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937B1 -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취급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취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937B1
KR930000937B1 KR1019880006867A KR880006867A KR930000937B1 KR 930000937 B1 KR930000937 B1 KR 930000937B1 KR 1019880006867 A KR1019880006867 A KR 1019880006867A KR 880006867 A KR880006867 A KR 880006867A KR 930000937 B1 KR930000937 B1 KR 930000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gage
tag
carrier
conveyor
cat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276A (ko
Inventor
히데아끼 노자와
Original Assignee
시라가와 시로우
히데아끼 노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라가와 시로우, 히데아끼 노자와 filed Critical 시라가와 시로우
Priority to KR1019880006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937B1/ko
Publication of KR90000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8Arrangements or installations for routing, distributing or loading ba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7/00Affixing t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4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bodily destination marks on either article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4Lu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취급장치
제1도는 탑승수속대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태그의 사시도이다.
제3a도-제3d도는 태그 부착용 테이프 접착장치의 작동상태를 교시하는 도면이다.
제4a도는 본베이어의 한 부분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4b도-제4d도는 태그캐쳐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4(e)도는 전환부의 측면도이다
제5도는 캐리어와 가이드레일의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적재부의 사시도이다.
제7a도-제7c도는 수하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8a도와 제8b도는 콘베이너의 한 부분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9도는 수하물 처리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0도는 제9도에 표시된 수하물 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1도는 제9도에 표시된 수하물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제12도는 제9도에 표시된 수하물 처리장치에서의 수하물 도입부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하물 T : 태그
t2: 태그보디 20 : 태그캐쳐
21a,21b,21c : 진공가이드 30 : 캐리어
31 : 가이드레일 34,35 : 바퀴
38 : 전동기 50 : 수하물 적재기
52 : 에어실린더 52A : 포크
52B : 램 53 : 홀더
55 : 컬럼 56 : 프레임
본 발명은 공항에서의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취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하물을 운반하고 콘테이너에 적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수하물이 다음과 같이 처리되었다. 탑승수속대의 직원은 탑승수속시에 기착지 공항이름과 수하물 번호가 기록된 태그(tag)을 수하물에 부착한다.
수속이 완료된 수하물은 기착지별로 분류되며, 분류된 수하물은 콘베이어에 의해 콘테이너 하치장으로 운반되고, 작업원에 의해 해당콘테이너에 적재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1개의 수하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제한된 짧은 시간에 많은 량의 수하물을 처리하는 것은 어려웠다.
한편, 수하물을 급히 취급하는 과정에서, 수하물을 잘못 분류하거나 또는 빠뜨리는 실수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하물을 자동으로 신속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수하물 취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그보디와 태그 부착용 테이프가 있으며, 태그보디에는 수하물을 식별할 수 있는 기록이 기록된 태그, 태그 부착용 테이프를 수하물에 부착시키는 부착장치, 태그가 부착된 수하물을 이송하는 콘베이어, 수하물의 이송중에 태그를 잡는 캐쳐, 캐리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캐리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이송된 수하물을 콘테이너에 적재하는 수하물 적재기 등으로 구성된 수하물 취급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캐쳐는 각각 다수의 진공노즐이 있는 진공가이드로 구성되며, 캐리어에는 바퀴가 있고, 이 바퀴는 전동기에 의해 구성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며, 탑승수속대(11)에는 표시장치(10),(14)와 키보드(13)가 있다. 탑승수속대(11)에서는, 키보드(13)의 조작에 의해, 도착지 공항명, 좌석번호, 수하물번호, 수하물의 수량 등과 기타사항이 탑승권에 인쇄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태그(T)에는, 도착지 공항명과 수하물번호를 표시하는 바아코드가 인쇄된다.
태그(T)는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태그 부착용 테이프(t1)와 태그보디(t2)로 구성되어 있다. 수하물(L)이 승강기(15)에 놓여지면, 수하물(L)이 계량봉 (weigh ing bar)(12)과 인접한 곳에 도달할때까지 승강기(15)가 상승한다.
제1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수하물(L)이 계량봉(12)에 매달리면서 수하물의 중량이 측정되며, 표시장치(14)에 표시된다. 중량의 측정이 완료되면, 슬리트(12A)로부터 태그(T)가 공급되며,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수속이 완료된 수하물의 손잡이 (H)에 태그(T)가 부착된다.
