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441Y1 - 콘테이너백 - Google Patents

콘테이너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441Y1
KR930003441Y1 KR2019910000457U KR910000457U KR930003441Y1 KR 930003441 Y1 KR930003441 Y1 KR 930003441Y1 KR 2019910000457 U KR2019910000457 U KR 2019910000457U KR 910000457 U KR910000457 U KR 910000457U KR 930003441 Y1 KR930003441 Y1 KR 930003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g
bag
package
container
v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066U (ko
Inventor
박영묵
Original Assignee
박영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묵 filed Critical 박영묵
Priority to KR2019910000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441Y1/ko
Publication of KR9200150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0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테이너백
제1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 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의 확대도.
제3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 백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 백의 포대본체를 통기부와 밀폐부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 백의 포대본체의 통기부와 밀폐부를 사선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 백의 덮개부와 받침부에만 통기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종래의 콘테이너 백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대본체 2 : 덮개부
3 : 받침부 4 : 투입구
5 : 배출구 6 : 운반걸이
7 : 통기공
본원 고안은 쌀, 보리, 조와 같은 곡물이나 해조류(이하 “운반물”이라함)를 다량 넣어 선박 수송할때에 사용하는 콘테이너 백(Container Bag)에 관한 것이다.
콘테이너 백은 다량의 운반물을 넣어 장시간 선박수송 이동할때 사용하는 것으로 쌀, 보리, 조와 같은 곡물이나 해조류와 같은 운반물을 다량 넣어 운반할때에는 통기성이 좋아야만이 운반물이 상하지 않는 것으로 종래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직조하여 포대본체(101)를 만들고 그 상, 하단부를 포대본체(101)와 유사한 재질로 만들어진 덮개부(102)와, 받침부(103)로 봉합하며 덮개부(102)와, 받침부(103)의 중간부위에는 운반물의 투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투입구(105)와, 배출구(106)을 부착하고 포대본체(101)에는 운반물을 선박이나 차량에 이동하기 쉽도록 운반걸이(107)를 부착하여 콘텍이너 백을 만들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콘테이너 백에 운반물을 넣고자 할때에는 콘테이너 백을 이동하여 운반물을 가공 또는 운반하여 최종배출하는 호퍼(Hopper)의 바로밑에 위치시키고 콘테이너 백의 투입구(105)에 있는 끈(108)를 풀어 제친다음 호퍼로 부터 배출하는 운반물을 투입구(105)에서 받아넣고 일정량 만큼 투입완료되면 끈(108)으로 투입구(105)를 묶은다음 다른장소로 이동하는 작업을 하여 배출구(106)에 묶여있는 끈(108)을 풀어 운반물을 하역하게 되어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콘테이너 백에 있어서는 포대본체(10)와 덮개부(102)와, 받침부(103)를 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직조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콘테이너 백에 쌀, 보리, 조와 같은 곡물류나 해조류와 같은 운반물을 넣어 운반할 경우에는 콘테이너백의 통기성이 좋지않아 운반물이 부폐하거나 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콘테이너 백의 포대본체와 받침부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콘테이너 백에 곡물류나 해조류와 같은 운반물을 놓어 운반할때에 운반물의 입자 사이에 공기흐름을 좋게함으로써 운반물이 부폐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운반물의 질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백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원 고안의 콘테이너 백은 포대본체(1)의 상, 하단부를 덮개부(2)와 받침부(3)로 봉합하여 덮개부(2)와 받침부(3)의 중간 부위에는 투입구(4)와 배출구(5)를 부착하고 상기 포대본체(1)에 운반걸이(6)를 부착하고 있는 것을 종래의 콘테이너백과 유사하나 다만 포대본체(1)와 덮개부(2)와 받침부(3)에 통기공(7)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포대본체(1)와, 덮개부(2)와 받침부(3)는 섬유재나 합성수지재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진 콘테이너 백 원단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만들고 통기공(7)은 섬유재를 직조할때 형성시키거나 또는 합성수지재로 콘테이너백 원단을 성형할때 형성시킨다.
통기공(7)은 콘테이너 백에 투입되는 운반물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를 선택하여 형성하므로써 운반도중에 운반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만들어진 본원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백을 사용하여 운반물을 넣는 방법을 제3도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반물을 저장하고 있거나 운반물을 가공 또는 운반하여 최종 배출하는 호퍼(H)의 바로밑에 콘테이너백을 위치시키고 콘테이너백의 투입구(4)에 있는 끈(S)을 푸어 제친다음 호퍼(H)로 배출하는 운반물을 포대본체(1)에 받아넣고 일정량 만큼 투입이 완료되면 끈(S)으로 투입구(4)를 묶어 콘테이너백을 운반하는 것이고 운반물을 하역할때에는 배출구(5)에 묶여있는 끈(S)을 풀어 하역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콘테이너백은 포대본체(1)와, 덮개부(2)와, 받침부(3)에 통기공(7)을 형성하므로서 콘테이너 백에 곡물이나 해조류와 같은 운반물을 넣어 장시간 운반하여도 부폐하지 않는 것이고 또한 처음 상태와 같이 운반물을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제4도는 포대본체(1)를 통기공(7)이 뚫여있는 통기공(1A)와, 통기공(7)이 뚫여있지 않은 밀폐부(1B)로 만들어 포대본체(1)를 보강하고 있는 것을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
제5도는 포대본체(1)의 통기부(1A)와, 밀폐부(1B)를 사선방향으로 배열하고 있는 것을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
제6도는 포대본체(1)를 모두 밀폐시키고 덮개부(2)와 받침부(3)에만 통기공(7)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

