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979Y1 - 모드키 입력데 의해 수행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모드키 입력데 의해 수행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979Y1
KR930003979Y1 KR2019880005983U KR880005983U KR930003979Y1 KR 930003979 Y1 KR930003979 Y1 KR 930003979Y1 KR 2019880005983 U KR2019880005983 U KR 2019880005983U KR 880005983 U KR880005983 U KR 880005983U KR 930003979 Y1 KR930003979 Y1 KR 930003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key
digitron
ram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1747U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5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979Y1/ko
Publication of KR890021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1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드키 입력데 의해 수행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제1도는 VCR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동작흐름도.
제4도는 디지트론 디스플레이 흐름도.
제5도는 마이컴의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마이컴 220 : 디지트론
210 : 디지트론 구동부 230 : 키 매트릭스부
240 : 자외선 발생부 250 : 자외선 수광부
TR1,TR2: 트랜지스터 R1-R3: 저항
D1: 다이오드
본 고안은 가전제품에 있어서 기능모드별 키입력에 따른 디지트론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VCR(VIDEO CASSETTE RECORDER)의 모드키 입력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에 해당되는 키를 누름으로써 마이컴에서 키스캔(KEY SCAN)하여 해당키를 판별하는 기계적 방식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계적 방법은 VCR의 스위치와 전면(Front Panel)의 노브(Knob)와의 접촉에 있어서 각 키마다 접점감촉의 차이 등 불량요소가 다량 내포되어 있어 생상공정상의 큰 불량요인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작업공정수 증가 및 원가상승에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과 또한 VCR에서는 현재 모드에서 이행가능한 모드가 한정되어 있고 각 모드마나 그 범위내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VCR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기가 어려우며 기능키를 잘못 조작함으로써 오동작이 발생하는 등 사용자가 기기를 동작시키는데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인바, 기계적 조작방법을 전자식 체크방법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광센서(PHOTO SENSOR)를 채택하였으며 그 수를 줄이기 위해 매트릭스(Matrix)방식을 이용하였고 또 현재의 모드로부터 수행가능한 다음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Device)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지트론 디스플레이를 개량하여 사용함으로써 원가의 절감 및 공정수의 절감을 가능토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기존의 VCR전면을 도시한 것으로 카세트 삽입구와 키매트릭스부 및 디지트론 표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트론의 표면 위에는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이 광트랜지스터로 전달되도록 디지트론 표면과 전면(Front Panel)의 표면이 밀착되지 않고 약간의 공간이 있어야 하며 이 공간의 단자에는 빛이 통하는 재질로 커버되어야 한다.
제2도는 상기 키매트릭스부의 키입력에 따른 동작을 위한 장치로 마이컴(200)과 티지트론 구동부(210) 디지트론(220) 키매트릭스부(230)로 구성되며 자외선 발생부(240)는 트랜지스터(TR1)에 저항(R1)(R2)과 전원 자외선 발생용 다이오드(D1)로 접속 구성되며 자외선 수광부(250)는 트랜지스터(TR2)에 저항(R3)과 전원으로 접속 구성된다.
제3도는 키입력을 체크하는 루틴으로 여기서 사용된 키버퍼(Key Buffer)는 8비트로 구성된 기억소자(RAM)로서 키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었어며 예를 들어 행(M)과 열(N)을 나타내는 키(KMN)인 경우 상기 8비트중 상위 4비트는 행(M)의 값을 하위4비트는 열(N)의 값을 갖게 된다.
기억소자(RAM A)(RAM B)는 4비트의 RAM으로 각각 키(Sm N)(Sm M)의 몇번째 라인을 체크중인가 알 수 있도록 사용하는 RAM이고, 기억소자(RAM M)(RAM N)는 각각 RAM의 비트수인 키매트릭스의 키(Sm M)(Sm N)가 몇라인으로 구성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키체크 출력펄스를 순차적으로 1라인씩 내보내주기 위해 초기에는 0번째 비트만 1로 세크시킨 후 다음 라인을 체크할 때마다 RAM을 로테이트(Rotate)시켜 다음번째 비트가 1로 세트되도록 한 것이다.
