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629B1 - 쇼핑카트 - Google Patents

쇼핑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629B1
KR930003629B1 KR1019890003500A KR890003500A KR930003629B1 KR 930003629 B1 KR930003629 B1 KR 930003629B1 KR 1019890003500 A KR1019890003500 A KR 1019890003500A KR 890003500 A KR890003500 A KR 890003500A KR 930003629 B1 KR930003629 B1 KR 930003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hopping cart
rim
side wall
ba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301A (ko
Inventor
에이다로 니시다
Original Assignee
야마또 산꾜 가부시끼가이샤
에이다로 니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271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5850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2713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2822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또 산꾜 가부시끼가이샤, 에이다로 니시다 filed Critical 야마또 산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0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F10/02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self-service type systems, e.g. supermarkets
    • A47F10/04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self-service type systems, e.g. supermarkets for storing or handling self-service hand-carts or bas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쇼핑카트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가 부착된 쇼핑카트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쇼핑카트의 주요 부품들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쇼핑키트에 사용된 유아용 의자의 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유아용 의자의 의자등받이 부분을 안으로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쇼핑카트의 대차부의 앞부분을 밑으로 부터 본 사시도.
제 6 도는 좌우 플레임과 보강부재 가이드테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대차부 앞부분의 사시도.
제 7 도는 고정판을 뗀 상태의 우산꽂이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좌우 프레임 8 : 브래킷트
9 : 핸들 10 : 바구니 지지테
15 : 유아용 의자본체
본 발명은 슈퍼등의 상품 판매점이나 손님들이 시장 바구니를 싣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쇼핑카트(cart)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유아용의자의 부착된 쇼핑카트가 알려져 있으나, 그 의자는 금속 선재를 구부리거나 용접해서 조립한 간단한 구조이며, 표면으로 금속선재가 노출되어 있어, 그 유아용 의자에 앉으면 차갑게 느껴지거나 등이 아파져서 편안하지 않았다. 따라서 그 의자에 유아를 앉히면 보채거나 가만히 있지 않기 때문에, 쇼핑 카트를 미는 순간, 노출된 쇼핑카트의 금속부분에 접촉되어 다치거나 의자위에서 일어남으로써 쇼핑카트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쇼핑카트에 태운 유아가 의자위에 일어서지 않도록 안전벨틀을 채울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의 쇼핑카트는 구성이 복잡하며 조립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게다가 작업에 손질이 많이 필요하여 시간도 많이 걸리기 때문에 공장에서 출하직적에 최종 조립하거나 상품 판매점에 납입한 후 최종 조립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편하게 않을 수 있고 안전하며 또한 많은 쇼핑카트를 뒤로 부터 포개더라도 콤팩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쇼핑카트에 부착되는 유아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출하 직전의 조립 또는 상품 판매점에 납품후의 조립이 가능한 쇼핑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 및 잇점은 다음과 같은 설명으로 알 수 있다.