제3a도는, 한쌍의 봉으로 구성된 계량봉(12)에 수하물(L)이 매달려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태그(T)는 제3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지지판(2a),(2b)으로 구성된 홀더(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홀더(2)와 수령부재(receiving member)(3)는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서 돌출한다.
테이프(t1)의 중앙에는 절곡부(t3)가 있으며, 테이프의 앞부분(t4)이 손잡이(H)의 외면에서 절곡부(t3)로 부터 꺽여 매달려진다.
수령부재(3)는 핸들(H)로부터 돌출하여, 테이프(t4)의 하단부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그후, 테이프의 앞부분(t4)의 하단부가, 수령부재(3)의 돌기(3a)의 안쪽 벽 근처에서, 수령부재(3)의 윗면에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서, 홀더(2)가 약간 하강한 후, 그리퍼(4)가 돌출하여, 테이프의 앞부분(t4)의 하단부는 돌기(3a)와 그리퍼(4)의 선단부 사이에서 맞물려 있게 된다.
그리고, 홀더(2)가 하강하고, 수령부재(3)와 그리퍼(4)에 대해서 홀더(2)가 눌려지므로써, 테이프(t1)에 있는 접착제(5)가 테이프의 앞부분(t4)에 접착되면서, 제3d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태그(T)가 손잡이(H)에 부착된다. 그리고, 홀더(2), 수령부재 (3), 그리퍼(4)등이 태그(T)로부터 후퇴한다.
그후, 승강기(15)가 하강하며, 수하물(L)은 승강기(15)의 벨트콘베이어(15a)에 의해 콘베이어(16)로 이송되며, 장치(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 의해 수하물(L)이 놓여진다.
놓여진 수하물(L')은 포오크(19)에 의해 콘베이어(18)로 이송된다. 제4a -제4d도를 참조하며, 콘베이어(18)의 상부에는 태그캐쳐(tag catcher)(20)가 설치되어 있다.
태그캐쳐(20)는 문형프레임(portal frame)(20a)과 각각 다수의 진공노즐 (26)이 있는 3개의 진공가이드(21a),(21b),(21c)로 구성되어 있다.
진공가이드(21a)는 지점(22)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선회작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진공가이드(21b)는 측면을 따라서 미끄럼운동을 하고, 진공가이드(21c)는 화살표방향을 따라서 선회작동한다.
제4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진공가이드(21a)와(21b)중의 어느 한 진공가이드가 태그보디(t2)를 흡인하면, 진공가이드(21c)는 제4c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태그보디 (t2)는 진공가이드(21c)를 따라서 이동하여, 태그피이더(30a)로 유도된다.
태그보디(t2)는 태그피이더(30a)내부의 로울러(23)를 거쳐서 캐리어(30)로 유도된다.
캐리어(30)에는 캐그보디(t2)를 잡기 위해서, 전자석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의 닙로울러(nipping roller)(24)가 설치되어 있다. 제5도를 참조하며, 캐리어(30)는 단면이 T형이며, 캐리어보디(32)와 센터레그(center leg)(33)로 구성되며, 센터레그 (32)의 각 면에는 각각 2쌍의 바퀴(34),(35)가 설치되어 있다.
캐리어(30)는 가이드레이(31)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레일(31)은 바닥면(31A)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플렌지(31B)로 형성된다. 각쌍의 바퀴(34),(35)는 가이드레일(31)의 플랜지(31B)의 윗면과 아래면에서 각각 지지된다. 캐리어(30)에는 4개의 상부바퀴(34)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38)와 태그(T)의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판독기(37)가 설치되어 있다. 태그보디(t2)는 슬리트(32A)로 삽입되며, 닙로울러(24)에 의해 지지된다(제4c도)
센터레그(33)의 한쪽면에는, 바퀴(34)를 회전시키는 전동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전류를 공급하며, 가이드레일(31)의 내면 벽에 설치된 집전레일(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과 연결되는 한쌍의 집전슈(36)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캐리어(30)는, 수하물(L)을 이송하는 콘베이어(18)의 이송속도와 동조하여, 레일(31)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송중인 수하물(L)을 도착지 공항별 콘테이너 하치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부(S)가 설치되어 있다.