초기에 키버퍼값을 초기화시키고 기억소자(RAM A)(RAM B)의 값을 1로 세트시키며 기억소자(RAM M)(RAM N)의 0비트값도 1로 세트시킨다.
상기 기억소자(RAM M)의 값을 데이터에 세트 시킨 후 데이터를 직렬로 전송하고 변수(PM)의 M번째 비트가 로우인가 하이인가 체크후 로우이면 기억소자(RAM A)의 값이 M인가 체크후 아니면 상기 기억소자(RAM A)의 값을 1 증가하고 기억소자(RAM M)의 내용을 왼쪽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기억소자(RAM M)의 값을 데이터에 세트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상기 기억소자(RAM A)의 값이 M이면 기억소자(RAM A-RAM N)의 값을 초기화 시킨다.
한편 상기 변수(PM)의 M번째 비트가 하이이면 기억소자(RAM N)의 값을 데이터에 세트시키고 데이터를 직렬로 전송후 변수(PN)의 N번째 비트가 하이인가 로우인가를 체크하여 로우이면 기억소자(RAM B)의 값을 1 증가시키고 기억소자(RAM N)의 내용을 왼쪽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기억소자(RAM N)의 값을 데이터에 세트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변수(PN)의 N번째 비트가 하이이면 키버퍼의 상위 4비트에 기억소자(RAM A)의 값을 저장하고 키버퍼의 하위 4비트에 상기 기억소자(RAM B)의 값을 저장시킨 후 기억소자(RAM A-RAM N)의 값을 초기화시키고 키입력 체크루틴을 완료한다.
제4도는 디지트론에 디스플레이되는 루틴으로서 기존의 디지트론 디스플레이 루틴을 수행중에 현대의 모드를 판별하여 다음에 수행가능한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세트하여 세트된 데이터를 디지트론상에 디스플레이 시킨 후 디지트론 디스플레이 루틴을 완료하는 과정이다.
제5도는 전반적인 마이컴의 동작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동작이 시작되어 리세트부를 구동시킨 후 키입력체크루틴을 끝내고 메인 루틴을 수행하며 이어서 디지트론 디스플레이 루틴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이하 제2도의 하드웨어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디지트론(220)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를 누르게 되면 제3도에 도시한 키입력 체크루틴에 동작되어 키가 감지되는 데 예를 들어 현재 동작중인 모드가 기록(REC)모드이고 따라서 다음에 수행가능한 모드(STOP,PAUSE등)가 키매트릭스(230)상의 키(K11-KMN)중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으며 상기 키(K22)가 모드(STOP)라고 할 때 상기 키(K22)를 누르면 키입력체크루틴에서는 먼저 열(Sm1)을 체크하기 위해 상기 열(Sm1)에만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자외선 발생부(240)에서와 같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하이신호가 인가되어 온에서 오프되고 자외선 발광다이오드(D1)가 온되어 자외선을 발산하게 된다.
상기 자외선은 자외선 수광부(250)의 트랜지스터(TR2)베이스에 인가되어 오프에서 온 되면서 마이컴(200)의 입력단(P)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된다.
그러면 다음 루틴에 의해 열(Sm2)을 계속하여 같은 방법으로 체크한다.
상기 열(Sm2)에 하이신호를 출력했을 때 사용자가 키(K22)를 눌렀으므로 상기 자외선발생부(240)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이 자외선 수광부(250)에 인가되지 못하므로 상기 마이컴(200)의 입력단(P)에는 하이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마이컴(200)은 상기 키매트릭스(230)상에 키(K22)가 눌러졌음을 감지하고 행(SnN)을 체크하며 상기 행(Sn1)의 동작도 상기 열(Sm1)의 동작과 같이 되어 상기 마이컴(200)의 입력단(P)에 하이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행(Sm1)에는 눌려진 키가 없을 감지하게 되고 다음 행(Sm2)을 체크하며 이 경우도 상기 열(Sm2)과 같이 동작하여 키(K22)가 눌려졌음이 감지되어 제3도에서와 같이 키버퍼에 키(K22)값이 저장된다.
