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424Y1 - 모노레일 카테터 장치의 가이드 와이어 교환용 카테터 - Google Patents
모노레일 카테터 장치의 가이드 와이어 교환용 카테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3424Y1 KR930003424Y1 KR2019930004866U KR930004866U KR930003424Y1 KR 930003424 Y1 KR930003424 Y1 KR 930003424Y1 KR 2019930004866 U KR2019930004866 U KR 2019930004866U KR 930004866 U KR930004866 U KR 930004866U KR 930003424 Y1 KR930003424 Y1 KR 9300034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theter
- guide wire
- guide
- distal end
- lume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72—Exchanging a guidewire while keeping the catheter in pla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01—Angioplasty, e.g. PCT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3—Rapid exchange or monorail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가이드 와이어 교환용 카테터의 정면도.
제1a도는 제1도의 선 (1a-1a)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a도 내지 제2f도는 제1도의 가이드 와이어 교환용 카테터가 사용되는 방법의 이해를 돕도록 부분적인 단면도로 도시한 일련의 측면도.
제3도는 제1a도의 단면도와 같은 위치에서 취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루멘(bi-lumen)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 교환용 카테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 와이어 교환용 카테터 12 : 관형 부재
18 : 내부 루멘 32 : 협착성 병변
34 : 안내 카테터 38 : 가이드 와이어
본 고안은 다양한 의료 시술을 수행하는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테터와 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하나의 카테터 가이드 와이어를 다른 카테터 와이어로 교환하기에 편리한 가이드 와이어 교환용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1970년대 중반에 Dr. Andreas Gruentizig에 의해 최초로 도입된 이후, 밸룬 카테터를 사용하는 관상 통과성 혈관 형성 시술은 폐색된 관상 혈관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안정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대퇴부 동맥에 접근하기 위해 환자의 허벅다리가 절개되고 삽입자(揷入子)가 절개 부위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안내 카테터가 삽입자를 관통하여, 안내 카테터의 말단부가 관상소공에 도달할 때까지 혈관계를 관통해서 진입된다. 그 다음으로, 가요성 가이드 와이어는 그 말단부가 안내카테터의 말단부를 빠져나갈때까지 안내 카테터를 통해 삽입된다.
외과 의사는 가이드 와이어의 인접 단부를 조작함으로써 치료하고자 하는 관상동맥을 폐색시키고 있는 협착성 병변을 가로질러 가이드 와이어를 통과시키고자 시도하게 된다. 일단 가이드 와이어가 병변을 통과하고 나면, 가이드 와이어의 인접 단부를 밸룬 카테터의 말단부 안으로 삽입시킨 뒤 밸룬 카테터 말단부상의 밸룬이 치료하고자 하는 병변에 근접할 때까지 가이드 와이어 위로 밸룬 카테터를 밀어줌으로써 밸룬 혈관 형성술 카테터는 가이드 와이어 너머로 통과하게 된다. 일단 밸룬이 상기와 같이 위치하면 밸룬은 팽창되면서 혈관벽에 대해 협착성 병변을 압착시킴으로써 치료된 혈관에 개방도를 회복시키게 된다.
