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840Y1 - 광 픽업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광 픽업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840Y1
KR930000840Y1 KR2019870014007U KR870014007U KR930000840Y1 KR 930000840 Y1 KR930000840 Y1 KR 930000840Y1 KR 2019870014007 U KR2019870014007 U KR 2019870014007U KR 870014007 U KR870014007 U KR 870014007U KR 930000840 Y1 KR930000840 Y1 KR 930000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yoke
drive
lens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4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501U (ko
Inventor
윤화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4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840Y1/ko
Publication of KR8900055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5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40Y1/ko

Link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 픽업 구동장치
제1도는 종래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장치에서 트랙킹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픽업 베이스 2 : 구동장치 베이스
3 : ㄷ자형 요크 4 : 댐퍼지지대
5 : 가이드축 6 : 슬라이드 베어링
7 : 렌즈암 8 : 대물렌즈
9 : 고무댐퍼 10 : 강사성체
11 : 촛점구동 코일 12 : 트랙킹 구동코일
13 : 자석
본 고안은 광픽업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동부의 무게를 감소시켜 구동장치의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절감시킨 광픽업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픽업 구동장치는 광픽업 베이스(21)에 구동장치 베이스(22)가 나사(23)로 고정되고 구동장치 베이스(22)위에 요크(24)가 나사(25)로 고정되어 있으며. 요크(24)위에는 자석(26)과 자석플레이트(27)가 접착되고 보빈(28)이 자석 플레이트(27)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다. 그 보빈(28)의외주면에는 촛점 구동코일(29)과 트랙킹 구동코일(30)이 감겨져 있으며 보빈(28)의 상면에는 렌즈암(31)이 접착되고 그 렌즈암(31)위에는 원통고무댐퍼(32)가 접착됨과 아울러 원통고무댐퍼(32)의 윗면은 고무댐퍼 지지캡(33)에 접착되며 고무댐퍼 지지캡(33)은 구동장치 베이스(22)에 나사(34)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광픽업 구동장치는 요크(24)와 자석플레이트(27) 사이의 공간에는 자석으로 인한 자석이 흐르게 되며, 그 자석 가운데 촛점 구동코일(29)과 트랙킹 구동코일(30)이 있어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면 힘이 생성되어 촛점 구동이나 트랙킹 구동이 행하여지며. 이때 원통고무댐퍼(32)는 촛점구동이나 트랙킹 구동 범위가 어느범위에 달하면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키며 댐핑을 주는 역할을 한다. 트랙킹 구동에서는 트랙킹구동코일(30)에서 힘을 받아 제2도의 (a)에서 (b)로 회전하면서 트랙킹을 하게 되며 어느 정도 회전하게 되면 원통고무댐퍼(32)의 비틀림 복원력에 의하여 (b)상태에서 (a)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광픽업 구동장치는 가동부가 실린더 타입으로 되어 있고 구동코일이 보빈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가동부의 무게가 무거워 응답성이 좋지 않고 구동에 많은 소비전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픽업 베이스(1)에 구동장치 베이스(2)가 고정되고 구동자치 베이스(2)의 상면에는 2개의 ㄷ자형 요크(3)와 고무댐퍼 지지대(4)가 고정되어 있으며, 가이드축(5)이 중간부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축(5)에는 슬라이드 베어링(6)을 개재하여 렌즈알(7)이 고정되어 렌즈암(7)이 가이드되면서 움직이게 되어있다.
렌즈암(7)의 일단부에는 대물렌즈(8)가 고정되고 타측단부에는 판형고무댐퍼(9)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고무댐퍼(9)의 타측 단부는 고무댐퍼 지지대(4)에 고정되어 트랙킹 구동이 되었다가 신호가 끊어지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되어 있다.
ㄷ자형 요크(3)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렌즈암(7)의 부분에는 원통형 촛점구동을 강자성체(10)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그 강자성체(10)의 주위에는 촛점 구동코일(11)이 감겨져 있으며 그 양측에는 트랙킹코일(12)이 4각으로 감겨져 접착되어 있다. 요크(3)에는 상.하로 극이 형성된 자석(13)이 고정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4는 디스크를 보인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촛점 구동코일(11)에 전류를 인가하면 렌저의 법칙에 따라 강자성체(10)가 강한 자석이 되며 강자성체(10) 아래부분의 극이 자석(13)의 윗부분극과 같게 되므로 자석간의 척력에 의하여 렌즈암(7)이 부상하여 촛점 구동을 하게 된다.
또한 트랙킹 구동코일(12)에 전류를 인가하면 트랙킹 구동코일(12)의 단부에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좌.우방향의 힘이 형성되어 렌즈암(7)을 좌.우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코일단부의 한쪽은 통과하는 자속을 크게하고 나머지 한쪽은 자속을 적게하여 이 자속의 차로 인해 렌즈암(7)이 좌.우로 트랙킹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가동부의 무게가 종래에 비하여 감소됨으로써 구동장치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렌즈암을 판으로 제작함으로써 가동부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등이 있다

