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413B1 -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413B1
KR920010413B1 KR1019900009047A KR900009047A KR920010413B1 KR 920010413 B1 KR920010413 B1 KR 920010413B1 KR 1019900009047 A KR1019900009047 A KR 1019900009047A KR 900009047 A KR900009047 A KR 900009047A KR 920010413 B1 KR920010413 B1 KR 92001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mtu
magnetic tape
message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902A (ko
Inventor
김대식
예병호
최한옥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0000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413B1/ko
Publication of KR92000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제1도는 전전자 교환 시스템중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입출력 제어 시스템 하드웨어(OMPH)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웨어 기능 블럭간 관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입출력 상태 관리 데이타 베이스 구조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상태제어에 의한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의 상태 천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자동 장애 처리 및 상태제어 기능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프로세서간 통신 패브릭 120 : 운영 유지보수 프로세서 유니트
130 : 디스크 유니트 140 :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
121a,121b : 프로세서 통신제어 어셈블리
122a,122b : 메인 프로세서 및 메모리 관리 어셈블리
123a,123b : 대용량 인터페이스 어셈블리
124a,124b : 에러정정 메모리 어셈블리
125a,125b : 이중 제어 채널 어셈블리 410 : 미실장 상태
420 : 동작상태 430 : 대기상태
440 : 장애상태 450 : 준비상태
460 : 차단상태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 기억 매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 가용성(High Availability) 고장감내형(Fault Tolerant)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agnetic Tape Unit 이하 :‘MTU’라함)을 운용하기 위한 상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MTU 운용 시스템은 유니트당 하나의 독립된 프로세서를 할당하여 상호통신으로 상태를 유지하고, 마그네틱 테이프 교체시 동작 가능한 상태(REDY : Ready state)를 유지하여 재사용에 따른 데이타 손실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해당 유니트 시험시 동작 가능한 상태(REDY)에서 수행함으로써, 다른 터미널에서 운용중인 사용자의 실수로 해당 테이프가 동시에 사용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배제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동시처리 전전자 교환시스템에서 어떠한 고장에도 불구하고 항상 계속적인 서비스를 유지시켜 줄수 있도록 공통 자원인 입출력 시스템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공유하는 상태데이타 베이스를 효울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고가용성 고장감내형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세서간 통신 IPC 패브릭, 운용유지보수 프로세서(OMP) 유니트, 및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화된 입출력 제어시스템 하드웨어(OMPH)를 내장한 분산제어식 전전자 교환 시스템의 입출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보조기억장치 상태 제어방법에 있어서, 데이타 베이스(DB) 및 프로그램 데이타를 초기화하고 자체적으로 요구되어 수행되는 시험주기를 등록하는 제1단계, 동시처리 프로세서들의 입력 시그날을 기다리는 제2단계, 및 입력시그날의 요구 내용에 따라 정해진 일정과정을 수행하며 처리결과 메시지를 출력한후 상기 제2단계의 입력 시그날 대기상태로 천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중화로 데이타의 유실을 방지하고 계속적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MTU를 제어하기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entral Control Subsystem 이하 :‘CCS’라함)중 입출력 제어시스템 하드웨어(Operation Maintenance processor Hardware(이하 ‘OMPH’라함))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110은 프로세서간 통신(Interprocessor Communication) 패브릭(fabric), 120은 운영 유지보수 프로세서(Operation Maintenance Processor : 이하 ‘OMP’라함) 유니트, 130은 디스크 유니트(Disk Unit 이하 ‘DKU’라함), 140은 MTU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OMPH는 CCS의 IPC 패브릭(110)에 유니트 링크(Unit Link)로 연결되는 하드웨어로서, 전전자 교환기의 보조기억장치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마그네틱 테이프 드라이브를 제어하며, OMP 유니트(120)와 DKU(130) 및 MTU(140)로 구성한다.
OMP 유니트는 OMPH 블럭내의 프로세서 하드웨어 모듈 유니트로서, 메인 프로세서 및 메모리 관리 어셈블리(Main processor Memory Management Assembly : 이하 ‘MPMA’라함)(122a,122b), 에러정정 기능을 갖는 메모리 어셈블리(Memory with Error Correction Assembly : 이하 ‘MECA’라함)(124a,124b), 이중제어 채널 어셈블리(Duplication Control Channel Assembly : 이하 ‘DCCA’라함)(125a,125b), 프로세서 통신 제어 어셈블리(Processor Communication Control Assembly : 이하 ‘PCCA’라함)(121a,121b), 및 상기 PCCA(121a,121b)와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버스(150)와의 정합을 위한 대용량 인터페이스 어셈블리(Mass Storage Interface Assembly : 이하 ‘MSIA’라함)(123a,123b)로 구성되어 CCS의 IPC패브릭(110)으로부터 유니트 링크(126a,126b)를 통하여 전달되는 명령어 및 데이타를 표준화된 버스의 하나인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버스(150)를 통하여 DKU(130)와 MTU(140)에 전달한다.
또한 보조기억장치의 운용 및 기록되는 데이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OMP 유니트(120)내의 프로세서 모듈을 이중화하여 구성한다.
OMP 유니트(120)와 타 유니트와의 통신을 IPC 네트워크(Interprocessor Communication Network)내의 노드(111,112)와 시리얼 링크인 유니트 링크(126a,126b)를 통해 이루어지며, OMP 유니트(120)는 두개의 IPC 네트워크 노드(111,112)를 점유하여 OMP 유니트 내부의 프로세서 모듈을 이중화한다.
