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693B1 - 칼라텔레비젼 수상기 - Google Patents

칼라텔레비젼 수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693B1
KR930002693B1 KR1019900017778A KR900017770A KR930002693B1 KR 930002693 B1 KR930002693 B1 KR 930002693B1 KR 1019900017778 A KR1019900017778 A KR 1019900017778A KR 900017770 A KR900017770 A KR 900017770A KR 930002693 B1 KR930002693 B1 KR 93000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yoke
convergence
crt
funnel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728A (ko
Inventor
이선행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7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693B1/ko
Publication of KR92001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텔레비젼 수상기
제 1 도는 종래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편향요크가 장착된 상태의 예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편향요크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제3a-d도는 본 발명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브라운관 퍼넬부에 부착된 엣지의 배치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라운관 퍼넬부 2,3,4 : 엣지
5 : 편향요크 6 : 네크부
7 : 마그네트어셈브리 T : 관축
X : 수평축 Y : 수직축
C : 중앙축
본 발명은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의 동콘버젼스(dynamic convergence)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브라운관의 퍼넬부와 네크부 사이에 설치되는 편향요크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급되는 셀프콘버젼스(self-convergence) 타입의 칼라텔레비젼 수상기는 독립된 캐소드 3개가 수평으로 고정된 인-라인(in-line) 방식의 전자총과 수평 및 수직편향자계를 발생시켜 전자빔을 편향하는 편향요크 등으로 브라운관을 구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이러한 셀프콘버젼스 타입의 칼라브라운관은 종래 델타(delta) 방식의 브라운관과는 달리 동콘버젼스가 자동으로 조정된 상태이므로 정자계(staticfield)를 이용하여 3전자빔을 중앙에 집중시키는 정콘버젼스(static convergence)를 조정하기만 하면 셀프-콘버젼스가 이루어지게 되며, 그후 수평 및 수직편향자계를 발생시켜 전자비임을 편향하는 편향요크의 동콘버젼스를 조정하게 된다.
한편, 브라운관 퍼넬부에는 편향요크의 설치 및 동콘버젼스를 조정하는 방식에 있어 종래에는 편향요크의 내경을 브라운관의 퍼넬 및 네크와의 연결부 외경보다 상당히 크게 형성시켜 편향요크가 네크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되게하고, 또한 상기 편향요크를 브라운관에 고착시키는 구조의 일환으로써 퍼넬부에 핫멜트(hot-melt) 접착용매를 이용하여 1차로 퍼넬링을 부착하고 그후 상기 퍼넬링에는 편향요크가 설치되는 요크링을 또한 핫멜트 접착용매를 접착제로하여 연결하게 됨으로써 편향요크가 브라운관의 퍼넬부에 부착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 편향요크의 설치구조에 있어 상기 핫멜트 접착용매가 굳기까지에는 5분 내지 7분이 소요되므로 퍼넬링을 부착한뒤 이 퍼넬링에 요크링까지 부착하게되면 소요시간이 2배로 연장되는 등 제조시간이 길이지게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특히, 편향요크와 네크부와의 구경오차가 큰 관계로 이들 상호간에 비교적 큰 간격을 이루면서 편향요크가 퍼넬부에만 지지되어 고착되게되는 외팔보 결합(contilever)을 이루게 됨으로써 신뢰성있는 결합을 이루지 못해 작은 충격에도 편향요크가 퍼넬부에서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계통의 엣지를 이용하여 브라운관의 퍼넬부에다 편향요크를 고착하는 방식이 이용된 바 있으나 이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편향요크의 동콘버젼스를 조정함에 있어 엣지를 일률적으로 120°각도로 배열하여 편향요크를 고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편향요크의 장착구조는 경우에 따라서는 양호한 동콘버젼스조정이 이루어질수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브라운관의 제조공정상 아무리 정교하게 제작한다 하더라도 전자총을 정확히 인-라인방식으로 배열하여 형성시킬 수 없으므로 3지점에 설치된 각각의 엣지를 하나씩 밀고 당기면서 동콘버젼스를 조정하여야 하는 등의 고도의 숙련이 요구되므로 생산공정의 단순화를 지향하는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효율적이면서 높은 신뢰성으로 편향요크가 브라운관의 퍼넬부에 고착될 수 있도록 된 칼라텔레비젼 수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라운관축(T)을 잇는 브라운관 퍼넬부(1)의 수평축(X) 및 수직축(Y) 연장선상의 2지점에 각각 엣지(2, 3)를 설치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축(X, Y)으로 이루어진 외각의 중앙과 브라운관축(T)을 잇는 중앙축(C) 선상에 또다른 엣지(4)를 설치하여서 된 삼각지점에 편향요크(5)를 고착시킨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 1 도에 도시된 종래 인-라인형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넬링(11)은 핫멜트 