상술한 치료 방법은 소위 와이어 상치식(over-the-wire)의 밸룬 혈관 형성 시술 카테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 것이다. 더 양호한 최근의 방법은 소위 모노레일TM카테터인바, 이는 단지 작은 말단 부위만이 가이드 와이어 위로 통과하고, 가이드 와이어의 나머지 부위는 대체로 밸룬 카테터의 외부벽을 따라 인접 단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모노레일TM카테터 및 이의 사용에 대해서는 Bonzel의 미합중국 특허 제 4,762,120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밸룬 혈관 형성시술 도관중에는 최초로 선택된 가이드 와이어가 협착성 병변을 용이하게 통과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종종 판명되므로 다른 가이드 와이어로 대체할 필요성이 종종 생긴다. 예를들어, 병변 위치에 도달하도록 그 말단부상에 특수한 형상 구조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의 가이드 와이어로는, 일단 병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관통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제1카테터 가이드 와이어는 빼내어야 하고, 선단팁이 훨씬 용이하게 병변을 관통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제2카테터 가이드 와이어로 대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모노레일TM카테터 시스템을 사용하는 혈관 조형 및/또는 혈관 형성시술에 사용되는 가이드 와이어를 편리하게 교환하기 위한 특정 목적의 카테터(이하 교환용 카테터라 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교환용 카테터는 제1가이드 와이어를 교환용 카테터가 전진하게 되는 안내 레일로 사용함으로써 제1 가이드 와이어의 말단부에 의해 도달된 혈관계내의 위치로 새로운 가이드 와이어의 말단부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일단 이러한 동작이 한번 실행되면, 제1 가이드 와이어는 교환용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안내 카테터로부터 빼내어 제거된다. 그러면, 교환용 카테터 자체는 대체된 가이드 와이어(제2 가이드 와이어)를 방해하지 않고 안내 카테터로부터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통과성 혈관 형성 및 혈관 조형 시술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수술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혈관 조형 및 혈관 형성 시술도중 사용되는 가이드 와이어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수술 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제1가이드 와이어의 설치중에 얻어진 위치상의 잇점을 잃지 않고 선택된 제1가이드 와이어를 제2가이드 와이어로 대체할 수 있는 모노레일TM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교환용 카테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하면 제1 가이드 와이어를 회수하기 전에 그 말단부에 의해 점유된 위치에다 새로운 가이드 와이어의 말단부가 위치하도록 설치하기에 앞서, 안내 카테터로부터 제1 가이드 와이어를 빼낼 필요성이 더이상 없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 및 잇점은 안내 카테터의 루멘을 관통하여 용이하게 삽입될수 있는 외경을 가지면서 길이가 긴 가요성 플라스틱 관형부재를 구비한 교환용 카테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관형부재의 말단부에 인접하여 중앙 루멘과 연통되도록 관형부재의 벽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3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포트들이 위치되고, 관형부재의 벽을 관통해서 최근접 포트로부터 중간 포트까지 연장되는 길이 방향 슬릿이 형성된다.
수술시 카테터화 과정에서, 안내 카테터의 말단부 너머의 예정된 위치까지 전진된 선단팀을 갖춘 기존 가이드 와이어를 교체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대체 또는 제2 가이드 와이어의 말단부는 그 말단부가 교환용 카테터의 말단부에 위치될 때까지 교환용 카테터의 최근접 포트를 통해 공급되고 교환용 카테터를 관통하여 전진하게 된다. 다음에, 제1 가이드 와이어의 인접단부는 가장 멀리 떨어진 말단 포트로부터 교환용 카테터의 말단부로 진입되어 빠져 나온다. 의사는 최초 또는 제1 가이드 와이어의 인접 단부를 쥐고서 교환용 카테터의 말단부가 제1가이드 와이어의 말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제1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안내 카테터의 인접 단부 내부로 교환용 카테터를 전진시킨다.
교환용 카테터가 안내 카테터를 관통하여 전진함에 따라, 교환용 카테터는 그와 함께 대체 또는 제2 가이드 와이어를 운반한다. 이제 외과 의사는 안내 카테터로부터 제1 가이드 와이어를 빼냄에 따라 교환용 카테터의 길이 방향 이동에 대하여 교환용 카테터의 인접 단부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이 지점에서, 교환용 카테터의 말단부와 대체 또는 제2 가이드 와이어의 말단부는 제1 가이드 와이어의 말단부의 최초 위치로 유지된다.
이어 외과 의사는 제2 가이드 와이어를 잡고서 그 길이 방향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대체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운반되는 교환용 카테터를 뒤로 빼낼 수도 있으므로, 가이드 와이어가 교환용 카테터의 제1 말단 포트와 제2 말단 포트 사이에 구비된 길이 방향 슬릿을 통해 끼워지게 된다.
