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854B1 -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동 전원 오프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동 전원 오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854B1
KR920010854B1 KR1019890004750A KR890004750A KR920010854B1 KR 920010854 B1 KR920010854 B1 KR 920010854B1 KR 1019890004750 A KR1019890004750 A KR 1019890004750A KR 890004750 A KR890004750 A KR 890004750A KR 920010854 B1 KR920010854 B1 KR 92001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quest message
time
key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397A (ko
Inventor
이윤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4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854B1/ko
Publication of KR900017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동 전원 오프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블록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컴 20 :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
30 : 전원공급부 40 : 키입력부
50 : 모니터부
본 발명은 영상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 공급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키 입력 감지후 일정 기간을 카운팅하여 전원 오프(off)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발생하고 상기 메시지를 발생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소정의 키 입력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처리 시스템 중 텔레비젼의 경우를 예로 들어 생각해 보면, 시청자가 취침시간(sleep time)을 설정치 않고 켈레비젼을 시청하다가 켜 놓은 채로(전원 온 상태로) 잠이 들거나 외출해 버리는 경우가 가끔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원의 계속적인 공급에 따른 전력 소모 문제가 해결 과제로 대두될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을 전원 온 상태에서 지나치게 긴 시간 동안 방치할 경우 과열되어 기계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도 간과되어질 수 없는 해결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가 입력된 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한 시간이 카운트되면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를 발생하고 상기 메시지 발생 후 소정 시간 동안 임의의 키 입력이 없으면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모 및 기계의 손상을 막는 자동 전원 오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블록도의 일실시예로서,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 단자(PWR)를 가지며 키입력을 감지 및 분석하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를 받아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와 같은 각종 정보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동작을 제어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2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를 받아 시스템의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각종 데이터 및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40)와,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20)에서 전달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부(50)으로 구성된다.
제2도 및 제3도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서 실시하는 본 발명의 흐름도로서, 제2도는 전원 오프제어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제3도는 전원 오프 제어를 위한 시간 인터럽트 루틴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했던 바와 같이 TV 시청 중 전원을 끄지 않고 잠이 들거나 외출을 하게 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자동 전원 오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면 우선 시스템 자체적으로 현재의 상태가 전원 오프 시점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임의의 키가 입력되어 시스템이 해당 키입력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상기 임의의 키 입력을 마지막 키입력인 것으로 간주하여 이때부터 시간을 계속 카운트한다. 이때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경우는 예를 들어 2가지로 분류한다.
즉 주로 밤에 TV를 켜 놓은 채 잠이 들 수가 있으므로 이때는 마지막으로 간주된 키 입력이 있은후 예를 들어 2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를 발생한다. 상기 메시지를 발생한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해도 임의의 키 입력이 없으면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란 마이크로프로세서(10)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마지막 이라고 간주한 키 입력이 있은후 일정한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사용자에게 전원 오프의 향을 묻는 메시지로서, 임의의 키 입력이 없을시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하겠다는 일종의 경고이다.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혹은 발광다이오드(이하 LED라 함)의 블링킹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낮 시간의 경우는 마지막으로 간주된 키 입력이 있은 후 4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전원을 오프하는데, 이는 대개의 경우 아무리 긴 프로그램이더라도 4시간 안에는 끝날 것이고 한 프로그램이 끝나면 다른 채널을 선택하여 현재 진행중인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경우가 많으므로 4시간 이상 계속해서 한 채널을 시청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가정 아래 설정되는 시간이다.
그러므로 제2도의 (2a)단계에서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2b)단계에서 시스템의 현재 상태가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하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한다. 이 판단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상태 비트를 체크해보면 된다.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전원 오프 결정요구 메시지를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면 상기 (2a)단계에서의 키 입력은 상기 메시지 발생중에 일어난 것으로 사용자가 전원을 끄지 않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2c)단계에서 상기 메시지 발생을 중지시키고 (2d)단계에서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1”로 세팅한다. 이것은 상기 (2b)단계에서 메시지 발생 오프라는 키 기능(function)을 이미 수행하였음으로 상기 (2a) 단계에서 입력된 임의의 키 고유의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시스템 상태를 키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로 만들어 두기위함이다. 다시말하면 상기 (2a)단계에서 입력된 임의의 키는 단지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 발생 기능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었을 뿐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2b)단계에서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 발생 중이 아니라면 상기 (2a)단계에서의 키 입력은 마지막 키 입력으로 간주되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2n)단계로 진행하여 시스템 상태 플래그를 “0”로 하여 키 고유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n)단계 수행후나 전술한 (2d) 단계 수행후나 전술한 (2d)단계 수행후에는 (2e)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a)단계에서의 키 입력시점이 소정 설정 시간내에 속하는지 체크한다.
