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437B1 - 조립식 블록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437B1
KR930003437B1 KR1019910007442A KR910007442A KR930003437B1 KR 930003437 B1 KR930003437 B1 KR 930003437B1 KR 1019910007442 A KR1019910007442 A KR 1019910007442A KR 910007442 A KR910007442 A KR 910007442A KR 930003437 B1 KR930003437 B1 KR 930003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wall
prefabricated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815A (ko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정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정건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정건철
Priority to KR101991000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437B1/ko
Publication of KR92002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블록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 본체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 본체의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 본체에 전.후마감판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제4(a)도는 본 발명 블록 본체의 내부에 충전재가 채워진 상태를 보인 제3도의 A-A선 단면도. (b)는 제4도의 G부 확대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제4(a)도의 C-C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의 D-D선 단면도.
제8(a)(b)(c)도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의 다른 실시예 보인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의 조립 시공 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록본체 10 : 본체프레임
10-1, 10-2, 10-3, 10-4 : 프레임부재 13c : 걸림턱
14 : 결합홈 15 : 결합돌조
20 : 충전재 30 : 마감판
40 : 체결볼트 41 : 두부
본 발명은 가변벽체나 칸막이벽 또는 피트구조물등과 같은 건출구조물의 벽체 시공에 적합한 조립식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의 조립시공 및 부분해체가 용이하고 조적된 벽체의 지지력 및 견고성을 충분히 보지할 수 있으며 시공된 벽체의 방음 및 방습 기능이 우수한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건출물의 벽체 형성방법은 통상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여 블록이나 벽돌을 조적하고 조적된 벽체의 외면에 미장 작업을 한 후 그 미장된 벽면을 도장 또는 도배하거나 타일을 붙임으로써 마감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벽체 형성방법은 상기와 같은 작업단계마다 숙련된 조적공과 미장공, 도장공 및 타일공등과 같은 전문 기능인력을 필요로 하게될 뿐만아니라 순차적인 작업단계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각기 소정의 양생시간이 소요됨으로써 공기가 장기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일차 시공된 벽체를 이동시키거나 그 벽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해체하고자할 경우에는 벽체를 구성하는 블록이나 벽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파쇄하고 제거하게 됨으로써 해체된 자재를 활용한 벽체의 재시공이 불가능하고, 또한 벽체의 내부를 통과하는 파이프나 전선등을 배관할 경우에는 그 시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피트구조물로 시공된 벽체의 경우에는 내부시설의 수리나 점검등을 위한 점검구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등의 여러가지 단점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난점과 문제점들을 갖지 않는 조립식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적공, 미장공, 도장공 및 타일공등과 같이 벽체의 시공을 위한 숙련된 기능인력과 매 작업단계마다 소요되는 양생대기 시간을 배제함으로써, 전문기능 인력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벽체의 시공에 소요되는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조립식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된 벽체의 지지력 및 방습 방음 기능이 우수하고, 벽체의 부분 또는 전체적인 해체가 용이하여 벽체를 통한 파이프나 전선의 배관작업이 간편 용이한 조립식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속 조립되는 블록 본체를 종횡으로 연결하는 결합부와 체결공 및 이들 각 체결공을 통해 끼워지는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작업공간부가 구비된 합성수지제 블록 본체 프레임가 그 본체플이의 전.후면에 복개 결합되는 블록본체 마감판을 블록을 기본부재로 이용하고, 이러한 구조로된 합성수지제 블록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그 본체프레임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몰탈 충전재를 채워넣음으로써 합성수지제 블록 구조체와 내부 몰탈보강재가 단일체로된 조립식 블록을 구성하게 한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제 블록본체 프레임은 내부에 구비되는 체결공 및 작업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하 프레임부재와 중간 프레임부재로 분할 성형된 후 전.후면이 개방된 장방통체의 형태로 조립되고, 이와같이 조립된 블록 본체프레임의 내부에는 시멘트 몰탈이나 연탄재를 이용한 몰탈 또는 고압 스티로폴과 같은 충전재가 상기 체결공 및 작업공간부를 제외한 부분에 충전되어 그 작업공간부와 각 체결공의 개구단부가 블록본체의 정면부와 상.하면 및 좌.우측면에 각각 노출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은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바닥면과 청전정면 및 벽면과 앵커볼트로 체결 고정되고, 각 블록간의 체결 조립 또한 상기 체결공 및 작업공간부를 통하여 삽입된 체결볼트와 너트에 의해 종.