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283Y1 - 현미경 - Google Patents

현미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283Y1
KR930003283Y1 KR2019930005118U KR930005118U KR930003283Y1 KR 930003283 Y1 KR930003283 Y1 KR 930003283Y1 KR 2019930005118 U KR2019930005118 U KR 2019930005118U KR 930005118 U KR930005118 U KR 930005118U KR 930003283 Y1 KR930003283 Y1 KR 930003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icroscope
objective lens
sample
eye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5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끼 이시바시
Original Assignee
오림파스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모야마 도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9687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35510U/ja
Application filed by 오림파스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모야마 도시로오 filed Critical 오림파스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930005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2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2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미경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 나타낸 현미경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 나타낸 현미경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로 나타낸 현미경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로 나타낸 현미경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로 나타낸 현미경의 사시도.
제6도는 종래의 현미경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안렌즈 2 : 경통
3 : 암 3b : 투명부재
4 : 샘플 5 : 스테이지
6 : 대물렌즈 7 : 회전체
8 : 반사경 9 : 핸들
10 : 기대 11 : 투시구멍
12 : 렌즈
본 고안은 현미경, 특히 접안렌즈와 대물렌즈가 암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한 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단순한 구서으로 된 광학현미경의 대표적인 것을 제6도로 도시하였는바, 기대(10)위에는 샘플 조명용 반사경(8) 및 암(3)이 입설되어 있고, 상기 암(3)의 하단부에는 핸들(9)이 설치되어 있으며, 암(3)하부의 수직 부분에는 스테이지(5)가 승강이 자유롭게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암(3)상부는 스테이지(5)의 상측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으며, 암(3)의 선단부분에는 경통(鏡筒)(2)을 통하여 접안렌즈(1)가 지지되어 있으며, 또 상기 암(3)의 선단부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는 회전체(7:revolver)를 통하여 대물렌즈(6)와 암(3)선단부에 내설된 프리즘(도시없음)등이 관찰광학계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현미경으로 샘플(4)를 확대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라이드 유리위에 놓여진 샘플(4)을 스테이지(5)위에 놓고 핸들(9)을 돌림으로써 스테이지(5)를 승강하고, 샘플(4)위에 관찰광학계의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때 이러한 자동스톱퍼 등의 안전기구를 갖고 있지 않은 현미경에서는 대물렌즈(6)와 샘플(4)이 접촉되어 쌍방이 파손되는 것을 생각하게 되어 다음과 같이하여 초점을 맞춘다.
먼저 관찰자는 접안렌즈(1)를 들여다 보고 샘플(4)이 관찰광학계의 시야내에 있음을 확인한다. 다음에 접안렌즈(1)에서 눈을 떼고, 샘플(4) 및 대물렌즈(6) 선단근방을 현미경 측면에서 훌터보면서 미리 대물렌즈(6)를 되도록 샘플(4)에 가까이 접근되게 한다. 그리고 재차 접안렌즈(1)를 들여다 보고 핸들(9)의 조작으로 샘플(4)을 대물렌즈(6)로부터 떨어져가는 방향에서 초점을 맞추는 행정이 된다.
상기와 같은 조작순서에서 샘플을 관찰하는 현미경에 있어서는, 대물렌즈의 종류의 확인, 샘플의 놓인 위치의 확인, 대물렌즈와 샘플의 상재적인 위치의 확인등을 위하여 관찰자는 접안렌즈에서 눈을 떼고, 샘플 및 대물렌즈 부근을 현미경 측면에서 살펴서 눈여겨 보는 동작을 빈번하게 실시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동작을 실시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접안렌즈에서 관찰자가 되도록 적은 시선의 이동으로 샘플 및 대물렌즈 선단부근을 눈여겨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기에는 접안렌즈 근방에서 대물렌즈 선단 근방으로 시선을 가로막는 암을 관찰자가 보아 스테이지의 앞측이 아니고 안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하면, 예를들면 반사경에서 외광을 반사하여 샘플을 하측으로부터 조명하는 현미경에 있어서는, 관측자 자신의 신체가 외광을 가로 막는다. 