제4a도와 제4e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전환부(S)에는, 축(18S)에 고정되어 있으며, 축(18S)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선회작동하는 전환판(18X)이 설치되어 있다. 캐리어(30)의 카드판독기(37)는 도착지 공항명을 판도가여 신호를 발생하며, 발생된 신호에 따라서 축(18S)이 해당하는 공항명 쪽으로 선회한다.
그러므로, 수하물(L)은 분기콘베이어(18A)로 전환이거나 또는 가이드레일 (31X)을 따라 계속 이송된다.
제4e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수하물(L)의 분기콘베이어(18A)로의 전환을 위하여, 분기본베이어(18A)의 일부분은 하강하였다가 상승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제6도와 제7a도-제7c도를 참조하며, 분기콘베이어(18A)에는 측정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측정장치(40)는 수하물(L)의 가로, 세로, 높이를 측정하는 광학식 측정장치(41),(42)로 구성된다. 측정된 크기를 표시하는 데이터는 수하물 적재기(59(의 제어유니트(51)로 입력된다.
수하물 적재기(50)는, 회전판(54)에 설치된 컬럼(55), 미끄럼 작동이 가능하도록 컬럼(55)에 설치된 프레임(56), 신축작동하는 램(52B),(52C)이 있는 에어실린더 (52), 홀더(53), 프레임(56)으로부터 분기콘베이어(18A)쪽으로 돌출작동하는 포크 (52A)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리어(30)에 의해 이송된 수하물(L)의 태그(T)는 홀더(53)에 삽입되며, 여기에서 물려진다. 프레임(56)에는 컬럼(55)에 설치된 리드스크류에 체결된 너트가 설치되어 있다.
리드 스크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56)이 상승하여, 콘테이너(60)의 해당하는 수납공간이 있는 위치까지 수하물(L)을 이동시킨다. 제어유니트(51)에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수하물(L)을 적재하기에 적합한 공간이 선택된다.
공간이 선택되면, 회전판(54)이 90도 각도 회전하며, 램(52B),(52C)이 신장되어, 포크(52A)에 놓여있는 수하물(L)을 콘테이너(60)에서의 선택된 공간으로 집어넣는다. 제8a도와 제8b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테이너(60)에는 다수의 선반 (61)이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선반에는 포크(52A)가 삽입되는 다수의 홈(61A)이 형성되어 있으며, 포크(52A)가 홈(61A)에 삽입되므로써, 수하물(L)이 선반(61)에 적재된다. 적재가 완료되면 포크(52A)는 본래의 위치로 후퇴하며, 수하물 적재기(50)는 최초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렇게 하여, 콘네이너(60)에 적재된 다수의 수하물이 에이프런(apron)으로 이송되어, 이곳에서 항공기에 적재된다. 특별한 크기의 수하물은 분류판(63)에 의해 분류되며, 콘베이어(64)에 의해 별도의 콘테이너에 적재된다. 특별한 크기의 수하물은 분류판(63)에 의해 분류되며, 콘베이어(64)에 의해 별도의 콘테이너(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로 이송된다. 수하물(L)이 분기콘베이어(18A)와 캐리어(30)에 의해 이송된다고 하였지만, 수하물(L)은 캐리어(30)에 의해서만도 이송될 수 있다. 제9도와 제10도에는, 도착된 수하물에 대한 수하물 처리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수하물 처리장치는, 상부에 가이드레일(71)이 있으며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 로울러 콘베이어(72), 복수의 캐리어(70),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카드판독기 (73), 카드판독기(73)사이에 설치된 슈트(74), 슈트(74)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토퍼 (7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71)과 캐리어(70)는 그 구조와 작동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레일 (31)과 캐리어(30)의 경우와 동일하다. 수하물의 도입부에는, 도착된 수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수화물 받침대(76)가 설치되어 있다.
수하물 받침대(76)에서는, 캐리어(70)가 도착된 수하물의 태그(T)를 잡게되며, 도착된 수하물은 캐리어(70)에 의해 콘베이어(72)를 따라서 이송된다. 탑승객이 어느한 카드판독기(73)의 슬리트(73A)에 탑승권(P)을 삽입하면, 카드판독기(73)는 탑승권(P)에 인쇄된 수하물 번호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판독한다.
캐리어(70)에는 태그(T)에 표시된 수하물 번호를 판독하고 수하물 번호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카드판독기가 설치되어 있다. 탑승권(P)이 삽입된 카드판독기 (73)를 통과한 캐리어(70)로부터의 신호가 탑승권의 번호와 일치하면, 카드판독기 (73)는 해제신호를 발생시킨다.