교환용 카테터가 안내 카테터로부터 뻗어 나온 제2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말단 포트 또는 중간 포트가 보이게 되는 지점까지 안내 카테터로부터 후퇴될 때, 외과의사는 안내 카테터의 루멘내에 제2 가이드 와이어만을 남겨둔 채 가이드 와이어의 인접 단부로부터 교환용 카테터의 나머지 수인치 정도의 부위를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가이드 와이어의 교환 절차가 끝나게 되고 외과의사는 진행중인 나머지의 특별한 카테터화 과정을 계속할 수도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징적 목적 및 장점은 양호한 실시예를 아래에 상세히 기술하므로서 특히, 여러 도면에서 같은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언급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고려할 때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게는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 및 제1a도를 보면, 본 고안의 교환용 카테터가 일반적으로 참조번호(10)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바, 이는 인접 단부(14)와 말단부(16)를 갖추면서 그 전체 길이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루멘(18)(제1a도)을 갖는 긴 가요성 플라스틱 관형부재(12)를 포함한다. 치료 부위를 가시화 하기 위해 말단 염료 주입을 허용하는 또다른 루멘(도시되지 않음)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관형부재(12)는 예를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테플론및 나이론 등을 포함하는 혈관 내부용 카테터의 제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많은 의료용 플라스틱중 어느 하나로부터 양호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교환용 카테터는 전형적으로 약 1.2㎜의 외부 직경과 0.8㎜의 내부 직경을 갖고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기재를 계속함에 따라 더 명백하게 되겠지만, 교환용 카테터(10)의 외경은 안내 카테터의 루면을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아야만 하고, 교환용 카테터의 루멘(18)의 내경은 2개의 가이드 와이어가 함께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히 커야만 한다.
제1도는 연속적으로 참조하면, 교환용 카테터의 말단부(16)쪽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일련의 3개의 포트, 즉 최근접 포트(20)와 중간 포트(22) 및 말단 포트(24)가 갖춰져 있다. 이들 포트들은 루멘(18)과 연통되도록 관형부재(12)의 측벽을 완전히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1a도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접 포트(20)와 중간 포트(22) 사이에는 벽의 두께를 관통하여 길이 방향 슬릿(26)이 연장되어 있고, 관형부재(12)의 인접단부(14)에는 통상적인 구조의 성형된 플라스틱 허브(28)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교환용 카테터의 물리적인 구조를 설명하고자, 진단 또는 혈관 형성시술 과정 동안 제1 가이드 와이어를 제2 가이드 와이어로 교체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이하 기술하는바, 여기서 제2a도 내지 제2f도에 표시된 일련의 도면을 참조로 한다.
우선 제2a도를 참조하면, 참조번호(30)는 관상 동맥과 같은 혈관의 벽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치료하고자 하는 협착성 병변(32)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색되어 있다. 셀딘저(seldinger) 기술을 사용하면, 대퇴부 동맥에 접근하기 위해 환자의 허벅 다리를 절개하고, 삽입자(도시되지 않음)를 매개하여 안내 카테터(34)를 진입시킨뒤, 이 안내 카테터(34)를 혈관계를 관통하여 관상 소공까지 전진시킨다.
이어, 참조번호(36)로 표시된 제1 가이드 와이어가 안내 카테터(34)를 통하여 공급되지만, 협착성 병변(32)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가이드 와이어(36)의 말단 팁의 구조상 협착성 병변(32)에 의해 형성된 혈관내에 있는 장애물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외과의사는 협착성 병변(32)을 통과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다른 형상의 말단 팀을 갖는 제2 가이드 와이어(38)로 교체하기로 결정한다.