즉 관찰에 필요한 광량을 얻지 못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이 광량이 문제를 해결함에는 관찰용 광원을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부품수가 늘어나 단가를 높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된 것으로, 관찰자가 접안렌즈로부터 최소한의 시선의 이동으로 샘플 및 접안렌즈 선단근방을 살필 수 있고, 또 단순한 구성의 현미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샘플을 놓는 스테이지와, 접안렌즈 및 대물렌즈를 가진 관찰광학계와,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관찰광학계를 지지하는 암과, 상기 암이 입설된 기대등을 갖는 현미경에 있어서, 접안렌즈 근방에서 대물렌즈 선단 근방이 보이도록 암의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부분과 관찰광학계를 지지하는 부분사이에 배어걸음부를 형성하였다. 또 상기 베어걸음부에 렌즈부를 형성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샘플을 놓을 스테이지와 접안렌즈 및 대물렌즈를 가진 관찰광학계와,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관찰광학계를 지지하는 암과, 상기 암이 입설될 기대 등을 가진 현미경에 있어서, 암의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부분과 관찰 광학계를 지지하는 부분사이의 부분을 투명부재로하고, 또 이 투명부재 중앙부를 렌즈형상으로 하였다.
이런류의 현미경에 있어서, 암을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하므로서 관찰자는 대물렌즈의 종류, 샘플의 놓임 위치 및 대물렌즈와 샘플의 상대적인 위치 등의 학인시에 접안렌즈를 들여다보는 위치에서 시선을 약간 아래로 떨어트려 샘플 및 대물렌즈 선단 근방을 베어걸음부 또는 투명부재를 통하여 확인하게 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6도의 종래의 예와 상이한 점은, 접안렌즈(1) 근방에서 대물렌즈(6)선단으로 근 직선(도면중 일점쇄선 B)이 암(3)과 교차하는 부분의 암에 베어걸음부로서 장방형의 투시구멍(11)을 형성한 것이다. 또 이하 제1도에서 제5도에 표시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6도의 종래예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현미경에 있어서, 관찰자가 대물렌즈(6)와 샘플(4)의 위치관계 등을 확인할 경우에는, 도면중 일점쇄선 A의 시선으로 접안렌즈를 한쪽 눈으로 들여다 보면서 타측의 눈을 도면중 일점쇄선 B의 시선으로 하므로서, 또는 접안렌즈(1)에서 눈을 떼고 양쪽 눈을 도면중 일점쇄선 B의 시선으로 하므로서, 대물렌즈(6) 선단 및 샘플(4)부근을 눈여겨 본다.
즉 암(3)에 투시구멍(11)을 형성하므로서, 관찰자는 샘플(4) 및 대물렌즈(6)선단 근방을, 머리를 크게 옆으로 이동하여 현미경 측면으로부터 들여다 보는 번잡한 동작을 하지 않고도 최소한의 시선 이동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암(3)을 스테이지(5)에서 볼 때 관찰자측에 배치하므로써 관찰자 자신의 신체에 의하여 반가경(8)에서 반사되는 외광을 차단할 염려가 없어 관찰에 필요한 광량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가 제1실시예가 상이한 점은, 관찰자측에서 벌때 암(3)의 좌측에 베어걸음부를 형성하고 우단에 치우친 1개의 가느다란 암(3a)에 의하여 상부의 관찰광학계를 지지하도록 한 점이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제1실시예와 거론한 베어걸음부로서 투시구멍(11)을 형성한 경우 보다도 더욱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으며, 샘플(4) 및 대물렌즈(6)선단근방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의 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1도에 표시한 투시구멍(11)내부에 렌즈(12)를 끼워넣는 렌즈부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단순히 최소한의 시선의 이동으로 샘플(4) 및 대물렌즈(1)선단근방을 살필 뿐 아니라, 이 부분을 어느정도 확대 관찰할 수 있어 더욱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가 제6도에 표시한 종래의 예와 상이한 점은, 접안렌즈(1) 근방에서 대물렌즈(6) 선단근방으로 근직선(도면중 일점쇄선 B)이 암(3)과 교차하는 부분의 암을 투명부재(3b)로 한 점이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 보다도 샘플(4) 및 대물렌즈(6) 선단근방에 대해 더욱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고 한층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가 제4실시와 상이한 점은, 제4도에 나타낸 암(3)의 투명부재(3b)의 중앙부분(3c)을 렌즈형상으로 한 점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샘플(4) 및 대물렌즈(6) 선단근방에 대한 넓은 시야를 얻을 뿐 아니라 이 부분을 어느정도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어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상이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부 관찰광학계를 지지하는 우단으로 치우친 1개의 가느다란 암(3a)은 관찰자의 눈사정에 따라 좌단으로 치우치게 해도 된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의 장방형의 투시구멍을 환형의 투시구멍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는 모두 외눈의 현미경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쌍눈의 현미경에 대하여도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타 본 고안은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현미경은 초점을 맞추거나 위치맞춤등의 관찰동작시에 관찰자가 머리를 현미경 측면으로 이동함이 없이 접안렌즈의 최소한의 시선의 이동으로 대물렌즈 선단 및 샘플 부근을 볼 수 있고, 또 조작성이 우수한 단순한 구성의 현미경으로 할 수 있다.

