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887B1 - 압력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력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887B1
KR920009887B1 KR1019870008605A KR870008605A KR920009887B1 KR 920009887 B1 KR920009887 B1 KR 920009887B1 KR 1019870008605 A KR1019870008605 A KR 1019870008605A KR 870008605 A KR870008605 A KR 870008605A KR 920009887 B1 KR920009887 B1 KR 920009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essel
core body
winding
wall
spigo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272A (ko
Inventor
에흐스 오이겐
Original Assignee
에흐스 오이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흐스 오이겐 filed Critical 에흐스 오이겐
Publication of KR880004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6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constructed of plastics materi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2/00Pressure vessel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 H03K17/615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in a Darlington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력용기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차량공기조화장치에서 드라이어(drier)용기용 압력용기의 정면도.
제2a도는 제작의 중간단계에 있는 제1도의 압력용기의 좌측반쪽을 도시한 단면도.
제2b도는 제작의 최종단계에 있는 압력용기의 우측반쪽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작의 중간단계에 있는 압력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제작의 중간단계(도면의 좌반부)와 최종단계(도면의 우반부)에 있는 압력용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상부의 단면도.
제4a도는 제작의 중간단계(도면의 좌반부)와 최종단계(도면의 우반부)에 있는 제4도의 압력용기의 하부의 단면도.
제4b도는 제작의 중간단계(도면의 좌반부)와 최종단계(도면의 우반부)에 있는 압력용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하부의 단면도.
제5도는 다수의 압력용기를 제작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압력용기 2 : 케이싱
3 : 하부 4 : 스피곳(spigot)
6 : 칼러 7,7′: 연결기
8,9 : 도관 10,44,49,50,53 : 보어
11 : 출구파이프 13 : 와인딩층
14 : 코어몸체 16 : 하부벽
17 : 돔형상부 18 : 상부 스피곳연장부
21,21″ : 보조와인딩몸체 21′: 콘형 외벽
18″,24 : 하부 스피곳연장부 27 : 삽입플러그
28 : 원주홈 30 : 원주부
32 : 강화슬리이브 36,45,45′: 커플링요소
37,46 : 커플링부 42 : 환형 몸체
47,52 : 숫나사 54 : 와인딩장치
55 : 베드프레임 56,57 : 지지대
58 : 스핀들 59 : 척
62 : 와인딩요소
본 발명은 압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차량공기조화장치내에서 냉매를 건조하기 위한 압력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OS 30 07 524호로 알려진 압력용기에서 블로우모울딩(blow molding)된 플라스틱 내부용기의 외면에 의하여 압력용기의 외부형태가 결정된다 하였다.
이와같은 내부용기에는 개구된 스피곳연장부와 만곡된 하부가 있다. 내부용기의 양단에는 강화된 캡(cap)이 사용되는데, 그중의 하나에는 내부 용기의 스피곳연장부를 둘러싸고 있는 칼러(collar)가 있고, 다른 하나에는 외부로 돌출하는 핀이 있다. 강화캡은 외부의 와인딩층이 내부용기 상에 나선형으로 감고있는 것처럼 와인딩피치가 역방향으로된 쇼울더(shoulder) 또는 리세스(recess)가 형성된 칼러로 이루어진 보조와인딩몸체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형태의 압력용기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강화캡이 있는 하나의 내부용기는 압력용기가 완성되도록 외부에 와인딩층을 도포하는 와인딩장치에 장착된다. 이 방법의 결점은 완성된 압력용기에서 로스트코어(lost core)로서 작용하는 내부용기를 만드는데 드는 비용이지만, 완성된 압력용기의 바라는 체적과 형상을 갖게하기 위해 내부용기가 정확한 형상을 갖추어야 한다. 내부용기와 강화캡을 만드는데 드는 비용이 완성된 압력용기 전체비용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DE-OS 29 07 966호에서 압력용기를 만드는 방법에서 내부플라스틱용기는 블로우모울딩으로 형성되고, 글래스 화이버(glass fiber)가 강화된 플라스틱의 와인딩층이 이 용기에 도포되기전에 용기 양단에 강화캡이 갖추어진다. 이 경우에 내부용기를 만드는데 상당한 비용이 들고, 이 비용이 완성된 압력용기의 총비용에 비례하지는 않는다.