제1 가이드 와이어(36)를 완전히 빼내어 회수하고 새로운 가이드 와이어를 다시 진입시킬 필요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환용 카테터(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제1단계로, 교환용 카테터(10)의 말단부 근처에 위치한 최근접 포트(20)를 통해 제2 가이드 와이어(38)의 말단부를 진입시켜 그 말단부가 교환용 카테터의 말단부(16)를 약간 넘어 돌출할 때까지 전진시킨다. 다음, 제1 가이드 와이어(36)의 인접 단부를 교환용 카테터(10)의 말단부(16)에서 루멘(18)을 통해 진입시키고, 그로부터 말단 포트(24)를 통해 외부로 빼낸다.
다음 외과의사는, 제2 가이드 와이어(38)를 그 인접 단부를 쥐고서 이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면서 안내 카테터(34)의 루멘을 통하여, 제1 가이드 와이어(36)를 따라 그 말단부 방향으로 교환용 카테터(10)를 밀어준다.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하고자 하는 관상동맥내에서 교환용 카테터(10)의 말단부(16)가 제1 가이드 와이어(36)의 말단부에 근접하게 되면, 외과의사는 병변의 위치에 제2 가이드 와이어(38)를 남겨둔 채로 교환용 카테터(10)와 안내 카테터(34)로부터 제1 가이드 와이어(36)를 완전히 잡아 당겨 이를 제거한다(제2c도 참조).
다음 단계는 안네 카테터(34)의 루멘내에 제2 가이드 와이어(38)를 남겨두기 위해 이 제2 가이드 와이어(38)로부터 교환용 카테터(10)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의사는 제2 가이드 와이어(38)의 인접 단부를 잡고서 그로부터 교환용 카테터(10)를 뒷쪽으로 잡아 당겨 빼내게 된다. 이 단계에서, 제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와이어(38)는 포트(20,22) 사이의 교환용 카테터(10)의 벽을 통해 형성된 슬릿(26)을 통과한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와이어(36)에 의해서 이미 접근된바 있는 병변(32) 부위 근처에 제2 가이드 와이어(38)의 말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제2 가이드 와이어(38)에 대하여 교환용 카테터(10)를 잡아 당겨 빼내는 단계는, 교환용 카테터(10)의 중간 포트(22)가 안내 카테터(34)의 인접 허브를 빠져나와 보일 때까지 계속된다.
제2 가이드 와이어(38)가 중간 포트(22)로부터 교환용 카테터(10)를 빠져나오는 지점까지 교환용 카테터(10)가 빼내어지면, 의사는 상기 동작을 중단하고 안내 카테터(34)의 인접 단부로 부터 교환용 카테터(10)의 비교적 짧은 나머지 말단부를 당기게 된다. 그후 의사는 제2 가이드 와이어(38)로부터 자유롭게 교환용 카테터(10)의 잔여부를 쉽게 빼낼 수 있게 되고, 제2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 교환 절차가 완료되게 된다.
본 고안의 교환용 카테터 및 교환 절차를 사용하면, 와이어 상치식 카테터 기술을 사용할 때 요구되던 연장 와이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가이드 와이어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의사는 가이드 와이어의 형태를 다른 것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말단부의 조종성을 변경하거나, 심각한 혈관 장애물을 횡단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가이드 와이어상에 다른 형태의 말단 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교환용 카테터를 사용함으로써, 치료하고자 하는 병변에 대하여 제1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하는 동안 기확보된 위치를 유지하면서 이 제1 가이드 와이어를 제2 가이드 와이어로 교환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만일 제1 가이드 와이어가 말단 관상동맥에 위치하고 있는 가이드 와이어를 조작하더라도 구불구불한 말단통로 아래로 이 가이드 와이어의 방향을 조종할 수 없다고 가정하면, 동맥내에서 제1 가이드 와이어를 잡아당겨 그 치료 위치를 잃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교환용 카테터(10)는 제1 가이드 와이어(36)의 아랫쪽으로 새로운 형태의 제2 가이드 와이어를 이송하게 된다. 일단 교환용 카테터가 제1 가이드 와이어의 말단 팁에 근접하게 되면, 제1 가이드 와이어는 제거되고, 소망하는 위치에다 제2 가이드 와이어를 남겨둔 채로 교환용 카테터 자체를 제거할 수 있다.