이러한 링크(link)는 데이타 송신 및 수신, 데이타 전송용 클럭, 선로전달을 감지할수 있는 경보신호등으로 구성한다.
송신 및 수신 메세지는 일반적인 BOP(Bit Oriented Protocol) 포멧과 같으며, 데이타 전송용 클럭 레이트(rate)는 약 1Mbps까지 가능하다.
상기 OMP 유니트(120) 내부의 이중화된 모듈 사이의 인터워킹(interworking)은 업데이트 버스(Update Bus)를 통한 데이타 채널(Data Channel)(127a) 및 제어 채널(Control Channel)(127b)의 2채널과, 주 프로세서 사이의 직접통신을 위한 1개의 시리얼 채널(Serial Channel)(127c)로 구성한다.
상기 OMP 유니트(120)와 보조기억장치인 DKU(130) 및 MTU(140) 사이의 인터워킹(interworking)은 이중화된 SCSI 버스(150a,150b)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SCSI 버스를 아메리칸 네셔널 스탠다드 타스크 그룹 X3T9.2(American National Standard Task X3T9.2)에서 권고한 것을 잠정 채택하여 구성하였으며, 데이타 전송은 단일단자전송(single ended transmission) 및 차동전송(differential transmission) 두가지 방법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비동기 방식으로 최대 1.5Mbps까지 전송가능하다.
제2도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블럭간 관계도로서, 210은 장비시험제어기능(Diagnostic Control Result Handling : 이하 ‘DCRH’라함), 220은 메시지 관리기능(Message Data Processing : 이하 ‘DMP’라함), 230은 장비상태제어기능(Device Status Management : 이하 ‘DSM’이라함), 240은 장애관리기능(Fault Management : 이하 ‘FLM’이라함), 250은 보존 데이타 수집기능(Measurement Data Gathering on Maintenance : 이하 ‘MDGM’이라함), 260은 입출력 장애검출 및 상태관리기능, 270은 화일 제어기능(File System : 이하 ‘FS’라함), 280은 포트제어기능(Input/Output Manager : 이하 ‘IOM’이라함)을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MTU(Magnetic Tape Unit)의 다중화 상태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운용자 요구 시험을 제어하는 DCRH(210), 온라인 상태메세지를 관리하는 MDP(220), 운용자 요구상태 변경을 제어하는 DSM(230), 장애상태 및 격리를 제어하는 FLM(240),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유지보수 데이타를 수집하는 MDGM(250), 해당 장치와의 인터워킹(interworking)을 주관하는 FS(270) 및 IOM(280)과, 상기 각 기능들과 관련하여 입출력 장애 검출 및 상태관리를 수행하는 기능 블럭(26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입출력 장애검출 및 상태관리 기능은 입출력 포트의 상태제어 및 감시기능을 수행하는 MMDST(Man Machine Device Supervision Test) 블럭(260a)과, 상기의 입출력 관련한 모든 시험 및 공유데이타 할당을 위한 자체 진단과 입출력 장치상태를 판단 제어하는 OMDST(Operation Maintenance Device Supervision Test) 블럭(260b)으로 구성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입출력 상태관리 데이타 베이스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입출력 관련 공유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기 위하여 마그네틱 테이프의 상태 정보를 보유하도록 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출력 상태 관리 데이타 베이스 구조는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 번호를 관리하는 D MT NO 어트리뷰트(attribute)(310), 화일시스템의 화일생성자를 오픈(open)하기 위한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 할당 번호를 관리하는 D MT OPENNO 어트리뷰트(320), 마그네틱 테이프 운용 모드를 관리하는 D MT MODE 어트리뷰트(330), 운용 상태를 관리하는 D MT SIS 어트리뷰트(340), 순차 기록 매체인 마그네틱 테이프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유지보수하는 블럭과 일반 사용 블럭간의 중복 엑세스를 방지하기 위한 D MT USE 어트리뷰트(350)등으로 구성된다.
제4도는 입출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상태제어 시스템 천이도로서, MTU의 상태 천이도이다.
마그네틱 테이프 운용 모드로는 “CHRG(과금)”, “STAT(통계)”, “BKUP(백-업)”, “DUMP(시스템 로드 도듈 덥프)” 등의 운용모드를 가지며 각각의 상태 흐름은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상태 설정(400)에서 인식될 수 있는 상태는 미실장 상태(Not-Equip : 이하 ‘NEPQ’라함)(410), 동작상태(Active : 이하 ‘ACTV’라함)(420), 대기상태(Standby : 이하 ‘STBY’라함)(430), 장애상태(Faulty Block 이하 :‘FBLK’라함)(440), 준비상태(Ready : 이하 ‘REDY’라함)(450), 및 차단상태(MMC Block : 이하 ‘MBLK’라함)(460)가 있다.
NEQP 상태(410)는 MTU 상태 데이타 초기화시 시스템 구조상에 실장되지 않은 유니트에 대한 상태 설정이며, NEQP 상태로의 천이는 해당 유니트가 실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호 천이가 불가능하다.
