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636Y1 - 좌변기 온수세정장치의 노즐조립체 - Google Patents

좌변기 온수세정장치의 노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636Y1
KR930001636Y1 KR2019880006684U KR880006684U KR930001636Y1 KR 930001636 Y1 KR930001636 Y1 KR 930001636Y1 KR 2019880006684 U KR2019880006684 U KR 2019880006684U KR 880006684 U KR880006684 U KR 880006684U KR 930001636 Y1 KR930001636 Y1 KR 930001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nozzle
lever
hot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069U (ko
Inventor
조경복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6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636Y1/ko
Publication of KR8900230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0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좌변기 온수세정장치의 노즐조립체
제1도는 본 고안이 채용된 좌변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외관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서 노즐을 사용상태로 회전시킨 상태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노즐조립체와 연결되어 있는 온수·온풍 공급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갑체 11 : 온풍유출구
14 : 온풍도관 20 : 온수분사노즐
21 : 분사공 30 : 노즐조작 손잡이
32 : 레버 40 : 회동관
42 : 온수관 43 : 리모트코오드
본 고안은 좌변기에 설치사용되는 온수세정장치의 노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즐로부터의 온수분사 각도의 변환이 자유자재하고 그 조작방법 및 수단이 간편하도록 구성된 좌변기의 온수 세정장치의 노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좌변기용 온수세정장치는 온수분사노즐이 전·후방으로 출입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분사 각도를 가변시킬 수 없어 사용자가 온수세정하기가 불편하였고, 온수·온풍 공급장치를 조작하는 버튼은 온수분사 노즐을 출입시키는 레버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조작이 불편한 것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노즐조립체 온수·온풍 공급을 위한 조작장치와 온수분사 노즐의 위치를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시킴과 동시에 온수분사 노즐은 출입식이 아니고 회동식으로 구성하여 된 좌변기 온수세정장치의 노즐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과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에 온풍유출구가 형성되고, 하붕에 온풍도관이 연결된 갑체를 마련하고 이 갑체의 우측선단에 온수관과 리모트코드가 연결된 회동관을 설치한 다음 상기 회동관의 내측에는 호형으로 만곡형성되고 분사공이 천공된 온수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온수관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관의 외측에는 리모트코오드를 설치하여 온수관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관의 외측에는 리모트코오드를 조작하는 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노즐조작 손잡이를 설치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노즐조립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변기(60)의 좌판(61) 하부에 설치 가능하도록 납작하면서도 좌판(61)의 후방으로 부터 좌판의 측방으로 이르는 형태에 맞게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조립체는 갑체(10)와, 온수분사노즐(20)과 노즐조작손잡이(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갑체(10)는 제2도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에 전방으로 향하는 온풍유출구(11)가 마련되어 있고 후방에는 브래키드(13)가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 온풍유입구(12)가 마련되어 이에 온풍도관(14)이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갑체(10)의 우측선단에는 회동관(40)이 설치되는데 이 회동관(40)의 중간에는 개구부(41)를 두어 이 개구부(41)를 통하여 좌측으로는 온수관(42)이 안내되고, 우측으로는 리모트코오드(43)가 안내되어 있다.
상기 온수분사노즐(20)은 상기 갑체(10)의 전방곡선과 같이 만곡되어 그 선단에 분사공(21)이 천공되고, 후단은 상기 회동관(40)의 좌측단으로 삽입되어 온수관(42)과 연결된다.
또, 상기 노즐조작손잡이(30)는 그 내부에 축(31)을 중심으로 적정각도 회동하는 레버(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노즐조작손잡이(30)는 상기 회동관(40)의 우측단까지 안내되어 있는 리모트코오드(43)의 단부가 레버(32)에 핀(33)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조작손잡이(30)를 회동시키면 온수분사노즐(20)이 회동되도록 된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노즐조립체와 연결된 온수온풍공급장치(50)의 단면도로서, 급수밸브(51)를 개폐하는 레버(52)가 일단의 축(53)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버(52)의 타단은 리모트코오드(4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52)의 상부에는 레버(52)의 회동에 따라 송풍팬(54)과 히터(55)를 온, 오프시켜주는 스위치(56)가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57은 급수히터, 58은 모터, 59는 스프링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노즐조립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60)의 좌판(61) 밑에 그 후방의 브래키드(13)에 의해 설치되고, 제2도와 같이 온풍도관(14)과 이 온풍도관 내부의 온수관(42) 및 리모트코오드(43)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의 노즐조립체를 사용하고자 할때는, 우선 노즐조작손잡이(30)를 제4도와 같이 회동시켜 이와 회동관(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온수분사노즐(20)의 분사공(21)의 분사각도가 세정부위를 향하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이 조절된 상태에서 조작손잡이(30)의 레버(32)를 제2도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32)가 리모트코오드(43)를 끌어당기면 제5도와 같이 리모트코오드(43)의 상단과 연결된 레버(52)가 축(5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밸브(51)를 하강시켜 급수되도록 한다. 그러면 급수된 냉수는 전열히터(57)에 의해 온수로 가열되어 온수관(42)과 노즐(20)을 통해 노즐(20)의 분사공(21)으로 부터 분사되어 세정이 필요한 부위를 세정하게 된다.
다음, 세정부위를 건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손잡이(30)의 레버(32)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밸브(51)는 폐쇄되어 온수공급이 중단됨과 동시에 레버(52)의 우측단이 스프링(59)의 탄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스위치(56)를 작동시켜 주게 되므로 히터(55)와 송풍팬(54)에 의해 온풍이 발생되어 갑체(10)의 온풍유출구(11)를 통해 공급되면서 세정부위를 건조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본 고안은 노즐조립체에서 온수분사각도 뿐만아니라 온수 및 온풍의 공급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더우기 온수의 분사각도를 자유로이 변환시킬 수 있어 세정부위의 세정을 청결하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방에 온풍유출구(11)가 형성되고, 후방에 온풍도관(14)이 연결된 갑체(10)의 우측선단에 온수관과 리모트코오드가 연결된 회동관(4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다음, 상기 회동관(40)의 내측에는 호형으로 만곡형성된 분사공(21)이 천공되어 있는 온수분사노즐(20)을 설치하여 온수관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관(40)의 외측에는 리모트코오드를 조작하는 레버(32)가 설치되어 있는 노즐조작손잡이(30)를 설치하여서 된 좌변기 온수세정장치의 노즐조립체.
KR2019880006684U 1988-05-03 1988-05-03 좌변기 온수세정장치의 노즐조립체 KR930001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684U KR930001636Y1 (ko) 1988-05-03 1988-05-03 좌변기 온수세정장치의 노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684U KR930001636Y1 (ko) 1988-05-03 1988-05-03 좌변기 온수세정장치의 노즐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069U KR890023069U (ko) 1989-12-02
KR930001636Y1 true KR930001636Y1 (ko) 1993-04-08