제3도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루멘을 가진 교환용 카테터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때 루멘(18)은 가이드 와이어(36,38)를 수용하도록 사용되고, 부가적인 루멘(40)은 치료하고자 하는 방변에 인접한 부위 및 말단 부위에서 압력 측정을 하는데 사용 가능함으로써, 이에 의해 밸룬 혈관 조형 과정의 효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확한 압력 구배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루멘(40)은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를 가시화하기 위해 대비 매체를 주입하거나 또는 병변 부위에 다른 영양제 또는 혈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신규의 원리를 적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요구되는 특정한 구성 부품을 사용하고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또 특허 법령에 부합되게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특별히 다른 장치 및 설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장치 및 동작 순서에 여러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 그 전체 길이로 연장된 제1루멘(18)을 갖는 인접 단부(14) 및 말단부(16)와, 상기 말단부(16)로부터 비교적 짧은 거리로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면서 그 측벽을 고나통하여 상기 제1루멘(18)까지 연장된 적어도 3개의 이격된 포트(20,22,24) 및, 상기 이격된 포트들중 최근접 포트(20)와 중간 포트(22) 사이에서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루멘(18)까지 연장된 슬릿(26)을 구비한 긴 가요성 플라스틱 관형부재(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카테터 장치의 가이드 와이어 교환용 카테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루멘(18)과 대체로 평행하면서 상기 관형부재(12)의 전체 길이로 연장된 추가 루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카테터 장치의 가이드 와이어 교환용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322.363 | 1989-03-13 | ||
US07/322,363 US4932413A (en) | 1989-03-13 | 1989-03-13 | Guidewire exchange catheter |
KR1019900003306A KR900013917A (ko) | 1989-03-13 | 1990-03-13 | 모노레일 카테터 장치용 가이드와이어 교환식 카테터 |
KR2019910002886U KR930002324Y1 (ko) | 1991-03-02 | 1991-03-02 | 증기 밥솥가열용 스팀증발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03306A Division KR900013917A (ko) | 1989-03-13 | 1990-03-13 | 모노레일 카테터 장치용 가이드와이어 교환식 카테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3424Y1 true KR930003424Y1 (ko) | 1993-06-11 |
Family
ID=2748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04866U KR930003424Y1 (ko) | 1989-03-13 | 1993-03-30 | 모노레일 카테터 장치의 가이드 와이어 교환용 카테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30003424Y1 (ko) |
-
1993
- 1993-03-30 KR KR2019930004866U patent/KR93000342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47864A (en) | Guidewire exchange catheter | |
US5143093A (en) | Methods of angioplasty treatment of stenotic regions | |
CA2068450C (en) | Intravascular device such as introducer sheath or balloon catheter or the like and methods for use | |
US6494846B1 (en) | Dual-mode catheter | |
US10105514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erting multi-lumen split-tip catheters into a blood vessel | |
US7909801B2 (en) | Double balloon thrombectomy catheter | |
US5387226A (en) | Rapid exchange catheter | |
US5984945A (en) | Guidewire replacement method | |
US5135535A (en) | Catheter system with catheter and guidewire exchange | |
US5342297A (en) | Bailout receptacle for angioplasty catheter | |
EP1490141B1 (en) | Catheter and guide wire exchange system | |
US5718680A (en) | Catheter system with push rod for advancement of balloon along guidewire | |
US4983167A (en) | Balloon catheters | |
JPH0528634B2 (ko) | ||
JPS63229066A (ja) | カテーテル及び案内ワイヤーの交換システム | |
WO1999062587A1 (en) | A catheter introducer for antegrade and retrograde medical procedures | |
WO1995016487A1 (en) | Sliding receptacle catheter systems | |
JPH0464273B2 (ko) | ||
KR930003424Y1 (ko) | 모노레일 카테터 장치의 가이드 와이어 교환용 카테터 | |
IES83263Y1 (en) | Catheter and guide wire exchang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