ACTV 상태(420)는 초기화기(Initiator : MSIA(123a,123b) 및 MTU(1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읽기/쓰기 가능하여 특정운용 모드로 할당된 동작상태를 의미한다. 해당 기록 관리 기능에서는 할당된 운용모드를 참조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ACTV로의 상태 천이는 운용자 요구에 의해 REDY 상태(450)에서만 가능한데 REDY 상태(450)의 유니트를 운용자 요구에 의해 구동(activate)할 경우 해당 운용 모드의 ACTV 상태가 없을 경우에 교환기 특성을 고려하여 과금 및 통계용 모드에 한하여 마그네틱 테이프에 헤더(header) 정보(시스템 버젼, 제작회사, 제작날짜, 운용 모드)를 기록하여 결과가 정상이면 ACTV 상태(120)로 변경한다(a). 운용중 장애발생으로 인해서 또는 운용자 요구에 의해 ACTV 상태(420)의 유니트를 교체(deactivate)할 경우 동일 모드를 가지는 STBY 상태(430)의 유니트는 ACTV 상태로 공통 자원 상태를 저장한 데이타 베이스값을 변경하고 자동 천이되며(b), 이때 ACTV 상태(420)의 유니트는 BOT(Beginning of tape(maker) : 테이프 시작(표시))까지 되감기고 비적재(unload)되어 FBLK 상태를 변경된다(d).
STBY 상태(430)는 동일 모드의 ACTV 상태(420)의 유니트가 존재할 경우에만 있을 수 있는 상태로 입출력 시스템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운용자가 다중화로 운용 모드들을 할당할 경우 또는 운용중 장애로 인해 ACTV측의 MTU가 정상 동작을 못할 경우 자동 구동(activate)되어 서비스의 중단 없이 계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기 상태를 말한다.
STBY로의 상태 천이는 운용자 요구에 의해 REDY 상태(450)에서만 가능한데 REDY 상태(450)의 유니트를 운용자 요구에 의해 대기 구동(standby activate)할 경우 해당 운용 모드의 ACTV 상태가 있을 경우에 한하여 고장감내형 고가용성의 특성을 요하는 과금 및 통계용 운용 모드에 한하여 마그네틱 테이프에 헤더(header) 정보(시스템 버젼, 제작회사, 제작날짜, 운용모드)를 기록하여 결과가 정상이면 STBY 상태(430)로 변경한다(c). ACTV 상태(420)인 MTU가 FBLK 상태(440)로 천이되거나, 운용자가 필요시 ACTV 상태(420)인 MTU를 교체(deactivate)할 경우 상대 STBY 상태에 있던 MTU가 ACTV 상태로 자동 천이된다.
FBLK 상태(440)는 ACTV(420), STBY(430) 및 REDY 상태(450)에서 운용중에 초기화기(initiator : MSIA(123a,123b)) 또는 콘트롤러(controller)와의 통신이 비정상이거나, 운용자에 의한 시험 결과 데이타의 읽기/쓰기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장애 상태를 말한다. 이경우 해당 MTU는 데이타 베이스 상태 테이블을 변경, 장애 격리하여 운용을 금지하도록 한다.
FBLK로의 상태 천이는 운용자의 필요에 의해 ACTV(420), STBY 상태(430)의 유니트를 교체(deactivate)할 경우 해당 유니트가 비적재(unload)되면서 FBLK 상태(440)로 천이된다(d). MSIA의 시험이나 ACTV(420), STBY(430) 및 REDY 상태(450)인 MTU의 시험(주기적 또는 운용자 요구에 의한 시험)결과 장애가 검출되면 해당 MTU를 서비스에서 제외시키기 위해 FBLK 상태(440)로 자동천이된다(e).
또한 MTU를 ACTV나 STBY 상태(420,430)에서 운용중에 과금 및 통계 데이타를 읽기/쓰기하는 과정에서 장애가 발생하였을때 복구 불가능한 장애이면 해당 MTU의 유지보수를 위해 자동으로 FBLK 상태(440)로 천이된다(e). FBLK 상태(440)의 MTU는 장애 원인이 제거되면 REDY 상태(450)로 자동천이된다(9).
REDY 상태(450)는 초기화기(Initiator : MSIA) 및 MTU가 자기자신의 시험에 의해 정상동작이 가능하다고 판정되어 해당 유니트를 ACTV, STBY 상태(420,430)로 천이 가능한 준비상태를 말한다.
REDY로의 상태천이는 MBLK 상태(460)의 유니트를 차단해제(unblock)할 경우,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면 REDY 상태(450)로 천이된다(f). 또한 장애 발생으로 인해 FBLK 상태(440)인 MTU에 대해 온라인으로 자기자신의 시험(self test)을 수행하여 시험결과 정상복구가 가능하면 REDY 상태(450)로 자동천이된다(g).
MBLK 상태(460)는 운용중에 잦은 장애로 인하여 정상 운용 모드로 사용하기가 불안정하다고 판단되어 운용자가 MTU의 유지보수를 하기 위해 해당 유니트를 MMC에 의해 차단(blocking)시킨 상태를 말한다. MBLK 상태(460)의 MTU는 모든 종류의 서비스에서 제외되어 해당 유니트의 상세한 시험이 가능하다.
