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738Y1 - Vtr의 전원회로 - Google Patents

Vtr의 전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738Y1
KR930003738Y1 KR2019880006910U KR880006910U KR930003738Y1 KR 930003738 Y1 KR930003738 Y1 KR 930003738Y1 KR 2019880006910 U KR2019880006910 U KR 2019880006910U KR 880006910 U KR880006910 U KR 880006910U KR 930003738 Y1 KR930003738 Y1 KR 930003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istor
diode
power
supply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853U (ko
Inventor
최경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6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738Y1/ko
Publication of KR8900238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8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7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VTR의 전원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압자동전환회로부 2 : 24V직류전압공급회로부
3 : 스위칭회로부 Dz1: 제너다이오드
Ry : 릴레이 T : 전원트랜스포머
IC1―IC3: 정전압 Q1―Q4: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교류전원과 12V 및 24V 직류전원으로 작동하는 VTR의 전원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류 12V와 24V 사용시 자동전환이 가능토록 한 VTR의 전원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VTR 전원회로는 교류전원과 12V 직류전압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되어 소비자가 24V 직류전압을 이용하여 VTR을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원트랜스포머와 2차측 전원공급이 1개의 코일에 의해 공급되어 전원트랜스포커가 열이 발생되므로 전원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교류전원과, 직류 12V, 24V를 소비자가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VTR의 전원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는 바,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전원일 때는 전원트랜스포커(T)에서 발생된 전원을 다이오드(D1)(D2)로된 제1정류회로와 정전압 IC(IC1) 및 트랜지스터 (Q1)와 다이오드(D3)에 의해 14V 직류전원라인으로 출력시키고, 다이오드(D4)(D5)로 된 제2정류회로와 정전압IC(IC2) 및 (IC3)에 의해 각각 9V와 5V 직류전원라인으로 출력시키도록 한 회로에 있어서,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상기의 감지수단에 의해 동작되어 입력된 직류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전압자동전환회로부(1)와, 상기의 회로부(1)에서 출력된 24V 직류전압을 14V, 9V, 5V 라인에 공급하기 위한 24V직류전압공급회로부(2) 및, 상기의 회로부(1)에서 출력된 12V 직류전압을 9V와 5V라인에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부(3)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이용되는 입력전압감지수단은 제너다이오드(Dz1)와 바이어스 저항(R1) 및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될 수도 있는 바, 제너다이오드(Dz1)의 제너전압(Vz)은 20V로 설정되어 트랜지스터(Q2)의 온/오프 트리거 포인트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입력된 직류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코일(LR)과 스위치(SW)로된 릴레이(RY)와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는바, 트랜지스터(Q2)의 코렉터에 베이스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는 코일(LR)의 일단에 연결되어 릴레이(RY) 스위치(SW)를 작동시킨다.
24V직류전압공급회로부(2)는 14V라인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다이오드(D6)와 9V와 9V 및 5V라인에 전압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저항(R2-R6) 및 다이오드(D7)로 구성될 수도 있는 바, 여기에서 다이오드(D6)(D7)는 교류전원 사용시 교류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스위칭 회로부(3)는 트랜지스터(Q4)와 바이어스 저항(R7) 및 다이오드(D8)(D9)로 구성될 수도 있는 바, 다이오드(D9)는 교류전원사용시 트랜지스터(Q4)에 역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R8은 트랜지스터(Q3)의 바이어스 저항, D10은 릴레이 코일(LR)의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를 표시하는 바,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교류전원이 입력되면, 교류전원은 코일(L1)(L2) 및 콘덴서(C1)에 의해 유도성 잡음이 제거된 후 전원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L3)에 인가된다. 이때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코일(L4)에는 소정의 전압이 유기되어 다이오드(D1)(D2)에 의해 전파정류되어 콘덴서(C2)에 의해 평활된 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정전압 IC(IC1)를 거쳐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1)는 그의 베이스에 하이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턴온되어 입력된 전압을 다이오드(D3)를 경유하여 14V라인으로 출력 시킨다.
또한, 트랜스포커(T)의 다른 2차측코일(L5)에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D4)(D5)에 의해 전파정류되어 콘덴서(C3)에 의해 평활되어 정전압 IC(IC2)를 통해 9V라인으로 송출됨과 동시에 정전압 IC(IC3)를 통해서 5V라인으로 송출된다.
한편, 트랜지스터(Q4)는 그의 애미터전압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순방향전위(0, 7V)와 다이오드(D3)의 순방향전위(0, 7V)로 인해 1.4V의 전위로 강하됨에 따라 오프된다. 즉,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전압은 다이오드(D8)의 순방향전의(0, 7V)로 떨어지게 되어 베이스전위가 에미터전위보다 0.7V 높아 오프된다. 그다음, 12V의 직류전압이 인가될 경우, 제너다이오드(Dz1)는 그의 제너전압(Vz=20v이 입력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도통하지 않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된다.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됨에 따라 저항(R8)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가 하이레벨로 되므로 트랜지스터(Q3)가 도통된다.
트랜지스터(Q3)가 도통되면 릴레이 코일(LR)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접점()에 위치되어 있는 스위치(SW)는 접점()으로 전환된다.
스위치(SW)가 접점()에 접촉됨에 따라 직류전압은 14V 라인으로 출력되며, 일부는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에 인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4)는 베이스에 연결된 저항(R7)에 의해 순방향으로 바이어스됨에 따라 도통하게 된다.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서 발생된 전류는 다이오드(D9)와 정전압 IC(IC2)를 통해 9V라인으로 출력됨과 동시에 정전압 IC(IC3)를 통해 5V라인으로 출력된다.
한편, 24V 직류전압이 입력될 경우, 제너다이오드(Dz1)는 그의 제너전압이 입력전압보다 낮기 때문에 도통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저항(R1)에 의해 전압강하가 발생하여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되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가 로우레벨로 되어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된다.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됨에 따라 릴레이 코일(LR)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며 릴레이(Ry)는 동작하지 않게 되어 스위치(SW)는 접점()에 위치된다. 스위치(SW)가 접점()에 접속되어 있음에 따라, 24V 직류전압은 다이오드(D6)를 경유하여 콘덴서(C2)에 의해 평활된 뒤 정전압 IC(IC1) 및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인가되는데,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다이오드(D3)를 거쳐 14V라인으로 출력된다.
한편, 직류 24V는 저항(R2-R6)과 다이오드(D7)를 거쳐 정전압 IC(IC2)를 통해 9V라인으로 출력됨과 동시에 정전압 IC(IC3)를 통해 5V라인으로 송출된다.
이와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직류 12V와 24V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사용범위가 넓어짐과 동시에 직류 12V 사용시에는 직류 14V 라인으로 출력되어 전원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스위칭회로를 채택함으로써 트랜지스터(Q4)를 통해 9V라인과 5V라인으로도 출력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

