고주파의 발생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증기(또는 습기)가 다량 발생할 경우에는 누전 또는 전기적 단락현상등이 발생하여 조리를 행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마그네트론이 장착된 전자렌지에 의해서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 음식물의 조리시에 발생하는 증기가 마그네트론의 캡안테나 및 절연관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는 음극과. 상기 음극쪽으로 돌출해서 공진공동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양극베인을 내주면서 가진 양극원통과, 상기 양극원통의 양측개구단부에 서로 대향해서 배설된 자계수속용의 깔때기 형상의 제 1 및 제2의 자극편과, 상기 양극원통의 출력측 개구단부에 절연관을 개재해서 금속관을 봉착하고, 상기 양극원통내의 양극베인으로부터 뻗어나온 안테나를 배기관애에 접속시킨 마그네트론의 출력구조에 있어서, 마그네트론의 발진시에 전자렌지의 가열시에 발생하는 증기가 절연관(9), 캡안테나(23) 및 제 1의 금속관(33)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측에 천정부(48a)가 있는 원통부 (48b)와, 상기 원통부(48b)의 원통면의 외주면을 중심으로 θ의 각도(여기에서 θ는 90°와 같거나 작다)뻗은 플랜지부(48d)와, 상기 플랜지부(48d)에 원통부(48b)의 하단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열방출홈(48c)을 가진 폴리설핀제의 습기차폐수단(48)을 상부요우크(46a)상에 배설해서 마그네트론내에 발진되는 고주파를 통과시킴과 동시에 조리시에 발생하는 증기는 차폐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습기차폐케이스의 저부에서 본 평면도이고, 제3도는 제1도의 습기차폐케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1도 및 제3도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양극원통(1)에 음극(32) 쪽으로 돌출해서 공진공동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양극베인(2)이 그 내주면의 중심을 향해서 뻗어있고, 이 양극원통(1)의 입력측 및 출력측 개구단부에는 자계수속용 깔때기 형상의 제1 및 제2의 자극편(6) (5)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제의 배기관(36)에는 톱안테나(37) 및 절연관(9)을 개재해서 제1의 금속관(33)의 일단부에 시일되어 있고, 이 제1의 금속관(33)의 타단부, 즉 플랜지부(33a)는 상기 양극원통(1) 및 제1의 자극편(6)을 덮는 관계로 양극원통(1)의, 출력측 개구단부에 시일되어 있다. 또, 안테나(24)의 일단부는 양극베인(2)에 결합접속되며, 타단부는 양극베인(2)으로 부터 뻗어나온 배기관(36)의 내측중앙부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안테나(24)와 배기관(36)과의 접속지점으로부터 이 배기관(36)의 원통부의 하단부까지에 의해서 구성되는 공간의 길이(L5)가 특정고조파의 파장(λ)의 1/4이 되어 제1의 쵸크수단을 구성하므로, 마그네트론의 외부로 특정고조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배기관(36)의 원통부의 일부, 톱안테나(37)의 천정부, 톱안테나(37)의 측벽부 및 절연관에 의해서 구성되는 공간의 길이(L4)가 또 다른 특정고조파의 파장(λ´)의 1/4이 되어 제2의 쵸크수단을 구성하므로, 마그네트론의 외부로 특정고조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또 톱안테나(37)의 외부원통부 톱안테나(37)의 천정부 및 톱안테나(37)의 측벽부에 의해서 구성되는 공간의 길이(L3)가 앞에서 설명한 특정고조파와는 또 다른 특정고조파의 파장(λ˝)의 1/4이 되어 제3의 쵸크수단을 구성하므로 마그네트론의 외부로 특정 고조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1의 쵸크수단은 제2의 쵸크수단보다 낮은 고조파를 감쇠시키며, 제2의 쵸크수단은 제3의 쵸크수단보다 낮은 고조파를 감쇠시키도록 L5, L4, L3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톱안테나(37)의 외측면부에 캡안테나(23)의 내측벽부와 결합되어 있고, 이들 톱안테나(37)의 측벽부의 하단부 및 캡안테나(32)의 측벽부의 하단부는 절연관(9)의 상단부에 기밀하게 시일되어 있다.
다음에, 양극원통(1)의 외주부에는 마그네트론의 발진시에 마그네트론을 냉각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방열핀(47)이 배설되고, 이 방열핀(47)의 타단부는 배기구멍이 형성된 하부요우크(46b)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하부요우크(48b)의 상단 근처에는 상부요우크(46a)가 볼트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부요우크(46a)와 양극원통(1)의 상단부 사이의 제1의 금속관(33)의 외주부에는 링형상의 영구자석(45a)이 배설되며, 또 하부요우크(46b)와 양극원통(1)의 하단부 사이의 제2의 금속관(33´)의 외주부에도 링형상의 영구자석(45b)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요우크(46a)의 상부에는 절연관(9) 및 캡안테나(23)를 마그네트론의 발진시, 즉 음식물의 조리시에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습기차폐케이스(48)가 배설되어 있다. 고주파를 용이하게 통과시킴과 동시에 습기는 차단하는 저유전율을 가지며 내열특성이 양호한 폴리설핀(poly sulfin)제로 이루어진 습기차폐케이스(48)는 프레스가공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제조되는 중절모자 형상으로써, 그 일측에 천정부(48a)가 있는 원통부(48b)와 상기 원통부(48b)의 타측으로부터 원통면의 외주면을 중심으로 θ의 각도(여기에서, θ는 90°와 같거나 작다) 뻗은 플랜지부(48d)와, 상기 플랜지부(48d)에 그 원주방향으로 부터 원통부(48b)를 향해서 형성된 복수개의 서로 대향하는 열방출홈(48c)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면에서 미설명부호(42a) (42b)는 음극리이드 와이어이고, (43)은 입력단자이다. 도면에서는 열방출홈(48c)이 서로 대향해서 4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3개 이상이 등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즉 원주방향으로부터 원통부(48b)를 향해서 형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마그네트론의 발진시에 마그네트론의 입력중 고주파로 발진되지 않은 열은, 이 열방출홈(48c)을 통해서 방출됨과 동시에 조리시에 전자렌지내에서 발생된 증기가 습기차폐케이스(48)의 천정부(48a) 및 원통부(48b)에 의해서 캡안테나(23), 톱안테나(37), 절연관(9) 및 제1의 금속관(33)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차폐되어 마그네트론의 동작은 정상적으로 가동되므로, 종래의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와 같이 조리시에 발생되는 증기에 의해 고주파의 발생감소 혹은 누전 또는 전기적 단락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습기차폐케이스(48)는 저유전율을 가지며 또한 내열특성이 있는 폴리설핀(Poly Sulfin)으로 되어 있으므로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된 고주파는 잘 통과시키면서 조리실내로부터의 증기는 차폐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에 의하면 상부 요우크의 상부에 저유전율을 가지며 또한 내열특성이 있는 폴리설핀제의 습기차폐케이스를 배설함으로써, 마그네트론 내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는 통과시키면서 조리시에 전자렌지의 조리실로부터 방출되는 증기를 차폐하여 고주파의 발생감소나 누전 또는 전기적 단락 현상등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5)

