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527Y1 - 역기의 중량체 - Google Patents

역기의 중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527Y1
KR930000527Y1 KR2019900014106U KR900014106U KR930000527Y1 KR 930000527 Y1 KR930000527 Y1 KR 930000527Y1 KR 2019900014106 U KR2019900014106 U KR 2019900014106U KR 900014106 U KR900014106 U KR 900014106U KR 930000527 Y1 KR930000527 Y1 KR 930000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avy
synthetic resin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4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740U (ko
Inventor
김수옥
Original Assignee
김수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옥 filed Critical 김수옥
Priority to KR2019900014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527Y1/ko
Publication of KR910013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7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5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8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means for fixing weights on bars, i.e. fixing olympic discs or bumper plates on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5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by increasing or reducing the number of resistan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loor Finish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역기의 중량체
제1도는 본 고안의 중량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역기바를 조립한 상태에 대한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실시예를 조립한 상태에 대한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절개홈
3 : 돌출관 4 : 윤테
5 : 절곡편 6 : 덮개
7 : 중량물 8 : 요철부
9 : 밴드링 10 : 중량체
11 : 개구홀 12 : 마개
본 고안은 운동기구의 중량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로 된 중량체와, 입자상태의 중량물로 이루어지고 무게에 대응하는 충격이 분산되도록 하는 밴드링으로 이루어진 중량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역기 및 덤벨과 같은 운동기구에 소정의 중량을 형성하기 위한 중량체는 일반적으로 금속을 융해시켜 주형에 부어서 제작하여 사용하여 왔기 때문에 제작생산비가 고가였음은 물론 제작도 용이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중량체는 금속 표면이 공기에 노출된 상태로 있으므로 그 표면이 부식되어 사용하는 사람의 옷이난 설치장소를 오염시켰던 것이며 금속의 재질적인 소리와 질감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느끼게 하였으며 이를 소정의 목적으로 사용함에 따라서는 그 자체의 충격이 직접적으로 바닥에 전달되므로 인하여 설치장소의 바닥이 깨지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로 중량체의 외면을 형성하고 중량물체의 무게는 시멘트 몰탈을 합성수지재로 내부 공간을 채워 주었으며 합성수지재의 중량체외주연을 충격흡수와 충격분산을 위해 고무재로 형성한 밴드를 감싸 주었던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합성수지로 되어 내부에 시멘트몰탈을 채워서 이루어진 중량체는 합성수지재와 중량물이 일체로 고정되지 못하고 그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태로 채워져 사용도중이나 내려 놓을때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중량체 외면에 씌워진 고무재의 밴드는 평판띠 형상으로 되어있어 중량체를 바닥에 내려 놓을때 밴드의 평탄면 그 전체가 바닥에 일시에 닿게 되므로 충격흡수가 효율적이지 못하고 소리는 물론 충격에 의한 진동이 크게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중량체의 본체내부를 상하방향으로 결합분리되게 형성하며 그 내부에 중량물과의 결합을 위한 절곡편을 형성하고 본체의 외주연에는 충격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하여 요철부 형성한 밴드를 설치하여서 강화되는 에멀죤상태의 중량물을 본체내에 충진시켜 본체와 중량물이 일체화 되게 하였으며 외주연에 설치하는 밴드링에 의해서 낙하시의 충격이 분산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재를 원반형으로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며 그 내부로 중량물을 채워 운동기구의 중량체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의 본체(1)이 상부가 트여지고 하부는 막혀지게 형성하여 주연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홈(2)를 형성하며, 막혀진 바닥의 중앙에 역기바 또는 덤벨바를 삽입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면서 통공의 주위를 트여진 개구측으로 돌출시킨 돌출관(3)을 형성하고, 본체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개구를 덮을 수 있는 입구를 하부에 형성하며 중앙에 돌출관(3)이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을 구비하고 통공의 주연에 윤테(4)틀 형성하며 상기 절개홈과 대웅한 위치에 마주하는 형상으로 절개홈(2)을 형성하여 절개홈에서 연이어지게 절곡편(5)을 구비한 덮개(6)를 형성한다. 상기의 본체(1)와 덮개(6)를 결합시키면 절개홈의 크기에 의해 개구홀(11)이 형성되기도 하고 절개돌출관(3)이 통공에 끼워지면서 통공주연의 윤테(4)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원반형의 중량재가 형성된다.
중량체의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키기 위하여 본체의 외주연에 설치하는 고무재의 밴드링(9)외면에는 수 개의 요철부(8)를 돌출시켜 형성한다.
상기의 중량체(10)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본체를 상하 분리시키지 않고, 불루기 사출로 본체(1)와 덮개(6)가 일체의 형상으로 된 원반형의 중량재를 형성하여 주연의 일부를 절개하여 중량물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홀(11)을 형성하며 개구홀(11)을 개폐하기 위하여 개구홀 크기의 마개(12)를 구비하는 형태로 중량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본체(1)의 상부에 덮개(6)를 설치하면서 금속조각과 시멘트몰탈·금속 조각과 합성수지를 일정량 혼합하여 절개홈(2) 또는 개구홀(11)을 통해 본체(1)와 덮개(6)사이의 공간에 충진시킨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경화되어 중량체(1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개구홀의 경우에는 마개로 개구홀을 폐쇄시켜 둔다.
상기의 중량체(10)의 형성후 중량체의 원주면에 다수의 요철부(8)가 구비된 밴드링(9)을 씌워 주어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중량체가 형성된다.
중량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본체(1)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마개(12)를 열고 개구홀(11)로 중량물(7)을 충진시킨후, 마개(12)를 담아주고 외주연에 고무재의 밴드링(9)을 감싸아주면 본 고안에서 목적하는 중량체가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중량물이 경화될때 덮개의 절곡편이 중량물에 고정이 되어 유동되는 일이 없고, 중량체의 외주연에 밴드링에 의해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 운동기구를 내려 놓을 때 자체의 하중에 의해 충격이 발생하여도 요철부에서 충격이 흡수 완화되는 것이므로 소음이 작고 충격흡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으며 외관에 피복된 합성수지로 인해 녹이 쓸지 않게되어 상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이점과 제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합성수지재로 원반형의 본체(1)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경화되는 중량물(7)을 충진시켜서 되는 중량체(10)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돌출관(3)을 바닥의 중앙에, 절개홈을 주연에 형성한 본체(1)와, 주연의 절개홈(2)에 중량물과의 결합을 위한 절곡편(5) 및 중앙의 통공에는 윤테(4)를 형성한 덮개(6)로 이루어져 양 방향에서 결합시켜 원반형을 이루는 중량재와, 상기의 본체와 덮개 사이의 공간에 충진시키는 금속조각과 시멘트몰탈 또는 금속조각과 합성수지로 혼합되는 중량물(7)과 충격의 흡수·완화를 위해 외주면에 수개의 요철부(8)를 형성한 밴드링(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기의 중량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중량물(7)을 주입하기 위하여 중량재의 형성하는 절개홈(2) 또는 개구홀(11)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마개(12)로 개폐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기의 중량체.
KR2019900014106U 1989-12-07 1990-09-13 역기의 중량체 KR930000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106U KR930000527Y1 (ko) 1989-12-07 1990-09-13 역기의 중량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579U KR920008131Y1 (ko) 1989-12-07 1989-12-07 바벨
KR2019900014106U KR930000527Y1 (ko) 1989-12-07 1990-09-13 역기의 중량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8579U Division KR920008131Y1 (ko) 1989-12-07 1989-12-07 바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740U KR910013740U (ko) 1991-07-30
KR930000527Y1 true KR930000527Y1 (ko) 1993-02-10