미합중국, 일리노이주, 소랭 애비뉴 9655, 싱어 콘트롤 디비젼(Singer Controls Division, 9655 Soreng Ave, Ill., USA)이라는 회사에 의해 1984년에 “모빌 에어 콘티셔닝 서어비스 불리틴”(Mobile Air Conditioning Service Bulletine)이란 제하로 발행된 관보에서 차량공기조화장치의 드라이어 용기로서 사용되는 금속압력용기가 설명되어 있다. 이 압력용기는 인발성형된 강시이트의 상반부 및 하반부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이 압력용기의 최대결점은 차량공기조화장치에서 특히 결점으로 지적되는 무거운 무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몸체는 대량생산되는 스프레이 디스펜서 또는 음료수 용기로부터 얻어지는 원통형 표준블랭크이며, 프레스성형, 로울성형 또는 체이싱(chasing)에 의해 상기 코어몸체의 개방된 끝이 개방된 스피곳연장부를 포함하는 용기의 상부의 형태로 변형되고, 이 코어몸체의 양단부는 압력용기의 길이방향축과 동축으로 배치된 커플링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방법으로 적어도 2개의 코어몸체가 와인딩유닛(winding unit)을 이루기 위해 동축정렬로 하단과 하단, 또는 하단과 상단이 상호연결된다.
상기 방법과 같은 타입의 압력용기를 만들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대량생산되는 스프레이 디스펜서 또는 음료수용기로부터 얻어지는 표준블랭크는 대량으로 생산되므로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표준블랭크는 압력용기의 상부를 바라는 모양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 간단한 도구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고 원통부는 단지 몇 밀리미터의 벽두께를 갖는다. 반면에 표준블랭크는 와인딩층에 작용하는 힘에 견디기 위하여 충분히 단단해야 한다. 표준블랭크와 그 표준블랭크의 준비에 드는 비용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압력용기 총비용에 비해 저렴하다.
본 압력용기가 차량공기조화장치에서 드라이어용기로 사용될때 얻어지는 이점은 생산비가 감소되며 종래 금속압력용기에 비해 약 50%까지 무게가 감소된다는 것이다. 코어몸체에 있는 커플링요소가 와인딩층이 하나의 작업으로 도포되도록 하기위해 다수의 코어몸체로 와인딩유닛을 이루도록 동축상에 상호연결하는데 사용되므로 와인딩층을 도포하는데 드는 비용을 상당히 감소할 수 있고 종래의 개별로 압력용기를 도포하던 방법이 배제되어진다. 하나의 작업으로 다수의 코어몸체에 와인딩층이 도포되게 하기위해 커플링 요소를 이용하여 코어몸체를 동축상에 상호연결시키고 전술한 표준블랭크를 이용함으로써 최적의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코어몸체의 스피곳연장부에 강화슬리이브가 함께 제공되는 실시예에 의해 완성된 압력용기의 임계부에서 압력에 대한 저항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에서 특히 드라이어용기에 사용되는 압력용기(1)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통형의 스피곳(4)이 있는 만곡된 하부(3)가 있는 중공의 케이싱(2)이 있다. 케이싱(2)의 상부는 칼러(6)내로 들어가는 큐우폴라(cupola)의 형상을 이룬다.
압력용기(1)에서 아래로 뻗은 출구파이프(11)(점선으로 도시)와 도관(8)(9)과 보어(10)(점선으로 도시)의 연결을 위해 대향부가 있는 연결기(7)가 케이싱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재(31)에 의해 압력용기(1) 내에 여과재 및 건조제(12)가 지지된다. 도관(8)이 출구파이프(11)와 연결된다. 도관(9)은 통로(9a)를 통해 압력용기(1)의 내부와 연결된다. 압력용기(1)는 100바(bar)이상의 내압에 견디게 설계된다. 스피곳(4)과 칼러(6)는 각각 케이싱(2)의 외경 D의 1/2에 상응하는 외경 d를 갖는다.