횡으로 체결되는 것이므로, 숙련되 기능인력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용이하게 조립 시공할 수가 있고 상호 조립된 블록간의 체결력을 충분히 보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필요에 따라 조립된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체하고자할 경우에는 해당 블록의 작업공간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볼트와 너트간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킴으로서 간단히 해체한 다음, 해체된 블록을 재사용하여 본래의 상태로 재조립 시공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블록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블록의 본체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 및 그 본체프레임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3도는 블록본체(1)에 마감판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제4도 내지 제7도는 블록본체(1)의 내부에 충전재가 채워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면중 10은 블록본체(1)의 본체프레임이고, 10-1, 10-2는 그 본체프레임(10)을 구성하는 상.하 프레임부재, 10-3, 10-4는 그 상.하 프레임부재(10-1)(10-2)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프레임부재를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본체프레임(10)를 상.하 프레임부재(10-1)(10-2)와 중간 프레임부재(10-3)(10-4)로 각각 분리 형성한 것은 그 블록 본체프레임(10)의 내부에는 후기할 체결공과 작업광간부등을 필요로 함과 아울러 그 본체프레임(1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가 충전되어야 하는 관계로 본체프레임(10)의 내.외부 구조가 복잡해질 수 밖에 없으며, 이에따라 블록본체(1)의 사출 성형단계에서 단일체상의 본체프레임(10)으로 제작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출 및 조립이 용이한 복수개의 분할부재(10-1, 10-2, 10-3, 10-4)로 분리 성형하게 된 일예를 보인 것으로, 이와같이 분리된 상.하 프레임부재(10-1)(10-2)와 중간 프레임부재(10-3)(10-4)는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각 부재의 연결단부에 대향되게 형성된 요철결합부(11 : 11a, 11b)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일체형 본체 프레임(10)으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단일체로 조립되는 블록본체 프레임(10)의 내부 중간 양측에는 일면(전방)이 개방된 복수개의 장방향 작업공간부(12)(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작업공간부(12)(12)의 4방 주벽(12a)에는 본체 프레임(10)의 상.하면(10a)(10b) 및 양측면(10c)(10d)으로 연통되는 체결공(13)(13)이 종.횡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체결공(13)(13)은 이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되는 체결볼트(40)의 두부(41)가 자유로이 통과될 수 있는 폭으로된 볼트 삽입공(13a)과 그 두부(41)를 제외한 볼트몸체(42)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볼트지지공(13b)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 체결공(13)(13)의 개구단부 즉, 블록 본체프레임(10)의 상.하면과 양측면 및 작업공간부(12)의 4방 주벽을 통해 노출되는 각 체결공(13)(13)의 단부에는 각 볼트(40)의 두부(41)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1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같이 된 블록 본체프레임(10)의 상.하면과 좌.우측면에는 소정폭과 깊이를 갖는 복색개의 결합홈(14)(14)과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조(15)(15)가 각각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본체프레임(10)의 전.후면 단부 주연에는 블록본체의 전.후면을 이루는 상기 마감판(30)(30)이 조립 고정될 수 있는 요철결합부(16)(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된 블록본채(1)의 전.후면에 조립되는 마감판(30)(30)은 그 내면 주연에 상기 블록 본체프레임(10)의 전.후면에 형성된 결합부(16)(16)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31)(31)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각 블록(1)이 조립 시공된 상태에서 그 각 블록의 정면 및 배면에 간단히 조립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마감판(30)(30)은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에 의한 벽체가 시공된 상태에서 그 벽체의 전.후(또는 내.외) 벽면을 구성하게 되는 것인 바, 이들 마감판(30)(30)은 상기 본체프레임(10)과 같이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하거나 필요에 따라 금속판등을 가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블록본체(1)의 본체프레임(10)내부에는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합성수지로 제작된 블록본체(1)가 요구되는 지지력과 견고성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한 충전재(20)가 채워진다. 