Family

ID=192929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8579U KR920008131Y1 (ko) 1989-12-07 1989-12-07 바벨
KR2019900014106U KR930000527Y1 (ko) 1989-12-07 1990-09-13 역기의 중량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8579U KR920008131Y1 (ko) 1989-12-07 1989-12-07 바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200081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131Y1 (ko) 1992-11-12
KR910010872U (ko) 1991-07-29
KR910013740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9164A (en) Shock absorbing baseball bat
US4073482A (en) Inertial barrier system
KR0178556B1 (ko) 중공형 금속 볼배트 및 그 제조방법
RU2618442C2 (ru) Ротор часов
KR930000527Y1 (ko) 역기의 중량체
US2358750A (en) Cover for manholes or the like
AU675297B2 (en) Ear protection cap with improved sound absorption
CN101456514A (zh) 用于升降机的配重块
US4683979A (en) Co-oscillating, volume-changing resonator in the form of a silencer
US2499074A (en) Pastry whip
EP0261994A2 (en) Fluid vibration damper for racquet
US20080148921A1 (en) Article of manufacture for bass drum damping with variable physical and acoustical damping characteristics
KR100804271B1 (ko) 드럼 세탁기용 밸런스웨이트
US5568705A (en) Earthquake resistant mounts for buildings and constructions
SU1428873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гашени вибрации
KR960706034A (ko) 토션 프리댐핑 장치(torsional pre-damper device)
KR100638520B1 (ko) 헬스 에어보드
JPH0646408Y2 (ja) 化粧用コンパクト
KR200390627Y1 (ko) 차음패널구조물
JPS5830021Y2 (ja) 魔法瓶
US3464692A (en) Combination resilient shell filled with solidified dense material and sealing plug
CN220532203U (zh) 一种混凝土配料机
US4566820A (en) Catseye mountings
KR102453785B1 (ko) 엔진마운트
JPS62183795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0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