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144Y1 - 2라인 입력신호간의 크로스 토크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2라인 입력신호간의 크로스 토크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144Y1
KR930002144Y1 KR2019900006097U KR900006097U KR930002144Y1 KR 930002144 Y1 KR930002144 Y1 KR 930002144Y1 KR 2019900006097 U KR2019900006097 U KR 2019900006097U KR 900006097 U KR900006097 U KR 900006097U KR 930002144 Y1 KR930002144 Y1 KR 930002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switching element
transisto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176U (ko
Inventor
백동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6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144Y1/ko
Publication of KR9100211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1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1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라인 입력신호간의 크로스 토크 방지회로
제1도는 종래의 2라인 입력 신호 선택 개요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0 : 버퍼 15,20 : 버퍼 및 콘트롤부
SW1-SW4 : 스위칭 소자 11 : 인버터
Q1-Q4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2라인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간에 발생되는 크로스 토크(Cross talk)를 방지해 주도록한 2라인 입력 신호간의 크로스 토크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다중 입력 신호 처리를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2라인의 신호가 인가될때 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호 입력단(IN1)(IN2)에 스위칭 소자(SW1)(SW2)를 설치한 후 콘트롤 신호에 의하여 상호 역구동되는 스위칭 소자(SW1)(SW2)에서 하나의 신호가 선택되어 버퍼(5)(10)를 통하여 신호출력단(OUT1)(OUT2)으로 출력되게 구성하였다.
이때 콘트롤 신호에 따라 그 구동이 선택되는 스위칭 소자(SW1)(SW2)는 인버터(I1)에 의하여 상호 역구동 되게 된다.
즉, 콘트롤 신호 입력에 따라 스위칭 소자(SW1)가 "온"되면 스위칭 소자(SW2)는 "오프"되고 반대로 스위칭 소자(SW2)가 "온"되면 스위칭 소자(SW1)가 "오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회로를 구성하여 2라인 입력 신호를 선택함에 있어서는 신호 입력단(IN1)에 인가되는 입력신호가 신호입력단(IN2)으로 인가되는 입력신호에 영향을 주어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신호 입력단(IN2)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는 신호 입력단(IN1)으로 인가되는 입력 신호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하나의 입력신호 선택시(크로스 토크)가 발생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제1도에서와 같은 회로 구성에 의하여 2라인 입력신호중 하나의 입력신호를 선택할 경우에는 입력 신호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크로스 토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다단의 신호 입력에 대하여 상호간의 영향을 배제시켜 주어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없애 주도록 한 것으로써 하나의 라인 입력 신호가 선택될때 다른쪽의 라인 입력신호는 뮤우트되게 하여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없애주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블록도로써 신호 입력단(IN1)(IN2)으로 인가된 2라인 입력 신호를 스위칭 소자(SW1-SW4)의 구동에 따라 하나의 입력 신호만 선택하여 신호출력단(OUT1)(OUT2)로 출력되게 구성하되 콘트롤 신호에 의하여 구동이 선택되는 스위칭 소자(SW1-SW4) 사이에 버퍼 및 콘트롤부(15)(20)를 연결 구성시킨 것으로 여기서 버퍼 및 콘트롤부(15)(20)는 콘트롤 신호에 의하여 하나의 라인 입력신호 선택시 선택된 라인 입력 신호를 버퍼링하여 뒷단으로 인가시킴과 동시에 선택되지 않은 라인 입력 신호는 뮤우트시게 주게 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 회로도로써 스위칭 소자(SW2)(SW4)사이에 설치된 버퍼 및 콘트롤부(20)는 스위칭 소자(SW2)에서 선택된 라인 입력 신호가 버퍼용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스위칭 소자(SW4)에 인가되게 구성하되 상기 트랜지스터(Q1)와 스위칭 소자(SW4) 사이에 신호 뮤우트용 트랜지스터(Q2)를 설치 구성하며 스위칭 소자(SW1)(SW3)사이에 설치된 버퍼 및 콘트롤부(15)는 스위칭 소자(SW1)에서 선택된 라인 입력신호가 버퍼용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스위칭 소자(SW3)에 인가되게 구성하되 트랜지스터(Q3)와 스위칭 소자(SW3) 사이에 신호 뮤우트용 트랜지스터(Q4)를 설치 구성한 것이다.
