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9294A -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9294A
KR920019294A KR1019910006025A KR910006025A KR920019294A KR 920019294 A KR920019294 A KR 920019294A KR 1019910006025 A KR1019910006025 A KR 1019910006025A KR 910006025 A KR910006025 A KR 910006025A KR 920019294 A KR920019294 A KR 920019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air
air chamber
heel
foot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164B1 (ko
Inventor
레인 청궁
Original Assignee
레인 청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 청궁 filed Critical 레인 청궁
Priority to KR101991000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164B1/ko
Publication of KR92001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및 그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다수의 에어챔버를 나타내면서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을 구체화한 신발 안창의 평면도.
제2도는 척골에어챔버를 나타내면서 제1도의 선 2-2를 절취한 신발 안창의 단면도.
제3도는 중족긍에어챔버를 나타내면서 제1도의 선 3-3을 절취한 신발 안창의 단면도.

Claims (20)

  1. 베이스층을 제공하는 장치와, 상기 베이스층 장치와 겹쳐지는 상층을 제공하는 장치와,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안창에 위치한 발에 지탱과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 장치와 상기 상층 장치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발뒤꿈치 내부 및 외부 주연부에 유동에어챔버를 제공하는 장치와 이 한 쌍의 에어챔버는 그 속에 들어있는 유동에어를 전달하기 위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발이 지면에 닿을 때 발의 뒤꿈치, 중족긍 및 앞꿈치를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 장치와 상기 상층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제1, 제2 및 제3의 유동에어챔버를 제공하는 장치와, 상기 챔버내 들어있는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제2유동에어챔버는 상기 제1유동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유동에어챔버는 상기 제2유동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서 유동에어는 상기 밭에 균형, 지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걸음을 걸을 때마다 반복하여 상기 한 쌍의 발뒤꿈치 내부 및 외부 주연부 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 서로 전달되고 또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 서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장치와 상기 베이스층 장치 사이에 중간층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3. 제1항에 있어서,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발뒤꿈치 내부 및 외부 주연부 유동에어챔버 사이에 제1연결튜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4. 제1항에 있어서,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제1유동 에어챔거와 상기 제2유동에어챔버 사이에 제2연결튜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5. 제1항에 있어서,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제2유동 에어챔버와 상기 제3유동에어챔버 사이에 제3연결튜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장치는 열가소성 수지의 베이스층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충 장치는 열가소성 수지의 상층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은 삽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튜브는 열가소성 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튜브는 열가소성 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튜브는 열가소성 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12. 제1항에 있어서, 유동에어가 새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발뒤꿈치 내부 및 외부 주연부유동에어챔버와, 상기 제1, 제2및 제3의 유동에어챔버 아래에 밀폐덮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13. 베이스층을 제공하는 장치와, 상기 베이스층과 겹쳐지는 상층을 제공하는 장치와,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안창과 위치한 발에 지탱과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상층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발뒤꿈치 내부 및 외부 주연부 유동에어챔버를 제공하는 장치와, 이 한 쌍의 에어챔버는 그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전달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발이 지면에 닿을 때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 장치와 상기 상층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제1유동에어챔버를 제공하는 장치와, 발의 증족긍을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 장치와 상기 상층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제2유동에어챔버를 제공하는 장치와,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제2유동에어챔버와 상기 제1유동에어챔버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발의 증족긍을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 장치와 상기 상층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제3유동에어챔버를 제공하는 장치와,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상기 제3유동에어챔버와 상기 제2유동에어챔버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서 유동에어는 상기 발에 균형, 지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걸음을 걸을 때마다 반복하여 상기 한 쌍의 발뒤꿈치 내부 및 외부 주연부 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 서로 전달되고 또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 서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14.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과 겹쳐지는 상층과, 에어챔버가 형성된 안창에 위치한 발에 발뒤꿈치 지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상층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발뒤꿈치 내부 및 외부 주연부 에어챔버와, 이 한 쌍의 에어챔버는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전달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발이 지면을 밝을 때 각각의 발의 뒤꿈치, 증족긍 및 앞꿈치를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상층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발뒤꿈치, 증족긍 및 척골유동에어챔버와, 상기 증족긍 유동에어챔버는 상기 발뒤꿈치 유동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척골유동에어챔버는 상기 증족긍 유동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있어서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고, 여기서 발에 균형, 지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상기 한 쌍의 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와 상기 발뒤꿈치, 증족긍 및 척공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 서로 유동 에어챔버가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15.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과 겹쳐지는 상층과, 에어챔버가 형성된 안창에 위치한 발에 발뒤꿈치 지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상층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발뒤꿈치 내부 및 외부 주연부 에어챔버와, 이 한 쌍의 에어챔버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챔버를 서로 전달하고, 상기 발이 지면을 밟을 때 발뒤꿈치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상층 사이에 형성된 발뒤꿈치 유동에어챔버와, 발의 중족긍을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상층 사이에 형성된 중족긍 유동에어챔버와, 상기 중족긍 유동에어챔버는 상기 발뒤꿈치 유동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있어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고, 상기 발의 앞꿈치를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상층 사이에 형성된 척골 유동에어챔버와, 상기 척골유동에어챔버는 상기 중족긍 유동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있어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고, 여기서 발에 균형, 지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상기 한 쌍의 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발뒤꿈치, 중족긍 및 척골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 서로 유동에어챔버가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16. 베이스층을 제공하는 장치와, 상기 베이스층과 겹쳐지는 상층을 제공하는 장치와, 에어챔버가 형성된 안창에 위치한 발에 발뒤꿈치 지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 장치와 상기 상층 장치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발뒤꿈치 내부 및 외부 주연부 유동에어챔버를 제공하는 장치와, 이 한 쌍의 유동에어챔버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유동에어챔버를 전달하고, 발이 지면을 밟을 때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 장치와 바닥층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제1유동에어챔버를 제공하는 장치와, 발의 증족긍을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 장치와 상기 상층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제2유동에어챔버를 제공하는 장치와, 상기 제2유동 에어챔버는 상기 제1유동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서로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전달하고, 상기 발의 앞꿈치를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 장치와 상기 상층 장치 사이에 형성된 제3유동에어챔버를 제공하는 장치와, 상기 제3유동에어챔버는 상기 제2유동에어챔버와 연결되어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고, 여기서 상기 발의 균형, 지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상기 한 쌍의 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17.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과 겹쳐지는 상층과, 에어챔버가 형성된 안창에 위치한 발에 발뒤꿈치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상동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발뒤꿈치 내부 및 외부 주연부 유동에어챔버와, 이 한 쌍의 유동에어챔버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전달하고, 발이 지면을 밟을 때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바닥층 사이에 형성된 발뒤꿈치 에어챔버와, 발의 중족긍을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상층 사이에 형성된 중족긍 유동에어챔버와, 상기 중족긍 유도에어챔버는 상기 발뒤꿈치 유동에어챔버와 연결되어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고 상기 발의 앞꿈치를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상층 사이에 형성된 척골유동에어챔버와, 이 척골유동에어챔버는 상기 중족긍 유동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있어서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고, 여기서 발에 균형, 지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상기 한 쌍의 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발뒤꿈치, 중족긍 및 척골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 서로 그 속에 들어있는 유도에어가 서로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18.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과 겹쳐지는 상층, 에어챔버가 형성된 안창에 위치한 발에 발뒤꿈치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상층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발뒤꿈치 내부 및 외부 주연부 유동에어챔버와, 이 한 쌍의 유동에어챔버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전달하고, 상기 발이 지면을 밟을 때 각각 상기 발의 발뒤꿈치, 중족긍 및 앞꿈치를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상층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발뒤꿈치, 중족긍 및 척골유동에어챔버로 구성되고, 상기 중족긍 유동에어챔버는 상기 발뒤꿈치 유동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척골유동에어챔버는 상기 중족긍 유동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있어서 그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를 서로 전달하고, 상기 발에 균형, 지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상기 한 쌍의 유동 에어챔버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발뒤꿈치, 중족긍 및 척공유동에어챔버 사이에서 그 속에 들어 있는 유동에어가 서로 전달되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유동에어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발뒤꿈치 유동에어챔버와 상기 중족긍 유동에어챔버 사이와 그리고 상기 중족긍 유동에어챔버와 상기 척골유동에어챔버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의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 뒤꿈치 내부 및 외부 주연부 유동에어챔버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의 제조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06025A 1991-02-28 1991-04-15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KR940003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025A KR940003164B1 (ko) 1991-02-28 1991-04-15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202378 1991-02-28
KR1019910006025A KR940003164B1 (ko) 1991-02-28 1991-04-15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294A true KR920019294A (ko) 1992-11-19
KR940003164B1 KR940003164B1 (ko) 1994-04-15

