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584Y1 - 적층가능한 장식성 방향용기 - Google Patents

적층가능한 장식성 방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584Y1
KR930000584Y1 KR2019910007213U KR910007213U KR930000584Y1 KR 930000584 Y1 KR930000584 Y1 KR 930000584Y1 KR 2019910007213 U KR2019910007213 U KR 2019910007213U KR 910007213 U KR910007213 U KR 910007213U KR 930000584 Y1 KR930000584 Y1 KR 930000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ecorative
paper tape
paper
in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7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석
Original Assignee
김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석 filed Critical 김만석
Priority to KR2019910007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584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층가능한 장식성 방향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방향용기 구조를 예시한 일부 단면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 구성에 따르는 평면 예시도.
제4도는 연결부위를 장식화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향용기 10, 12, 14, 16 : 종이테이프
11 : 종이띠 14a : 걸림턱
20 : 심재 21 : 하부턱
22 : 바닥판 24 : 장식노끈
25 : 투명덮개판 26 : 절취선
27 : 통기공 A : 용기외체
B : 용기내체
본 고안은 방향제를 담아 보관하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이띠를 다양한 형태로 접착 가공하여 적층가한 장식성의 용기를 제공함으로서, 방향제 용기로 사용하고 난 이후 이를 하부에 차례로 적층시켜 단추 또는 압핀등과 같이 보관상의 주의를 요하는 생활용 소품의 저장용기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적층구조의 장식성 방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방향용기는 병이나 상자체 구조로서 액체 또는 고체 상태의 방향제를 저장하는 것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향제 저장 수단으로서의 용기는 실내장식을 목적으로 특별히 제작된 고가의 장식용기를 제외하고는 방향제의 사용기간이 극히 제한되고 있고 용기내에 방향제가 밀폐되는 형태로 내장되어 있어 재생이 어렵다는 점 때문에 방향제 내용물 만을 별도 구입하는등 케이스를 재활용하기 보다는 동일상품을 새로이 구입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바 용기내에 담기어 있는 방향제가 모두 발산되고 나면 이들 용기는 그대로 폐기될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이띠를 양방향에서 접착 가공하여 저렴하고도 다양한 형태의 방향제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며, 내용물인 방향제가 모두 발산되고 나면, 빈 케이스를 새로운 케이스 저면에 적층시켜 상면은 방향제 용기로 사용하는 한편 그 저면을 다양한 소품용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고 있는 전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방향용기 구조를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 용기의 제조에 따른 평면 예시도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판(22)을 구성하는 지관 또는 기타의 형보존용 심재(20)외측에 여러가닥의 종이띠(11)를 평면상으로 접착하여서 되는 종이테이프(10)가 접착되고, 그 상면에는 심재(20)와 종이테이프(10)의 접착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내용물을 밀폐시키기 위해 용기상부로 덮히어지는 투명덮개판(25)의 주연을 고정시키게 되는 장식노끈(24)이 본드 접착되며, 상기의 투명덮개판(25)상에는 절취선(26)을 따라 천공되는 다수의 통기공(27)이 구비되어 방향용기(1)를 이루게 된다.
이때 형보존용 심재(20)로는 하부에 턱(21)이 있는 지관이 가장 저렴하고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4각 또는 기타 특정의 형태로의 제작이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구조의 용기제작에는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합성수지 등과 같이 성형이 용이한 물성의 재료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심재(20)내에 설치되는 바닥판(22)은, 동일한 구성의 상기 종이테이프(12)를 심재(20)의 내면에 접착시켜 장식함으로서 고정되는 것이며, 심재(20)에 별도의 턱이 구성되어 있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2b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판(22) 하부에 비교적 좁은 폭의 또다른 종이테이프(14)가 주연을 따라 접착되고 그 연장부에 의해 걸림턱(14a)이 구성되도록 하여 심재(20)내면으로 접착되는 종이테이프(12)와의 사이에 바닥판(22)이 고정된채 2개 이상으로 적층 가능한 구조의 독립된 용기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심재(20)를 구비하지 아니하는 제2c도 방법에 의해서도 가능한 것으로서, 여러가닥의 종이띠(11)를 평면상으로 접착시켜 구성되는 종이테이프(10), (12) 역시 일정한 내구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같은 종이테이프(10), (12)를 원형 또는 4각 및 기타 소망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용기의 외체(A)를 이루고 나서, 그 내면에 다시 연결부위가 서로 어긋나도록 내체(B)를 조립하여 접착하는 과정을 통해 방향용기(1)의 벽체를 제공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즉, 형보존용 심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종이테이프(10), (12)만으로 용기를 제작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먼저 종이테이프(12)를 일정한 형태로 구부려 내체(B)를 형성하고 나서 그 외측에 다른 종이테이프(10)를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외체(A)를 형성시켜 연결부위가 서로 교차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전면에 걸쳐 결합강도가 균일한 용기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접착방법에 따르면 내체(B)와 외체(A)의 접착에 있어 종이테이프(10), (12)를 재단할때 재단상의 오차가 발생하여 내체(B) 또는 외체(A) 중 어느 한 부분에 다소의 벌어진 틈이 생기게 되기도 하지만 이같은 부위에 적정폭의 종이테이프(16)를 절단하여 수직되게 접착시켜 주면 이는 새로운 장식 무늬로 부각될 수 있어 전체적인 용기의 내구성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벌어진 틈이 비교적 좁은 경우에는 방향용기(1) 상면에 접착되는 장식노끈(24)을 연장시켜 틈새를 막아주는 방법으로 장식무늬를 구성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독립된 하나의 용기로는 물론 서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용기를 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시에는 용기 상면에 덮히어 있는 투명덮개판(25)상의 절취선(26)을 필요한 방향강도에 따라 적절히 떼어내어 통기공(27)이 구성되도록 함으로서 용기내에 수장되는 방향제가 원하는 강도로 발상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하여 용기내에 담기어 있는 방향제가 모두 발상되고 나면 상면의 투명 덮개판(25)을 제거한 후 이를 또다른 방향용기(1)의 저면에 삽설되도록 중첩시켜 소품 보관용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다목적의 소품용기는 미려한 표면장식과 더불어 상부 용기로부터 발산되는 방향제 향기를 항상 간직하게 되어 사용시 언제나 신선하고도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하고도 실용적인 것이다.

