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167B1 - 수세변기의 급수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수세변기의 급수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167B1
KR930001167B1 KR1019890009992A KR890009992A KR930001167B1 KR 930001167 B1 KR930001167 B1 KR 930001167B1 KR 1019890009992 A KR1019890009992 A KR 1019890009992A KR 890009992 A KR890009992 A KR 890009992A KR 930001167 B1 KR930001167 B1 KR 930001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supply
water
pipe
val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224A (ko
Inventor
슈-완 첸
Original Assignee
슈-완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완 첸 filed Critical 슈-완 첸
Priority to KR101989000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167B1/ko
Publication of KR91000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세변기의 급수 밸브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8도는 급수개시때의 밸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9도는 급수종료때의 밸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밸브본체 1a : 급.배수관부
11 : 급수관 12 : 배수관
1b : 저반부 1c : 덮개
22 : 배수파이프 2 : 급.배수파이프
21 : 급수파이프 23 : 걸링돌기
24 : 세로홈 25 : 가로홈
27 : 부착단부 29 : 배수구멍
3 : 이중밸브장치 3a : 주밸브
3b : 부밸브 32 : 밸브입구
33 : 밸브시이트 34 : 누름판
a : 주밸브실 b : 부밸브실
36 : 안내원판 37 : 볼록밸브
4 : 공통부 41 : 상부통(筒)
42 : 하부통 43 : 통기구멍
45 : 구멍 46 : 중간통
5 : 급.배수연결 통로부재 51 : 급수용 연락통로
52 : 배수용 연락통로 53 : 밸브시이트
54 : 밸브입구 57,58 : 통수구멍
본발명은 수세변기 등의 물탱크의 급수에 쓰이는 급수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세변기 등의 물탱크 급수 및 수면제어에 쓰이는 급수밸브장치는, 탱크안에 똑바로 세워 설치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 상단에 설치한 밸브장치와, 상기 밸브장치를 여닫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한 가늘고 긴 작동레버와, 상기레버의 일단에 설치한 플로우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급수밸브에서는 물탱크 안에 거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레버와, 용적이 상당히 큰 구(球)형상의 로드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전체의 구조와 외관이 별로 좋지 못하고 탱크 안에서 차지하는 장치의 스페이스도 클뿐아니라, 또 충분한 부력에 의해 플로우트를 부동시켜서 작동레버를 연동시킴으로써 밸브장치를 개폐제어하기 때문에 탱크 안에 충분한 물이 있어야 하며, 큰 탱크를 쓰지 않을 수 없고, 따라서 변기의 설치공간도 크게 잡는 동시에 수세 때에 물의 낭비도 불가피하며, 더우기 탱크 안의 수면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레버를 무리하게 구부리거나 또는 길이를 나사로 조정하거나 하기 때문에 조절이 불편하고 용이치 않으며, 또 크기가 다른 탱크에는 적용할 수 없어, 호환성과 공통성이 없는 데다가 장기간 사용후에는 종종 레버와 작동부재를 연결하는 나사가 느슨해져 밸브의 고장의 원인이 되며, 또한, 급수때의 물 소리가 요란하고, 밸브의 열려지는 정도는 