접차용매의 도포로 기 설정된 퍼넬부(1)의 일정부위에 고착되고, 편향요크(5)가 결합된 요크링(12) 또한 핫멜트 접착용매의 도포로 상기 퍼넬링(11)에 고착되며, 네크부(6)에는 정콘버젼스(static convergence)를 조정하는 마그네트어셈브리(7)가 설치되어 형광면상의 전자빔의 집중과 색순도를 조정하게 되는데, 상기 마그네트 어셈브리(7)는 색순도를 조정하는 한쌍의 2극 마그네트링과, 전콘버젼스를 조정하는 한쌍의 4극마그네트링 및 한쌍의 6극 마그네트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 편향요크의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요크(5)는 요크링(12)에 1차로 결합된 뒤 이 요크링(12)이 퍼넬링(11)에 고착되게 됨으로써 브라운관(8)의 퍼넬부(1)에 부착되게 되는데, 이런 구조의 종래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는 상기 편향요크(5)가 퍼넬부(1)에 고착되기 전에 도시되지 않은 기구조정기에 의하여 3차원적으로 조정되면서 동콘버젼스를 이룬뒤 퍼넬부에의 고착위치가 설정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마그네트어셈브리(7)에 의하여 형광면의 중앙에 정콘버젼스 및 색순도가 조정된 뒤 상기 편향요크(5)가 결합된 요크링(12)을 브라운관축(X)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형광면 전체의 색순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편향요크(5)를 브라운관축(X)에 대하여 수직으로 움직이게 되면 동콘버젼스(dynamic convergence)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바, 이와 같이 편향요크(5)를 브라운관축(X)에 대하여 관심을 주거나 각도를 변경하여 동콘버젼스의 조정을 맞춘 후에는 마지막으로 핫멜트 접착용매를 이용하여 편향요크(5)가 결합된 요크링(12)을 퍼넬링(11)의 4곳의 지지대에 고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편향요크 설치구조에 있어서는 편향요크의 동콘버젼스를 이루기 위해 편향요크의 설치위치를 변경하다보면 설치위치를 설정하는데만 최소한 4분 내지 5분이 소요되고, 핫멜트 접착용매가 경화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5분 내지 7분이 소요되며 또한 핫멜트가 경화되기전 편향요크 설정용 기구조정기를 뗄수 없게 되는등 생산라인이 장시간 적체되게되므로샌산성을 향상시키기가 어려우며, 특히 상기 편향요크(5)가 브라운관 퍼넬부(1)에만 지지되는 외팔보결합형태(cantilever)를 이루기 때문에 외부의 적은 충격에도 편향요크가 떨어져 나가게 되는 등 고착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는 본 발명의 적용ㆍ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편향요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제 2 도에는 편향요크본체(13)와 참고번호(14)로 지시되는 지지사이에 고착수단인 엣지(2, 3)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져 있는 바,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편향요크 (5)를 지지하게 될 지지(15)는 플랜지부(16)와 보스부(17)로 구성되며, 편향요크(5)의 후단을 이루는 플랜지(18)의 원주둘레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편향요크(5)와 지지대(14)가 상기 플랜지의 걸림부에 끼워지는 결합링(22)의 결합으로 상호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편향요크(5)는 코일(19)이 권선되는 코아(20)와, 이 코아(20)를 내측에서 장착하면서 브라운관의 퍼넬부(1)상에 지지부재(21)로 구성되어져 이 지지부재(21)가 상기 퍼넬부(1)에 지지되는 구조로서 편향요크(5)가 장착되게 되는데, 상기 편향요크의 장착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제3a도 내지 제3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운관축(T)을 잇는 퍼넬부(1)의 수평축(X) 및 수직축(Y)의 연장선상에 동일 간격으로 엣지(2, 3)를 각각 설치하여 편향요크 지지부재(21)의 2지점이 상기 엣지(2, 3)에 접하도록 한뒤, 상기 수평 및 수직축(X, Y)으로 이루어진 270의 외각의 중앙인 135 지점과 브라운관축(T)을 잇는 중앙축(C) 선상에 또다른 엣지(4)를 설치하여 편향요크(5)의 지지부재(21)가 접하는 부위를 하나더 추가하여 3각지점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추가로 설치된 엣지(4)를 중앙축(C)선을 따라 상향으로 밀어올리거나 하향으로 끌어 내리면서 편향요크(5)의 동콘버젼스를 조정하게 되는 바,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관축(T)으로부터 동일간격을 유지하며 수평축(X) 및 수직축(Y) 선상의 2지점에 엣지(2, 3)를 각각 기설치한뒤, 기설치된 상기 엣지(2, 3)위에도 편향요크(5)의 지지부재(21)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편향요크(5)를 관축(T)과 수직한 방향인 상하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브라운관의 적색(R), 녹색(G), 청색(B) 전자빔 가운데 적어도 2개의 전자빔, 일예로 좌우측빔인 적색(R) 또는 청색(B)빔 가운데 하나의 빔과 중앙빔인 녹색(G)빔의 콘버젼스가 기 조정되게 되는 바(이후 상기 조정과정에서 청색(B)빔의 콘버젼스가 기 조정된 것으로 가정함), 그후 나머지 적색(R)빔의 콘버젼스를 조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중앙축(C)의 연장선상에 있는 되는 엣지(4)를 퍼넬부(1)와 상기 편향요크(5)의 지지부재(21) 사이의 틈에 끼운 상태에서, 사기 중앙축(C) 선상을 따라 엣지(4)를 상기 틈새로 밀어올리거나 끌어 내리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편향요크(5)가 관축(T)을 따라 움지이게 되면서 마지막 하나의 빔인 적색(R)빔을 조정하게 되는 바, 일예로 틈새로 상기 