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963B1 - 점프 보조기 - Google Patents

점프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963B1
KR920009963B1 KR1019900020154A KR900020154A KR920009963B1 KR 920009963 B1 KR920009963 B1 KR 920009963B1 KR 1019900020154 A KR1019900020154 A KR 1019900020154A KR 900020154 A KR900020154 A KR 900020154A KR 920009963 B1 KR920009963 B1 KR 920009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
lowered
jumping
landing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535A (ko
Inventor
박영우
Original Assignee
박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우 filed Critical 박영우
Priority to KR101990002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9963B1/ko
Publication of KR920011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5/00Stilts or the like
    • A63B25/10Elastic bouncing shoes fastened to the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프 보조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로서 수축전 상태도.
제2도는 동 최대 수축 상태도.
제3도는 일부를 단면으로보인 정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착지부재 2 : 탑재부재
3 : 진동부재 4 : 스프링기구
5 : 스프링기구 6 : 절곡부재
7 : 접지접근 폭 8 : 뒷축답핀
9 : 현가수단 10 : 접지접근 폭
11 : 전방답판 12 : 현가크립
13 : 브라케트 14 : 유격장공
15 : 결합축
본 발명은 점프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점프중에 동적안정을 확보하고 유효 상승 거리를 극대화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점프 보조기라 함은 운동용 신발류의 저부에 탄력기구를 부착시켜 발에 착용할 수 있으며 뜀뛰기 또는 점프시에 탄력기구의 수축 팽창을 발생시켜 상승시에는 점프력을 증대시키고 착지에는 완충력을 주어 점프력의 증진을 꾀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점프 보조기는 점프 역량을 극대화시키는 데에 그 이용 목적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점프 보조기를 착용하고 순발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점프 보조기의 착용으로 체중의 균형이 깨지거나 점프 동작의 장애 용인이 발생되면 순발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보조기의 착용으로는 점프력의 증진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의 점프기를 신발류의 저부에 부착되는 답판이 신축기구의 최상부에 부착 되어 있어 균형 유지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으며 또한 이 같은 점프보조기의 구조적 결함은 신축기구의 최대 신축폭이 스프링이나 현가수단 등에 의한 감소시켜 신축기구의 진동 폭을 제약하는 원인으로도 작용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점프 보조기는 상기에서 분석된 바와 같은 점프력 증진에 따르는 기구적 장애 요인을 제거하였고 안정된 진동을 이용하여 점프 순간에 최대 순발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점프 보조기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신체의 점프력 증진을 극대화 할수 있게 되어 있는 점프 보조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축기구는 지면에 접속되는 착지부재(1)와 신발류의 저부에 부착되어 체중을 탑재하는 탑재부재(2)를 경사부재(3)로 연결하여 구성하였으며, 착지부재(1)와 경사부재(3) 사이에 스프링기구(4)를 형성하였고, 또한 탑재부재(2)와 경사부재(3) 사이에도 스프링 기구(5)를 형성하였다. 상기 스프링기구(4)(5)는 실시예에서 토션 스프링의 형태이며 이들의 접속부재들과 일체로 구성하였다. 또한 탑재부재(2)는 신발류와의 부착을 위한 탑재수단을 가진다. 탑재수단은 절곡부제(6)에 의해 탑재부재(2)로부터 접지접근폭(7)만큼 강하시킨 뒷축답판(8)과 현가수단(9)에 의해 탑재부재(2)로부터 접지 접근폭(10) 만큼 강하시킨 전방 답판(11)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현가수단(9)는 실시예에서 스프링기구(5)에 결합시킨 현가크립(12)과 전방답판(11) 측부 브라케트(13) 상의 구성시킨 유격 장공(14)에 결합축(15)을 끼워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점프 보조기의 착용은 전방답판(11)과 뒷축 답판(8) 위에 신발류를 부착하고 발에 착용하면 되는 것인데, 착용후 뜀뛰기 동작을 행하면 스프링 기구(4)(5)로 접속시킨 착지부재(1)와 탑재부재(2) 및 경사부재(3)가 뜀뛰기 하중을 탑재한 상태로 진동운동을 하게 되어 점프시에는 점프력이 상승되고 착지시에는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점프동작하에서 체중의 균형 유지가 적절하게 되어 사용자의 기량에 따라 증진된 순발력으로 점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뒷축답판(8)을 절곡부재(6)에 의해 탑재부재(2)에서 접지 접근폭(7)만큼 강하시키고 전방답판(11)을 현가수단(9)에 의해 탑재부재(2)에서 접지 접근폭(10)만큼 강하시켰기 때문에 제2도의 최대 수축 상태에서 두 답판(8)(11)은 지면에 상당히 근접하는 상태가 되고, 따라서 발관 지면과의 간격이 좁게 되어 점프기 착용에 따른 이질감이 극소화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중의 균형 유지가 용이해지고 반복되는 진동사이클 상에서 동적 안정이 유지되어 사용자는 점프의 순발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앞서 본 바와 같이 전후의 답판(8)(11)이 접지 접근폭(7)(10)만큼 강하 되어 있어 제1도의 수축전 자세에서 진동 여유 폭을 최대한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점프 순간 탄발력에 의해 체중을 밀어올리는 거리가 최대치로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역으로 완충시에도 완충 여유 폭이 최대치가 되어 충격 흡수력을 극대화시키므로써 점프 동작의 유연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점프 동작에서 뒷굽이 앞굽보다 높아지게 되면 두 답판(11)(8)간의 거리에 변위가 발생되면 이러한 답판간의 변위 동작은 현가크립(12) 상의 결합축(15)과 브라케트(13) 상의 장공(14) 사이에서 흡수되어 착용자는 위와 같은 답판(11)(8) 간의 거리 변위에 따른 저항을 받지 않게 되어 편안한 상태로 점프를 계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점프 과정에서 착용자의 자세가 안정되고 발이 편안한 상태로 착용되며 유효 진동폭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착지부재(1)와 경사부재(3)를 스프링기구(4)로 결합하고 경사부재(3) 상단과 탑재부재(2)를 스프링(5)로 결합하되, 탑재부재(2)로부터 접지접근폭(7) 만큼 강하시킨 절곡부재(6)에 뒷축답판(8)을 결합시키고 탑재부재(2)로 부터 접지 접근폭(10)만큼 강하시킨 현가수단(9)에 전방 답판(11)을 결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보조기.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현가수단(9)은 스프링 기구(5)에 결합된 현가크립(12)과 전방답판(11)측부의 브라케트(13)상에 형성된 유격 장공(14)과 이들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축(15)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보조기.
KR1019900020154A 1990-12-08 1990-12-08 점프 보조기 KR92000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154A KR920009963B1 (ko) 1990-12-08 1990-12-08 점프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154A KR920009963B1 (ko) 1990-12-08 1990-12-08 점프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535A KR920011535A (ko) 1992-07-24
KR920009963B1 true KR920009963B1 (ko) 1992-11-09