플로우트의 상승에 따라 점점 작아져서 물의 량도 점점 줄고, 탱크가 찰 때 까지의 급수시간이 길어지며, 급수밸브의 고장시에는 공구를 사용해서 이것을 떼내고 다른 것으로 갈아야 되어 대단히 불편하고 또 급수밸브전체에 불룩튀어나온 부재가 많아서 전체의 부피가 커지며 취급하거나 포장하는 데도 불편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급수밸브장치는, 하단부가 부착단부에 형성되고, 이 부착단부의 약간 상방부에 배수구멍을 설치하며, 또한 배수구멍상방으로 연장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걸림 및 수면조절 수단을 설치한 이중통형상의 급수파이프와, 일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이중통 형상의 급.배수관부가 상기 급.배수파이프에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끼워 넣고, 타단에는 공기 입력실로 되는 신축자재의 공통부(空筒部)가 하방을 향해 튀어나오게 설치되고, 또한 이 공통부 상방의 몸체 내부에는 압력차에 의해 급수밸브입구를 개폐하는 주밸브와 이 주밸브와 공통부.상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 압력에 의해 작동되고, 주밸브의 상.하방의 압력에 변화를 일으켜 주밸브를 개폐하는 부밸브와를 갖춘 밸브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 밸브장치와 상기 급.배수관과의 사이에 급.배수용 연락통로 부재를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밸브본체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부의 압력차로 작동하는 이중 다이아프램밸브를 내장한 밸브본체와 이중통 형상의 급수파이프로서 된 급수밸브장치 전체가 단일화된 거의 밀폐식의 콤팩트한 구성이며, 종래의 플로우트, 작동레버, 기타 부재 및 이들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원추형접합(樞着)부재 등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고장률이 적고, 사용수명이 긴 이외에 밸브장치를 부착하는 높이와 수면을 간단히 조절할 수가 있고, 종래의 어떤 형태의 물탱크에도 사용할 수 있어, 공통성과 호환성이 있는 동시에, 밸브장치의 부착, 검사, 보수가 극히 용이하고, 보통사람 누구라도 간단히 조작할 수가 있으며, 또 독특한 급.배수 계통에 의해 급수때에 소음이 일어나지 않고 급수기간도 단축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급수밸브장치는 담뱃대모양의 밸브본체(1)와 이 밸브본체(1)의 통(筒)형상의 부분에 습동조절 자재토록 끼워넣어서된 급.배수파이프로써 구성된다.
밸브본체(1)는 특히, 제3도-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또 상단이 복수개의 연결편(13)에 의해 연결된 내측급수관(11)과 외측배수관(12)을 포함하는 이중통 형상의 급.배수관부(1a)와 이 급배수관부(1a)의 상단에 일단을 예컨대 나사(14)등의 부착수단으로 부착하고 타단에 급.배수관부(1a)와 직교해서 수평방향으로 점점 넓게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시모양의 저반부(底盤部)(1b)와 이 저반부(1b)에 스냅감합(嵌合)수단(15) 등에 의해 끼워맞추어져서 덮어지도록 하여 내부에 밸브실(16)을 가진 하우징을 형성하는 덮개(1c)와, 밸브실(16)내에 수용되도록 저반부(1b)상에 부착되고 주밸브(3a)와 부밸브(3b)를 상하로 대향하도록 배치하도록 설치하여 형성되는 이중밸브장치(3)와, 이 이중밸브장치(3)의 하방에 위치하고, 저반부(1b)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도록 저반부(1b)에 부착된 상부통(筒) (41)과, 이 상부통(41)의 자유단에 대해 축방향으로 습동자재토록 끼워맞춘 하부통 (42)에 의해 형성되는 신축자재의 공통부(空筒部)(4)와, 이중밸브장치(3)와 이중통 형상의 급.배수관부(1a)와의 상방에 설치되고, 일단이 급.배수관부(1a)의 상단 개구부와 연통하며, 타단이 밸브장치(3)의 상방에서 밸브시이트(53)와 급수밸브입구(54)를 형성하고 급수용 연락통로(51)와 배수용 연락통로(52)를 가진 급.배수용 연락통로 부재(5)로써 일체화되게 구성된 밸브본체 조립체이다.