이와같은 충전재(20)는 시멘트몰탈이나 연탄재를 이용한 몰탈 또는 고압스치로폴등과 같은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충전시에는 블록 본체프레임(10)의 정면 즉, 일면이 트여진 상기 작업공간부(12)의 개구부측이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블록본체프레임(10)을 뒤집어 놓은 후 그 내부에 상기 충전재(20)를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 충전함으로써 상기 작업공간부(12)와 체결공(13)을 제외한 본체프레임(10)의 내부 전역을 충전재(20)로 채울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중 제8(a)(b)(c)도에 도시된 블록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것으로, 제8(a)도에 도시된 블록본체(1-1)는 시공시 건물의 바닥면(B) 또는 천정면(C)과의 접합 부분에 설치되어 그 바닥면(B) 및 천정면(C)과의 접합력을 높이거나, 또는 부분 해체를 요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필요시 쉽게 이탈 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본체프레임(10)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조(15)(15)를 제거한 형태를 갖게한 것이고, 제8(b)도에 도시된 블로본체(1-2)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블록을 지그재그식으로 조립할 경우에 필요한 절반크기의 블록본체를 보인 것이며, 제8(c)도에 도시된 블록본체(1-3)은 상호 직교되는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 사용되는 코너용 블록을 각각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블록의 시공 설치방법 및 그에따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 상태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의 시공시에는 먼저, 건물의 바닥면(B)과 양측벽면(W1)(W2) 및 천정면(C)에 복수개의 앵커용 너트(50)를 소정간격으로 매설 고정한 다음 각 블록의 마감판(30)(30)을 벗긴 상태에서 그 바닥면(B)으로부터 시공해 나가게 되는 바, 그 바닥면(B)에 배치되는 블록은 상기와 같이 그 저면에 결합돌조가 없는 블록본체(1-1)가 사용되며 이들 블록전체(1-1)를 바닥면(B)과 체결시에는 각 블록본체(1-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체결공(13)의 볼트삽입공(13)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체결볼트(40)를 끼워 넣어 그 선단의 나사부를 상기 앵커용 너트(50)에 일치시킴과 아울러 그 작업공간부(12)를 통해 노출되는 볼트의 두부(41)를 상기 체결공(13)의 볼트삽입공(13a)과 일체로 형성된 볼트지지공(13b)에 위치시킨 다음, 스패너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40)를 조임으로써 최하단에 배치할 블록본체(1)를 바닥면(B)에 순차적으로 연결고정한다.
이와같이 하여 최하단의 블록이 배열 설치되면 그 상부에 다음층의 블록을 연속 적층 배치하고, 또 다른 복수개의 체결볼트(40)와 너트(45)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면측 블록본체(1-1)와 그 상부의 블록 본체(1) 및 같은 열의 블록본체(1-1, 1-1), (1, 1)를 상호 체결 고정한다. 이때 건물의 양측벽면(W1)(W2)과 접속되는 블록을 고정시에는 상기한 앵커너트(50)에 체결되는 체결볼트(40)가 사용되고, 그 벽면(W1)(W2)과 직접 접촉되는 블록은 상기한 절반형 블록본체(1-2)가 격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하블록간의 연결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록이 하나의 체결볼트(40)를 이용하여 체결 조립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되는 블록이 건물의 천정면(C)에 도달하게 도면 상기 바닥면(B)의 시공시와 유사한 방법으로 최상단의 블록을 조립 고정한 다음 그 각 블록의 전.후면에 상기한 마감판(30)(30)을 결합함으로써 벽체의 시공을 마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이 시공되는 천정부에 완전한 형태의 블록이 배치될 수 있는 간격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그 해당블록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 사용할 수가 있으며, 또한 시공할 벽체의 일부를 차후 해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그 해당부위에 상기 결합돌조(15)가 없는 블록을 사용하여 시공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시공되는 벽체는 본 발명의 블록본체(1)의 상.하면 및 양측면에 대항되게 형성된 결합홈(14)(14)과 결합돌조(15)(15)에 의하여 상호 조립되는 것이므로, 연속 또는 척증 조립되는 블록상호간의 직선도 및 평행도를 자동적으로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각 블록 접촉부 사이의 틈새가 전혀 없이 상호 긴밀한 조립 조립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거의 완벽한 방습 및 방음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또한 각 블록과 블록 및 블록과 벽면간에 걸쳐 종.횡으로 체결되는 각 체결볼트(40)에 의하여 시공된 벽체의 지지강도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벽체의 내부에는 상기 각 블록본체(10)에 형성된 체결공(13)(13)과 작업공간부(12)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속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체결공(13)(13)과 작업공간부(12)를 이용하여 필요한 전선, 배관용 파이프 및 콘센트등을 벽체의 내부 어느곳이나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들의 유지보수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공된 벽체의 일부를 해체하고자할 경우에는 해체하고자 하는 블록의 전면에 조립된 마감판(30)을 분리시킨 다음, 그 내부의 작업공간부(12)를 통하여 노출되는 체결볼트(40)와 너트(50)간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해당 벽체 부분의 해체가 가능하게 되고, 벽체 전체를 해체할 경우에도 상기한 최초 조립시의 역순으로 각 블록을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해체된 블록을 재사용하여 새로운 벽체의 시공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본체(10)의 내부 양측에 장방통체상 작업공공간부(12)가 각각 배치되고, 그와 연통되는 각 볼트 체결공(13)(13)의 볼트삽입공(13a)이 볼트지지공(13b)의 중간부에 위치한 것을 일예로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간부(12) 및 체결공(13)(13)이 가지는 형태와 위치 및 수량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가변형 벽체나 칸막이벽 또는 피트구졸물과 같은 건축구조물의 벽체시공을 위한 조립식 블록을 구성함에 있어서, 체결볼트가 종.