Family

ID=1931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025A KR940003164B1 (ko) 1991-02-28 1991-04-15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819A (ko) 2021-07-16 2023-01-26 서창화 공기 유입 및 배출 구조의 신발용 물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819A (ko) 2021-07-16 2023-01-26 서창화 공기 유입 및 배출 구조의 신발용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164B1 (ko) 199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071B1 (ko) 반응 에너지 유체 충전 토로이드 장치를 갖춘 신발 창
US3922801A (en) Liquid filled orthopedic apparatus
US5784807A (en) Fluid filled support system for footwear
US4342157A (en) Shock absorbing partially liquid-filled cushion for shoes
US5625964A (en) Athletic shoe with rearfoot strike zone
US5930918A (en) Shoe with dual cushioning component
US6782641B2 (en) Heel construction for footwear
US5430961A (en) Reactive energy apparatus providing a custom fit and ankle support in a shoe upper
ATE180394T1 (de) Schuhsohle mit einem dämpfungsbalg am rand
GB1330193A (en) Insole structure
KR920702948A (ko) 개량된 중간창을 갖는 신발
GB2050145A (en) Sole or insole for footwear
CN1190874A (zh) 鞋垫
JPS5440980B2 (ko)
KR920019294A (ko) 완충용 유동에어챔버가 형성된 신발 안창 및 그 제조방법
DK0725580T3 (da) Fluidfyldt inlægssål
SE9200881D0 (sv) Skosula
CN206043618U (zh) 缓冲垫及缓冲鞋垫
KR200183136Y1 (ko) 신발깔창용 에어쿠션
US11547179B2 (en) Tactile feedback shoe sole
KR20230002135U (ko) 보행 시 뒤꿈치 충격과 과내외전을 방지하는 이중 에어 포켓 인솔
SU1713580A1 (ru) Лечебна стелька
DE602004000766D1 (de) Fußbett oder Einlegesohle zum Erzeugen eines lokalen Druckes in bestimmten Fußsohlenstellen, um diese Stellen zu massieren
GB1145271A (en) Improvements in chiropodial orthopaedic appliances
TH13868EX (th) รองเท้ากีฬ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