급.배수파이프(2)는 특히 제2도 제3도 및 제5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내측의 중심부에 설치된 급수파이프(21)와, 이 급수파이프(21)를 포위하고 외주벽에 복수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돌기(23)을 축방향에 따라 전길이에 걸쳐 1열 내지 여러 개의 열로 설치하고, 걸림돌기(23) 사이에 적어도 한 줄의 세로홈(24)(이 실시예서는 90°간격을 줄이는 4줄의 홈)과, 이 세로홈(24)과 연통하는 복수개의 걸림용 가로홈(25)과를 형성하고, 하단에 플렌지부(26)와, 이 플렌지부(26)의 하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나사통 등의 부착단부(27)와를 가진 배수파이프(22)로써 구성된 이중파이프이며, 이 급.배수파이프(21,22)는 부착단부(27)를 돌출되게 설치한 상기 플렌지부(26)의 환상의 아랫벽(28)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플렌지부(26)에는 배수파이프 (22)의 내부 빈 부분 즉 환상의 배수통로와 연통하는 복수개의 배수구멍(29)이 설치되어 있다.
밸브본체(1)는 이중통 형상의 급.배수관부(1a)를 급.배수파이프(2)에 걸림수단을 통해 탈착자재토록 끼워넣어 붙여서, 본 발명의 급수밸브장치 완성품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배수관(12)의 하단부 내주벽에 설치한 적어도 1개의 걸림돌기(17)를 급.배수파이프(2)의 배수파이프(22)의 외주벽에 설치한 세로홈(24)의 상단에 끼워 맞추고 또한 급수관(11)이 급수파이프의 외주에 끼워맞추어지도록 급.배수관부(1a)를 급.배수파이프에 끼워넣고, 전자를 후자에 대해 임의의 높이(본 실시예에서는 A-A선의 곳까지) 삽입한 다음 회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면, 상기 돌기(17)가 그것에 대응하는 1쌍의 걸림돌기(23) 사이의 가로홈(25)안에 끼워져 맞추어지고, 여기서 걸림돌기(23)에 걸리게 되어 배브본체(1)와 급.배수파이프(2)가 탈착 및 조절자재토록 일체화하여 조립된 밸브장치조립체가 된다.
이중밸브장치(3)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실(16)의 상방에 위치하고, 중앙에 작은 직경으로 뚫어진 구멍(31)을 가진 고무질의 다이어플램(diaphragm)식 주밸브(3a)는 그 주연부가 중앙에 작은 직경의 밸브입구(32)와 하방으로 돌출하는 밸브시이트(33)와를 형성한 누름판(34)의 상방환상누름부(35)와, 상기 밸브시이트(53)와 급수밸브입구(54)와를 형성한 원통부(55)의 내주벽과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로서, 밸브(3a)의 상면 중앙부는 언제나 밸브시이트(53)의 급수밸브입구(54)를 폐쇄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두께가 얇은 다이어플램식 부밸브(3b)는, 누름판(34)의 하방에 설치한 가이드원판(36)과, 저반부(1b)의 중앙 凹부의 단부와의 사이에 그 주연부가 끼워져 지지된 상태로 밸브(3b)의 중앙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凸형 밸브부(37)가 가이드원판(36)의 중앙에 설치한 가이드구멍(38)안에 끼워맞추어지고, 또한, 상단이 밸브시이트(33)의 하단과 근소한 간극을 두어 대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누름판(34)은 그 외주연부를 저반부(1b)의 상방 원주벽에 설치한 감합부818)에 스냅으로 끼워맞춤으로써 저반부(1b)에 고정되어 있고, 또 가이드원판(36)은 그 주연부를 누름판(34)의 하면 주연부에 설치한 하방 환상누름부(39)와 저반부(1b)의 단부(19)와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누름판(34)과 부밸브(3b)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주밸브(3a)와 누름판(34)과의 사이 및 부밸브(3b)와 가이드원판(36)과의 사이에 각각 형성하는 주.부밸브실(a,b)은 주밸브(3a)와 부밸브(3b)가 압력의 변화에 따라 탄성변형을 일으킨 경우, 이 변형을 충분히 허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 저반부(1b)와 가이드원판(36)이 겹치는 적절한 곳에는 누름판(34)의 하방내부공간과 저반부(1b)의 기단부에는 밸브실(16)과 외부공간과를 연통케 하는 통기구멍(101)이 설치되어 있다.
