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098B1 -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098B1
KR920010098B1 KR1019890012777A KR890012777A KR920010098B1 KR 920010098 B1 KR920010098 B1 KR 920010098B1 KR 1019890012777 A KR1019890012777 A KR 1019890012777A KR 890012777 A KR890012777 A KR 890012777A KR 920010098 B1 KR920010098 B1 KR 920010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ar ratio
group
acid
tartaric acid
butanedi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448A (ko
Inventor
현명억
박남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이승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이승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1989001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098B1/ko
Publication of KR91000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및 중화제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제조시 저비점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취급상 위험성이나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고, 수분산시 유화제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인해 강한 극성 및 다공성물질에 강한 접착력을 나타내며, 보존성, 내수성, 내약품성이 특히 우수한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적층재료나 각종 복합재료의 접착을 위해 폴리우레탄계 폴리머가 사용되어 왔는바, 이러한 폴리우레탄계 폴리머로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활성수소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을 혼합시켜서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폴리머 접착제의 경우 접착력이나 내수성, 내약품성등이 좋아서 여러분야, 예컨대 목재, 섬유재료, 천연 및 합성고무, 플라스틱, 금속, 유리등과 같은 각종 재료에 접착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의 경우는 장기간 보관시 겔화되므로 보존성이 좋지못하고,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유화분산시 유화안정성도 좋지못하여 결국, 실제사용시 접착력이 저하되게되며, 내수성, 내약품성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착제조성물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일본특허 공보 소53­29175호에서는 유리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고 있는 프레폴리머와 그 프레폴리머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당량에 대해 3배 당량이하와 15몰%이상의 농도를 가지고 있는 중아황산염 수용액을 혼합 반응시켜서, 유리이소시아네이트기를 중아황산염으로 블록화시키는 동시에 친수화시킴으로서 얻어지는 열반응성 수계 접착제조성물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성우레탄은 고성능 교반장치가 필요할 뿐아니라 수중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중아황산염 및 친수성 폴리올인 폴리에테르 폴리올중의 옥시에틸렌 쇄를 프레폴리머에 대해 10%이상의 무게로 사용해야 하는 점이 있기 때문에 상온에서 필름이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목재, 섬유 재료, 천연 및 합성고무, 플라스틱, 금속, 유리 및 석재 등에 대한 접착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저장 안정성도 좋지 않아 사용상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접착제조성물에서 사용상 나타났던 제문제점들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쇄연장제, 그리고 중화제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수분산시의 유화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착력이 매우 뛰어나고 보존성이 극히 우수하며, 내수성 및 내약품성도 우수한 양이온계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쇄연장제로 이루어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올성분이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30∼80중량%, 쇄연장제로서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알킬디올아민이 0.1∼30중량%, 그리고 중화제로서 2관능기산이 상기 쇄연장제 사용몰수에 대해 20∼150몰% 함유되어 있는 것을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X는 프로톤기, 메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시클로헥시기 또는 N­메틸­N­(3­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민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조성물을 그 제조방법을 중심으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글리콜성분과 이 염기산성분을 중축합시켜서 폴리올을 합성하고, 저비점용매중에서 전체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폴리올성분 30∼80중량%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프레폴리머를 제조한다음, 쇄연장제인 다음일반식(I)로 표시되는 알킬디올아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프레폴리머를 제조한 다음, 쇄연장제인 다음일반식(I)로 표시되는 알킬디올아민 0.1∼30중량%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에, 중화제인 2관능기산을 상기 쇄연장제인 알킬디올아민의 