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245Y1 - 액체연료수 첨가 연소장치의 일정수온 유지회로 - Google Patents

액체연료수 첨가 연소장치의 일정수온 유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245Y1
KR930001245Y1 KR2019880004641U KR880004641U KR930001245Y1 KR 930001245 Y1 KR930001245 Y1 KR 930001245Y1 KR 2019880004641 U KR2019880004641 U KR 2019880004641U KR 880004641 U KR880004641 U KR 880004641U KR 930001245 Y1 KR930001245 Y1 KR 930001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water temperature
inverting input
atomiza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4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493U (ko
Inventor
박성수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04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245Y1/ko
Publication of KR8900194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4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2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1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 F23D11/16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in which an emulsion of water and fuel is spray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연료수 첨가 연소장치의 일정수온 유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액체연료수 첨가 연소장치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정수온 유지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히터 OP1: 비교증폭기
TH1: 더미스터 R1-R5: 저항
TR1: 트랜지스터 RY2: 릴레이
본 고안은 액체연료수 첨가 연소장치의 일정수온 유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화통내의 수온을 하나의 더미스터로 검출하여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한 일정수온 유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연료수 첨가 연소장치에 있어서는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물을 무화상태로 한 후 연소장치에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물의 무화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화통내의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무화통내의 물의 온도를 소정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한온도측정용더미스터 및 하한온도측정용더미스터로 무화통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양측정신호로 무화통내의 히터구동을 제어하여 무화통내의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2개의 더미스터가 필요하므로 그의 구조가 복잡하게 될 뿐아니라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더미스터로 무화통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로 무화통내의 히터구동을 제어하여 무화통내의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액체연료수 첨가연소장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교류전원단자(AC)를 트랜스(T1)를 통해 주제어기(1)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측에 무화제어릴레이(RY1)를 접속하고, 상기 교류전원단자(AC)를 트랜스(T2)의 일차권선(T21)에 접속하여 그의 2차권선(T22)을 상기 무화제어릴레이(RY1)의 스위치(RY11)를 통해 무화회로(2)에 접속하고, 2차권선(T23)을 정류회로(3)를 통해 일정수온유지회로(4)에 접속하며, 일정수온유지회로(4)의 출력측을 무화통(5)내의 히터(6)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정수온 유지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단자(Vcc)를 저항(T1)을 통해 저항(R2) 및 비교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고, 그 전원단자(Vcc)를 저항(R3)을 통해 그 비교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더미스터(TH1)를 다시통해 저항(R4)에 접속하며, 그 비교기(OP1)의 출력단자를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저항(R5)을 통해 상기 더미스터(TH1) 및 저항(R4)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를 릴레이(RY2)를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하여 그 릴레이(RY2)의 스위치(RY21)를 상기 히터(6)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더미스터(TH1)는 무화동(5)내의 물의 온도에 따라 그의 저항값이 변화되는 부특성소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단자(AC)에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그 교류전원은 트랜스(T1)를 통해 주제어기(1)에 인가되고, 이때 그 주제어기(1)의 제어 의해 무화제어릴레이(RY1)가 구동되면 그 릴레이(RT1)의 스위치(RY11)가 단락된다. 따라서 이때 교류전원이 트랜스(T2)의 2차권선(T22) 및 그 릴레이(RY1)의 스위치(RY11)를 통해 무화회로(2)에 인가되므로 물의 무화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또 교류전원은 트랜스(T2)의 2차권선(T22) 및 정류회로(3)를 통해 일정수온유지회로(4)에 인가되므로 그 일정수온 유지회로(4)에서 무화통(5)내의 히터(6)구동을 제어함으로서 무화통(5)내의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된다.
즉, 정류회로(3)의 전원단자(Vcc)에서 출력된 직류전원은 저항(R3)을 통해 더미스터(TH1) 및 비교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다. 따라서, 이때 비교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검출전압(Vs)이 그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보다 높은 경우에는 그 비교증폭기(OP1)에서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신호는 트랜지스터(TR1)를 온시키게 되므로 그의 콜렉터전류가 흐르게 되어 릴레이(RY2)가 구동되고, 이와같이 릴레이(RY2)가 구동되면 그의 스위치(RY21)가 접속되므로 교류전원(AC)이 무화통(5)내의 히터(6)에 인가되어 그 히터(6)를 가열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무화통(5)내의 수온이 올라가게 된다.
이와같이 무화통(5)내의 수온이 올라감에 따라 더미스터(TH1)의 저항값이 감소되어 비교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검출전압(Vs)이 낮아지고, 이 검출전압(Vs)이 그 비교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보다 낮게될때 그 비교증폭기(OP1)의 출력단자에 저전위신호가 출력된다. 이 저전위신호는 트랜지스터(TR1)를 오프시키므로 릴레이(RY2)의 구동이 중지되어 그의 스위치(RY21)가 단락되고, 이에따라 무화통(5)내의 히터(6) 가열이 중단되어 수온은 다시 낮아지게 된다.
그런데, 비교증폭기(OP1)의 출력신호는 저항(R5)을 통해 더미스터(TH1) 및 저항(R4)의 접속점에 인가되므로 비교 증폭기(OP1)의 히스테리시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즉, 비교증폭기(OP1) 고정위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는 그 고전위신호가 저항(R5)을 통해 저항(R4) 및 더미스터(TH1)의 접속점에 인가되므로 비교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검출전압(Vs)을 실제전압보다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게되고, 또, 비교증폭기(OP1)에서 저전위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는 정항(R4)에 저항(R5)이 병렬접속된 상태로 되어 비교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검출전압(Vs)을 실제전압보다 하강시키는 작용을 하게된다.
이와같이 비교증폭기(OP1)에서 고전위신호 및 저전위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이 다르게 되므로 히터(6)의 가열시점과 오프시점을 달리할 수 있게되어 수온의 온도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준전압(Vref)을 적절히 설정시켜 놓음으로써 무화통(5)내의 수온을 무화에 적절한 온도범위로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무화통내의 수온을 소정범위에서 유지시킬 수 있게되므로 액체연료수 첨가 연소장치의 무화효율을 높일 수 있게되고, 또 히터의 구동시점 및 오프시점이 차이가 나므로 그 구동제어용 릴레이의 채터링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되고, 또 하나의 더미스터만을 사용한 구조이므로 그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원단자(Vcc)에 접속된 저항(R3) 및 수온감지용 더미스터(TH1)의 접속점을 기준전압(Vref)이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비교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고, 그 비교증폭기(OP1)의 출력단자를 히터(6)의 구동제어용 릴레이(RY1)가 콜렉터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저항(R5)을 다시통해 상기 더미스터(TH1)의 타측 및 저항(R4)의 접속점에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수첨가 연소장치의 일정수온 유지회로.
KR2019880004641U 1988-03-31 1988-03-31 액체연료수 첨가 연소장치의 일정수온 유지회로 KR930001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641U KR930001245Y1 (ko) 1988-03-31 1988-03-31 액체연료수 첨가 연소장치의 일정수온 유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641U KR930001245Y1 (ko) 1988-03-31 1988-03-31 액체연료수 첨가 연소장치의 일정수온 유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493U KR890019493U (ko) 1989-10-05
KR930001245Y1 true KR930001245Y1 (ko) 1993-03-22