공통부(空筒部)(4)는, 상단이 저반부(1b)의 중앙구멍내에 부착되고 그 상단벽에 복수개의 통기구멍(43)을 가지고 있으며, 하단이 개구를 이루는 원통형상의 상부통(筒)(41)과, 개구하는 상단을 0링(44)을 통해 상기 상부통(41)의 하단에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끼워맞추고, 하단의 저벽 중앙에 뚫어진 구멍(45)를 낸 원통형상의 하부통(42)으로 이루어지며, 이 하부통(42)을 상기 상부통(41)에 대해 망원경처럼 자유로이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배수용 연락통로부재(5)는, 제3도 및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의 원통부(56)가 급.배수관부(1a)의 상단에 끼워붙여지고 타단의 원통부(55)가 누름판(34)의 환상누름부(35)의 외주에 끼워붙여지며, 양단간에는 중간에 위치하는 급수용 연락통로(51)와, 그 바깥 둘레에 있는 환상 배수용 연락통로(52)와를 일체로 구성한 부재이다. 상기 급수용 연락통로(51)는 그 일단이 급수관(11)의 상단과 연통하고 타단은 주밸브(3a)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입구(54)와 연통하며, 상기 배수용 연락통로(52)는 그 일단이 복수개의 통수구멍(57)을 거쳐 밸브입구(54)의 둘레와 주밸브(3a)의 상반부에 형성된 빈 곳과 연통하며, 타단이 급수관(11)의 상단 외벽과 배수관(12)의 상단내벽과 연결편(13)과의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수구멍(58)을 거쳐 배수관(12)의 상단과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61, 62, 63, 64는 각각 급.배수파이프(2)와 급배수관부(1a) 사이 및 급.배수관부(1a)의 상단과 급배수용 통로부재(5)의 일단 사이에 설치된 0링이며, 각 파이프 사이의 수밀성(水密性)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밸브본체(1)의 급.배수관부(1a)과 저반부(1b)와를 별개로 성형하고, 나사맞춤 수단에 의해 일체로 연결할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 두개의 부재(1a, 1b)는 프라스틱의 사줄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해도 좋다. 공통부(4)의 상부통(41)과 저반부(1b)도 이처럼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또, 각 부재의 연결수단은 나사에 의한 나사맞춤, 스냅에 의한 끼워맞춤,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혹은 초음파 열에 의한 용착 등을 이용할 수가 있지만, 급배수용 연락통로 부재(5)와 누름판(34)은 밸브장치의 고장 때에 주.부밸브(3a,3b)의 검사 또는 교환의 편의를 위해 간단이 때어낼 수 있도록 스냅의 끼워맞춤 수단을 쓰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 71과 72는 급.배수파이프 (2)를 각각 수원(水源)파이프와 물탱크안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착너트와 팻킹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본체(1)에 설치한 급수관부(1a)의 급수관(11)의 하단을 하방으로 연장하여 부착단부(27)을 형성하고, 이 부착단부(27)을 가지고 직접 물탱크안의 수원파이프에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급.배수파이프(2)는 필요없어 진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급.배수파이프(2)를 사용한 목적은 밸브본체(1)가 급.배수파이프(2)에 대해 탱크안에서 높이가 조절되는 동시에 고장이 날 경우에 떼어내어 수리하는데 필요한 것이지마는, 만약, 조절할 필요가 없고, 또 코스트를 내릴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본 실시예와 같은 일정한 길이의 급.배수관부(1a)의 하단에 부착단부(27)을 설치한 밸브본체장치(1)만을 사용하면 된다.
제7도는 본 발명 급수밸브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구조는 수원파이프가 탱크 측벽의 상부에 부착된 수세변기의 물탱크에 적용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배수용파이프 부의 구조가 전기 실시예의 이중통 형상 급.배수용파이프장치(1a)의 그것과 형상, 위치, 구성에 있어서 약간 다를 뿐으로 실제로 전체적 기본원리, 작용,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면에 있어서 동일부재 또는 해당부재는 원칙적으로 같은 부호로써 표시한다.