이때 스위칭 소자(SW1)(SW3)와 트랜지스터(Q2)는 콘트롤 신호에 의하여 동시 구동되고 스위칭 소자(SW2)(SW4)와 트랜지스터(Q4)는 인버터(I1)를 통과한 콘트롤 신호에 의하여 동시 구동되게 구성하므로써 스위칭 소자(SW1)(SW3) 및 트랜지스터(Q2)와 스위칭 소자(SW2)(SW4) 및 트랜지스터(Q4)는 인버터(I1)에서 반전되는 콘트롤 신호에 의하여 상호 역구동되게 된다.
그리고 각 스위칭 소자(SW1-SW4)는 콘트롤 신호가 하이레벨로 인가될때 "온"되게 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신호 입력단(IN1)으로 TV세트내의 복합 비데오 신호가 신호 입력단(IN2)으로 외부 비데오 신호가 입력될때 하나의 신호 입력만을 선택한 경우를 살펴본다.
먼저 콘트롤 신호를 하이레벨로 인가시키게 되면 스위칭 소자(SW1)(SW3)는 "온"되게 되고 또한 버퍼 및 콘트롤부(20)의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되게 된다.
그리고 하이레벨의 콘트롤 신호는 인버터(I1)를 통하여 로우레벨로 반전되게 되므로 스위칭 소자(SW2)(SW4)는 "오프"되게 되고 버퍼 및 콘트롤부(15)의 트랜지스터(Q4)는 "턴오프"되게 된다.
따라서 신호 입력단(IN1)으로 인가된 TV 세트의 복합 비데오 입력 신호는 "온"된 스위칭 소자(SW1)를 통하여 버퍼 및 콘트롤부(15)의 버퍼용 트랜지스터(Q3)를 통한후 "온"된 스위칭 소자(SW3)에 인가되므로써 콘트롤 신호가 하이레벨로 인가되면 TV세트의 복합 비데오 신호가 선택되게 된다.
이때 신호 입력단(IN2)으로 인가되는 외부 비데오 신호는 "오프"된 스위칭 소자(SW2)(SW4)에 의하여 신호선택이 차단되게 되며 또한 버퍼 및 콘트롤부(20)의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게 되어 외부 비데오 신호를 뮤우트시키게 되므로 신호 입력단(IN2)으로 인가된 신호가 신호 입력단(IN1)으로 인가되는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크로스 토크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콘트롤 신호가 로우레벨로 인가되게 되면 상기와는 반대로 스위칭 소자(SW1)(SW3)는 "오프"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되게 되며 로우레벨의 콘트롤 신호는 인버터(I1)에서 하이레벨로 반전되게 되므로 스위칭 소자(SW2)(SW4)는 "온"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4)는 "턴온"되게 된다.
따라서 신호 입력단(IN2)으로 인가된 외부 비데오 신호는 "온"된 스위칭 소자(SW2)를 통하여 버퍼 및 콘트롤부(20)의 버퍼용 트랜지스터(Q1)를 통한후 "온"된 스위칭 소자(SW4)에 인가되게 되므로써 콘트롤 신호가 로우레벨로 인가되면 외부 비데오 신호가 선택되게 된다.