제1도에서 도시된 압력용기의 생산과정과 그 내부배열이 제2a,2b도에서 명확히 도시된다. 압력용기(1)는 전술한 원통형 표준블랭크(점선으로 도시)를 재료로하여 생산이 시작되는바 약 0.4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시이트를 인발성형함으로써 생산된다. 상당히 얇은 벽두께를 갖는 금속시이트나 플라스틱재질로 표준블랭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표준블랭크 R1은 압력용기(1)의 코어몸체(14)와 원통벽(15)과 예를들면 1.3 내지 2.5mm의 두께를 갖는 평면의 하부벽(16)를 이룬다. 개구부를 통해 코어몸체(14)내에 연속으로 여과재 및 건조제(12)(필터몸체 및 실리카겔 카트리지로써 제공됨), 출구파이프(11)와 지지부재(31)가 넣어진다.
이러한 구성부품들이 조립되어 예비조립용기가 된다. 이어서, 표준블랭크 R1이 단부는 프레스성형, 로울성형, 체이싱(chasing)에 의해 돔형상부(17), 원통형의 상부 스프곳연장부(18), 칼러(6), 연결기(7)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9)로 변형된다. 표준블랭크 R2로 성형되는 보조와인딩몸체(21)는 하부벽(16)의 하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표준블랭크 R2는 표준블랭크 R1보다 훨씬 짧다. 표준블랭크 R2는 화살표방향으로 로울성형, 프레스성형, 체이싱등의 가공에 의해 상부 스피곳연장부(18)와 유사한 원통형 하부 스피곳연장부(24)와 큰형 외벽(21′) 또는 돔형외벽(22)으로 변형된다. 보조와인딩몸체(21)에는 하부벽(16)의 외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평평한 다른 하부벽(23)이 있는데 두벽은 면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브가 형성된 하부벽이 있는 보조와인딩몸체(21)를 이용할 수도 있다. 안밖으로 만곡이 있는 하부벽(16) 및 또는 다른 하부벽(23)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타입의 표준블랭크가 스프레이 디스펜서 또는 음료수용기로 사용되므로 표준블랭크 R1,R2를 고를때 상기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연결기(7)는 원주홈(28)이 있는 삽입플러그(27)에 제공되며 상부 스피곳연장부(18)이 개구부(19)에 삽입된다. 상부 스피곳연장부(18)의 원주부(30)는 로울성형, 프레스성형, 체이싱등의 가공에 의해서 연결기(7)와 밀폐되기 위해 원주홈(28)에 맞춰 변형된다. 연결기(7)와 하부 스피곳연장부(24)을 이용하여 와인딩장치 내에 준비된 중간제품이 장착된다. 폴리에스테르 같은 접착수지층(26)과 글래스 화이버 스트랜드층(25)으로 구성된 와인딩층(13)은 종래 와인딩방법에 의해 외벽에 도포된다. 와인딩층(13)의 상부 스피곳연장부의 상부가장자리에서 적어도 하부 스피곳연장부(24)의 바닥까지 또는 자유단까지 연장된다. 연결기(7)의 자유단에서 보어(10)는 주조될 수 있는 물질로 채워져서 폐쇄된다. 와인딩층에 사용되는 화이버는 글래스 화이버, 카본화이버, 스틸화이버 또는 고강도물질 화이버등이다.
제1도와 제2b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와인딩층(13)의 글래스 화이버 스트랜드층(25)은 최초에 선 13a,13b에서 지시된 바와같이 나선형통로를 교차하며 감겨진다. 최종단계의 글래스 화이버 스트랜드층(25)은 선 13c에 의해 지시된 바와같이 적어도 원통부에서는 원주형 밴드형상으로 감겨진다. 와인딩층(13)의 두께는 압력에 충분히 견디게 코어몸체(14)의 두께(S)보다 두껍다. 와인딩층의 외면은 표면피복 또는 보조보호 케이싱으로 덮여진다. 연결기(7)상에 형성된 수나사와 상부 스피곳연장부(18)가 체결되도록 암나사를 형성시킨다. 보조와인딩몸체(21)는 하부벽(16)이 만곡되어 강도가 증가되거나 고압에 견디게 충분한 두께를 가진다면 가벼운 무게의 용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기(7)의 삽입플러그(27)가 상부 스피곳연장부(18)의 자유단에 접착되어 고착된다. 돔형상부(17)를 코어몸체(14)의 원통부와 하나로 형성하는 대신에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분리형 돔형상부(17′)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분리형 돔형상부(17′)의 벽두께는 1.5mm∼2.5mm로 원통부보다 두껍게 한다. 분리형 돔형상부(17′)는 각각 도면부호 17″,17″′로 지시된 바와같이 연결기(7), 코어몸체(14)의 원통부에 접착되어 고착된다. 분리형 돔형상부(17′)를 사용하게 되면 표준블랭크 R1을 변형시키는 작업을 생략하게 된다.