전술한 목적 및 다음과 같은 설명으로 알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먼저 첫번째로 유아용 의자는 유아가 앉기에 적절하게 만든 의자본체와 전술한 의자 본체에 안으로 구부릴 수 있는 의자등받이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의자본체는 좌우 측벽부와 이 양측벽부의 한쪽과 접속된 테부분과 이 양측벽부의 밑부분에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테부분과의 사이에 유아의 다리가 빠져나가는 뚫린 부분을 가진 좌면부와 이 좌면부의 상기 테부분쪽의 단부 중앙과 상기 테부분을 연결한 받침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의자등받이 부분은, 상기 테부분과 반대쪽에 설치하고 그 밑부분의 회전축을 지점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의자본체는, 합성수지로 일체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의자를 매우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의자본체에는 상기 의자 등부분을 상기 테부분의 반대쪽으로 구부릴때 의자본체와 맞닿는 위치에 스토퍼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전술한 합성수지제의 의자본체의 적당한 부분, 예를들어서 양측벽부에 쇼핑카트의 프레임부재 즉 핸들이나 바구니 지지부의 일부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을 설치하여 이 구멍을 이용하여 쇼핑카트에 부착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매우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가 부착된 쇼핑카트는 대차부와, 이 대차부에 설치된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핸들 및 바구니 지지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대차부는 납착한 파이프의 편평면을 세워서 사용한 좌우 프레임과 이 양쪽 프레임을 폭방향의 간격을 유지해서 접속한 간격유지 부재와, 수레바퀴로 구성되 있으며 전술한 대자부에는 합성수지제의 유아용 의자가 부착되어있다. 그 유아용 의자로써 전술한 구성을 지닌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대차부에는 중복 수납용 가이드 및 가이드테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제 7 도는 발명의 쇼핑카트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있어서, “1”, “2”는 좌우의 프레임이고, “3”, “4”,“5”는 좌우 프레임(1)(2) 간의 폭방향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재이며, 대차부(7)는 좌우의 프레임(1)(2)과 세개의 간격 유지부재(3)(4)(5)와 네개의 수레바퀴(6)로 구성된다. 각 수레바퀴 (6)는 좌우프레임(1) (2)의 뒤쪽 하단에 용접된 브래킷트(8)와 좌우 프레임(1) (2)의 앞쪽에 있는 간격 유지부재(5)의 밑부분 양측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2)은 단면이 대개 장원형인 납작한 파이프를 대개 L 자형으로 구부린 것이며, 긴 직경을 세로로(상하가 길게)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핸들(9)은 원형 파이프를 대개 U 자형으로 구부러서 형성한 것이며 양단부를 찌부러트려서 납작한 단면형으로 되어 있다. 핸들(9)은 그 양단부를 좌우 프레임(1)(2)의 상단에 끼워서 외측으로 부터 나사(9a)로 죄어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나사(9a)를 풀면 쉽게 핸들(9)을 뺄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방법은 탈착이 가능하다면 적당한 기타의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바구니 지지테(10)는 핸들(9)과 마찬가지로 원형 파이프를 구부러서 U 자형의 테로 형성하고 그 테내에 바구니를 지지하는 것이며, 그 양단부는 대개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바구니 지지테(10)의 U 자형 부분의 내측면에서 바구니(11)가 이동하지 않도록 이동 방지부재(10a)가 부착되어 있다. 좌우 프레임(1)(2)의 상단부근에 접속된 간격 유지부재(3)에는 각각 지지파이프(12)(13)가 상하방향으로 용접되어 있고, 전술한 바구니 지지테(10)의 양단부는 그 지지파이프(12)(13)에 위로 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프레임(1)(2)에 부착되어있다. “14”는 유아용 의자료서 유아가 등을 돌리고 앉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유아용 의자(14)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유아가 앉을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든 의자본체(15)와, 의자본체(15)의 뒷부분에 전후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부착된 의자등부분(16)과 의자등부분(16)을 구부릴 수 있도록 부착하기 위한 금속제 축봉(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의자본체(15)는 후술하는 구성을 갖는 좌우의 측벽부(18)(19)와, 테부분(20)과, 좌면부(21)와, 받침부(22)와, 의자 등받이용의 스토펴부(23)로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있다.
좌우측벽부(18)(19)는 의자본체(15)를 쇼핑카트의 프레임에 상방에서 결합한 때에 양프레임(1)(2)의 상단부 및 지지파이프(12)(13)를 둘러싼다. 또한 상기 측벽부(18)(19)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부(18)(19)와 돌출부는 상기 양프레임(1)(2)의 상방에서 씌울 수 있도록 그 안쪽 및 아래쪽이 공동인 형상으로 되어있다. 상기 테부분(20)은 양측벽부(18)(19)의 뒤쪽의 윗부분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 좌면부(21)는 양측벽부(18)(19)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22)는 좌면부(21)의 뒤쪽에서 그 단부 중앙에서 경사지게 윗쪽으로 연장하여 테부분(20)과 연결된다. 상기 의장 등받이 용의 스토퍼부(23)는 양측벽부(18)(19)의 앞쪽 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의자등받이 부분도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사용시는 앞쪽으로 세워서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토퍼부(23)에 맞추어두고 유아는 좌면부(21)에 등을 돌려서 앉고양쪽다리를 받침부(22)의 양측으로 내민다.