이때 신호 입력단(IN1)으로 인가되는 TV 세트의 복합 비데오 신호는 "오프"된 스위칭 소자(SW1)(SW3)에 의하여 신호 선택이 차단되게 되며 또한 버퍼 및 콘트롤부(15)의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게 되어 TV 세트의 복합 비데오 신호를 뮤우트 시키게 되므로 신호 입력단(IN1)으로 인가된 신호가 신호 입력단(IN2)으로 인가되는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크로스 토크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2라인 입력신호중 하나의 라인 입력신호를 선택할 경우 선택되지 않는 라인 입력신호는 뮤우트시켜 주어 신호입력 상호간의 간섭을 배제시켜 주므로써 크로스 토크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신호 입력단(IN1)으로 인가된 입력신호를 콘트롤 신호 입력에 의하여 스위칭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SW1)와, 신호 입력단(IN2)으로 인가된 입력신호를 인버터(I1)에서 반전시킨 콘트롤 신호 입력에 의하여 스위칭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SW2)와, 상기 스위칭 소자(SW1)에서 선택된 입력 신호를 완충 증폭시키고 인버터(I1)에서 반전된 콘트롤 신호 입력에 의하여 입력 신호를 뮤우트 시키는 버퍼 및 콘트롤부(15)와, 상기 스위칭소자(SW2)에서 선택된 입력신호를 완충 증폭시키고 콘트롤 신호 입력에 의하여 입력신호를 뮤우트 시키는 버퍼 및 콘트롤부(20)와, 상기 버퍼 및 콘트롤부(15)를 통과한 입력신호를 콘트롤 신호 입력에 의하여 스위칭 선택하여 신호 출력단(OUT1)으로 출력시키는 스위칭 소자(SW3)와, 상기 버퍼 및 콘트롤부(20)를 통과한 입력신호를 인버터(I1)에서 반전된 콘트롤 신호입력에 의하여 스위칭 선택하여 신호 출력단(OUT2)으로 출력시키는 스위칭 소자(SW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라인 입력 신호간의 크로스 토크 방지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버퍼 및 콘트롤부(15)는 스위칭 소자(SW1)에서 선택된 입력신호를 완충 증폭시켜 스위칭 소자(SW3)로 출력시키는 트랜지스터(Q3)와, 상기 트랜지스터(Q3)를 통과한 신호를 인버터(I1)에서 반전된 콘트롤 신호 입력에 의하여 뮤우트 시키는 트랜지스터(Q4)로 구성되어지고 버퍼 및 콘트롤부(20)는 스위칭소자(SW2)에서 선택된 입력 신호를 완충 증폭시켜 스위칭 소자(SW4)로 출력시키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를 통과한 신호를 콘트롤 신호 입력에 의하여 뮤우트 시키는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라인 입력 신호가 크로스 토크 방지회로.
KR2019900006097U 1990-05-08 1990-05-08 2라인 입력신호간의 크로스 토크 방지회로 KR930002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097U KR930002144Y1 (ko) 1990-05-08 1990-05-08 2라인 입력신호간의 크로스 토크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097U KR930002144Y1 (ko) 1990-05-08 1990-05-08 2라인 입력신호간의 크로스 토크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176U KR910021176U (ko) 1991-12-20
KR930002144Y1 true KR930002144Y1 (ko) 1993-04-26

Family

ID=1929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097U KR930002144Y1 (ko) 1990-05-08 1990-05-08 2라인 입력신호간의 크로스 토크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1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722A (ko) * 2002-08-23 200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적인 원심 스위치와 연동되는 모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722A (ko) * 2002-08-23 200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적인 원심 스위치와 연동되는 모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176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0915A (en) Center mode control circuit
JPS6028310A (ja) 電子ボリユ−ム
KR930002144Y1 (ko) 2라인 입력신호간의 크로스 토크 방지회로
KR900003475Y1 (ko) Vcr 겸용 tv의 영상신호 전환장치
JP3359046B2 (ja) 音声出力装置
CA1305790C (en) System for preventing crosstalk in a multi-input electronic device
KR940001549Y1 (ko) 신호선택회로
KR910005635Y1 (ko) 음성입력 선택시 팝노이즈 제거 회로
KR0137193Y1 (ko) 모우드 절환시 팝 노이즈 제거회로
JP2692079B2 (ja) 入出力切り換え器
KR930007372Y1 (ko) 음향기기의 기능절환회로
KR900006019Y1 (ko) 써라운드 모드 절환에 따른 외부 스피커 절환회로
KR0145580B1 (ko) 텔레비전의 영상/음성신호 입력/출력절환장치
KR940006559Y1 (ko) 피아이피 오디오 콘트롤 회로
KR940002016Y1 (ko) Vcr용 신호자동절환회로
KR930001942Y1 (ko) 서라운드 시스템의 스피커 자동전환 장치
KR920004811Y1 (ko) 다단외부 입력신호의 보상회로
KR910007418Y1 (ko) Tv/vtr 절환회로
KR940000655Y1 (ko) 오디오/비데오 신호의 입출력 자동 절환 장치
KR900006014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무신호시 영상신호 뮤팅회로
KR0132535Y1 (ko) 오디오기기의 기능절환시 뮤팅회로
KR960009677A (ko) 오디오/비디오 신호용 스위칭 장치
KR950005509Y1 (ko) 입출력 겸용단자의 자동 가변회로
KR920002124Y1 (ko) 음향기기의 모드 제어회로
JPH0229243B2 (ja) Denshiboryuumukai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