또한, 용기의 끝부분에서 분리형 돔형상부(17′)와 동일한 돔형상부의 단부에 연결된 하나의 얇은 벽을 가진 파이프형태로 코어몸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도 및 제4a도에서 도시된 압력용기(1″)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연결기(7)의 삽입플러그(27′)는 돔형상부(17)의 상부 스피곳연장부(18)내로 삽입된다. 출구파이프(11)는 압력용기(1″)의 내부로 돌출한다. 코어몸체(14)의 상부 스피곳연장부(18)는 상기 코어몸체(14)와 동일한 물질인 알루미늄 시이트, 스틸시이트 또는 플라스틱으로된 강화슬리이브(32)로 둘러싸인다.
제4도의 좌반부에 제작의 중간단계에 있는 압력용기의 상부가 도시된 바와같이 강화슬리이브(32)의 상부 가장자리부(34)와 상부 스피곳연장부(18)의 상부가장자리부는 동일평면상에 일치하게 뻗어있다. 강화슬리이브의 하부가장자리부(33)는 돔형상부(17)에 연결되는 상부 스피곳연장부(18)의 뿌리부까지 뻗는다.
제4도의 우반부에 제작의 최종단계에 있는 압력용기의 상부가 도시된 바와같이 화살표(29)에 의해 지시된 부분에서 상부 스피곳연장부(18)가 변형되며, 또한 원주홈(28)에 일치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강화슬리이브(32)도 변형된다. 강화슬리이브(32)는 전체길이에서 상부 스피곳연장부(18)와 면접촉하여 내압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는데 상부 스피곳연장부(18)와 그 뿌리부(35)의 근방에서 돔형상부(17)를 강화시킨다. 와인딩층(13)은 적어도 강화슬리이브(32)의 축방향길이부에 걸쳐 뻗는다. 「34′」는 강화슬리이브(32)의 상부가장자리부(34)가 변형된 상부가장자리부이다.
연결기(7)의 삽입플러그(27′)의 상단부에는 시일부재(39)가 삽입되어 나사가 있는 커플링부(37)의 쇼울더상에 지지될 나사가 있는 플러그(38)를 받아들이는 커플링부(37)를 포함하는 플러그가 내포되는 커플링요소(36)가 제공된다. 나사가 있는 플러그(38)는 압력용기(1″)내로 삽입된 출구파이프(11)를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동시에 나사가 있는 플러그(38)는 나사가 있는 커플링부(37)내로 삽입되어 시일부재를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역활을 한다.
제4a도에서 도시되는 것은 압력용기(1″)의 하부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표준블랭크 R1의 하부벽(16′)은 화살표(40)에서 지시된 바와같이 바깥쪽으로 만곡된다. 하부벽(16′)의 만곡은 표준블랭크 R1의 상부를 변형시키기전에 간단한 도구를 삽입하므로써, 이루어진다. 하부벽(16′)의 만곡으로 코어몸체(14)가 구형외면을 이루어 와인딩층(13)이 잘 도포된다. 이 경우에 만곡된 하부벽(16′)의 외면에 고착된 보조와인딩몸체(21″)는 표준블랭크로 형성되지 않고 외면(41)에 합쳐지는 둥글게된 변화부분이 있는 환형몸체(42)이다. 보조와인딩몸체(21″)는 하부벽(16′)에 접착되어 고착되고 두부분이 금속일때는 용접으로 고착된다. 보조와인딩몸체(21″)가 하부벽(16′)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될때 보조와인딩몸체(21″)는 무게감소를 위해 바닥벽(43)에 의해 폐쇄된 보어(44)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보조와인딩몸체(21″)에는 돔형상부(17)상의 커플링요소(36)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커플링요소(45)가 있다. 커플링요소(45)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커플링부(37)와 맞물리는 숫나사(47)가 형성된 커플링부(46)가 있다. 압력용기(1″)의 제작은 코어몸체(14)내로 제1도와 제2도를 참조로 서술된 구성부품을 삽입하기전에 하부벽(16′)을 만곡함으로써 시작된다.