Claims (1)

  1. 광 픽업 베이스(1)에 고정되 구동장치 베이스(2)의 상면에자형 요크(3)를 양측으로 고정하고 중간부에 가이드축(5)을 고정하는 동시에 그 가이드축(5)에 슬라이드 베어링(6)을 개재하여 대물렌즈(8)가 일단부에 고정된 렌즈암(7)을 유착하며, 렌즈암(7)의 타단부에는 고무댐퍼(9)를 양측으로 고정하여 각 고무댐퍼(9)를 구동장치 베이스(2)의 일측 요크(3)의 측에 고정한 댐퍼 지지대(4)에 각각 고정함과 아울러, 렌즈암(7)의 하면에 양측으로 고정한 강자성체(10)의 주위에는 촛점구동 코일(11)을 감고 그 양측에는 4각 트랙킹 코일(12)을 접착하며, 요크(3)의 상면에는 코일(11)(12)의 하측에 위치하는 자석(13)을 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구동장치.
KR2019870014007U 1987-08-21 1987-08-21 광 픽업 구동장치 KR930000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007U KR930000840Y1 (ko) 1987-08-21 1987-08-21 광 픽업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007U KR930000840Y1 (ko) 1987-08-21 1987-08-21 광 픽업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501U KR890005501U (ko) 1989-04-20
KR930000840Y1 true KR930000840Y1 (ko) 1993-02-27

Family

ID=1926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4007U KR930000840Y1 (ko) 1987-08-21 1987-08-21 광 픽업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8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024B1 (ko) * 2001-03-29 2007-10-1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024B1 (ko) * 2001-03-29 2007-10-1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501U (ko) 198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8942A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KR900006182B1 (ko) 전기 기계 변환기
EP0176332B1 (en) Optical pick-up
KR930000840Y1 (ko) 광 픽업 구동장치
JPS643831A (en)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US5844881A (en)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capable of holding an objective lens at a specific neutral point
JPS60136926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S54155802A (en)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KR970060100A (ko) 광픽업장치용 액츄에이터
KR930000843Y1 (ko) 광픽업 선형 구동장치
KR900001489Y1 (ko) 광 픽업 구동장치
KR940012288A (ko) 광픽업구동방법 및 그 구동장치
JPS5782234A (en) Optical head
JPH09171630A (ja) 光学ピックアップの対物レンズ支持装置
KR950002359Y1 (ko) 픽업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JPS6085446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0141786B1 (ko) 광픽업 구동장치
KR960015431A (ko) 광픽업 구동장치
JPH0454565Y2 (ko)
JP2614499B2 (ja) 光ディスク用アクチュエータ
JP2529393Y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900006117Y1 (ko) 광 픽업 구동장치
KR900000029Y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킹장치
KR900004608Y1 (ko) 광픽업의 트랙킹장치
JPH09120560A (ja) 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