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881Y1 -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 - Google Patents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881Y1
KR920008881Y1 KR2019880010305U KR880010305U KR920008881Y1 KR 920008881 Y1 KR920008881 Y1 KR 920008881Y1 KR 2019880010305 U KR2019880010305 U KR 2019880010305U KR 880010305 U KR880010305 U KR 880010305U KR 920008881 Y1 KR920008881 Y1 KR 920008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rm
intermediate frequency
audio
se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0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012U (ko
Inventor
민병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10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881Y1/ko
Publication of KR900002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8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
제1도는 본 고안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팔/세캄방송 선택제어부에 대한 상세도.
제3도는 제2도의 각부 출력 파형도.
제4도는 제1도의 방송모드에 따른 칼라, 음성캐리어의 신호 분석도로서,(a)는 팔방식의 방송신호 분석도이고,(b)는 세캄방식의 방송신호 분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튜너 2 : 필터부
3 : 영상중간주파 검파부 4 : 제1음성중간주파 검파부
5 : 음성중간주파 필터부 6 : 제2음성중간주파 검파부
7 : 방송모드선택부 8 : 팔/세캄선택 제어부
본 고안은 복합방송 선국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티브이 수상기에 있어서, 팔(PAL) 또는 세캄(SECAM)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개 이상의 방송신호를 수신할때 수신채널이 팔방식인가 또는 세캄방식인가를 자동선별하여 방송채널을 자동으로 절환하도록 하는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방식과 세캄방식의 방송모드(50Hz)에서 크로마성분 주파수는 팔방식일 경우에 4. 43Hz이고, 세캄방식일 경우에는 약4. 328MHz이며, 오디오의 부반송파는 팔방식일 경우에 5. 5MHz이고, 세캄방식일 경우에는 6. 5MHz이다.
이와같이 방송방식이 유사한 팔방식의 방송신호와 세캄방식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시청자가 세트외부에 설치된 선택스위치로 선택하여 시청을 하거나 관련 브이씨알에 기록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 팔방식과 세캄방식의 수신채널 선택 절환은 외부에 설치된 선택스위치를 이용하여 절환하게 되어 있으므로, 시청자가 관련 브이씨알에 두 방식의 방송신호를 기록하고자 할시에는 수동으로 외부의 선택스위치를 통해 기록하여야 했으며, 방송채널을 변경하여 시청하고자 할시에도 해당 관련 방송을 외부에서 선택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팔방식과 세캄방식의 선별에 있어서, 서로 유사한 크로마성분의 주파수는 제외하고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두 방송방식의 서로 상이한 오디오 부반송파의 주파수만을 검출하여 그 검출한 방송모드에 따른 팔 및 세캄방식의 오디오신호를 자동으로 절환하도록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수신된 팔방식 및 세캄방식의 방송 신호에서 영상중간주파신호를 검출하는 영상 중간주파검파수단과, 상기 영상중간주파 검파수단을 통해 검출된 영상중간주파신호에서 주파수변조된 팔방식의 음성중간주파신호를 복조하는 제1음성중간주파 검파수단과,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음성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 하는 음성중간주파 필터수단과, 상기 필터링된 음성중간주파신호에서 진폭변조된 세캄방식의 음성중간 주파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는 제2음성중간주파 검파수단과, 상기 영상중간주파 검파수단을 통해 검파된 영상중간주파신호에서 팔 및 세캄방식의 음성반송파 주파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에 따라 방송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팔/세캄선택 제어수단과, 상기 팔/세캄선택 제어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세캄방식의 음성중간 주파신호와 팔방식의 음성중간주파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방송모드선택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동조하는 튜너(1)와, 상기 튜너(1)를 통해 동조된 복합영상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2)와, 상기 필터부(2)로 필터링된 복합영상신호에서 영상중간주파신호를 검출하는 영상중간주파검파부(3)와, 상기 영상중간 주파 검파부를 통해 검출된 영상중간주파신호에서 주파수변조된 팔방식의 음성중간주파신호를 복조하는 제1음성중간주파 검파부(4)와, 상기 튜너(1)를 통해 동조된 복합영상신호에서 음성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하는 음성중간주파 필터부(5)와, 상기 필터링된 음성중간주주파신호에서 진폭변조된 세캄방식의 음성중간주파신호를 복조하는 제2음성중간주파 검파부(6)와, 상기 영상중간주파 검파부(3)를 통해 검파된 영상중간 주파신호에서 팔 및 세캄방식의 음성반송파 주파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에 따라 방송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팔/세캄선택 제어부(8)와, 상기 팔/세캄선택 제어부(8)의 출력신호에 따라 세캄방식의 음성중간주파신호와 팔방식의 음성중간주파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방송모드선택부(7)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팔/세캄선택 제어부(8)는 상기 영상주간주파 검파부(3)에서 입력된 영상중간주파신호에서 음성중간주파 비트신호를 검출하여 이에 상응하는 평균치의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콘덴서(C1)(C2), 저항(R1-R3), 트랜지스터(TR1), 다이오드(D1) 및 공진콘덴서(CT), 코일(L1)로된 음성비트 검출부(8a)와, 상기 음성비트 