사용몰수에 대해 20∼150몰%로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여기에다 물을 가하여 상기 저비점용매를 증류 제거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은 크게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중화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형 폴리올로서 글리콜과 이염기산으로부터 촉매존재하에서 중축합반응에 의하여 합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비고리형 글리콜로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고리형 글리콜로는 비스페널A, 레조르사놀, 카테콜, 히드로키논, 1,4-시클로 헥산디메탄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고리형 이염기산으로는 아디프산, 숙신산을, 고리형 이염기산으로는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촉매로는 디부틸틴디옥토에이트, 테트라부톡시티타늄, 리튬아세테이트, 칼슘아세테이트, 아연아세테이트, 망간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형 폴리올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글리콜 및 이염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글리콜성분으로 1,4-부탄디올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고 이염기산 성분으로서는 아디프산 또는 프탈산 또는 아디프산/프탈산 (0.25∼20몰비)을 사용하거나, 글리콜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1,4-부탄디올(0.25∼20몰비)을 사용하고 이염기산 성분으로서는 아디프산 또는 아디프산/프탈산(0.25∼10몰비)을 사용하거나, 글리콜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0.1∼20몰비)을 사용하고 이염기산 성분으로 아디프산 또는 프탈산을 사용하거나, 글리콜성분으로 1,4-부탄디올/네오펜틸글리콜(0.1∼20몰비)을 사용하고 이염기산성분으로는 아디프산 또는 프탈산을 사용하거나, 글리콜성분으로 1,4-부탄디올/1,4-시클로헥산디메탄올(0.1∼20몰비)을 사용하고 이염기산 성분으로는 아디프산 또는 프탈산 또는 아디프산/프탈산(1∼20몰비)을 사용하거나, 글리콜성분으로 1,4-부탄디올/네오펜틸글리콜/1,6-헥산디올(1∼20/1∼20/1∼2 0몰비)을 사용하고 이염기산 성분으로는 아디프산 또는 프탈산을 사용하거나, 글리콜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비스페놀A (1∼20몰비) 또는 1,4-부탄디올/비스페놀-A( 1∼20몰비)를 사용하고 이염기산으로는 아디프산 또는 프탈산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합성할 수가 있다.
또, 이러한 폴리올 합성시에는 촉매로서 디부틸딘 옥토에이트, 데트라부톡시티타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분자량은 200∼10,000까지인데, 바람직하기로는 분자량이 500∼3,000인 것이 좋으며, 글리콜 및 이염기산의 비율에 있어서는 비고리형/고리형이 1∼10인 경우가 기계적성질 2이나 접착력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상기와 같은 폴리올 제조시 사용되는 이염기산 성분에 있어서, 아디프산/프탈산이 0.25몰비 이하일 때는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고, 20몰비 이상일 때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글리콜성분에 있어서는 에틸렌글리콜/비스페놀A 및 1,4-부탄디올/비스페놀A가 1몰비 이하일 때는 수분산성이 나쁘고, 20몰비 이상일 때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1,4∼부탄디올/네오펜틸글리콜 및 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 1,4-부탄디올/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몰비가 0.1몰 이하일 때는 수분산성이 저하되고, 20몰비 이상일 때는 안정성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폴리올은 전체고형분에 대하여 30∼80중량%가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폴리올이 전체고형분에 대하여 30중량% 이하일 때는 접착력이 저하되어 좋지않게되고 80중량% 이상일 때는 수분산성 및 안정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폴리머 합성시 사용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4,4'­디페닐 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 2,6­톨루엔디아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P­크실렌디이소시안이트, m­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4,4′­디페닐메탄디이니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4,4′­디메틸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0.05∼20/1의 몰비로 사용하거나 톨루엔의 이소시아네이트/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0.01∼10/1의 몰비로 사용하거나,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2,4 및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단독 및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2,4 및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했을 때가 수성 우레탄 접착제로서 인장강도, 저장안정성 및 수분산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쇄연장제로서는 상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알킬디올아민을 사용하는바, 구체적으로는 디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이소프로필디에탄올아민, N­부틸디에탄올아민,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 N­메틸디이소프로판올아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쇄연장시 사용한 쇄연장제는 전고형분(폴리우레탄)의 0.1∼30중량%이고, 이중 7∼15중량%인 경우가 가장 적합하다.
