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189Y1 - 목초수확기 - Google Patents

목초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189Y1
KR930003189Y1 KR2019900014832U KR900014832U KR930003189Y1 KR 930003189 Y1 KR930003189 Y1 KR 930003189Y1 KR 2019900014832 U KR2019900014832 U KR 2019900014832U KR 900014832 U KR900014832 U KR 900014832U KR 930003189 Y1 KR930003189 Y1 KR 930003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wheel part
speed rotating
gear box
gr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4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668U (ko
Inventor
신일현
Original Assignee
신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현 filed Critical 신일현
Priority to KR2019900014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189Y1/ko
Publication of KR920005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1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6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1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rushing or bruising the mown cro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6Plates arranged behind the cutter-bar for guiding the cut grass or straw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목초수확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동력 전달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설명도.
제4도는 본 고안 목초유인대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륜부 2 : 후륜부
3,3′: 유압실린더 4 : 엔진
5,5′: 상하판 6,6′: 스프로켓
7 : 파형벨트 8 : 체인
9,9′: 유인대 10 : 기어박스
11,11′,12,12′: 유인로울러 13 : 분쇄통
14 : 송풍기 15,15′: 유압실린더
16 : 지지 로울러 17 : 기어박스
18,18′: 절단칼 19 : 유니버셜축
20,20′: 기어군 21 : 저속회전축
22 : 고속회전축
본 고안은 옥수수등의 목초를 동시에 대량으로 절단 분쇄하여 사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한 목초를 대량으로 수확하는데 사용하는 목초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목초수확기는 본고안 출원인이 고안한바 있는 경운기부착용 목초 수확기(실용등폭 제47957호)를 비롯하여 트랙터 결합용 등이 존재하고 있으나, 경운기 부착용 목초수확기는 주로 경작지가 좁은 곳에서만 사용되고 경운기를 밀고 도보작업을 실시하는 것이어서 육체적 피로가 가중되고 작업량이 적은 결점이 있었으며, 트랙터용은 전자에 비해 비교적 작업량은 많으나 트랙터 및 그 목초수확기를 모두 수입에 의존하던 것이어서 비교적 고아일 뿐아니라 부품의 고장시에 그 부품교환이 용이치 못하여 자칫 기계전체를 멈추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던 결점이 있었다.
특히, 소형이나 대형의 목초수확기 양자 모두 기존의 경운기나 트랙터에 측면에 결합하여 사용하였던 것이어서 목초수확 작업의 시작시에는 수확기 측면의 경운기나 트랙터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만큼 사람이 직접 절단해 주어야 그 운행이 가능하므로서 작업의 시작시는 항상 사람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므로서 완전 기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대단위 경작지에서는 폭이 넓은 트랙터의 너비와 함께 매우 넓은 경작규모로 인하여 그 작업준비 공간 자체가 매우 큰 것이어서 이에 소요되는 노동력 역시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같은 결점을 제거코저 차체를 전후로 분리되게 하여 회전반경이 좁으면서도 수확기 자체가 전면에 형성되어 별도의 작업준비가 필요없이 단시간내에 대량으로 목초를 수확할 수 있게한 목초수확기를 고안한 것으로써, 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체를 전륜부(1)와 후륜부(2)로 별도 구성하여 축착하고 유압실린더(3)(3′)에 의해 절곡되게 하되, 후륜부(2)에는 엔진(4)을 장착하고, 전륜부(1)에는 그 전면에 경사상의 상하판(5)(5′)사이에 스프로켓(6)(6′)을 장착하고, 이에 파형벨트(7)가 체결된 체인(8)이 축설되어 형성된 유인대(9)(9′)를 다수 착설하여, 그 상단의 저면에는 전기스프포켓(6)과 연결된 기어박스(10)를 착설하고, 상부에는 통상의 유인로울러(11)(11′)(12)(12′) 및 분쇄통(13)과 송풍기(14)를 설치하며, 하단에는 유압실린더(15)(15′)로 지지로울러(16)를 축설하고, 기어박스(17)를 착설하여 그 저면에 전기한 유인대(9)(9′)의 위치마다 1조씩의 절단칼(18)(18′)을 축설하되, 엔진(4)에서 연결된 유니버셜축(19)을 각 기어군(20)(20′)을 통해 저속회전축(21)과 고속회전축(22)으로 구분하여 저속회전축(21)은 전기한 유인대(9)(9′)의 기어박스(10) 및 분쇄통(13)에 연결하고, 고속회전축(22)은 절단칼(18)(18′)의 기어박스(17)에 연결되게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3,23′,23″는 연결체인, 24는 클러치. 25,25′는 안내대. 26은 토출관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목초수확기는 옥수수등의 목초를 수확할시에 통상의 목초수확기와 마찬가지로 차체를 앞으로 운행하면서 절단칼(18)(18′)에 의해 옥수수등의 목초를 절단하여 절단된 목초가 유인대(9)(9′)의 파형벨트(7)에 의해 유인로울러(11)(11′)(12)(12′)쪽으로 유인되면서 분쇄통(13)으로 압송되어 그 내부의 절단칼에 의해 세절분쇄되어 송풍기(14)에 의해 그 토출관(26)으로 토출되어 뒤에 따라오는 수거차에 의해 수집되어 사료로 사용되게한 것인데.
본 고안의 목초수확기는 종래의 목초수확기와는 달리 그 유인대(9)(9′) 및 절단칼(18)(18′)이 전륜부(1)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어서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별도 진입로를 필요로 함이 없어 막바로 목초를 절단하면서 목초 경작지에 진입할 수 있는 것이어서 진입로 준비를 위한 별도의 노동력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것이며, 종래 목초수확기를 측면에 장착한 것이어서 그 절단폭이 좁을 수 밖에 없었으나, 전면에 다수개의 절단칼(18)(18′) 및 유인대(9)(9′)를 폭이 넓게 설치할 수 있어 동시에 많은 량의 목초를 수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차체가 전륜부(1)와 후륜부(2)로 분리 구성하여 중간을 축착하고 이를 유압실런더(3)(3′)로 조절하여 절곡할 수 있으므로 차체의 회전반경을 매우 좁게 할 수 있는 것이어서 경작지의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진행방향을 바꿀 수 있어 매우 편리한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유인대(9)(9′)의 하단 저면에 정착된 절단칼(18)(18′)은 엔진(4)에서 연결되는 동력을 유인대(9)(9′)나 분쇄통(13)과는 별도로 고속으로 회전되게한 고속회전축(22)과 그 기어박스(17)를 통해 연결되게 하여 목초수확시에 고속회전에 의한 목초의 용이한 절단은 물론, 잡풀등도 절단되게 하여 이에 의한 고장등을 방지되게 한 것이며, 전기한 유인대(9)(9′)나 분쇄통(13)은 저속회전축(21)과 연결하여 적당한 속도의 유인을 가능하게하고, 각 기어군(20)(20′)과 체인(23)(23′)등에 의해 각 요소마다 적당한 회전속도와 힘을 발생되게한 것이다.
또한, 유인대(9)(9′)의 저면에는 지지로울러(16)를 설치하여 목초수확 작업시에 절단칼(18)(18′)과 지면과의 간격을 알맞게 유지해 주고, 목초수확을 하지 않고 차체의 이동시에는 유압실린더(15)(15′)에 의해 지지로울러(16) 및 유인대(9)(9′) 자체를 들어 주므로서 차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목초를 수확할시에 차량의 진입로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며, 차량회전의 자유로운 조절로서 목초경작지가 좁기나 넓거나 간에 상관없이 동시에 대량으로 목초를 수확할 수 있고, 그 목초수확 작업이 용이하고 고장의 염려가 없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라 하겠다.