상기 제1,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수관(11)과 배수관(12)이 같은 축에 배치된 이중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급수관(11)과 배수관(12)이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급수관(11)은 그 일단이 하방으로 수직되게 연장하는 신축조절자재의 다단식 배수관(12)의 기단부를 관통해서 본체(1)내부의 급.배수용 연락통로 부재(5)(제3도 참고)의 급수구에 연통하도록 그 기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부착단부(27)로 형성된 급수파이프로 구성되고, 한편 배수관(12)은 그 하단이 물탱크의 저벽에 근접하도록 신축조절자재의 텔레스코프형상의 다단식파이프(121, 122,123)로 구성되어 있다. 그 밖에 공통부(4)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2단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3단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부통(41)과 하부통(42) 이외에 중간통(46)을 1개 상,하부통(41,42) 사이에 설치했다. 이들 실시예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통부(4)는 필요에 따라 2단으로 부터 여러단의 신축가능한 구성할 수 있으나, 신축불가능의 고정식 공통(空筒), 즉, 상단벽과 하단벽에 각각 통기구멍(43,45)을 설치한 원형통을 1개만 사용하는 공통부(空筒部)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급수밸브장치는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급수밸브장치를 물탱크에 설치하는 경우는, 우선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배수파이프의 최하단의 부착단부(27)를,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급수관(11)의 하단의 부착단부를, 또 제 3 실시예의 경우에는 수평형상급수관(11)의 부착단부(27)을 너트(71)와 팻킹 (72) 등에 의해 탱크의 저벽 또는 측벽에 낸 부착구멍과 이 구멍의 하방에 있는 수원 파이프(도시않음)에 고정연결한 뒤에, 급.배수관부(1a)를 급.배수파이프(2)에 대해 적절한 높이로 조정하고(제 1 실시예), 또는 신축자재의 공통부(4) 내지 배수관(12)의 길이를 적절히 조정해서 (제 2 실시예, 제 3 실시예), 밸브장치의 부착을 완성한다. 이때 탱크 안에는 물이 아직 들어 있지 않으므로, 주밸브(3a)는 제 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입구(54)를 닫고 있으며, 도 부밸브(3b)는 그 凸밸브부(37)가 밸브시이트(33)와 근소한 간극을 벌리고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다음에 물을 수원으로 부터 급수밸브장치에 공급하면, 물이 제 8 도에서 화살표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급.배수파이프(2)의 급수파이프(21)의 하단으로 부터, 밸브본체(1)의 급수관(11)의 상단내부로 유입하거나 (제 1 실시예의 경우), 또는 직접 급수관(11)의 일단으로부터 연락통로부재(5)의 입수구측 일단으로 유입하여 (제2 및 제 3 실시예), 그로부터 급수용연락통로(51)을 거쳐 주밸브(3a)로 막고 있는 밸브입구 (54)에 들어가고, 이 수압에 따라 주밸브(3a)를 하방으로 탄성변형시킴으로써 밸브입구(54)를 열며, 따라서 물은 다시 밸브입구(54)와 통수구멍(57)과를 연통하는 연결하는 주밸브실(a)과 통수구멍(57)을 거쳐 배수용연락통로(52)에 유입되며, 배수관(12)의 상단에 설치된 통수구멍(58)으로부터 (제 3 도 참조) 배수관(12)의 내벽과 급수관 (11)의 외벽사이에 형성한 환상배수통로와 배수파이프(22)를 경유하여 하방으로, 마지막에는 배수구멍(29)으로부터 탱크안에 유입하여 급수를 행하는 것이다. 이 급수상태는 제 1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는 것이지만, 제2 및 제 3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통수구멍(58)으로 부터 배수관(12)를 거쳐 배수관(12)의 하단으로부터 직접 탱크안으로 급수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있어서 극히 적은 물이 주밸브(3a)의 작은 구멍(31)과 누름판(34)의 밸브입구(32)를 거쳐 가이드원판(36)의 상방의 부밸브실(b)안에 유입하고, 방수구멍(10)으로부터 탱크안으로 방출된다.