이어서, 용기의 돔형상부(17)를 형성한 후 연결기(7)의 삽입플러그(27′)는 강화슬리이브(32)와 일치하게 상부 스피곳연장부(18)를 변형시켜 삽입하고 고착시킨다. 보조와인딩몸체(21″)가 하부벽(16′)에 고착된후 준비된 중간제품은 하나의 작동으로 와인딩층(13)이 도포되게 하기위해 제5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와인딩장치에 장착되는 와인딩유닛(E)이 되게 하기위해 동일한 커플링요소(36)와 커플링요소(45)가 있는 다른 중간제품과 동축으로 연결된다. 커플링구성부품(36)(45)(45′)(50)는 베어어닛(bayonet)커플링 또는 금속해제(quick release)커플링으로 서로 상호작동하게 설계된다.
제4b도는 하나의 작동으로 와인딩층을 도포시킬 목적으로 다수의 압력 용기를 상호연결하여 사용하는 압력용기(1″)의 하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코어몸체(14)의 하부벽(16″)은 외부로 만곡되고 연결기(7′)의 삽입플러그(27″)의 삽입을 위한 공동부(48)가 있는 하부 스피곳연장부(18′)로 형성되고, 압력용기(1″′)는 상부유입구와 하부유입구가 있다. 삽입플러그(27″)는 사이에 접착제를 넣고 원주홈(28)으로 하부 스피곳연장부(24)를 변형시켜 고정시킨다.
삽입플러그(27″)를 관통해서 뻗는 축방향보어(49)는, 제4a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커플링요소(45)나, 숫나사(52)와 6각형모양의 보어(53)가 있는 부싱(51)으로서 형성된 또다른 커플링요소(45′)를 받아들이는 암나사가 있는 보어(50)와 쇼울더를 통해서 병합된다. 커플링요소(45′)는 다수의 중간제품에 와인딩층을 입히는 과정에서 단지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필요하고 완성된 압력용기(1″′)에는 더 이상 필요치 않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력용기(1″)를 만드는 다수의 상호연결된 중간제품으로 형성된 와인딩유닛(E)은 스핀들(58)과 척(chuck)(59)을 운반하는 한쌍의 지지대(56)(57)가 있는 베드프레임(55)이 있는 와인딩장치(54)에 장착된다. 와인딩유닛(E)이 화살표(60)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기위해 와인딩장치(54)에 장착되고 척(59)이 모터(65)에 연결되어 작동하게 된다. 베드프레임(55)은 글래스 화이버 스트랜드를 공급하는 공급스풀(spool)과 와인딩요소(62)를 운반하며 양방향화살표(64)의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장착된 주지지대(61)를 운반한다.
또한, 이 장치에는 글래스 화이버 스트랜드를 적시고 스며들게하는 접착제 또는 수지를 공급하는 수단이 있다. 코어몸체(14)는 커플링요소(36)와 커플링요소(45)에 의해 서로서로 연결되어 고정되어서 와인딩 작동 중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각각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커플링요소(45)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와인딩요소(62)를 배치함에 의해 와인딩층이 와인딩유닛(E)에 도포된다. 와인딩층이 도포되기전, 후에 완성된 와인딩유닛(E)은 와인딩장치(54)에서 제거된다. 완성된 압력용기는 용기사이의 연결을 해체함으로써 서로 분리된다.