만약, 알킬디올아민이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0.1중량% 이하일 때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30중량% 이상일 때는 수분산성 및 안정성이 저하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쇄연장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에 중화제로서 2관능기산을 사용하여 중화시키는데, 이때 사용되는 중화제로서는 예컨대, D­타르타르산, DL­타르타르산 또는 L­타르타르산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그 사용량은 상기 쇄연장제의 사용몰수에 대하여 20∼150몰%, 특히 바람직하기로는40∼80몰%로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중화제를 상기 쇄연장제의 사용몰수에 대하여 20몰%이하로 사용하게되면 폴리우레탄의 수분산이 어려워서 침전이 발생하게 되어 좋지못하고, 150몰%이상 사용하게되면 겔화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기계적 물성도 저하되어 좋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폴리머 제조시 사용되는 저비점 용매는 완전한 폴리머 제조 후에 중화제를 첨가하여 중화시킨 후 물을 첨가하여 제거시키게 되는데, 이때 사용된 저비점용매로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산, N­메틸피롤리돈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며, 그중 아세톤 또는 N­메틸피롤리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또한, 이때 용매와 더불어 촉매도 사용할 수 있는바, 그 촉매로서는 예컨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디옥토에이트,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또는 N­에틸모르폴린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용시약 및 조성에 따라 최종적으로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할 때 그 반응온도, 반응시간 및 조서물의 투입방법, 사용하는 용매의 희석량, 고형분의 농도, 이소시아네이트/디올의 몰비등의 조건은 최종 폴리우레탄수지의 분자량 및 저장 안정성 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침으로서, 최종 수지의 여러 특성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사용되는 용매량은 전 폴리우레탄 무게의 10∼80%, 고형분의 농도는 30∼40%, 이소시아네이트/디올의 몰비는 1.2∼1.7이 적합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전혀 다른 방법으로써 첫째로 고리형 및 비고리형 글리콜과 이염기산을 사용하되 비고리형/고리형의 몰비를 변화시켜서 열적성질 및 접착력을 개선하였고, 둘째로는 글리콜과 이염기산으로부터 합성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우레탄화시켜 프레폴리머를 만드는 방법 및 그 이후의 쇄연장 방법, 중화방법 및 수용화단계를 이용하므로써 수성 우레탄 접착제의 인장강도, 수분산 및 저장 안정성을 해소할 수가 있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해 합성된 양이온계 수성 우레탄, 접착제는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은 자기유화형으로서, 폴리올 제조시 글리콜, 이염기산, 쇄연장제 및 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몰비에 따라서 우레탄의 분산성 및 저장안정성이 달라지며, 열처리시 필름의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이 변하게되고, 또 저비점 용매와 특히 2관능기의 중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상온에서도 필름의 건조속도가 빠르며 용액의 점도조절이 가능하고 구조분자간의 가교결합을 형성하여 그물망(Network)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종 폴리우레탄 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우레탄 골격에 양이온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목재와 PVC시이트, 유리와 금속, 목재와 금속, 유리와 목재 및 유리와 우레탄 폼, 목재와 우레탄폼의 접착력이 우수하며, 그 이외에도 예컨대, 시멘트, 석재, 천연 및 합성고무, 종이, 섬유재료, 각종 시이트라미네이트, 플라스틱과 같은 다공성 기질의 접착제로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교반기 및 환류냉각기가 장치된 5ℓ4구 둥근 플라스크에 아디프산/프탈산=1의 몰비와 1,4­부탄디올/네오펜틸글리콜=10의 몰비로 만든 분자량 1520의 폴리올 760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1.00부를 넣고 80℃에서 10분동안 혼합한후,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2,4­/2,6­디이소시아네이트=80/20몰비) 180부를 약 30분동안 적하하면서 반응시킨다.
60분후 60℃에서 이를 아세톤 2600부로 희석시킨 후 N­메틸디에탄올아민 40부를 투입하여 180분동안 반응시킨다.