Claims (1)

  1. 포대본체(1)의 상, 하단부를 덮개부(2)와, 받침부(3)로 봉합하며 덮개부(2)와, 받침부(3)의 중간부위에는 투입구(4)와 배출구(5)를 부착하고 상기 포대본체(1)에 운반걸이(6)를 부착하여되는 콘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기 포대본체(1)는 통기공(7)이 뚫려있는 통기부(1A)와, 통기공(7)이 뚫여있지 않은 밀폐부(1A)로 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백.
KR2019910000457U 1991-01-14 1991-01-14 콘테이너백 KR930003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457U KR930003441Y1 (ko) 1991-01-14 1991-01-14 콘테이너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457U KR930003441Y1 (ko) 1991-01-14 1991-01-14 콘테이너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066U KR920015066U (ko) 1992-08-14
KR930003441Y1 true KR930003441Y1 (ko) 1993-06-11

Family

ID=1930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457U KR930003441Y1 (ko) 1991-01-14 1991-01-14 콘테이너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4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188B1 (ko) * 2002-08-21 2004-11-09 이경희 통풍 양곡마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066U (ko) 199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2421A (en) Reusable bulk bag with liner
US3965953A (en) Flexible container for wine and fruit-juice
JPH08175597A (ja) リサイクル可能なバルクバッグコンテナー
US4573204A (en) Slide fastener for flexible bulk container
DE69211893T2 (de) Behälter zum Entwässern oder zum Verpacken und für den Transport
US4902173A (en) System and filter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particulate material in railroad car during transportation and unloading
CA1302315C (en) Inner bag for container
KR930003441Y1 (ko) 콘테이너백
US4913321A (en) Bulk particulate solids transport bag with gas assist unloading feature
KR20160144184A (ko) 톤백
US5628254A (en) Moisture barrier, filter seal for hopper rail car hatches
KR101043960B1 (ko) 킬 형상의 솔기를 갖는 신축성이 있는 유체 보유용기
US5890611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a container liner with dual ports
DE59502860D1 (de) Verpackungseinheit für den Palettentransport von Waren
KR20160000781U (ko) 수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톤백
GB21169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ulk material
US3533806A (en) Grain preservative method
HU9303720D0 (en) Vehicle for the transportation of powdered, granular or ball-shaped materials and method for their stowage
KR950008440Y1 (ko) 곡무용 콘테이너팩의 내장지
JP3154442B2 (ja) スライスネギ入り包装体
KR920005692Y1 (ko) 콘테이너의 환풍용 커버
FI63724C (fi) Medelst kippning toembar behaollarkonstruktion foer korn- eller pulverformigt material
KR101609945B1 (ko)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SU393142A1 (ru) Емкость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ATE325013T1 (de) Fahrzeug für den transport von pulverförmigem, körnigem oder pelletförmigem schüttg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