캐리어(70)는, 카드판독기(73)로부터의 해제신호에 의해, 수하물의 지지상태를 해제하며, 수하물은 슈트(74)를 따라서 스토퍼(75)까지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므로써, 탑승자는 자신의 수하물을 찾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는데,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를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될 것이다.

Claims (4)

  1. 태그보디(t2)와 태그부착용 테이프(t1)가 있으며, 태그보디(t2)에는 수하물을 식별할 수 있는 기록이 기록된 태그(T), 카드판독기(37), 태그(T)가 부착된 수하물을 이송하는 콘베이어(18), 이송된 수하물을 콘테이너(60)에 적재하는 수하물적재기(50)등으로 구성된 수하물 취급장치에 있어서, 태그부착용 테이프(t1)를 수하물(L)에 부착하는 부착장치(2,12,13),수하물(L)의 이송중에 태그(T)를 잡는 태그캐쳐(20), 태그캐쳐(20)에 의해 잡혀진 태그(T)를 잡아서 지지하는 캐리어(30), 캐리어(30)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0), 가이드레일(31)을 따라서 캐리어(30)를 구동시키며, 캐리어(3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38)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취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태그캐쳐(20)는 각각 다수의 진공노즐(26)이 있는 진공가이드 (21a),(21b),(21c)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취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30)에는 바퀴(34),(35)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퀴(34) ,(35)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에 전동기(38)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취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수하물 적재기(50)는, 회전판(54)에 설치된 컬럼(55), 미끄럼 작동이 가능하도록 컬럼(55)에 설치된 프레임(56), 신축작동하는 램(52B),(52C)이 있는 에어실린더(52), 태그(T)를 잡는 홀더(53), 콘베이어(18A)위의 수하물(L)을 집어올리기 위하여 프레임(56)으로부터 콘베이어(18A)쪽으로 돌줄작동하는 포크 (52A)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처리장치.
KR1019880006867A 1988-06-08 1988-06-08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취급장치 KR93000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867A KR930000937B1 (ko) 1988-06-08 1988-06-08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취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867A KR930000937B1 (ko) 1988-06-08 1988-06-08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취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276A KR900000276A (ko) 1990-01-30
KR930000937B1 true KR930000937B1 (ko) 1993-02-11

Family

ID=1927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867A KR930000937B1 (ko) 1988-06-08 1988-06-08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취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59B1 (ko) * 2008-09-30 2012-02-24 한국공항공사 스케일컨베이어의 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59B1 (ko) * 2008-09-30 2012-02-24 한국공항공사 스케일컨베이어의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276A (ko) 199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2203A (en) System for handling baggages of passengers
CN114620398B (zh) 对象处理系统
US5406770A (en) Packaging apparatus for random size articles
JP3047571B2 (ja) 臨床検査用装置
JP2909100B2 (ja) アナライザ
US6789660B1 (en) Conveyor system with buffer arrangement
EP0556037B1 (en) Baggage handling system
WO1999005053A9 (en) Robotic container handler system
JPS6315164A (ja) 生化学分析装置のテストパツク選択供給装置
CN103983797B (zh) 容器分类装置、样本处理系统及容器分类方法
JPH11500224A (ja) 装置と方法
CN109051158A (zh) 一种贴签机及其贴签方法
CN211593186U (zh) 一种在线点料计数机
JPH10509094A (ja) 搬送物品を仕分けするための装置
PT675458E (pt) Processo automatico de etiquetagem e de controlo de bolsas de sangue em retorno de analise e maquina para a sua aplicacao
KR930000937B1 (ko) 항공기 탑승자의 수하물 취급장치
CN111186620B (zh) 一种采样处理装置及方法
US202301237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etection processing with velocity matching
EP0819470A1 (en) Automatic bar code label applying apparatus for test tubes
US4690283A (en) Parcel sorting apparatus
CA1291062C (en) System for handling baggages of passengers
CN212423767U (zh) 一种采样处理装置
CN210762506U (zh) 自动引导车及货物分发系统
CN111665856A (zh) 自动引导车、供件装置、物品分发系统及控制方法
CN210166660U (zh) 自动引导车、供件装置及物品分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