그리고, 이 온도에서 중화제인 D­타르타르산 44부를 넣고 60분동안 반응시키고 난후, 50℃에서 증류수1910를 30분동안 투입한다. 용매는 50℃, 400㎜Hg에서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고,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4­/2,6­디이소시아네이트=80/20몰비)대신에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300부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고,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4­/2,6­디이소시아네이트=80/20몰비)대신에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5의 몰비를 224부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고, 아디프산/프탈산=0.5의 몰비와 1,4­부탄디올/비스페놀 A=10의 몰비로 만든 분자량 1520의 폴리올 760부 사용했으며,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아디프산/프탈산=10의 몰비와 1,4­부탄디올/비스페놀A=5의 몰비로 만든 분자량 1520의 폴리올 770부를 사용했으며,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아디프산/프탈산=10의 몰비와 에틸렌글리콜/비스페놀A=1의 몰비로 만든 분자량 1520의 폴리올 770부를 사용했으며, 그 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아디프산/프탈산=10의 몰비와 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5의 몰비로 만든 분자량 1520의 폴리올 770부를 사용했으며, 그 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아디프산/프탈산=5의 몰비와 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15의 몰비로 만든 분자량 1520의 폴리올 770부를 사용했으며, 그 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아디프산/프탈산=0.5의 몰비와 에틸렌글리콜/1,4­부탄디올=10의 몰비로 만든 분자량 1520의 폴리올 770부를 사용했으며, 그 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아디프산/프탈산=0.5의 몰비와 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5의 몰비로 만든 분자량 1520의 폴리올 770부를 사용했으며, 그 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아디프산/프탈산=0.5몰비와 에틸렌글리콜/비스페놀A=5의 몰비로 만든 분자량 1520의 폴리올 770부를 사용했으며, 그 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아디프산/프탈산=0.5몰비와 1,4­부탄디올/비스페놀 A=1의 몰비로 만든 분자량 1520의 폴리올 770부를 사용했으며, 그 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아디프산/프탈산=15몰비와 1,4­부탄디올/1,4­시클로헥산디메탄올=1의 몰비로 만든 분자량 1520의 폴리올 770부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2,4-/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80/20)/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5의 몰비의 224부를 사용했으며, 그 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아디프산/프탈산=10의 몰비와 1,4­부탄디올/1,4­시클로헥산디메탄올=10의 몰비로 만든 분자량 1520의 폴리올 770부를 사용했으며, 그 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쇄연장제인 N­메틸디에탄올아민 47부를 투입하여 210분동안 반응시켰으며 D­타르타르산 50부를 사용하였다. 그 외 조건은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쇄연장제인 N­부틸디에탄올아민 64부를 투입하여 210분동안 반응시켰으며, 중화제인 L­타르타르산 50부를 사용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쇄연장제인 N­이소프로필디에탄올아민 82부를 투입하여 210분동안 반응시켰으며, 중화제인 DL­타르타르산 82부를 사용하였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쇄연장제인 N­메틸디이소프로판아민 40부를 투입하여 210분동안 반응시켰으며, 중화제인 D­타르타르산 24부를 투입하여 180분동안 반응시키고 그 외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18로부터 합성한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의 일반적인 물성은 다음 표 1과 같고, 접착력은 다음 표 2와 같다.
[표 1]
Figure kpo00002
[표 2]
Figure kpo00003
* 상기 표 1에서 저장안정성의 물성측정 표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 : 우수, △ : 보통
* 상기 표 2에서 각 피착제의 두께 및 크기는 다음과 같다.
1) 목재 ; 가로×세로×높이=2×2×2㎝인 육면체
2) 유리 ; 두께=7㎜. 가로×세로=5×5㎝
3) 금속 ; 두께=7㎜. 가로×세로=2×2㎝
4) ABS ; 두께=7㎜. 가로×세로=2×2㎝
5) 우레탄 품(경질) ; 두께=1㎝. 가로×세로=5×5㎝
6) PVC 시이트(연질), PE 필름, 알루미늄호일 ; 두께=0.5∼2㎜. 가로×세로=3×15㎝
7) 목재 ; 두께=2㎝. 가로×세로=5×15㎝
* 또한 상기 표 2에서 A, B, C의 세가지 접착제를 1-3g 정도 도포하고 상온에 이를, 100℃×2분간 처리후 9㎏의 하중을 가해 접착제를 파괴하였다.
접착제 : A(실시예 1의 조성물)
B(실시예 16의 조성물)
C(실시예 17의 조성물)

Claims (2)

  1.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쇄연장제로 이루어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올성분이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30∼80중량%, 쇄연장제로서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알킬디올아민이 0.1∼30중량%, 그리고 중화제로서D­타르타르산, D,L­타르타르산 또는 L­타르타르산이 상기 쇄연장제 사용몰수에 대해 20∼150몰%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
    Figure kpo00004
    상기 식에서, X는 프로톤기, 메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시클로헥실기 또는 N­메틸­N­(3­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민기를 나타낸다.