Claims (1)

  1. 차체를 전륜부(1)와 후륜부(2)로 별도 구성하여 축착하고 유압실린더(3)(3′)에 의해 절곡되게 하되, 후륜부(2)에는 엔진(4)을 장착하고, 전륜부(1)에는 그 전면에 경사상의 상하판(5)(5′) 사이에 스프로켓(6)(6′)을 장착하고 이에 파형벨트(7)가 체결된 체인(8)이 축설되어 형성된 유인대(9)(9′)를 다수 착설하여, 그 상단의 저면에는 전기스프로켓(6)과 연결된 기어박스(10)를 착설하고 상부에는 통상의 유인로울러(11)(11′)(12)(12′) 및 분쇄통(13)과 송풍기(14)를 설치하며, 하단에는 유압실린더(15)(15′)로 지지로울러(16)를 축설하고, 기어박스(17)를 착설하여 그 저면에 전기한 유인대(9)(9′)의 위치마다 1조씩의 절단칼(18)(18′)을 축설하되, 엔진(4)에서 연결된 유니버셜축(19)을 각 기어군(20)(20′)을 통해 저속회전축(21)과 고속회전축(22)으로 구분하여 저속회전축(21)은 전기한 유인대(9)(9′)의 기어박스(10) 및 분쇄통(13)에 연결하고, 고속회전축(22)은 절단칼(18)(18′)의 기어박스(17)에 연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수확기.
KR2019900014832U 1990-09-25 1990-09-25 목초수확기 KR930003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832U KR930003189Y1 (ko) 1990-09-25 1990-09-25 목초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832U KR930003189Y1 (ko) 1990-09-25 1990-09-25 목초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668U KR920005668U (ko) 1992-04-21
KR930003189Y1 true KR930003189Y1 (ko) 1993-06-03

Family

ID=1930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4832U KR930003189Y1 (ko) 1990-09-25 1990-09-25 목초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1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668U (ko) 199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652857U (zh) 自走式秸秆收获打捆机
US3128729A (en) All-purpose farm machine
EP0654963B1 (de) Selbstfahrende ballenpresse für auf dem feld angebaute pflanzen
US3701239A (en) Harvesting machine
US4166351A (en) Agricultural do-all machine
US6381937B1 (en) Cotton harvester header assembly containing paddle chain frame unit, stripper bar unit and height sensing unit
US2592270A (en) Method of processing hay and the like
KR20080113535A (ko) 자주식 원형베일러
CN108271500A (zh) 新型链条式割草机
CN1074240C (zh) 一种玉米收获机及其前置式割台与收获耕作联合作业机组
CN201617022U (zh) 一种多用途玉米自走收获机
US4172356A (en) Yard rake
KR930003189Y1 (ko) 목초수확기
CN207978356U (zh) 新型链条式割草机
CN203597081U (zh) 农作物自走式收获机
US6827151B1 (en) Sprig harvester
US3796268A (en) One-row crop cutting or digging machine
US3362144A (en) Harvester
US2048940A (en) Combination pick-up and baler
US2704429A (en) Harvesting machine having crushing rolls
RU2028035C1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уборочный агрегат
KR101084317B1 (ko) 자주식 원형 베일러
US3521439A (en) Apparatus for harvesting cereal grains,leafy vegetables,or hoed vegetables
US3325981A (en) Hay harvesting machine
AU2019219738A1 (en) A Mulc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