Claims (4)

  1. 전원트랜스포머(T)와 정전압 IC(IC1-IC3)를 이용하여 다수의 직류전원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회로에 있어서, 입력되는 직류전압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상기의 감지수단에 의해 동작되어 입력된 직류전압을 선택하는 전압자동전환회로부(1)와, 상기의 회로부(1)에서 출력된 제 1의 직류전압을 상기의 직류전원 라인에 공급하기 위한 직류전압공급회로부(2) 및, 상기의 회로부(1)에서 출력된 제2의 직류전압을 적어도 2개의 직류전원라인에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부(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VTR의 전원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감지수단은 제너다이오드(Dz1)와 바이어스 저항(R1) 및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며, 상기의 직류전압선택수단은 릴레이(RY)와 상기의 릴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VTR의 전원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직류전압공급회로부(2)는 다이오드(D6)(D7)와 저항(R2-R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VTR의 전원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스위칭 회로부(3)는 트랜지스터(Q4)와 저항(R7) 및 다이오드(D8)(D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VTR의 전원회로.
KR2019880006910U 1988-05-07 1988-05-07 Vtr의 전원회로 KR930003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910U KR930003738Y1 (ko) 1988-05-07 1988-05-07 Vtr의 전원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910U KR930003738Y1 (ko) 1988-05-07 1988-05-07 Vtr의 전원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853U KR890023853U (ko) 1989-12-04
KR930003738Y1 true KR930003738Y1 (ko) 1993-06-21

Family

ID=1927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910U KR930003738Y1 (ko) 1988-05-07 1988-05-07 Vtr의 전원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7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853U (ko)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8500A (en) Electric power unit
US4914560A (en) Protection circuit for switching mode power supply circuit
US6509724B1 (en) Housekeeping power supply for electronically controlled loads
EP0259889B1 (en) Switching regulator type power supply circuit
KR930003738Y1 (ko) Vtr의 전원회로
KR900001809B1 (ko) 트랜지스터의 베이스구동회로
EP4202449B1 (en) Zero-crossing detection circuit
US6519163B1 (en) Power supply unit
JP4356396B2 (ja) 電圧生成回路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イッチング電源
JPH0583999A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制御装置
KR900010460Y1 (ko) 전력공급기의 제어회로전용 전원회로
KR930004325Y1 (ko) 집진용 고압 발생회로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JP3281052B2 (ja) 電源回路
JP200513716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2656148B2 (ja) 過電流保護回路付きスイッチング電源
KR900009237Y1 (ko) Smps회로의 상용입력 자동선택회로
JP3379549B2 (ja) インバータ回路,ランプ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KR200296292Y1 (ko) 전원제어장치
KR920002186Y1 (ko) 충전지의 충전회로
KR0140018Y1 (ko) 배터리 충전회로
KR890000711Y1 (ko) 교류의 자유 전압 입력시 정전류 드라이버와 에러 앰프(Error Amp)에 의한 직류의 안정화 콜드(Cold)회로
KR960007666Y1 (ko) 전원 공급 장치
KR200173056Y1 (ko) 모니터의 전원공급회로
JPH02488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