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853Y1 - 소형 동력 흡충기 - Google Patents

소형 동력 흡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853Y1
KR930002853Y1 KR2019910005905U KR910005905U KR930002853Y1 KR 930002853 Y1 KR930002853 Y1 KR 930002853Y1 KR 2019910005905 U KR2019910005905 U KR 2019910005905U KR 910005905 U KR910005905 U KR 910005905U KR 930002853 Y1 KR930002853 Y1 KR 930002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ropeller
motor
suck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5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898U (ko
Inventor
김정부
강수웅
신원교
이유식
송삼석
Original Assignee
농촌진흥청
박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촌진흥청, 박정윤 filed Critical 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2019910005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853Y1/ko
Publication of KR9200188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8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8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형 동력 흡충기
제1도는 흡충기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취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유리 흡충관
3 : 흡입관 4 : 보조 흡입구
5 : 프로펠러 7 : 배출구
8 : 타공망 9 : 보호망
10 : 흡입구
본 고안은 관찰용이나 실험용으로 채집되는 미소곤충들을 개체별로 살아있는 상태에서 충격을 주지 않고 안전하게 채집할 수 있는 소형 동력 흡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펠러와 모우터를 보유한 본체의 전방에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흡충관을 삽입토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보호망을 부설토록 됨으로서 미소 곤충의 흡입시 최대한으로 원상태를 보존토록됨과 아울러 나방류와 같은 독소를 내포한 여러 종류의 곤충까지도 채집이 가능한 동력 흡충기를 제공코자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재래식 흡충기는 주로 입으로 충(蟲)을 흡입하여 채집하는 재래식 소형 흡충기가 국내외적으로 대부분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재래식 흡충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가 형성된 단부에 흡입구(24)가 천공된 흡충관(22)을 삽입하고 타단부에는 고무호스(23)를 연결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를 사용시에는 고무호스(23)를 입에 대고 충을 흡입구(24) 가까이에 근접시켜 상기 고무호스(23)로 공기를 흡입하면 충이 흡충관(2)으로 빨려들어가 채집될 수 있게 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흡충기로 충을 흡입하면 충체에 붙어 있는 오물, 병균, 악취, 독소등이 입안으로 들어가거나, 식도로 들어가 위생상 불결할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호흡기 질환등이 유발되어 인명피해의 위험성이 야기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노린재류나 나방류등의 독소를 보유한 곤충은 흡충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흡입식 흡충기에 있어서 흡입되는 미소 곤충을 충격을 주지 않고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채집할 수 있고, 종래에 채집할 수 없었던 독소를 보유한 곤충까지도 쉽게 채집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프로펠러와 모우터를 보유한 본체의 전방으로 흡입관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관의 선단부에는 타공망이 부착됨과 아울러 유리 흡충관이 삽입토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본체(1)의 일부가 절취된 상태에서의 분해 사시도로써, 유리 흡충관(2)이 흡입관(3)으로부터 분리되고, 프로펠러(5)가 부착된 모우터(M)를 보여 주고 있으며,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플라스틱 재질의 프로펠러(5)가 부착된 모우터(M)는 사각형의 본체(1)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프로펠러(5) 정면에는 보호망(9)을 설치하였다. 본체(1) 정면에 흡입관(3)을 일체로 부착하되 흡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7)를 상·하, 좌·우로 천공하고 흡충력의 조절과 흡입 공기량의 부족에 따른 상기 모우터(M)의 무리를 덜어 주기 위하여, 보조흡입구(4)를 다수개 천공하였다.
상기 흡입관(3)의 전방으로부터 삽탈이 가능하게 형성된 유리 흡충관(2)은 흡입된 충이 유리 흡충관(2) 내부에 남아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타공망(8)을 흡입관(3)의 전방에 부착시켰다.
동력은 1.5볼트 소형 밧데리 약을 사용하여 모우터(M)를 작동시키는 것이며, 모우터(M)에 전원만 연결한다면 전류에 의하여 동력흡충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11은 모우터(M)를 작동시키는 「온」, 「오프」스위치이고, 12는 소형 밧데리 약을 넣는 뚜껑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뚜껑(12) 내부에 1.5볼트 소형 밧데리 약을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먼저 스위치를 「온」상태로 놓으면 모우터(M)에 축설치된 프로펠러(5)가 회전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유리 흡충관(2)을 흡입관(3) 외부에 삽입시켜 흡입구(10)를 채집하고자 하는 충에게 가까이 근접시키면 상기 흡입구(10)를 통해 충이 빨려 들어가다가 타공마(8)에 걸려 더 빨려들어가지 못하고 유리 흡충관(2) 내부에 충이 머물게 된다.
상기 유리 흡충관(2)은 흡입관(3)의 전방으로부터 삽·탈이 가능하며, 흡입 가능한 충의 체장은 10㎜ 내외이나 사용자에 따라 흡입구(10)의 직경이 다른 유리 흡충관(2)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하면 그 이상의 체장을 가진 충도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흡입구(4)는 프로펠러(5)로 공기를 흡입시 흡충력의 조절과 흡입공기량의 부족에 따른 모우터(M)의 무리를 덜어주게 되고, 흡입구(10)로 흡입되는 공기 이외에 보조흡입구(4)로 공기가 흡입되어, 0.01g 미만의 미소 곤충도 별다른 손상이 없이 흡입이 가능하며, 흡입구(10)로 충과 함께 들어온 공기와 다수개의 보조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는 프로펠러(5)의 상·하, 좌·우에 천공된 배출구(7)로 배출된다.
이때 보호망(9)은 보조흡입구멍(4)으로부터 흡입될 수 있는 작은 돌멩이나 기타 불순물이 들어와 프로펠러(5) 날개에 부딪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충의 체장에 따라 흡입구(10)로 흡입되는 공기의 량이 보조흡입구멍(4)을 통하여 조절되기 때문에 흡충시 충에 미치는 충격이 극히 미약하므로 관찰이나, 실험용으로 사용시 충의 수명이나 알을 낳는데는 전혀 지장이 없으며, 재래식 흡충기와 동력 흡충기를 사용시 충의 수명이나 산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1]
판정결과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력 흡충기를 사용시 재래식 흡충기보다 충의 수명이 더 길고 알을 낳는 갯수도 많음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으로 충을 흡입하는 재래식 흡충기에 비하여 일의 능률이 향상되고 흡충 불가능하였던 노린재류나 나방류등의 채집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관찰용이나 실험용으로 채집되는 충을 동력흡충기로 흡입함으로써 채집 불가능하였던 충을 채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일의 능률이 향상된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라 하겠다.