엣지(4)를 밀어 넣게되면 퍼넬부(1)와 편향요크(5)의 간격이 벌어지게 됨으로써 편향요크(5)가 관축(T)을 따라 이동하는 효과를 갖게되고 또한 상기 엣지(4)를 틈새에서 끌어내게 되면 퍼넬부(1)와 편향요크 (5)의 간격이 좁아지게 됨으로써 이 또한 편향요크(5)가 관축(T)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적색(R)빔의 콘버젼스를 조정하게 되는 바 콘버젼스의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지지부재(21)와 엣지(2, 3, 4) 사이에 핫멜트 접착용매를 주입시켜 편향요크(5)를 상기 퍼넬부(1)에 완전히 고착시키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을 종래 120 간격으로 엣지를 설치한 콘버젼스 조정방식과 비교하게되면 종래에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전자빔의 콘버젼스를 조정한 상태에서 마지막 하나의 전자빔의 콘버젼스를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3엣지상에 편향요크를 설치한 상태에서 퍼넬부(1)와 편향요크(5)의 지지부재(21) 사이의 틈새에 끼워진 3지점의 엣지를 일일이 밀어넣거나 잡아 당기면서 동콘버젼스를 조정하여야 하므로 하나의 전자빔의 콘버젼스를 조정한 상태에서 다른 전자빔의 콘버젼스를 조정하다보면 이전에 조정이 이루어진 전자빔의 콘버젼스까지도 불량하게 되는 등 3개의 전자빔의 콘버젼스를 조정하는 데 보다 숙련된 기능이 필요하게되고 조정시간 또한 길어지게 되어 이 길어지게된 시간동안 제조공정이 정체되게 되는 바 이는 생산성을 저하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은 적어도 2전자빔의 콘버젼스를 조정한 상태에서 마지막 하나의 전자빔의 콘버젼스를 조정하게되는 과정으로 편향요크에 의한 전자빔의 동콘버젼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콘버젼스 조정이 간편하고 조정시간 또한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향요크와 네크부 사이의 틈새로 실리콘재질의 엣지를 삽입시켜주게 되면 상기 편향요크는 퍼넬부 뿐만 아니라 네크부에도 지지되므로 견고하게 고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편향요크가 브라운관의 퍼넬부에 고착하여서 된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브라운관축(T)을 잇는 부라운관퍼넬부(1)의 수평축(X) 및 수직축(Y) 연장선상의 2지점에 각각 엣지(2, 3)를 설치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축(X, Y)으로 이루어진 외각의 중앙과 브라운관축(T)을 잇는 중앙축(C) 선상에 또다른 엣지(4)를 설치하여서된 삼각지점에 편향요크(5)를 고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텔레비젼 수상기.
KR1019900017778A 1990-11-02 1990-11-02 칼라텔레비젼 수상기 KR93000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778A KR930002693B1 (ko) 1990-11-02 1990-11-02 칼라텔레비젼 수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778A KR930002693B1 (ko) 1990-11-02 1990-11-02 칼라텔레비젼 수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728A KR920010728A (ko) 1992-06-27
KR930002693B1 true KR930002693B1 (ko) 1993-04-07

Family

ID=1930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778A KR930002693B1 (ko) 1990-11-02 1990-11-02 칼라텔레비젼 수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6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728A (ko) 199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693B1 (ko) 칼라텔레비젼 수상기
EP0073005A2 (en) Color cathode ray tube device
KR100219701B1 (ko) 편향요오크
KR200258816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장치
KR200154044Y1 (ko)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100235558B1 (ko) 편향요크의 직교도 조정방법
KR950000503Y1 (ko) 편향요크
KR200333854Y1 (ko) 칼라음극선관용편향요크
CN1051639C (zh) 阴极射线管的会聚系统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356962B1 (ko) 편향요크
US6239560B1 (en) System for correcting electron beam from single cathode in color CRT
KR200152062Y1 (ko) 세퍼레이터
KR950007055Y1 (ko) 편향요크
KR200147265Y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418041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H04237934A (ja) 偏向ヨーク
KR0161923B1 (ko) 칼라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20040073901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H04147546A (ja) 偏向ヨーク
KR20020034213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JP2000003673A (ja) 偏向ヨークのコイル巻枠
KR20050086085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1005454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KR2002006942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