검출부(8a)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지연시킴과 아울러 반전 출력하는 저항(R4-R7), 트랜지스터(TR2) 및 콘덴서(C3)로 된 신호지연부(8b)와, 상기 신호지연부(8b)로 부터 출력된 전압에 따라 스위칭되어 방송선택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저항(R8)(R9), 콘덴서(C4), 트랜지스터(TR3) 및 다이오드(D2)로 된 제어신호발생부(8C)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ANT)를 통해 팔 또는 세캄방식의 복합영상신호가 수신되는 튜너(1)는 수신된 복합영상신호를 동조하여 필터부(2)및 음성중간주파 필터부(5)에 입력하게 되고, 상기 필터부(2)는 입력된 복합영상신호를 일정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영상중간주파 검파부(3)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영상중간주파 검파부(3)는 입력된 복합영상신호에서 음성중간주파신호와 영상중간주파신호를 검출하여 출력단자(VDOUT) 및 팔/세캄선택제어부(8)에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방송방식에 따라 주파수분포는 제4도와 같다. 즉, 팔방식의 경우에는 제4도의(a)와 같이, 영상중간주파신호(P. C)에서 칼라반송파신호(C. C)는 4. 43MHz를 가지고, 음성반송파신호(S. C)는 5. 5MHz의 대역을 가지며, 또한 세캄방식의 경우에는 제4도의(b)와 같이, 영상중간주파신호(PC)에서 칼라반송파신호는 4. 43MHz로 팔방식의 칼라반송파신호와 같고, 단지 음성반송파신호(S. C)만이 6. 5MHz의 대역을 갖게 된다. 이와같이 영상중간주파 검파부(3)를 통해 검출된 음성중간주파신호는 후단의 음성트랩부(도면에 미 도시)를 통해 제거되고 영상신호만이 상기 음성트랩부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데, 여기서 현재 수신되는 방송은 팔방송이고 시청자가 설정한 방송이 세캄방송일 경우에는 화면에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지만 음성신호는 수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팔/세캄방식모드에 따라 자동절환하기 위해 제1중간주파 검파부(4)는 상기 영상중간주파 검파부(3)에서 출력된 영상중간주파신호 및 음성중간주파신호에서 주파수변조된 음성중간주파대역만을 검출하여 이를 복조한 후 방송모드선택부(7)의 고정단자(a)에 입력하게 되고, 음성중간주파 필터부(5)는 튜너(1)로 부터 동조되어 입력된 복합영상신호에서 일정대역의 음성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하여 제2음성중간주파 검파부(6)에 입력하게 되며, 상기 제2음성중간주파 검파부(6)는 세캄방식의 진폭변조된 음성중간 주파신호(6. 5MHz)를 복조하여 방송모드선택부(7)의 고정단자(b)에 입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팔/세캄선택제어부(8)는 상기 영상중간주파 검파부(3)를 통해 복조된 영상중간주파신호에서 음성반송파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신호에 따라 방송모드선택부(7)를 제어하여 팔 또는 세캄방식의 음성신호를 선택 출력하게 된다. 이를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3도의(a)와 같이 영상중간주파신호의 비디오신호와 음성중간주파 비트신호가 영상중간주파 검파부(3)에서 복조된 후 팔/세캄선택제어부(8)의 입력단자(IN)를 통하고 음성비트검출부(8a)의 콘덴서(C1)를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입력되는데, 이때 음성비트검출부(8a)의 코일(L1)과 콘덴서(CT)로 된 공지회로의 공진점이 5.5MHz에 공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세캄방송방식의 음성중간주파 비트신호(6.5MHz)가 입력되면 상기한 공진회로의 임피던스는 최소가 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전류가 최대로 흐르게 되므로 상기 공진회로에서 발생된 공진전류는 최소한 되어 콘덴서(C2)에 충전됨과 아울러 신호지연부(8b)의 저항(R4)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입력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2)는 음성비트검출부(8a)의 콘덴서(C2)에서 출력된 저전압에 의해 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오프되면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신호지연부(8b)의 저항(R7)와 제어신호발생부(8c)의 저항(R8)(R9)과 콘덴서(C4)를 통해 트랜지스터(TR3)를 턴-온시키게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3)가 턴-온되면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상기한 트랜지스터(TR3)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하이신호인 방송선택신호로 출력된다. 반대로 팔방송방식의 음성중간주파 비트신호(5. 5MHz)가 입력되면 상기한 음성비트검출부(8a)의 공진회로의 임피던스는 최대가 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전류는 최소로 흐르게 되므로 상기 공진회로에서 발생된 공진전류는 최대가 되어 콘덴서(C2)에 충전된다. 즉,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로 입력된 5. 5MHz의 음성중간주파 비트신호와 공진회로에서 발생된 5.5MHz의 공진주파수에 의해 임피던스가 매칭이 되므로 콘덴서(CT)와 코일(L1)의 공진회로에서는 제3도의(b)와 같은 직류성분과 교류성분이 포함되 최대의 공진전류가 발생되어 콘덴서(C2)에 충전된다. 상기 콘덴서(C2)는 공진회로에서 발생된 최대의 공진전압을 유기하여 제3도의(c)와 같이, 공진전압에 상응하는 평균치의 직류전압을 신호지연부(8b)의 저항(R4)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하여 턴-온시키게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되면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신호지연부(8b)의 저항(R7)과 턴-온된 트랜지스터(TR2) 및 저항(R6)을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되므로, 제어신호발생부(8c)의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는 제3도의(e)와 같이 로우전위가 입력되어 오프되고 이에따라 다이오드(D2)를 통한 방송모드선택 신호는 제3도의(d)와 같이 로우신호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팔/세캄선택 제어부(8)의 제어신호발생부(8a)로부터 발생된 방송선택제어신호에 따라 방송모드선택부(7)의 가동단자(c)가 그의 고정단자(a)(B)로 선택 절환된다. 즉, 팔/세캄선택 제어부(8)로 부터 방송모드선택신호의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방송모드선택부(8)로 가동단자(c)는 그의 고정단자(b)로 절환 접속된다. 