Claims (1)

  1. 모우터(M)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5)와, 상기 모우터(M)와 프로펠러(5)를 내부에 보유하고, 전방에 유리 흡충관(2)을 삽입토록된 흡충기에 있어서, 다수개의 보조흡입구(4)와 배출구(7)가 천공된 본체(1)의 정면에 타공망(8)이 부착된 흡입관(3)을 일체로 부착하되,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보호망(9)이 설치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동력 흡충기.
KR2019910005905U 1991-04-29 1991-04-29 소형 동력 흡충기 KR930002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905U KR930002853Y1 (ko) 1991-04-29 1991-04-29 소형 동력 흡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905U KR930002853Y1 (ko) 1991-04-29 1991-04-29 소형 동력 흡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898U KR920018898U (ko) 1992-11-16
KR930002853Y1 true KR930002853Y1 (ko) 1993-05-24

Family

ID=1931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5905U KR930002853Y1 (ko) 1991-04-29 1991-04-29 소형 동력 흡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8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426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미소해충 생물검정용 흡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426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미소해충 생물검정용 흡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898U (ko) 199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07632A1 (en) Insect collection device
CN205390410U (zh) 一种防雾霾口罩
KR930002853Y1 (ko) 소형 동력 흡충기
EP1040756A1 (en) Insect catching apparatus
CN209788290U (zh) 一种计算机防虫网
US5522174A (en) Sanitary bug catcher
KR200349368Y1 (ko) 해충용 박멸장치
CN211861574U (zh) 一种新型诱蚊灭蚊装置
CN207022998U (zh) 一种穿戴式诱蚊器
JPH0440455Y2 (ko)
US8505493B2 (en) Livestock insect-removal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0319818Y1 (ko) 애완동물 털 수거용 흡입구가 있는 브러시.
CN110839606A (zh) 一种新型诱蚊灭蚊装置
CN2649120Y (zh) 湿式防尘防毒口罩
KR20050050226A (ko) 애완동물용 진공청소기 헤드 조립체
KR20050002114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다기능 브러쉬
JP2000201570A (ja) 有柄卵の採取方法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器具
CN211793904U (zh) 一种侧柏病虫害防治用诱虫灯
CN215224182U (zh) 一种电动捕蟑器
CN216796279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农业除虫装置
CN212381869U (zh) 一种畜牧养殖用空气净化装置
CN107173355A (zh) 一种穿戴式诱蚊器
CN220745919U (zh) 一种苹果病虫灭杀的孢子捕捉器
CN214071081U (zh) 一种畜牧用灭蚊通风装置
CN211048234U (zh) 一种柔丝旋打灭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