MBLK 상태로의 천이는 운용자가 유지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REDY 상태(450)인 해당 MTU를 강제로 차단(blocking)시키고 운용을 금지하도록 MBLK 상태(460)로 변경한다(h). 유지보수 결과 해당 유니트가 정상동작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정상 복구할수 있도록 MMC로 차단해제(unblocking)시키면 정상 운용을 허가하는 REDY 상태(450)로 천이된다(g).
제5도는 본 발명의 자동장애처리 및 상태제어 기능에 대한 흐름도로서, 크게 데이타 베이스(DB) 및 프로그램 데이타를 초기화하고(501) 자체적으로 요구되어 수행되는 시험 주기를 등록하는(502) 단계, 동시처리 프로세서들의 입력시그날을 기다리는(503) 단계, 및 입력시그날에 의해 요구되는 내용에 따라(504a 504h) 정해진 일정과정을 수행하며(②⑨) 수행 과정중 또는 완료후 처리 결과의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하는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동시처리 프로세서들에 의해 입력되는 요구 사항은 주기적인 시험요구(504a), 운용자 시험요구(504b), 운용자 차단/차단해제요구(504c), MTU 동작상태 구동요구(5046), MTU 대기상태 구동요구(504e), MT(Magnetic Tape) 중복기재(Over Write) 요구(504f), MTU 교체 요구(504g), 및 MTU 자동교체요구(504h) 등이 있다.
도면에서 ②는 동시처리 프로세서들의 입력시그날을 기다리는 초기 준비상태에서 해당 장치를 주기적으로 진단하는 주기적인 시험이 요구되었을때(504a) 이에 대한 수행 흐름도이고, ③은 운용자 요구(504b)에 의한 상세한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운용자 요구 시험 흐름도이고, ④는 해당 장치의 사용금지(block)와 허가(unblock)를 제어하는 차단/차단해제의 실행 흐름도이고, ⑤는 MTU를 특정 운용 모드로 할당하기 위한 MTU 동작 상태 구동 흐름도이고, ⑥은 MTU의 특정 모드에 대한 대기상태를 할당하기 위한 MTU 대기 상태 구동 흐름도(560)이고, ⑦은 이미 기록된 데이타를 보호하기 위한 폐기일 처리에 따른 마그네틱 테이프(MT) 중복기재(Over write) 처리 흐름도이고, ⑧은 MTU에 더 이상의 데이타 수록을 하지 않기 위해 실장된 MTU를 교체하기 위한 MTU 교체 처리 흐름도이며, ⑨는 특정 시간의 무인 서비스를 위해 대기상태의 MTU를 등록된 시간에 동작상태로 대체시키고 자동으로 동작상태의 MTU를 서비스에서 제외시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MTU 자동교체 처리 흐름도이다.
우선 주기적인 시험요구에 대한 수행 과정(②)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해진 시험 주기에 따라 상기 주기적인 시험이 요구되면 정합 및 구동장치를 감시 및 시험하고(505a) 시험결과에 따라 이미지 상태를 갱신하며(506a) 데이타 베이스(DB)와 이미지 상태 데이타를 비교하여(507a)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508a), 일치하면 다음 유니트를 시험하기 위해 시험할 MTU 번호를 1 증가시킨다(518a). 상기 두 데이타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데이타 베이스 상태 데이타를 변경하고(509a) 준비상태(REDY) 또는 장애상태(FBLK)의 상태 변경 정보를 출력한다(510a). 그리고 상태 변경 정보가 준비상태(REDY) 인가 판단하여(511a) 준비상태(REDY)이면 장애복구 메시지를 출력하고 MTU 번호를 1 증가시키며(518a), 상기의 상태변경 정보가 준비상태(REDY)가 아니면 장애발생 메세지를 출력하고(512a) 대기 상태(STBY)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514a). 만약 대기상태가 존재하지 않으면 MTU 번호를 1 증가시키도록 하며(518a), 대기상태(STBY)가 존재하면 대기상태(STBY)를 동작상태(ACTV)로 천이시키고(515a) 상태변경 정보(ACTV 상태)를 출력시킨다(516a). 그리고 상태 데이타를 동작상태(ACTV)로 변경한후(517a) MTU 번호를 1 증가시켜(518a) 상기 증가된 번호가 MTU의 마지막 번호인가를 판단하여(519a) 마지막 번호가 아니면 상기의 전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고 상기 번호가 마지막 번호이면 MTU 번호를 초기치 0(Zero)으로 바꾸어 놓음으로서(520a) 수행 과정을 완료하고 다시 입력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한다(①).
운용자 시험요구에 대한 수행과정(③)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용자로부터의 시험요구가 입력되면 운용자에 의한 상세한 시험이 가능하도록 운용금지된 차단 상태(MBLK) 인가를 판단하여(505b) 시험이 불가능하면, 즉 차단상태(MBLK)가 아니면 시험 불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결과 메세지를 출력하고(515b), 시험 가능한 상태(MBLK)이면 프로세서와의 연결상태를 감시 및 시험하여(506b)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507b) 비정상인 경우는 비정상 결과 메세지를 출력하며(515b), 정상인 경우는 기본적인 MTU 동작시험을 수행한후(508b) 다시 정상여부(509b)를 판단한다(509b). 그리하여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비정상 결과 메시지를 출력하고(515b) 정상이면 읽기/쓰기(READ/WRITE) 검증시험을 수행하고(516b) 정상여부를 판단하며(511b), 비정상이면 비정상 결과 메시지를 출력하고(515b) 정상이면 다시 캐시옵션 메모리(CACHE OPTION MEMORY) 시험을 수행하여(512b)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513b). 판단결과가 정상이면 상기의 제반 시험이 모두 정상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비정상이면 비정상 결과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의 각 시험에 대한 정상 및 비정상 결과 메시지 출력후(514b,515b) 시험결과에 따른 상태 데이타를 갱신하도록 함으로써(516b) 운용자 시험요구에 대한 수행과정을 완료하고 다시 입력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한다(①).