따라서 제2음성중간주파 검파부(6)에서 복조된 세캄방송방식의 유성중간주파신호가 상기한 방송모드선택부(7)의 고정단자(b), 가동단자(c)를 통해 오디오출력단자(ADOUT)로 출력되며, 반대로 팔/세캄선택 제어부(8)로 부터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방송모드선택부(7)의 가동단자(c)는 그의 고정단자(a)로 절환접속되므로, 제1음성중간주파 검파부(4)에서 복조된 팔방송방식의 음성중간주파신호가 방송모드선택부(7)를 통해 오디오출력단자(ADOUT)로 출력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팔방식과 세캄방식에 선별에 있어서, 설 유사한 크로마성분의 주파수는 제외하고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두 방송방식의 서로 상이한 오디오 부반송파의 주파수만을 검출하여 그 검출한 방송모드에 따른 팔 및 세캄방식의 오디신호를 자동으로 절환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튜너, 필터수단 및 영상중간주파 검파수단을 통해 수신된 방송모드에 따른 복합영상신호에서 주파수변조된 팔방식의 음성중간주파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는 제 1음성중간주파 검파수단과, 상기 튜너 및 음성중간주파 필터수단을 통해 진폭변조되어 수신된 세캄방식의 음성중간주파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는 제2음성중간주파 검파수단과, 상기 영상중간주파 검파수단을 통해 검출된 영상중간주파신호에서 팔 및 세캄방식의 음성부반송파주파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에 따라 방송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팔/세캄선택 제어수단과, 상기 팔/세캄선택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세캄방식의 음성중간주파신호와 팔방식의 음성중간주파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방송모드선택수단을 포함하여 된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팔/세캄선택 제어수단은 상기 영상중간주파 검파수단에서 입력된 영상중간주파신호에서 음성중간주파 비트신호를 검출하여 이에 상응하는 평균치의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음성비트 검출부(8a)와, 상기 유성비트 검출부(8a)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지연시킴과 아울러 반전 출력하는 신호지연부(8b)와, 상기 신호지연부(8b)로 부터 출력된 전압에 따라 스위칭되어 방송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부(8C)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음성비트검출부(8a)는 입력 영상중간주파신호중의 음성반송파 주파수에 대응하는 공진회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
KR2019880010305U 1988-06-29 1988-06-29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 KR920008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0305U KR920008881Y1 (ko) 1988-06-29 1988-06-29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0305U KR920008881Y1 (ko) 1988-06-29 1988-06-29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012U KR900002012U (ko) 1990-01-19
KR920008881Y1 true KR920008881Y1 (ko) 1992-12-22

Family

ID=1927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0305U KR920008881Y1 (ko) 1988-06-29 1988-06-29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8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012U (ko) 199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2880A (en) Multi-system television receiver
US64877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V channel selecting status
US5056138A (en) Television selection system
CA2019081C (en) Record/reproduce apparatus having means for switching automatically between different types of audio processing
US4280139A (en) Muting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JPH0566076B2 (ko)
US5835157A (en) Multi-system video signal demodulating apparatus
KR920008881Y1 (ko) 팔/세캄방식의 방송채널 자동절환회로
KR890000648B1 (ko) 텔레비젼 음성신호 수신기
US3812289A (en) Television receiver using synchronous video detection
EP0116424B1 (en) Television receivers
US3020339A (en) Automatic tuning apparatus for a color television receiver
KR960002508B1 (ko) 방송방식에 따른 자동모드 선국장치
KR920002840B1 (ko) 텔레비젼 음성 검출장치
KR100268387B1 (ko) 방송방식자동설정장치
GB2117207A (en) Multiple system colour television receiver
KR900000126B1 (ko) 다중시스템 텔레비젼 수신기
CA1262281A (en) Multi-system television receiver
GB2262868A (en) Multiplex broadcasting systems
CA1165864A (en) Variable aspect ratio televison receiver
SU1619423A1 (ru) Декод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приемника системы NTSC
KR100189870B1 (ko) 방송방식 판별회로
KR930010647B1 (ko)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KR960007647B1 (ko) Secam방식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문자발생장치
SU138532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одстройки частоты гетеродина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приемни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