Family

ID=1930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154A KR920009963B1 (ko) 1990-12-08 1990-12-08 점프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9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88B1 (ko) * 2001-06-07 2003-11-21 안동수 놀이용 점핑기구
KR100469560B1 (ko) * 2002-01-17 2005-02-02 변우형 점프 가능한 신발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535A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7211B2 (ja) スプリング付き運動靴
KR100894880B1 (ko) 기능성 신발
US5343636A (en) Added footwear to increase stride
WO2015138815A2 (en) Arch spring footwear system for providing energy-return during human gait
US20180263792A1 (en) Artificial foot
KR920009963B1 (ko) 점프 보조기
CN108283341A (zh) 一种可变系数的弹性高跟鞋
US5514054A (en) Stilts
WO2012108589A1 (en) Spring cushioned shoe
KR100999900B1 (ko) 스프링 완충 신발
JP2020506077A (ja) エクソスケルトンサブ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ようなサブアセンブリを含むエクソスケルトン構造体
KR100446857B1 (ko) 스케이트 날의 고정장치 및 그 완충장치
KR100831742B1 (ko) 다이어트용 쿠션 신발
KR20120063413A (ko)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101957433B1 (ko) 충격 완화 목발
CN218921854U (zh) 仿生鞋底缓震结构及鞋
JP3987981B2 (ja) 跳躍板補助装置
CN115607348B (zh) 一种变刚度踝足矫形器
CN219537591U (zh) 一种保护脚踝的组件及运动鞋
CN213550067U (zh) 磁铁弹跳鞋底
CN215381830U (zh) 减震助力鞋底
KR20040054294A (ko) 충격 완충 장치를 구비한 바퀴 및 이를 장착한 롤러스케이트
RU2009651C1 (ru) Подошва, рекуперирующая энергию
CN110122970B (zh) 一种健身跑鞋
CN217187647U (zh) 一种基于扭力弹簧设计的无动力行走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