본 발명에서는 밤시간과 낮시간을 구별하여 전원 오프 시간을 카운트함으로 밤시간(PM 10:30 - AM 2:00)일 경우를 마지막 키 인식후 2시간이 경과했을 때로 가정하고, 그외(낮시간)에는 4시간이 경과했을 때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2e)단계에서 밤시간으로 판명되면 (2g)단계로 진행하여 제3버퍼를 1로 세트시켜 향후 2시간 경과시 전원을 끌것인가를 물어 보는 메시지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밤시간이 아닐시 (2f)단계로 진행하여 제3버퍼를 초기화하여 향후 4시간을 카운트한 뒤 전원을 오프시킬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2g) 혹은 (2f) 단계 수행후 에는 (2h)단계로 진행하여 제1및 제2버퍼를 초기화시켜 제3도의 인터럽트 루틴에 의거 마지막 키 입력으로 간주한 상기 (2a)단계의 키 입력 시점에서부터 경과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h)단계 수행후 (2l)단계로 진행하여 플래그의 상태가 “0”인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시스템 플래그의 상태가 “0”이면 전술한 (2a)단계에서 입력된 키의 고유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그러나 상기 (2i)단계에서 시스템 플래그의 상태가 “0”이 아니면 (2k)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 발생중인지 체크하여 메시지 발생중이면 (2l)단계에서 상기 메시지 발생 후 소정시간(본 발명에서는 1분으로 가정한다.)이 경과되었는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소정 시간 만큼 경과되었을 경우에는 (2m)단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연결된 전원 제어단자(PWR)를 통하여 전원 공급부(30)를 제어함으로써 각부로 공급되는 전원(PS)를 오프시키도록 하고, 상기 (2k)단계에서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 발생중이 아니거나 설혹 상기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를 발생하고 있는 중이라 하더라도 (2l)단계에서의 검사결과 상기 메시지 발생후 소정 설정 시간을 경과치 않았을시에는 그대로 작업을 종료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가 임의의 키 입력을 마지막으로 간주한 후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를 발생하기 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을 제3도의 인터럽트 루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3a)단계에서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해 제1버퍼를 증가시켜 (3b)단계에서 상기 제1버퍼의 카운팅 값이 1시간이 되었는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1시간을 경과했을 경우에는 (3c)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버퍼를 초기화하고 제2버퍼를 1증가 시킨다음 (3d)단계로 진행하여 제3버퍼가 1로 세트되어 있는지 체크한다. 이때 상기 제3버퍼가 1로 세트되어 있다는 것은 마지막 키 인식후 2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을 자동으로 끝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3d)단계에서 제3버퍼가 1로 세트되어 있으면 (3f)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버퍼에 저장된 값이 2인지를 검사함으로써 키 입력이 있은 후 2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 제3버퍼가 “1”이 아닐시에는 (3e)단계로 진행하여 제2버퍼를 검사하여 4시간이 경과 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3f) 혹은 (3e)단계에서 해당 설정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는 (3g)단계로 진행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20)를 제어하여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를 발생시키고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내부 메모리에 이 상황을 기억시킨 후 리턴한다. 상기 제1버퍼는 1시간값을 카운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버퍼에 1시간값이 저장될 때마다 상기 제2버퍼에 저장된 값이 1씩 증가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버퍼는 인터럽트 주기를 감안하여 1시간 정도의 값을 카운트하여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면 충분하다.
상기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사용할 경우 1초 간격으로 블링킹(blinking)을 하며 메시지 내용은 사용자에게 전원 온/오프 의향을 물어보는 내용으로, 예를 들면 “power off all right”와 같이 하면 된다. 그밖에 LED를 이용하여 소정 시간 동안 LED를 깜박거림으로써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키 입력이 없으면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시키겠다는 경고를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지막으로 간주된 키 입력 직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를 발생하여 소정 시간내에 사용자로부터 별다른 키입력이 없으면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열로 인한 기계의 손상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원 공급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를 모니터부(50)에 온스크린 디스플레이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20) 및 키입력부(40)를 구비한 영상처리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키 입력 여부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임의의 키 입력 시점으로부터 상기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점 까지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검출된 임의의 키가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중 입력된 키가 아닐시 해당 키 고유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설정한 시간을 카운트 하여 그 시점이 되면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작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작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원을 오프하는 제4과정과, 상기 검출된 임의의 키가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중 입력된 키이면 그 키 고유의 기능을 무시하고 상기 “전원 오프 결정 요구 메시지”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정지시키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오프 방법.
KR1019890004750A 1989-04-11 1989-04-11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동 전원 오프방법 KR92001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750A KR920010854B1 (ko) 1989-04-11 1989-04-11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동 전원 오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750A KR920010854B1 (ko) 1989-04-11 1989-04-11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동 전원 오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397A KR900017397A (ko) 1990-11-16
KR920010854B1 true KR920010854B1 (ko) 1992-12-19

Family

ID=1928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750A KR920010854B1 (ko) 1989-04-11 1989-04-11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동 전원 오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390B1 (ko) * 1996-07-02 2003-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표시장치의시스템보호회로
KR100394005B1 (ko) * 2001-05-03 200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전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397A (ko) 199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53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PMS mode status using an OSD circuit
US8988311B2 (en) Video output apparatus and video output method
KR101744927B1 (ko) 슬립 모드에서의 최대 절전형 모니터 제어 방법
KR10048851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에러검출방법
EP176696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065664B2 (en) Power management for a PDA system
KR920010854B1 (ko)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동 전원 오프방법
CN112114901A (zh) 待机控制电路、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7277093B2 (en) Low power apparatus used with a display device
KR100677068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전원 관리장치 및 그 방법
US20070091279A1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inadvertent input
KR100487196B1 (ko) 이동통신단말기전원예약장치
KR100230547B1 (ko)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한 컴퓨터 모니터의 화면 보호 방법
KR0177059B1 (ko) 데이타 에러 검사를 통한 티브이 수상기의 이상 유무 판단방법
KR20000026552A (ko)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의 밝기 조정방법
KR100191726B1 (ko) 영상 표시기기의 장시간 사용 경고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40096110A (ko) 자동 전원 차단 장치 및 그 방법
KR960002153B1 (ko)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방법
KR19980067199U (ko) 리모콘의 건전지 교환시기 표시시스템
KR20000039206A (ko) 전자 기기의 절전 방법
KR19980029494U (ko) 텔레비젼의 자동 전원 제어 장치
JPH06242911A (ja) 表示装置
JP2000030167A (ja) 追加記憶可能なリモコン装置
KR20000008158A (ko) 전원 자동 오프방법
KR19980065372A (ko) 텔레비젼의 전화번호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