포갤때에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의자등받이 부분(16)을 안으로 구부릴 수 있다. 그때 의자 등받이 부분(16)은 테부분(20)에 맞닿게 된다. 양측벽부(18)(19)의 상면에는 바구니 지지테(10)와 지지파이트(12)(13)의 단부를 삽입하는 구멍(2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양측벽부(18)(19)의 외측에 형성된 안쪽 및 아래쪽이 공동인 상기 돌출부의 윗면에는 양프레임(1)(2)의 편평한 양 상단부를 끼워 넣어야 하며 핸들(9)의 단부를 끼워 통하는 구멍(25)이 설치되고 또한 측면에는 양프레임(1)(2) 및 핸들(9)의 고정용 나사(9a)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
의자본체(15)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면부(21)를 간격 유지부재(3)위에 두고, 구멍(24)(25)에 바구니 지지테(10)와 핸들(9)을 각각 삽입하고 구멍(26)을 통해 나사(9a)로써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있다. 그 의자본체(15)는 간격 유지부재(3)를 가리는 커버의 역할도 한다. 바구니(11)를 빼놓은 복수개의 쇼핑카트를 콤팩트하게 보관하기 위해 포개때에 의자 등받이 부분(16)은, 다른 쇼핑카트의 유아용 의자(14)의 테부분(20)에 밀려져서 안으로 구부려지고 이 쇼핑카트의 의자등받이 부분(16)의 위치에 다른 쇼핑카트의 테부분(20)이 들어간다. 이로써 유아용 의자가 부착되어 있어도 콤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의자본체(15)를 본 실시예와 같이 일체 성형하지 않고 임의의 부품으로 나누어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유아용 의자(14)의 기타의 실시예로서 의자본체(15)를 합성수지로 일체 형성하여 적당한 위치에 부착용 구멍을 설치하여 이들 구멍에 쇼핑카트의 프레임 부재, 예를들어 프레임(1)(2)이나 간격 부재(3)(4)(5)등을 직접 연결해도 지장이 없다. 양프레임(1)(2)의 앞부분에 설치된 판자상의 간격유지부재 (5)는 합성 수지재이고, 좌우프레임(1)(2)의 전단을 가리는 커버의 역할도 한다. 이 간격 유지부재(5)의 뒷면에는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프레임(1)(2)의 전단을 접속하는 보강부재(27)가 설치되고 전술한 수레바퀴(6)는 이 보강부재(27)를 끼워 프레임(1)(2)에 부착되어 있다.
간격 유지부재(5)의 상면 전단 중앙부에는 산모양의 중복 수납용 가이드(2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좌우 프레임(1)(2)의 사이에는 중앙부 부근에 금속선재를 대개 U 자형으로 구부리고 만든 중복 수납용 가이트테(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테(29)는 후단부가 간격 유지부재(4)에 걸려있고 전단부가 간격 유지부재(5)의 중앙부 부근에 아래쪽으로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테(29)의 2개의 첨단부분(30)은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보강부재(27)에도 삽입되어 있으며 빠지지 않도록 분할핀(31)이 끼워져 있다. 중복 수납할때는 다른 쇼핑카트의 중복 수납용 가이트(28)가 이 쇼핑카트의 가이드테(29)의 사이에 들어간다. 이로써 2 개의 쇼핑카트를 대략 동일 방향으로 뒤로 부터 포갤 수 있다. 대차부(7)에 중복 수납용 가이드(28)와 가이드테(29)가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로 가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프레임(1)의 상단 부근의 외측면에 바닥이 있는 원통 모양의 우산꽂이(32)가 설치되어있다. 이 우산꽂이(32)의 측면에는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모양에 맞게 홈(33)이 형성되고 있다. 이 홈(33)에 프레임(1)을 끼워서 내측부터 고정판(34)을 나사 등과 같은 조임부재(55)로 조여 고정시킨다. 이 우산꽂이(32)의 바닥에는 배수구(36)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8)의 중앙부에는 S 자형으로 형성된 후크(37)가 걸려 있으며 물건을 사는 사이에 종이 봉지등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브래캣트(8)를 포함한 좌우프레임(1)(2), 중앙의 간격 유지부재(4), 핸들(9) 및 바구니 지지테(10)에 녹이슬지 않도록 나일론 코팅이 되어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브래킷트(8) 부분을 합성수지제 커버(38)로 가리고 있기 때문에 만약 녹슬어도 표면에 나타나지 않고 이동중 이 부분이 진열대등에 부딪혀도 홈이 나지 않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아용 의자(14)를 구부한 쇼핑카트를 도시했지만 이런 유아용 의자(14)를 부착하지 않아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의 전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쇼핑카트용 유아용 의자(14)는 의자본체(15)를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표면에 금속선재가 노출된 종래의 제품보다 대단히 편하고 게다가 앉아있는 유아를 의자등받이 부분(16), 양측벽부(18)(19), 테부(20), 좌면부(21) 및 받침부(22)에 의해서 적합하게 지지되므로 안전벨트를 매지 않아도 안전하게 앉힐 수 있다.