  2.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글리콜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비스페놀 A 또는 1,4-부탄디올/비스페놀 A를 1∼20의 몰비로 사용하거나, 1,4-부탄디올/네오펜틴글리콜을 0.1∼20몰비로 사용하거나, 1,4­부탄디올/네오펜틸글리콜/1,6­헥산디올을 1∼20/1∼20/1∼20의 몰비로 사용하거나, 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을 0.1∼20몰비로 사용하거나, 1,4-부탄디올/1,4-시클로헥산디올을 0.1∼20의 몰비로 사용하고, 에틸렌글리콜/1,4부탄디올을 0.25∼20몰비로 사용하고, 이 염기산성분으로는 아디프산/프탄산을 0.25∼20몰비로 사용하여 이들을 중축합시켜서 폴리올을 합성하고, 저비점용매중에서 전체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폴리올성분 30∼80중량%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되, 이때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4,4′­디메틸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0.05∼20/1의 몰비로 사용하거나 톨루엔의 이소시아네이트/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0.01∼10/1의 몰비로 사용하여서 프레폴리머를 제조한 다음, 쇄연장제인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알킬디올아민 0.1∼30중량%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에, 이 반응물을 중화제인 D­타르타르산, D, L­타르타르산 또는 L­타르타르산을 상기 쇄연장제인 알킬디올아민의 사용몰수에 대해 20∼150몰%로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여기에다 물을 가하여 상기 저비점용매를 증류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5
    상기 식에서, X는 프로톤기, 메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시클로헥실기 또는 N­메틸­N­(3­아미노프로필)­프로판아민기를 나타낸다.
KR1019890012777A 1989-09-05 1989-09-05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920010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2777A KR920010098B1 (ko) 1989-09-05 1989-09-05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2777A KR920010098B1 (ko) 1989-09-05 1989-09-05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448A KR910006448A (ko) 1991-04-29
KR920010098B1 true KR920010098B1 (ko) 1992-11-14

Family

ID=1928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777A KR920010098B1 (ko) 1989-09-05 1989-09-05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0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448A (ko) 199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7844B1 (en) Bulk polyurethane ionomers
CA1303769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queous dispersions of polyurethane polyureas, the dispersions obtainable by this process and their use as coating compositions
DE60211726T2 (de) Feuchtigkeitshärtbarer polyurethanschmelzkleber mit grossem topfzeitbereich
EP0407968A2 (en) Semi-continuou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urethaneurea aqueous dispersions
KR900006909B1 (ko) 폴리우레탄에 기초한 화학적으로 경화시키는 2성분계 물질로 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4554308A (en) Crosslinked polyurethane dispersions
JPH01104612A (ja) ポリウレタン水性分散液
US4507431A (en) Preparation of crosslinked polyurethane ionomer dispersions
US7166649B2 (en) Polyester-polyether hybrid urethane acrylate oligomer for UV cur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4247678A (en) Polyurethane derived from both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and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and fuel container made therefrom
KR20100122907A (ko) 무용매 접착제에 유용한 액체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CN102858847B (zh) 聚氧亚烷基二醇和聚氨酯树脂及含有这些的涂布剂
JPH058728B2 (ko)
AU7184598A (en)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s of polypropylene glycol having a low urea content
US20060167203A1 (en) Liquid carboxy-containing polyester oligomer, water-compatible polyurethane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920010098B1 (ko) 양이온계 수성우레탄 접착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2004530023A (ja) ポリウレタン分散液およびその使用
CA1338718C (en) Solvent-based urethane coating compositions
CN115160534A (zh) 水性聚氨酯
CA2110355C (en) Polyurethane emulsion compositions having active amino group
KR101804939B1 (ko) 전분당계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950002244B1 (ko) 음이온계 수성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JPS63202610A (ja) ポリウレタンの製造法
JPH07157526A (ja) 自己乳化型ウレタン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
JPH037781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