Claims (16)

  1. 화이버로 강화되어 외면에 도포된 플라스틱 물질의 와인딩층(13)과 적어도 하나의 개구단부가 있는 코어몸체(14)로 이루어지며, 상부 스피곳연장부(18)로 형성된 돔형상부(17)와 하부벽(16)이 있는 길다란 중공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차량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를 건조시키기 위한 압력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벽(16)의 외면과 면접촉하는 경화된 하부벽(23)이 있는 보조와인딩몸체(21) 또는 콘형 외벽(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어몸체(14)는 대량생산되는 스프레이 디스펜서 또는 음료수용기로부터 얻어지는 하나의 개방된 단부를 갖는 원통형 표준블랭크(R1)이며, 상기 개방된 단부는 프레스성형, 로울성형 또는 체이싱에 의해 상부 스피곳연장부(18)를 포함하는 돔형상부(17)의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2. 화이버로 강화되어 외면에 도포된 플라스틱 물질의 와인딩층(13)과 코어몸체(14)로 이루어지며, 상부 스피곳연장부(18)로 형성된 돔형상부(17)와 하부벽이 있는 길다란 중공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차량공기조화 장치에서 냉매를 건조시키기 위한 압력용기에 있어서, 상기 코어몸체의 양단은 동축 정렬로 적어도 2개의 코어몸체(14)(하단과 하단, 또는 하단과 상단)를 연결하여 와인딩유닛(E)을 형성하기 위해서 길이방향축과 동축 정렬로 커플링 요소(36),(4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하부벽(16)(23)이 평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보조와인딩몸체(21) 또는 콘형 외벽(21′)은 대량 생산되는 스프레이 디스펜서나 음료수용기로부터 얻어지며 개방된 단부가 있는 원통형 표준블랭크(R2)이며, 상기 개방된 단부가 프레스성형, 로울성형 또는 체이싱에 의해 돔형 또는 콘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보조와인딩몸체(21) 또는 콘형 외벽(21′)이 코어몸체(14)의 표준블랭크 R1과 동일하지만 길이가 더 짧은 표준블랭크 R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코어몸체(14)의 하부벽(16)이 바깥쪽으로 만곡되고, 코어몸체(14)의 상부 스피곳연장부(18)에 동일한 형상 및 직경을 갖는 보조와인딩몸체(21) 또는 콘형 외벽(21′)이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만곡된 하부벽(16)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코어몸체(14)의 하부벽(16″)이 바깥쪽으로 만곡된 부분과 공동부(48)로 형성되며, 돔형상부(17)의 상부 스피곳연장부(18)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스피곳연장부(1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8. 제2항에 있어서, 코어몸체(14)가 알루미늄 시이트, 스틸시이트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표준블랭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코어몸체(14)의 원통부의 벽두께(S)가 0.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삽입플러그(27)가 있는 연결기(7)가 상부 스피곳연장부(18)에 고착되고, 삽입플러그(27)가 적어도 하나의 원주홈(28)을 가지며, 상부 스피곳연장부(18)의 원주부(30)가 로울성형, 프레스성형 또는 체이싱에 의해 원주홈(28)과 맞물리게 변형되고, 접착제가 삽입플러그(27)와 상기 상부 스피곳연장부(18)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11. 제2항에 있어서, 연결기(7)의 삽입플러그(27′)가 상부 스피곳연장부(18)내로 삽입 고착되고, 삽입플러그(27′)에는 커플링부(37)를 포함한 커플링요소(36)가 있으며, 대향하는 커플링부(46)가 있는 카운터형의 커플링요소(45)가 커플링요소(36)와 상호작용하기 위해서 보조와인딩몸체(21″)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커플링부(37)가 암나사가 있는 보어로 구성되고, 커플링부(46)가 숫나사(47)가 있는 스크류 커플링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커플링부(37)가 압력용기의 내부로 뻗은 출구파이프(11)를 고정시키는 나사가 있는 보어로 구성되고, 그 나사있는 보어내로 삽입 체결되는 출구파이프(11)가 동일한 압력용기의 나사 있는 커플링요소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플러그(38)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14. 제7항에 있어서, 연결기(7)(7′)의 삽입플러그(27′)(27″)가 돔형상부(17)의 상부 스피곳연장부(18)와, 코어몸체(14)의 하부벽(16″)의 하부 스피곳연장부(18′)에 각각 고착되고, 양 삽입플러그(27′),(27″)에는 외부로 개방된 나사가 있는 커플링부(37) 및 보어(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압력용기(1″)(1″′)의 쌍이 나사가 있는 커플링부(37) 및 보어(50)에 수용되는 제거가 가능한, 나사가 있는 커플링요소(45′)에 의해 서로 동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15. 제2항에 있어서, 코어몸체(14)의 돔형상부(17)상에 있는 상부 스피곳연장부(18)가, 상기 상부 스피곳연장부(18)의 뿌리부(36)까지 뻗어 상기 코어몸체의 상기 돔형상부와 합쳐지며 로울성형, 프레스성형, 또는 체이싱에 의해 상기 상부 스피곳연장부(18)와 일치하여 변형되는 강화슬리이브(32)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16. 화이버가 강화된 플라스틱의 와인딩층이 중공의 코어몸체의 외면에 도포되고, 코어몸체를 와인딩장치에 클램핑시키고, 코어몸체의 길이방향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됨과 동시에 코어몸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와인딩요소가 병진하여 변위되므로써 와인딩층이 도포되는 차량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매를 건조시키기 위한 압력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코어몸체가 와인딩유닛을 이루기 위해 동축상의 정렬로 상호 연결되는 단계, 와인딩장치에서 하나의 작업으로 와인딩유닛에 와인딩층이 도포되는 단계, 및 와인딩층이 도포된 와인딩유닛이 와인딩층이 도포된 단일의 압력용기로 연속적으로 각각 분리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의 제조방법.