다음으로 해당 장치의 사용금지(block) 및 허가(unblock)를 제어하는 운용자 차단/차단해제에 대한 실행 과정(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단(block) 요구는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인지되어 준비상태(REDY)인 해당 MTU를 MMC를 통해 강제로 차단시켜 운용을 금지하도록 하기 위해 운용자로부터 요구되며, 차단해체(unblock) 요구는 유지보수 결과가 양호하여 정상운용을 허가하고자 할때 MMC로 요구한다.
상기 MMC로부터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요구의 종류(차단 또는 차단해제)를 판단하며(505c) 차단요구(block)일 경우는 상기 요구의 처리가 가능한가를 판단하여(506c), 불가능하면 비정성 처리 메시지를 출력하며, 가능하면 해당 MTU를 사용금지 처리하고(507c), 정상적으로 수행히 되었는지 확인하여(508c)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으면 비정상 처리메시지를 출력하고,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으면 해당 장치 상태 데이타를 차단상태(MBLK)로 갱신하고(509c) 정상처리 결과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운용자로부터의 요구가 차단 해제요구(unblock)일 경우는 상기 요구의 처리가 가능한 상태(MBLK)인가를 판단하여(512c), 불가능하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하고(517c), 정상이면 해당 MTU의 재사용을 허가처리한후(513c), 정상적으로 수행이 되었는지 확인하여(514c)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으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하고(517c),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으면 해당 장치 상태 데이타를 준비상태(REDY)로 갱신하고(515c) 정상처리 결과 메시지를 출력한다(516c). 그리고 상기 각 메시지 출력(511c,510c,516c,517c)을 완료한후 다시 입력시그날 대가 단계(503)로 천이한다(①).
MTU 동작상태(ACTV) 구동요구에 대한 실행 과정(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용자에 의해 MTU의 동작상태 구동이 요구되면 먼저 해당 MTU가 동작상태(ACTV)로의 천이가 가능한 상태(REDY)인가를 검토하여(505d) 준비상태(REDY)가 아니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한후(507d) 입력시그날 대기단계(503)으로 천이되도록 하고(①), 준비상태(REDY)이면 운용 모드의 설정 및 데이타 저장을 수행하고(506d) 마그네틱 테이트(MT)의 제작 정보를 검증하며(508d) 폐기일이 초과되었는지 검토하여(509d), 폐기일이 초과되지 않았으면 마그네틱 테이프(MT)의 중복기재(Over Write) 요구 메시지를 출력한후(510d) 입력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되도록 하며(①), 폐기일을 초과하였으면 설정된 특정 운용모드로 제작 정보를 마그네틱 테이프에 새로이 기록하고(511d) 정상처리 결과 메시지를 출력하며(512d) 해당 MTU의 상태 데이타를 동작상태(ACTV)로 갱신함으로써(513d) 실행과정을 완료하고 다시 입력 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한다(①)
대기상태(STBY)는 입출력 시스템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운용자가 다중화로 운용 모드를 할당하기 위해 요구하는 상태로서, 대기상태 구동이 요구되면 대기상태(STBY)로의 천이가 가능한 상태(REDY)인가를 검토하여(505e) 준비상태(REDY)가 아니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한후(507e) 입력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되도록하며(①), 있으면 운용 모드의 설정 및 데이타 저장을 수행한다(508e). 그리고 마그네틱 테이프(MT)의 제작 정보를 검증하여(510e) 폐기일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511e) 폐기일이 초과되지 않았으면 마그네틱 테이프 중복기재(Over Write) 요구메시지를 출력한후(513e), 입력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되도록 하고(①), 폐기일이 초과 되었으면 설정된 특정 운용 모드로 제작 정보를 마그네틱 마그네틱 테이프(MT)에 기록한후(514e) 정상처리 결과 메시지를 출력하며, 해당 MTU의 상태 데이타를 대기 상태(STBY)로 갱신함으로서(515e) 실행 과정을 완료하고, 다시 입력 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 한다(①).
마그네틱 테이프(MT)의 중복기재(over write) 요구에 대한 실행 과정(⑦)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그네틱 테이프(MT)의 중복기재가 요구되면 우선 저장된 운용 데이타를 검증하여(505f) 중복기재가 가능한 상태(REDY)인가를 판단하여(506f) 준비상태(REDY)가 아니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한후(508f) 입력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되도록하고(①), 준비상태(REDY)이면 마그네틱 테이프(MT)에 제작정보를 기록한후(507f) 정상처리 결과 메시지를 출력하며(509f), 해당 MTU의 상태 데이타를 동작상태(ACTV) 또는 대기상태(STBY)로 갱신함으로써(510f) 실행과정을 완료하고 다시 입력 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한다(①).