횡으로 삽입지지될 수 있는 체결공과 그 각 체결볼트를 조일 수 있는 작업공간부를 보유한 합성수지제 블록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시멘트몰탈등과 같은 추전재를 채어 넣어 블록 본체의 지지력을 보강함과 아울러 그 블록본체의 전.후면을 임의로 분리할 수 있는 마감판으로 복개 결합하여 조립식 블록을 구성함으로써 볼트의 체결에 의한 블럭 상호간의 볼트의 조립이 가능하게 한 것이므로, 조적공, 미장공, 도장공 및 타일공등과 같은 전문 기능 인력과 매 작업단계마다 소요되는 양생대기 시간을 배제함으로써 누구나 신속 용이하게 조립 시공하여 벽체의 시공에 소요되는 공기를 대폭 단출시킬 수 있고, 시공된 벽체의 지지력과 방응 방습 기능 및 방화벽의 긴을 충분히 보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벽체의 부분 또는 전체적인 해체 및 재조립이 가능하고 벽체 내부를 통한 전선 및 파이프의 배관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체결볼트(40)가 삽입 지지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3)(13)과 체결볼트(40)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작업공간부(12)가 구비된 합성수지제 블록 본체 프레임(10)의 내부에 그 본체 프레임(1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충전재(20)를 채워 넣어서된 블록본체(1)와, 상기 블록본체(1)의 전.후면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판(30)(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는 상출성형이 용이한 상.하 프레임부재(10-1)(10-2)와 중간 프레임부재(10-3)(10-4)의 조립으로 이루어지고, 그 블록본체(1)의 상.하면 및 양측면에는 상호 조립되는 블록본체(1)간의 긴밀한 결합을 위한 결합홈(14)(14)과 결합돌조(15)(15)를 각각 구비하여서된 조립식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의 본체프레임(10)은 상기 각체결공(13)(13)의 단부가 노출되는 본체프레임(10)과 상기 작업공간부(12)의 주벽 상.하면 및 양측면에 상기 체결볼트(40)의 두부(41)가 걸리는 걸림턱(13c)을 형성하여된 조립식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20)는 시멘트 몰탈이나 연탄재를 이용한 몰탈 또는 고압 스치로폴과 같은 지지력 보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와 마감판(30)(30)은 상호 대항되는 요철결합부(11)에 의해 조립 고정되는 조립식 블록.
KR1019910007442A 1991-05-08 1991-05-08 조립식 블록 KR93000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442A KR930003437B1 (ko) 1991-05-08 1991-05-08 조립식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442A KR930003437B1 (ko) 1991-05-08 1991-05-08 조립식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815A KR920021815A (ko) 1992-12-18
KR930003437B1 true KR930003437B1 (ko) 1993-04-29

Family

ID=1931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442A KR930003437B1 (ko) 1991-05-08 1991-05-08 조립식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59B1 (ko) * 2012-09-24 2014-02-12 허금범 내부결속 구조를 갖는 조립식 벽체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59B1 (ko) * 2012-09-24 2014-02-12 허금범 내부결속 구조를 갖는 조립식 벽체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815A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8021A (en) Construction material, a modular, pre-insulated and furred structural masonry building block
US4319440A (en) Building blocks, wall structures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10023206A (ko) 건물의 벽체 축조용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US2241169A (en) Building construction
US5333429A (en) Modular panel of expanded synthetic material provided with staggered longitudinal "T"-shaped channels, receiving "T"-shaped wooden posts useful for erecting walls
US2340263A (en) Wall construction
US4033548A (en) Concret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US4794749A (en) Building system
US3025640A (en) Wall structure of panels and interlocking tie rails
KR930003437B1 (ko) 조립식 블록
EP2766536B1 (en) Modular system for precise construction of walls
GB2394730A (en) Mortarless brick and locking bolt building system
US20210404176A1 (en) Method and module system for building a wall structure
KR200265927Y1 (ko) 조립식 단열벽돌
EP1094166A2 (en) Improved brick for construction
RU62949U1 (ru) Комплект опалубки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GB2591907A (en) Building block (variants)
RU2270302C1 (ru) Комплект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тен здания сооружения
US1086821A (en) Concrete tile for building construction.
JPH08184120A (ja) プレキャスト床板接合部構造
KR20050079383A (ko)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CZ532390A3 (en) Basic building element
RU2024712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стен между перекрытиями
SU1131984A1 (ru) Сборна многопустотна панель перекрыт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