Claims (3)

  1. 여러가닥의 종이띠(11)를 평면상으로 접착하여 종이테이프(10), (12)를 구성한후, 이를 소망의 형태로 구부려 각기 내체(B)와 외체(A)로 형성시켜 이들 연결부위가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접착하고 나서, 그 저면에는 또다른 종이테이프(14)를 내체(B) 하부에 접착시켜 주어 바닥체(22)의 고정과 함께 하부걸림턱(14a)이 구성되도록 하며, 그 상면에는 절취선(26)에 의해 다수의 통기공(27)을 구비하는 투명덮개판(25)과 상면을 보호하기 위한 장식노끈(24)을 접착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가능한 장식성 방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테이프(10), (12)를 구부려 형성하는 내체(B)와 외체(A) 사이에 형보존용 심재(20)를 삽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가능한 장식성 방향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조립되는 내체(B)와 외체(A)중 조립에 따라 벌어진 어느 일방의 틈사이에 적정폭의 종이테이프(16)를 수직되게 접착시켜 장식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가능한 장식성 방향용기.
KR2019910007213U 1991-05-20 1991-05-20 적층가능한 장식성 방향용기 KR930000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213U KR930000584Y1 (ko) 1991-05-20 1991-05-20 적층가능한 장식성 방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213U KR930000584Y1 (ko) 1991-05-20 1991-05-20 적층가능한 장식성 방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584Y1 true KR930000584Y1 (ko) 1993-02-10

Family

ID=1931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7213U KR930000584Y1 (ko) 1991-05-20 1991-05-20 적층가능한 장식성 방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5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279952S (en) Covered food storage container or the like
USD282809S (en) Food storage container or the like
ATA7684A (de) Packung aus flaechenfoermigem material, z.b. papier, karton od.dgl., mit einem stegnahtverschluss, insbesondere quaderfoermige fluessigkeitspackung aus karton-, kunststoff-, verbundmaterial
KR930000584Y1 (ko) 적층가능한 장식성 방향용기
JPH079768Y2 (ja) 引出し式紙製組立箱
US2872031A (en) Display carton construction
JP2002362630A5 (ko)
US2689645A (en) Headed pin packag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956859A (en) Box.
KR100647230B1 (ko) 포장용상자
US3295745A (en) Container
US3212638A (en) Display package
JP3115130U (ja) 組立式箱
US2184799A (en) Container
JPS6221545Y2 (ko)
JPS6016495Y2 (ja) 封筒等用収納容器
JPH057138Y2 (ko)
JPH0110356Y2 (ko)
KR910002147Y1 (ko) 포장용 케이스
JP2571543B2 (ja) 樽形容器
KR930000573Y1 (ko) 포장용 케이스
JPS5929860Y2 (ja) 吊手付きカ−トン
JPH02269653A (ja) 紙段ボール製の通い函
USD254424S (en) Nestable shipping container
JPH0635972Y2 (ja) 収納箱の布付きパ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