MTU교체 요구에 대한 실행 과정(⑧)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TU의 교체가 요구되면 우선 해당 MTU의 상태 데이타를 검증하고(505g), 교체를 실행시킬 수 있는 상태(ACTV 또는 STBY)인가를 판단하여(506g) 교체가 불가능한 상태이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한 후(508g) 입력 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되도록 하고(①), 교체 가능한 상태이면 마그네틱 테이프(MT)의 EOF(End of File) 마크 및 제작정보를 기록하고(507g) MTU의 되감기를 실행하며(509g) 해당 MTU를 오프라인(OFF LINE) 상태로 변환시킨후(510g) 정상처리결과 메시지를 출력한다(511g). 그리고 상기 해당 MTU의 상태 데이타를 장애상태(FBLK) 변경하고(512g), 동일 운용 모드의 대기상태(STBY)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513g) 없으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한후(508g) 입력 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시키고(①) 있으면 대기상태(STBY)를 동작상태(ACTV)로 천이한후(514g) 상태 변경 메시지를 출력하고(515g), 상태 데이타를 동작상태(ACTV)로 변경시킴으로서(516g) 실행 과정을 완료하고 다시 입력 시그날 대기상태(503)로 천이한다(①).
마지막으로 MTU 자동 교체에 대한 실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정해전 MTU 자동교체 시간을 검증하고(505h) 상태 데이타를 검증하며(506h), 해당 MTU가 교체 가능한 상태(ACTV 또는 STBY) 인가를 판단하여(507h) 불가능한 상태이면 비정상처리 메시지를 출력한 후(515h) 입력 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 되도록하고(①), 교체 가능한 상태이면 마그네틱 테이프의 EOF(End of File) 마크 및 제작정보를 기록하고(508h) MTU의 되감기를 실행하며(509h), 해당 MTU를 오프라인(OFF LINE) 상태로 변환시킨후(510h) 정상처리 결과 메시지를 출력한다(511h). 그리고 상기 해당 MTU의 상태 데이타를 장애 상태(FBLK)로 변경하고(512h), 동일 운용 모드의 대기상태(STBY)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513h) 없으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한후(515h) 입력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되도록 하고(①), 있으면 대기상태(STBY)를 동작상태(ACTV)로 천이한후(514h) 상태변경 메시지를 출력하고(516h), 상태 데이타를 동작상태(ACTV)로 변경시킴으로써(517h) 실행과정을 완료하고 다시 입력 시그날 대기단계(503)로 천이한다(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MTU(Magnetic Tape Unit)와 같은 보조기억 장치를 주기적, 또는 운용자 요구에 의한 진단에 의한 방법으로 장애를 검출하여 장애정보는 원인별 분석과 장애 발생 및 복구확인을 위한 진단을 수행하며, 장애로 확인된 장치에 대해서는 공유상태 데이타 베이스의 상태 테이블을 변경하여 다른 자원을 할당하고 해당 장애 격리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장애 발생 및 처리결과에 따른 다중화를 재구성하고 해당 정보를 출력하며, 운용자 요구에 의한 장치별 상태변경 및 운용중인 장치별 상태정보 출력에 응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주기적인 입출력 시스템의 진단 및 운용자 요구에 의한 상태 제어를 통하여 과금 및 통계와 같은 시스템의 중요 데이타를 다중화시켜 장애로 인한 서비스의 중단없이 또한 데이타의 손실없이 계속적으로 온라인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공통 데이타 베이스 테이블 및 자체 이미지 테이블을 감사(audit)하여 신뢰성 있는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 상태 데이타를 유지하여 분산 제어식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입출력 상태 관리시 높은 신뢰성을 유지한다. 또한 기록된 데이타를 보호하기 위하여 해당 운용 모드로 할당하기 전에 테이프의 혜더에 기록된 날짜를 비교하여 이미 데이타가 폐기일을 초과했을 경우만 할당을 허가하고 운용자가 없는 무인 서비스를 고려하여 특정시간에 자동으로 동작중인 기록테이프를 교체하고 대기중인 테이프를 해당 운용 모드로 대체하여 계속 서비스 가능하도록 한다.