Claims (3)

  1. 암(3)이 입설된 기대(10), 상기 기대(10)와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며 상기 암(3)의 거의 중간부에 설치된 스테이지(5)와, 상기 암(3)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대물렌즈(6)를 스테이지(5)측으로 배치하고 접안렌즈(1)를 스테이지(5)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인 관찰자측으로 배치한 관찰광학계와, 상기 기대(10)와 스테이지(5)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관찰자측과 반대방향에서 입사되는 자연광을 상기 관찰광학계로 유도하는 반사경(8)을 구비한 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접안렌즈(1)의 근방에서 상기 대물렌즈(6)의 선단근방을 볼수 있도록 상기 암(3)에 관찰용 투시구멍(1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3)에 형성된 투시구멍(11)을 장방형 또는 환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3)에 형성된 투시구멍(11)에 렌즈(12)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KR2019930005118U 1989-08-19 1993-03-31 현미경 KR930003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118U KR930003283Y1 (ko) 1989-08-19 1993-03-31 현미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96871U JPH0335510U (ko) 1989-08-19 1989-08-19
JP96871 1989-08-19
KR1019900011980A KR910005075A (ko) 1989-08-19 1990-08-04 현미경
KR2019930005118U KR930003283Y1 (ko) 1989-08-19 1993-03-31 현미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980A Division KR910005075A (ko) 1989-08-19 1990-08-04 현미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283Y1 true KR930003283Y1 (ko) 1993-06-07

Family

ID=2730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5118U KR930003283Y1 (ko) 1989-08-19 1993-03-31 현미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2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1947A (en) Two optomechanically coupled surgical microscopes with coaxial illumination
US7283298B2 (en) Stereoscopic microscope
US5342351A (en) Beam positioning device for an ophthalmological instrument
US5282085A (en) Stereoscopic microscope including a field-magnifying lens in front of the objective lens
JP3597896B2 (ja) 手術顕微鏡用の切替可能な照明装置
JPH08211302A (ja) 顕微鏡の被検体載置台
KR100840476B1 (ko) 안과용 수술현미경
US4884881A (en) Single aperture confocal scanning epi-illumination microscope
JPS6134127B2 (ko)
US5515201A (en) Microscope-telescope combination fitted with illuminating apparatus
EP1326116B1 (en) Variable magnification microscope
US6196686B1 (en) Optic system for viewing and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an eye
US20060028719A1 (en) Medical binocular stereomicroscope
JPS63257527A (ja) 検眼鏡
GB2235062A (en) Microscope support arm having an opening or transparent member
EP0339061B1 (en) Kit for converting a standard microscope into, and design for, a single aperture confocal scanning epi-illumination microscope
KR930003283Y1 (ko) 현미경
JP3958554B2 (ja) 変調コントラスト顕微鏡
WO2002061484A1 (en) Apparatus for direct optical fiber through-lens illumination of microscopy or observational objects
US4109999A (en) Illuminating device for slit lamp microscopes
US4666262A (en) Optical systems for endoscopes
JPH09236754A (ja) 顕微鏡の照明構造
US6940640B2 (en) Inverted microscope
US6424461B1 (en) Apparatus for observing interior from an ultramicropore space
EP3338622A1 (en) Slit lamp micr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