탱크안의 수면이 급수에 의해 점점 상승하고, 공통부(4)의 하단구멍(45) 이상에 이르면, 제 9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의 물이 구멍(45)으로 부터 공통부(4)의 내부로 들어가로 부밸브(3b) 이하와 공통부내의 수면 이상의 빈 곳, 특히 공통부(4)의 내부의 빈곳이 밀봉실로 되며, 그 공간 내에 그때까지 존재하고 있던 공기가 수면의 상승에 의한 실내용적의 감소에 따라 내기압이 점점 높아져, 이 증압된 공기가 통기구멍(43)을 거쳐 부밸브실(b)의 하방으로 들어가고, 이 공기압 부밸브실(b)의 상방압력보다 높아지는 시점에서 부밸브(3b)를 상방으로 변형하도록 밀어올리며, 凸밸브부(37)가 안내원판(36)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38)으로 끼어 들어가 밸브입구 (32)를 막아버린다. 이때 부밸브(3b)의 공기압을 받는 유효면적이 수압을 받는 누름판 (34) 밸브시이트(33)의 밸브입구(32)의 유효면적에 비해 심히 크기 때문에 부밸브 (34)는 용이하게 상하면의 압력차에 의해 밸부입구(32)를 확실히 막을 수가 있게 된다.
밸부입구(32)가 닫힌 뒤, 주밸브(3a)상방의 물이 구멍(31)을 거쳐 주밸브(3a)의 하방 빈 곳으로 들어가고, 이 빈 곳의 수면이 상승함에 따라 수면과 주밸브(3a)의 하면사이의 빈 곳의 내부용적이 감소하고, 이 빈 곳 내의 내부압력이 상승해서 드디어는 주밸브(3a)의 탄성회복력과 합쳐져 주밸브(3a)를 밀어 올려 밸브입구(54)를 닫아버림과 동시에 주밸브(3a)의 상면에 있어서 밸브시이트(53)를 둘러싼 빈 곳에 고인 물은, 급수가 중단된 뒤, 배수관내에 남은 물이 배출되어서 관내에 생기는 진공에 의해 통수구멍(57)으로부터 빨려나간다. 최종적으로 주밸브(3a)가 밸브입구(54)를 닫음으로써 탱크안으로의 급수는 중단되며 아울러 수면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한다. 이때 주밸브(3a)의 하면에 생기는 공기압의 주밸브(3a)의 상면의 밸브입구(54)로부터 생기는 수압보다 크기 때문에 주밸브(3a)는 밸브입구(54)를 확실히 폐쇠할 수가 있게 된다.
수세를 위해, 탱크 안의 배수밸브(미도시)를 개방하면, 탱크 내의 물이 급속히 방출되어 수면이 낮아지는 것이지만, 수면 공통부(4)의 하단보다는 아래로 내려가면, 공통부(4)안의 공기압이 구멍(45)으로부터 방출되어, 부밸브(3b)는 탄성복원력으로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고, 凸밸브부(37)의 밸브입구(32)에 대한 폐쇠를 해방한다. 밸브입구(32)가 개방되면, 주밸브실(a) 안의 주밸브(3a)의 하면에 고인 물이 밸브입구 (32)로 부터 부밸브실(b)안으로 유출하고, 주밸브실(a) 안에는 대기압으로 돌아간 공기만이 남게 되므로 주밸브(3a)가 밸브입구(54)의 수압에 의해, 제 8 도에 나타내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 밸브입구(54)를 개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다시 탱크에의 급수를 행하는 것이다.