Claims (14)

  1. 프로세서간 통신 IPC패브릭(110), 운용유지보수 프로세서(OMP) 유니트(120), 및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화된 입출력 제어시스템 하드웨어(OMPH)를 내장한 분산제어식 전전자 교환 시스템의 입출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보조기억장치 상태 제어방법에 있어서 ; 데이타 베이스(DB) 및 프로그램 데이타를 초기화하고(501) 자체적으로 요구되어 수행되는 시험주기를 등록하는(502) 제1단계, 동시처리 프로세서들의 입력 시그날을 기다리는 제2단계, 및 입력시그날의 요구 내용(504a∼504h)에 따라 정해진 일정과정(①∼⑨)을 수행하며 처리결과 메시지를 출력한후 상기 제2단계의 입력 시그날 대가상태(503)로 천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중화로 데이타의 유실을 방지하고 계속적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동시처리 프로세서들에 의해 요구되는 사항은 주기적인 시험요구(504a), 운용자 시험요구(504b), 운용자 차단/차단 해제요구(504c), MTU 동작상태 구동요구(504d), MTU대기상태 구동요구(504e), MT(Magnetic Tape) 중복기재(Over Write) 요구(504f), MTU교체 요구(504g), 및 MTU 자동 교체 요구(504h)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주기적인 시험이 요구되면(504a) ; 정합 및 구동장치를 감시시험하여(505a) 이미지 상태를 갱신하는(506a) 제1과정, 데이타 베이스(DB)와 이미지 상태 데이타를 비교 검증하는(507a) 제2과정, 상기 제2과정의 비교 검증결과가 1일치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508a) 일치하면 다음 유니트를 시험하기 위해 시험할 MTU번호를 1증가 시키고(518a), 일치하지 않으면 데이타 베이스(DB)의 데이타 상태를 변경하고 데이타 상태에 따라 판단처리한 후 시험할 MTU번호를 1증가시키는 제3과정, 및 MTU 번호가 마지막 번호인가를 판단하여(519a) 마지막 번호가 아니면 다시 제1과정부터의 반복 시험을 수행하고, 마지막 번호이면 MTU번호를 초기치(0)로 변경시키고 입력 시그날 대가단계로 천이하는(①)제4과정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의 일치여부판단(508a)에서 일치하지 않을 경우 ; 상기 데이타 베이스 상태 데이타를 변경하고(509a) 상태 변경 정보를 출력하는(510a) 제5과정, 상기 상태변경정보가 준비상태(REDY)인가 판단하여(511a) 준비상태이면 장애복구 메시지를 출력하고(513a), 준비상태가 아니면 장애 발생 메시지를 출력하는(512a) 제6과정, 대기상태(STBY)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514a) 존재하지 않으면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고, 존재하면 대기상태(STBY)를 동작상태(ACVT)로 천이시켜 상태변경정보(ACTV)를 출력하며, 상태 데이타를 동작상태(ACTV)로 변경하는 제7과정, 및 시험할 MTU번호를 1증가시키는 제8과정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상태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운용자 시험이 요구되면(504b) ; 운용자에 의해 상세한 시험이 가능한 운용금지 상태(MBLK)인가를 판단하여(505b) 시험이 가능한 상태이면 다음과정으로 넘어가고, 시험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비정상 결과 메시지를 출력하는(515b) 제1과정, 순차적으로 동작 및 기능 시험을 수행하고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 시험 결과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3과정, 및 시험 결과에 따른 상태 데이타를 갱신하고 다시 입력 시그날 대기단계로 천이하는(①) 제4과정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프로세서와의 연결 상태를 감시 및 시험하여(506b)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507b) 제5과정, 기본적인 MTU동작 시험을 수행하여(508b) 정상여부를 판단하는(509b) 제6과정, 읽기/쓰기 검증시험을 수행하여(510b) 정상여부를 판단하는(511b) 제7과정, 및 캐시옵션메모리(CACHE OPTION MEMORY) 시험을 수행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8과정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해당 장치의 사용금지 및 허가를 제어하는 운용자 차단/차단해제가 요구되면(504c) ; MMC로부터의 요구 종류(차단 또는 차단해제)를 판별하는(505c)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 의해 인지된 요구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차단요구=REDY, 차단해제요구=MBLK)인가를 판단하는(506c,512c) 제2과정, 사용자 MTU를 상기 제1과정의 요구에 따라 처리하고(507c,513c) 정상 수행 여부를 판단하여(508c,514c) 정상 수행시 해당장치의 상태 데이타를 갱신하는(509c,515c) 제3과정, 및 상기 제1 및 제2과정의 판단 결과에 따라 처리 결과 메시지를 출력한후(511c,510c, 516c,517c) 입력 시그날 대기단계로 천이하는(①) 제4과정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MTU동작상태(ACTV) 구동이 요구되면(504d) ; 해당 MTU가 동작상태로의 천이가 가능한 상태(REDY)인지의 여부를 검토하는(505d) 제1과정, 운용모드의 설정 및 데이타 저장을 수행하는(506d) 제2과정, 마그네틱 테이프(MT)의 제작 정보를 검증하여(508d) 폐기일이 초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509d) 제3과정, 폐기일 초과시 설정된 특정 운용 모드로 새로운 제작 정보를 마그네틱 테이프에 기록하고(511d) 정상 처리 결과 메시지를 출력하는(512d) 제4과정, 및 해당 유니트의 상태 데이타를 동작상태(ACTV)로 갱신한후(513d) 입력 시그날 대기단계로 천이하는(①) 제5과정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의 판단결과 준비상태(REDY)가 아니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한후(507d) 곧 바로 입력시그날 대기단계로 천이됨(①)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10. 제8항에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의 폐기일 초과여부 판단결과(509d) 폐기일이 초과되지 않았으면 마그네틱 테이프의 중복 기재(Over Write) 요구 메시지를 출력한후(510d) 입력 시그날 대기 단계로 천이함(①)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대기상태(STBY) 구동이 요구되면(504e) : 대기상태(STBY)로의 천이가 가능한 상태(REDY)인가를 판단하여(505e) 준비상태(REBY)이면다음 과정으로 진행하고 준비 상태가 아니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하는(507e) 제1과정, 동일 운용 모드의 동작상태(ACTV)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406e) 존재하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하는(509e) 제2과정, 운용 모드 설정 및 데이타를 저장을 수행하는(508e) 제3과정, 마그네틱 테이프 제작 정보를 검증하여(510e) 폐기일이 초과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511e) 초과 되었으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하고, 