Family

ID=1927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4641U KR930001245Y1 (ko) 1988-03-31 1988-03-31 액체연료수 첨가 연소장치의 일정수온 유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2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493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6239A (en) Non-continuous sensing apparatus for a temperature control
US3946198A (en) Electrical control system for an exhaust gas sensor
US4777350A (en) Heater with duty cycle controller
US4668854A (en) Humidification system
CA1203013A (en) Gas burner control system
US4800330A (en) AC power control
KR930001245Y1 (ko) 액체연료수 첨가 연소장치의 일정수온 유지회로
US4412809A (en) Oxygen density detecting device in combustor
US41915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essure ratio in high vacuum vapor pumps
JPS54117836A (en) Glow plug preheating time controller
SU118084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верки контактно-транзисторных реле-регул торов
JPH0337552Y2 (ko)
JPS6228709Y2 (ko)
SU112426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температуры
KR890005548Y1 (ko) 써미스터를 이용한 버스의 냉방온도 자동조절장치
SU1251205A1 (ru) Ре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SU646322A1 (ru) Регул тор темературы
SU1277071A2 (ru) Терморегул тор
GB1447679A (en) Voltage controller
KR910009238B1 (ko) 비례밸브 구동회로
SU881703A1 (ru) Регул тор
SU59319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температуры
KR880001251Y1 (ko) 냉난방기의 온도자동 조절회로
SU1151931A1 (ru) Регул тор температуры
KR900002677Y1 (ko) 보일러의 자동점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