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940Y1 - 분말차 케이스가 취부된 종이컵 - Google Patents

분말차 케이스가 취부된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940Y1
KR930002940Y1 KR2019900011705U KR900011705U KR930002940Y1 KR 930002940 Y1 KR930002940 Y1 KR 930002940Y1 KR 2019900011705 U KR2019900011705 U KR 2019900011705U KR 900011705 U KR900011705 U KR 900011705U KR 930002940 Y1 KR930002940 Y1 KR 930002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tea
cup
case
tea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1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856U (ko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2019900011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940Y1/ko
Publication of KR920003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9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말차 케이스가 취부된 종이컵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종이컵 수개를 겹쳐 운반 및 보관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이컵 2 : 바닥면
4 : 분말차 케이스 5 : 취출구 절취선
6 : 취출구 절취 손잡이
본 고안은 분말차(紛末茶)케이스가 취부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이컵의 내측 바닥면에 분말차 케이스를 내장, 형성하여 분리 후 취출구를 간단히 절취하여 간편히 차를 타 마시기에 적당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종이컵에 있어서는, 여타 부장물 없이 컵 자체만으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자판기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컵이 먼저 취출된 후 커피 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커피분말, 프림 및 설탕이 투입된 후 뜨거운 물이 부어져 판매되는 바, 뜨거운 물이 토출되면서 자판기 내부에는 김에 의하여 물방물이 맺히게 되고, 커피, 프림, 설탕 등의 토출구측에도 물기에 의하여 범벅이 되어 맺혀 있게 되므로 먼지등이 달라붙게 되어 각종 대장균 및 세균이 번식하는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커피, 프림, 설탕 등이 각각 따로 토출되는 구조와 차의 종류에 따라 각기 토출되는 구조를 달리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판기 구조가 매추 복잡해지고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상점에서 종이컵을 구입하여 야외에 나가 커피등 차를 타 마시게 되는 경우는 별도로 인스턴트커피등 낱개로 포장된 차를 구입하여 타서 마시게 됨으로 번거롭게 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제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컵의 내측 바닥면에 분말차 케이스를 내장, 형성하여 컵과 차를 동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번잡성을 피하고, 자판기 판매에 있어서도 뜨거운 물만 따로 토출되는 구조를 구비하여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광하협의 원통체로 형성되는 통상의 종이컵(1)에 있어서, 컵의 내측 바닥면(2)에 부착,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원반체형의 분말차 케이스(4)를 운반 및 보관을 위하여 상호 겹쳤을때 상대측컵의 하단 접착부(3)가 끼워질 수 있도록 바닥면(2) 면적보다 작은 경으로 하여 내부에 각종의 분말차(T)를 충입한 후 밀폐 형성하며, 상면에는 취출구 절취선(5)을 형성하고 그 중앙부에는 취출구 절취 손잡이(6)를 부착, 설치하여 손으로 잡아당겼을때 절취선에 의하여 취출구(7)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컵(1)의 바닥면(2)에 분말차 케이스(4)가 부착,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판매되며 사용에 있어서는 분말차 케이스(4) 상측에 부착, 설치되어 있는 취출구 절취 손잡이(6)를 상측으로 답아 당기게 되면, 미약한 힘에 의하여도 분리가 가능한 정도로 부착되어 있는 분말차 케이스(4)는 종이컵(1)의 바닥면(2)으로부터 쉽게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며, 분리시켜 낸 후에는 케이스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취출구 절취 손잡이(6)를 보다 강한 힘으로 당겨 취출구 절취선(5)에 의하여 절취시켜 취출구(7)가 형성되게 하여 내부에 충입되어진 분말차(T)를 취출시켜 종이컵(1)내에 투입하여 뜨거운 물을 붓고 차를 타서 마시게 된다.
한편, 보관 및 운반 취급시 또는 자판기의 컵 적재판 내에 적재시에는 종래의 컵 취급시와 마찬가지로 컵내에 다른 컵을 연속적으로 삽입하여 부피를 축소시켜 간편히 보관 및 취급 사용하게 되는바, 종이컵은 하부측 밑지 접착 관계로 저면이 요입되어 있으므로 이 부위에 분말차 케이스가 삽입되어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마찬가지로 취급 사용에 있어서의 부피 변화는 큰 차이가 없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원하는 종류의 차와 종이컵을 함께 구입,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며, 특히 자판기용으로 사용하게 되면 컵과 온수배출 장치만 구비하면 됨으로 장치를 간소화시켜 저렴한 가격으로 자판기 생산이 가능케 될 뿐 아니라 매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로서, 상기 종이컵(1)의 저면 요입부에 분말차 케이스(4)를 거꾸로 부착설치한 것으로 사용 및 작용 효과에 있어서는 마찬가지이다.

Claims (1)

  1. 상광하협의 종이컵(1)의 바닥면에 분말차 케이스(4)를 내장하여서 되는 공지의 종이컵(1)에 있어서, 분말차 케이스(4)의 상면에는 취출구 절취선(5)을 형성한 다음 중앙부에 취출부 절취 손잡이(6)를 부착 설치하여 손으로 잡아 당겼을때 절취선에 의하여 취출구(7)가 형성되어 내용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차 케이스가 취부된 종이컵.
KR2019900011705U 1990-08-02 1990-08-02 분말차 케이스가 취부된 종이컵 KR930002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705U KR930002940Y1 (ko) 1990-08-02 1990-08-02 분말차 케이스가 취부된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705U KR930002940Y1 (ko) 1990-08-02 1990-08-02 분말차 케이스가 취부된 종이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856U KR920003856U (ko) 1992-03-25
KR930002940Y1 true KR930002940Y1 (ko) 1993-05-24

Family

ID=1930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1705U KR930002940Y1 (ko) 1990-08-02 1990-08-02 분말차 케이스가 취부된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9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856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4501A (en) Beverage container for use with drinking cup
US3189171A (en) Compact drinking straw
US3796813A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US4027779A (en) Serving container for hot liquids
US4218008A (en) Container holding socket for molded tray
KR100821874B1 (ko) 내용물 분할형 컵
KR930002940Y1 (ko) 분말차 케이스가 취부된 종이컵
WO2005037678A1 (en) Container for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KR200434078Y1 (ko) 내용물 분할형 컵
KR100456030B1 (ko) 빨대가 내장된 스탠딩 용기
JPH092516A (ja) 容器蓋体
KR200487454Y1 (ko) 즉석 식품 포장 세트
KR20090117503A (ko) 일회용 컵
JPS6077863A (ja) 飲料販売容器
JPH086766Y2 (ja) 液体添加の選択が可能な飲用物容器用蓋体
CN211722551U (zh) 一种用于放置散装食品的货柜
KR200277075Y1 (ko) 티백이 내재된 종이컵
JP2004017979A (ja) 飲料用容器
JP4362192B2 (ja) 引き出し内蔵の紙包装容器
KR20180003070A (ko) 컵 운반용구
CN217075255U (zh) 一种无盖式袋装茶叶自动出茶存储器
KR200202634Y1 (ko) 다용도음료운반배달통
JP2000085781A (ja) 包装容器
JPH0235614Y2 (ko)
KR200315136Y1 (ko) 티백형태의 차가 내장된 일회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