만약 물탱크의 크기나 높이 등에 따라 밸브장치의 부착높이 및 물탱크 수면의 높이를 조정해야 한다면, 그것은 아래의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즉, 밸브본체(1)를 걸림돌기(17)가 급.배수파이프(2)의 세로홈(24)에 들어가도록 회동한 다음, 축방향으로 미끄러지게 움직여 원하는 위치에 멈춘뒤 밸브본체(1)을 회동시켜서 돌기(17)를 대응위치의 가로홈(25)안에 들어가게 하면, 돌기(17)가 홈(25)의 상하 걸림돌기(23)에 걸리게 되고, 밸브본체(1)는 급.배수파이프(2)에 대하여 원하는 높이의 위치에 유지되며, 이러한 조작에 의해 수면 높이도 동시에 조정된다. 만약 상기 조작과는 달리 밸브장치 부착후, 밸브본체를 움직이지 않은 채 수면을 조정하는 경우라면, 단지 다단식공통부(4)의 하부통(42)을 상부통(41)에 대해 상방으로 올려 줄이든가 혹은 당겨 늘이든가 해서 간단히 수면의 높이를 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밸브실 내의 상하 압력차에 의해 이중다이어플램밸브장치의 개폐를 제어하고, 또 밸브장치와 급.배수관이 일체화된 조립체로 구성되어, 플로우트레버, 플로우트 및 그 밖의 원주형접합(樞着) 연결 부재 등을 일체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체의 구조가 대단히 콤팩트해지고, 다루기가 편리한 데다가 조립과 부착작업마저 극히 용이하며 기존의 각종 수세변기 물탱크에도 사용할 수 있는 공통성과 호환성이 있고, 게다가, 급수시간이 단축되고, 또 탱크의 저벽에 근접하는 배수구멍으로부터 탱크 안에 급수를 행하므로 급수시의 소음이 없고, 급수량도 시종 일정하게 유지되어 수면의 조정과 밸브장치의 보수가 용이한 점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접시모양의 저반부(b)와, 이것에 탈착자재토록 부착함으로써 내부에 밸브실 (16)을 가진 하우징을 형성하는 덮개(1c)와, 상기 저반부(1b)의 일단 저부에 기단을 부착하고 자유단이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급수관(11)과 배수관(12)과를 동축으로 습동조절 자재토록 배치하여 되는 이중통 형상의 급배수관부(1b)와, 그리고 상기 밸브실(16)의 내부에 설치한 밸브장치로 구성되는 수세변기의 급수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반부(1b)의 거의 중앙저부에 기단을 부착하고 자유단이 하방으로 돌출하는 공통부(45)를 설치하며, 상기 밸브실의 내부에 설치한 밸브장치는 밸브실내에서 하방이 공통부(4)의 상단과 대향하도록 저반부(1b)의 상방에 설치되어 압력차에 의해 급수밸브입구(54)를 개폐하는 상방의 주밸브(3a)및 그 주밸브(3a)의 하방과 공통부(4)의 상단과의 상이에 설치되어 공통부(4)의 내부에 생긴 공기압력에 의해 주밸브(3a)와 부밸브(3b)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누름판(34)에 설치된 작은 직경의 밸브입구(32)를 개폐하는 하방의 부밸브(3b)와를 구비한 이중밸브(3)와, 이 이중밸브장치(3)와 급배수관부 (1a) 사이의 밸브실(16)내에 설치되고 일단이 급배수관부(1a)의 상단개구부와 연통하여 이 개구단에 부착되며 타단이 이중밸브장치(3)의 주밸브(3a)와 대향하는 급수밸브입구(54)와 주밸브(3a)의 지지외 통과를 형성하여 누름판(34)에 부착된 중앙의 급수용 연락통로(51)와 그 외환에 있는 배수용 연락통로(52)와를 가진 급배수용 연락통로부재(5)를 구비하여 되는수세변기의 급수밸브장치.
  2. 상기 급.배수관부(1a)의 급수관(11)과 배수관(12)이 거의 직교하도록 분기형상으로 형성된 특허청구 범위 제 1 항의 수세변기의 급수밸브장치.