Family

ID=1927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684U KR930001636Y1 (ko) 1988-05-03 1988-05-03 좌변기 온수세정장치의 노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6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069U (ko) 198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3648B1 (en) Sanitary cleaning device
US4780595A (en) Body dryer
US4558526A (en) Arrangement with a fan
US5953765A (en) Sanitary device having commonly driven washing and drying devices
US2872687A (en) Water closet appliance
KR19980027759A (ko) 좌변기용 국부세척장치
KR930001636Y1 (ko) 좌변기 온수세정장치의 노즐조립체
US4393525A (en) Heat-controlled sanitary bathing device
JP3237551B2 (ja) 衛生洗浄装置の乾燥装置
JPS5820706Y2 (ja) 乾燥器付洗浄便器の操作スイッチ
KR930001637Y1 (ko) 온수세정장치의 온수온풍조절장치
KR200271556Y1 (ko) 비데용 건조기
KR950006530Y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 유통구조
KR0132759Y1 (ko) 온수세정기의 내부 건조 장치
KR920000429Y1 (ko) 양변기용 위생 비데장치
KR0114284Y1 (ko) 자체압력 온수세정기의 밸브장치
KR19990001246U (ko) 온수세정기용 온풍기
KR920005986Y1 (ko) 양변기용 위생 비데장치
KR950001778Y1 (ko) 온수세정장치의 조작레버 복귀구조
KR950006531Y1 (ko) 온수세정장치 노즐조립체의 리모트코드 안내구조
KR19980058436U (ko) 비데의 건조기 구조
JPH0312856Y2 (ko)
KR20180057332A (ko) 듀얼 노즐 유닛을 갖는 환풍기
JPS64453Y2 (ko)
JP2643847B2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