초과 되지 않았으면 마그네틱 테이프의 중복기재 요구 메시지를 출력하는(513e) 제4과정, 설정된 특정 운용 모드로 새로운 제작 정보를 마그네틱 테이프에 기록하고(512e) 정상 처리결과 메시지를 출력하여(514e), 해당 유니트의 상태 데이타를 대기상태(STBY)로 갱신한후(515e) 입력시그날 대기단계로 천이하는(①) 제5과정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마그네틱 테이프(MT)의 중복기재(Over Write)가 요구되면(504f) ; 저장된 운용데이타 검증하는(505f) 제1과정, 중복기재가 가능한 상태(REDY) 인가를 판단하여(506f) 중복기재가 불가능하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하고(508f), 가능한 상태이면 마그네틱 테이프의 제작 정보기록(507f) 및 정상처리 결과 메시지를 출력하는(509f) 제2과정, 및 해당 유니트의 상태 데이타를 갱신한후(510f) 입력시그날 대기단계로 천이하는(①) 제3과정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MTU교체가 요구되면(504g) ; 해당 MTU상태 데이타를 검증하여(505g) 교체를 실행시킬 수 있는 상태(ACTV,STBY) 인가를 판별하고(506g), 실행 가능한 상태이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하고, 불가능한 상태이면 비정상처리 메시지를 출력(508g)하는 제1과정, 마그네틱 테이프에 EOF마크 및 제작정보를 기록하며(507g) MTU되 감기를 실행하며(509g) MTU를 오프라인 상태를 변환시키고(510g) 정상처리결과 메시지를 출력하는(511g) 제2과정, 해당 유니트이 상태 데이타를 장애상태(FBLK)로 변경하는(512g) 제3과정, 동일 운용 모드의 대기상태(STBY)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토하여(513g) 존재하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하는(508g) 제4과정, 대기상태(STBY)를 동작상태(ACTV)로 천이시켜(514g) 상태 변경 메시지를 출력하는(515g) 제5과정, 및 해당 유니트의 상태 데이타를 동작상태(ACTV)로 변경한후 입력시그날 대기단계로 천이하는(①) 제6과정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MTU자동 교체가 요구되면(504h) ; 정해진 MTU자동 교체 시간을 검증하는(505h) 제1과정, 상태 데이타를 검증하여(506h) 해당 MTU가 교체 가능한 상태(ACTV, STBY) 인가를 판단하여(507h) 가능한 상태이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하고, 불가능한 상태이면 비정상처리 메시지를 출력하는(515h) 제2과정, 마그네틱 테이프에 EOF 마크 및 제작 정보를 기록하고(508h) MTU의 되감기를 실행하며(509h) 해당 MTU를 오프라인 상태를 변환시킨후(510h) 정상처리결과 메시지를 출력하는(511h) 제3과정, 해당 MTU의 상태 데이타를 장애상태(FBLK)로 변경시키는 제4과정, 동일 운용 모드에 대기상태(STBY)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513h) 있으면 대기상태를 동작상태로 천이한후(514h) 상태 변경 메시지를 출력하고(516h), 없으면 비정상 처리 메시지를 출력하는(515h) 제5과정, 및 해당 유니트의 상태 데이타를 동작상태(ACTV)로 변경하고 입력시그날 대기단계로 천이하는(①) 제6과정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 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KR1019900009047A 1990-06-22 1990-06-22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KR92001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9047A KR920010413B1 (ko) 1990-06-22 1990-06-22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9047A KR920010413B1 (ko) 1990-06-22 1990-06-22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902A KR920001902A (ko) 1992-01-30
KR920010413B1 true KR920010413B1 (ko) 1992-11-27

Family

ID=1930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047A KR920010413B1 (ko) 1990-06-22 1990-06-22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783B1 (ko) * 2000-07-07 2003-01-3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902A (ko) 199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7083B2 (ja) 高可用ディスク制御装置とその障害処理方法及び高可用ディスクサブシステム
EP1119806B1 (en) Configuring system units
US7571356B2 (en) Storage control device, and erro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storage control device
US6009535A (en) SCSI adaptor failover for a disk drive system
US20070288585A1 (en) Cluster system
EP0333593B1 (en) A data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fault diagnosis
US8347142B2 (en) Non-disruptive I/O adapter diagnostic testing
US71276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data in a high-availability system preserving device characteristic data
JP4132322B2 (ja) 記憶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80270823A1 (en) Fast node failure detection via disk based last gasp mechanism
JPH086910A (ja) クラスタ型計算機システム
US6356978B1 (en) File control device
US659470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using a device driver
US6356985B1 (en) Computer in multi-cluster system
CN212785387U (zh) 一种低成本的多集群仲裁系统
KR92001041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고장감내형 마그네틱 테이프 유니트(mtu) 상태 제어방법
CN112650612A (zh) 一种内存故障定位方法及装置
GB2267372A (en) Fault detection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N111817892B (zh) 一种网络管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0145936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과금데이타 관리방법
JP2014532236A (ja) 接続方法
JPH1027115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障害情報採取回路
Wang et al. Fault detection and recovery strategy for partial 1553b bus controller ram failure of spacecraft in orbit
KR960010879B1 (ko) 공통의 버스 자원을 공유한 다수 프로세서의 버스 이중화 제어 및 버스 이상 상태 발생시 복구 처리방법
JP2767831B2 (ja) 共有デバイスのアクセス管理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