또한 이 유아용 의자(14)는 구성부분이 모두 다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표면에 모가나지 않도록 유연하게 만들기 쉬우며 따라서 만일 이 의자에 유아가 부딪혀도 다치지 않는 안전한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유아용 의자(14)가 부착된 쇼핑카트를 복수개 중복 수납하면 의자 등받이 부분(16)이 안으로 구부려서 다른 쇼핑카트의 테부분(20)이 이 쇼핑카트의 의자등받이 부분(16)의 위치에 들어가기 때문에 매우 콤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쇼핑카트는 좌우 프레임(1)(2)과 세개의 간격 유지부재(3)(4)(5)를 접속하고 수레바퀴를 부착하여 대차부(7)를 조립한다. 그리고 이 대차부 (7)의 프레임(1)(2)의 양 상단부에 의자본체(15)를 씌운다. 다음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15)으로 핸들(9)의 양단부를 삽입하여 프레임(1)(2)의 편평한 상단부에 끼워넣고, 측면구멍(26)에 나사(9a)를 끼워 단단히 조여 고정한다. 또 지지파이프(12)(13)를 둘러싸는 양측벽부(18)(19)에 형성된 구멍(24)을 통해 상기 지지파이프(12)(13)에 바구니 지지테(10)를 삽입하여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춘다. 이렇게 하여 간단히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최종 조립하지 않는 상태로 보관, 운반하여 출하직전이나 납품후에 신속히 조립할 수 있다. 그래서 출하직전의 조립이나 납품한 후 상품 판매점에서의 조립이 가능하며 또한 최종적으로 조립하지 않는 작은 상태로 보관, 운반할 수 있다.
더우기 납작한 파이프의 편평면을 세워서 사용하여 좌우 프레임(1)(2)을 만들고 또 원형 파이프를 구부려서 핸들(9)및 바구니 지지테(10)를 만들었기 때문에 핸들(9)을 밀거나 당길대의 좌우 프레임에 작용한 힘에 대해서도 또는 바구니에 넣은 상품의 하중에 대해서도 튼튼하다. 더우기 핸들(9)은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므로 잡기 좋고 사용하기 쉽다는 효과도 있다.
전술한 유아용 의자(14)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쇼핑카트의 간격지지부재(3)에 설치하는 등의 부착하기 쉬운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Claims (7)

  1.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의자본체(15)와, 상기 의자 본체(15)에 안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설치된 의자 등받이부분(16)을 구비한 쇼핑카트의 유아용의자로, 상기 의자본체(15)는 아래쪽을 공동으로한 좌우측벽부(18)(19)와 상기 양측벽부(18)(19)의 한쪽에 접속된 테부분(20)과, 상기 양측벽부(19)(19)의 밑부분에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테부분(20)과의 사이에 유아의 다리가 빠져 나가는 뚫린 부분을 가진 좌면부(21)와 상기 좌면부(21)의 상기 테부분(20)쪽의 단부중앙과 상기 테부분(20)을 연결한 받침부(22)를 구비하고, 상기 아래쪽을 공동으로한 좌우측벽부(18)(19)에는 쇼핑카트의 프레임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24)(25)을 설치하고, 상기 구멍(24)(25)을 이용하여 쇼핑카트에 부착되며, 상기 의자등받이 부분(16)을 상기 테부분(20)의 반대쪽에 설치하고 그 밑부분의 회전축을 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의자본체(15) 및 의자등받이부분(16)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본체(15)가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의 유아용 의자.