이와 같이 하여 키입력 체크루틴은 완료되며 시스템의 메인루틴으로 가서 해당 기능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또 디스플레이 루틴으로 넘어가서 현재 수행하고 있는 모두에 따라 다음 수행가능한 모드들을 디지트론(220)상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기계적 키입력 방식을 전자식 체크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기기의 불량요인이 감소되고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하였으며 스위치의 종류를 최소솨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제거하였고 현재의 동작모드로부터 다음의 수행가능한 모드를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기기동작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스위치를 조작하여 수행모드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키매트릭스부(230)를 설정하여 해당 모드키 조작에 따라 자외선 발생부(240)와 자외선 수광부(250)가 동작하여 마이컴(200)을 제어하는 수단과, 마이컴(200)의 제어하에 해당 모드기능이 동작되고 수행가능한 다음 모드를 디지트론(220)에 디스플레이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키 입력에 의해 수행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디지트론 디스플레이에는 디지트론 디스플레이 루틴 수행중 현재의 모드를 판별하여 수행가능한 모든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세트하는 수단과, 세트된 데이터를 디지트론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키 입력에 의해 수행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키매트릭스부의 키입력 체크루틴은 기억소자(RAM A-RAM N)에 해당 데이터를 세트시키는 수단과, 마이컴에 입력되는 신호(PM)(PN)에 따라 상기 기억소자를 조절하여 데이터를 직렬전송하는 수단과, 상기 기억소자의 동작에 따라 키버퍼에 해당 기능 모드의 키 값이 저장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키 입력에 의해 수행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래이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마이컴의 동작은 리세트 후 키입력 체크수단을 수행 후 해당 모드 키 값에 따라 메인 루틴을 수행하고 디지트론에 해당 기능 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키 입력에 의해 수행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KR2019880005983U 1988-04-27 1988-04-27 모드키 입력데 의해 수행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KR930003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983U KR930003979Y1 (ko) 1988-04-27 1988-04-27 모드키 입력데 의해 수행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983U KR930003979Y1 (ko) 1988-04-27 1988-04-27 모드키 입력데 의해 수행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747U KR890021747U (ko) 1989-11-03
KR930003979Y1 true KR930003979Y1 (ko) 1993-06-25

Family

ID=1927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983U KR930003979Y1 (ko) 1988-04-27 1988-04-27 모드키 입력데 의해 수행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9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747U (ko) 198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6081A (en) Reconfigurable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4857898A (en) Data compression technique for reconfigurable remote control apparatus
KR970004798B1 (ko) 범용 코맨더
US4774511A (en)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KR920002229B1 (ko) 재구성 가능한 원격 제어 송신기
US4926166A (en) Display driving system for driv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displays
US4769643A (en) Transmitter driver for programmable remote control transmitter
US6195033B1 (en) Key mover
US4855740A (en) Keyboard
JPH055440B2 (ko)
US5070330A (en) Keyboard scanning matrix
KR930006419B1 (ko) 재편성원격제어송신기의 모드전환 및 표시방법
KR970004797B1 (ko) 원격 제어 전송기 및 장치 제어 신호 발생 방법
US4104617A (en) Control panel system
KR930003979Y1 (ko) 모드키 입력데 의해 수행가능한 모드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US4998014A (en) Optical coordinate-input system
US4303916A (en) Multi-item input/output device to input information to and retrieve other information from a terminal computer
US4065754A (en) Input device for processing system probe controlled
US5206630A (en) Improved driving circuit for a gaseous discharge display device which provides reduced power consumption
GB2255430A (en) Remote controller.
US5552899A (en) Facsimile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common bus
CA1333924C (en) Keyboard
KR980010951A (ko) 학습기능을 갖는 고유리모컨과 전자기기의 리모컨코드 학습방법
KR2005000307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단 장치
JPS632772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