  3. 상기 급수관(11)의 기단 관입구가 급.배수용 연락통로부재(5)의 급수용 연락통로(51)의 입수구(入水口)에, 또 배수관(12)의 기단 관입구가 급.배수용 연락통로부재 (5)의 배수용 연락통로(52)의 배수구에 각각 연통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급수관(11)의 자유단이 부착단부(27)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범위 제 1 항, 제 2 항의 수세변기의 급수밸브장치.
  4. 상기 공통부(4)는, 일단이 저반부(1b)에 부착되고 그의 단면에 부밸브실(b)에 통하여 연결하는 복수개의 통기구멍(43)을 가지며, 타단이 개구를 형성하는 상부통 (41)과 개구부의 단이 기밀링을 통해 이 상부통(41)의 하단 개구부에 대해 텔레스코프 모양으로 자유로이 신축할 수 있게 부착되고 자유단의 단면에 1개의 구멍(45)을 가진 적어도 1개의 하부통(42)으로서 형성되는 다단식공통(空筒)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수세변기의 급수밸브장치.
  5. 상기 이중밸브장치(3)는, 중앙에 작은 직경의 구멍(31)을 설치하고, 상면이 항상 급수밸브입구(54)를 폐쇄하도록 설치한 다이어플램식 주밸브(3a)와, 저반부(1b)에 부착되어 밸브장치의 내부를 주밸브실(a)과 부밸브실(b)로 구분하는 동시에 주밸브 (3a)의 주연을 누르도록 배치되며 중앙에 작은 직경의 밸브입구(32)를 설치한 누름판 (34)과, 이 누름판(34)의 하방에 위치하고 중앙에 상기 밸브입구(32)와 대향하는 가이드 구멍(38)을 설치한 가이드원판(36)과, 이 가이드원판(36)이의 하방에 위치하고 중앙에 凸형 밸브부(37)가 가이드구멍(38)에 끼워 맞추어져서 밸브입구(32)와 근소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저반부(1b)와 가이드원판(36) 사이에 설치된 다이어프램식 부밸브(3b)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수세변기의 급수밸브장치.
KR1019890009992A 1989-07-13 1989-07-13 수세변기의 급수 밸브장치 KR930001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992A KR930001167B1 (ko) 1989-07-13 1989-07-13 수세변기의 급수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992A KR930001167B1 (ko) 1989-07-13 1989-07-13 수세변기의 급수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224A KR910003224A (ko) 1991-02-27
KR930001167B1 true KR930001167B1 (ko) 1993-02-20

Family

ID=1928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992A KR930001167B1 (ko) 1989-07-13 1989-07-13 수세변기의 급수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534B1 (ko) * 2006-04-13 2013-04-23 마에자와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흡기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534B1 (ko) * 2006-04-13 2013-04-23 마에자와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흡기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224A (ko) 199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174A (en) Fill valve float arm connection
US4094327A (en) Fluid control device
US6382586B1 (en) Flush valve assembly with flex tube
JP5123428B2 (ja) 真空弁の制御装置
US4765363A (en) Intake valve for toilet tank
CA2148235C (en) Vacuum toilet discharge valve
CA1316898C (en) Flushometer relief valve
JPS5949381B2 (ja) 洗浄弁
MX2008009653A (es) Derivacion doble para valvulas de limpieza automatica del tipo de diafragma.
US11885432B2 (en) Rigid piston valve incorporating a solenoid
US4013091A (en) Float-controlled valve
GB2187287A (en) Adjustable vacuum breaker fill valve
KR930001167B1 (ko) 수세변기의 급수 밸브장치
US6478044B2 (en) Snap-action piloted fill valve
JP2012077473A (ja) 真空弁装置
JPH07116737B2 (ja) 水洗便器における給水弁装置
GB2072232A (en) Water closet siphon device
US6539973B1 (en) Water pressure-assisted flush valve
JPH0515931Y2 (ko)
CN117027123A (zh) 一种下水器
GB2241258A (en) Flush mechanism for toilet cistern
CA2255466A1 (en) Vacuum toilet discharge valve
JP2015172312A (ja) 真空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