  3. 제 1 항에서 있어서, 상기 의자본체(15)에, 상기 의자등받이부분(16)을 상기 테부분(20)과 반대쪽으로 움직였을때 상기 의자 등받이 부분(16)이 맞닿는 스토퍼부(2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의 유아용 의자.
  4. 대차부(7)와, 상기 대차부(7)에 부착된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핸들(9) 및 바구니(11)가 설치되고 상기 바구니(11)을 움직일 수 있게 유지하는 바구니 지지테(10)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부(7)는 납작한 파이프의 편평면을 세워서 사용한 좌우 프레임(1)(2)과 상기 양쪽프레임(1)(2)을 폭방향의 간격을 유지해서 접속한 간격 유지부재(2)(4)(5)와, 수레바퀴(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차부(7)에는 합성수지제의 유아용 의자(14)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의자(14)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한 의자본체(15)와, 상기 의자 본체(15)에 안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설치된 의자 등받이 부분(16)을 구비하며 상기 의자본체(15)는 아래쪽을 공동으로한 좌우측벽부(18)(19)와 상기 양측벽부(18)(19)의 한쪽과 접속된 테부분(20)과 상기 양측벽부(18)(19)의 밑부분에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테부분(20)과의 사이에 유아가 다리가 빠져나가는 뚫린 부분을 가진 좌면부(21)와, 상기 좌면부(21)의 상기 테부분(20)쪽의 단부 중앙과 상기 테부분(20)을 연결한 받침부(22)를 구비하고, 상기 아래쪽을 공동으로한 좌우 측벽부(18)(19)에는 상기 프레임(1)(12), 핸들(9) 및 바구니 지지테(1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24)(25)을 설치하고, 상기 구멍(24)(25)을 이용하여 쇼핑카트에 부착되며, 상기 의자등받이 부분(16)은 상기 테부분(20)과 반대쪽에 설치하고 그 밑부분의 회전축을 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의자본체(15) 및 의자등받이부분(16)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7)에 중복 수납용 가이드(28) 및 가이드테(2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프레임(1)(2)의 어느한쪽에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우산꽂이(32)가 부착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KR1019890003500A 1988-09-09 1989-03-21 쇼핑카트 KR930003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27129A JP2585075B2 (ja) 1988-09-09 1988-09-09 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63-227130 1988-09-09
JP63-227129 1988-09-09
JP63227130A JPH0712822B2 (ja) 1988-09-09 1988-09-09 ショッピングカートの幼児用椅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301A KR900004301A (ko) 1990-04-12
KR930003629B1 true KR930003629B1 (ko) 1993-05-08

Family

ID=2652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500A KR930003629B1 (ko) 1988-09-09 1989-03-21 쇼핑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6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301A (ko) 199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6063A (en) Walking aid
US4632411A (en) Shopping cart with plastic basket
US4057288A (en) Stackable wheeled chair
US3899207A (en) Chairs
US5149115A (en) Compact storage stroller
US4647054A (en) Combined stroller chair and automobile restraint seat
US4971343A (en)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carrier and an infant carrier therefor
US4971389A (en) High chair attachment for chairs
AU2002351696B2 (en) Child seat for a shopping trolley
US4728112A (en) Tandem two seat child's stroller
KR930003629B1 (ko) 쇼핑카트
EP0591006A1 (en) Handlebar assembly for a trolley
US5224760A (en) Detachable lawn chair
US5800014A (en) Adjustable child seat for bicycles
JPH0712822B2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の幼児用椅子
US6406046B1 (en) Bicycle passenger carrier
US3063729A (en) Stroller
JPH0444133Y2 (ko)
US6116681A (en) Picnic table which accommodates individuals confined to wheelchairs
JPH0939797A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H0627491Y2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の幼児用椅子
US2922467A (en) Adjustable support for chair or the like object
JPH0920248A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US2962089A (en) Chair construction
JP4968640B2 (ja) シート本体の取付構造とリクライニング機構及びショッピングカ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