  1. 음극(32)과, 상기 음극(32) 쪽으로 돌출해서 공진공동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양극베인(2)을 내주면에 가진 양극원통(1)과, 상기 양극원통(1)의 양측개구단부에 서로 대향해서 배설된 자계소속용의 깔때기 형상의 제1 및 제2의 자극편(6, 5)과, 상기 양극원통(1)의 출력측 개구단부에 절연관(9)을 개재해서 제1의 금속관(33)을 봉착하고, 상기 양극원통(1) 내의 양극베인(2)으로부터 뻗어나온 안테나(24)를 배개관(36)내에 접속시킨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에 있어서, 마그네트론의 발진에 의해 전자렌지의 가열시에 발생하는 증기가 절연관(9), 캡안테나(23) 및 제1의 금속관(33)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측에 천정부(48a)가 있는 원통부(48b)와, 상기 원통부(48b)의 타측으로 부터 원통면의 외주면을 중심으로 θ의 각도로 뻗은 플랜지부(48d)와, 상기 플랜지부(48d)에 원통부(48b)의 하단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열방출홈(48c)을 가진 습기차폐수단(48)이 상부요우크(46a)상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차폐수단(48)은 고주파는 통과시키거나 증기를 차단 또는 저유전율의 내열특성이 양호한 폴리설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차폐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홈(48c)은 마그네트론의 입력전원중 고주파로 발지되지 않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출력부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홈(48c)은 습기차폐수단(48)의 플랜지부(48d)에 등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적어도 3개이상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θ는 9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KR2019910001055U 1991-01-25 1991-01-25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KR930003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055U KR930003982Y1 (ko) 1991-01-25 1991-01-25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055U KR930003982Y1 (ko) 1991-01-25 1991-01-25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732U KR920015732U (ko) 1992-08-17
KR930003982Y1 true KR930003982Y1 (ko) 1993-06-25

Family

ID=19310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1055U KR930003982Y1 (ko) 1991-01-25 1991-01-25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9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0027B2 (ja) * 2000-10-18 2011-04-13 日立協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マグネトロン
KR100446973B1 (ko) * 2002-03-29 2004-09-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732U (ko) 199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4707A (ko) 전자레인지용 마그네트론
EP0339374B1 (en) A magnetron
KR930003982Y1 (ko)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US5406167A (en) Apparatus for shielding unnecessary electromagnetic waves in a magnetron for a microwave oven
KR970011495B1 (ko) 고주파 발진장치
KR940006447Y1 (ko) 전자렌지용 고주파 발진장치
KR0175838B1 (ko) 고주파 발진장치
KR100189101B1 (ko) 마그네트론의 애노드 실린더
KR100251565B1 (ko) 마그네트론
KR0136190Y1 (ko) 마그네트론의 양극구조
KR0134556B1 (ko) 쵸크판 및 쵸크판 삽입홈이 형성된 스템세라믹을 갖는 마그네트론
KR940002926Y1 (ko) 마그네트론
KR100266604B1 (ko) 마그네트론의 고주파 누설 방지구조
KR200165763Y1 (ko) 마그네트론의 하부 요오크구조
KR0120632Y1 (ko) 마그네트론
KR0136191Y1 (ko) 마그네트론의 음극지지구조체
KR0131261Y1 (ko) 마그네트론의 필라멘트구조
KR0120630Y1 (ko) 마그네트론
US3412283A (en) Coaxial magnetron in which the anode is welded to the body
KR200154588Y1 (ko) 전자렌지의 도파관구조
KR930000384B1 (ko)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체
KR100237693B1 (ko) 마그네트론
KR100268288B1 (ko) 마그네트론
KR0131465Y1 (ko) 전자렌지용 마그네트론의 차폐구조
JPS5836116Y2 (ja) マグネト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