KR1019870008605A 1986-09-19 1987-08-04 압력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920009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631975.9 1986-09-19
DE19863631957 DE3631957A1 (de) 1986-09-19 1986-09-19 Schaltungsanordnung zum ausschalten von transistoren in darlington-schaltung
DEP87107424.1 1987-05-21
DE87107424.1 1987-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272A KR880004272A (ko) 1988-06-02
KR920009887B1 true KR920009887B1 (ko) 1992-11-05

Family

ID=630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605A KR920009887B1 (ko) 1986-09-19 1987-08-04 압력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20009887B1 (ko)
DE (1) DE36319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2751A (en) * 1980-02-13 1981-09-05 Toshiba Corp Switching element
IT1221009B (it) * 1984-12-28 1990-06-21 Sgs Ates Componenti Elettonici Circuito di comando ad alto rendimento,integrato monoliticamente,per la commutazione di transistor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272A (ko) 1988-06-02
DE3631957C2 (ko) 1989-12-14
DE3631957A1 (de) 198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8073A (en) Pressure vessel
KR100684092B1 (ko)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제품
US6503440B2 (en) Process for making a container with a pressure equalization opening and containers produced accordingly
US5025943A (en) Pressure vessel having a filamentary wound structure
CA1333063C (en) Dropper bottl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643481B1 (ko)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복합재 압력 용기
KR100684093B1 (ko)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제품
KR950014817B1 (ko) 개량된 측벽 구조물을 갖는 압력 용기
US6145693A (en) Reinforced plastic container
CA2403148C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a container provided with a pressure equalisation opening and containers produced according to this process
CA1297666C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ure vessel with an improved sidewall structure
EP0029639B1 (en) Plastics container, method of forming same, a preform for use in forming the container and a mold unit for forming the preform
KR920009887B1 (ko) 압력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20170234486A1 (en) Pressure vessel and also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a pressure vessel blank comprising at least one connection element
PL228200B1 (pl) Pojemnik wysokocisnieniowy
KR100634767B1 (ko)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제품
WO1998034064A1 (en) Pressure vesse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6298553B1 (en) Composite pressure vessel with heat exchanger
ATE240481T1 (de) Druckflüssigkeitsbehälter aus verbundwerkstoff und sein herstellungsverfahren
CN201049716Y (zh) 碳纤维复合材质之自行车后上叉管结构
CN220828966U (zh) 内胆结构
CN220102033U (zh) 压力容器结构
CN116771915A (zh) 压力容器结构及其制作方法
KR20010089903A (ko)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제품
JPH0521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