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730Y1 - 결속공구 - Google Patents

결속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730Y1
KR920008730Y1 KR2019880007699U KR880007699U KR920008730Y1 KR 920008730 Y1 KR920008730 Y1 KR 920008730Y1 KR 2019880007699 U KR2019880007699 U KR 2019880007699U KR 880007699 U KR880007699 U KR 880007699U KR 920008730 Y1 KR920008730 Y1 KR 920008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belt
binding
too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674U (ko
Inventor
시게노부 니레
도모하루 히다까
Original Assignee
니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니레 시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4051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93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4050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93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4052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93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4049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93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968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939Y2/ja
Application filed by 니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니레 시게오 filed Critical 니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36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6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7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결속공구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전선등의 결속공구의 사시도.
제2도는 그 확대 단면도.
제3도(a), (b)는 결속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
제4도(a)는 멈춤구 장전장치의 평면도, 동도면(b)는 동도면(a)의 X-X선 상의 단면도.
제5도는 멈춤구 장전장치에 의한 장전모양설명도.
제6도는 멈춤구 가압장치의 부착상태 설명도.
제7도(a), (b), (c), (d), (e)는 상기 결속공구의 헤드 동작상태설명도.
제8도는 상기 결속공구에 있어서의 스토피 부분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구본체 2 : 벨트케이스
3 : 결속벨트 4 : 멈춤구
5 : (랙형상)凹凸부분 6 : 끼워통하기구멍
7 : 걸어맞춤클릭 8 : 벨트통로
9 : 멈춤구공급로 10 : 돌출편
11 : 개구홈 12 : 투시부분
13 : (멈춤구)발출방지편 15 : 멈춤구 장전장치
16 : 멈춤구 가압장치 27 : 작동헤드
28 : 개구부 30 : 멈춤구 지지부
38 : 커터부재 39 : 스토퍼
43 : 측면개구부 45 : 피결속물
A : 결속공구
본 고안은 결속벨트와 짧은 사각통모양 멈춤구를 결속구로서 사용하여 전선등의 피결속물을 결속하는 것으로, 멈춤구를 수용하는 공구본체와 장척의 결속벨트를 바깥감김한 벨트케이스를 구비하고, 벨트케이스 내의 결속벨트를 공구본체에서 멈춤구를 끼워 통하게하여 내고, 이것을 피결속물에 감아 두룬 후에 그 단부를 다시 상기 멈춤구에 고정하여, 결속 벨트의 감아두루기 시작단부와 종단부를 다른곳에서 절단하여 분리시키는 결속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결속공구로서는 일본국 특허출원공고 제 36680/7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상호 연결된 복수의 멈춤구와 이것과는 별개로 구성된 결속벨트를 공구의 앞끝부분으로 공급하고, 제일 앞부분의 멈춤구에 결속벨트를 통하게함과 동시에 전선등을 결속하고, 다시 결속벨트의 끝부분을 재차 멈춤구에 통하게 하여 고정한 후에 핸들조작에 의해 결속벨트와 멈춤구의 연결부를 절단하는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결속공구에 있어서는 복수의 멈춤구는 각 멈춤구의 끼워통하기 구멍의 관통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공구내의 멈춤구 공급로는 공구선단의 벨트통로의 개구부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결속벨트의 통로와 멈춤구 공급로가 공구선단에 있어서 직각으로 구성되는 공구는 결속작업을 행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공구선단이 커지기 때문에 결속상태를 보고 인지하기 어려울뿐 아니라 결속작업이 좁은 공간에서 행해질 경우는 취급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 이 종류의 결속공구에 제공되는 결속구로서는 상기 공보에 보이는 것이 있다.
그러나, 결속전부분에 있어서 멈춤구가 변형하여 결속벨트와의 걸어맞춤이 불안정하게 되고 결속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결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취급조작을 더욱 용이하게할 수 있는 결속공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제1 목적은 공구의 앞끝부분을 호리호리하게 형성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취급이 편한 결속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고안의 제2의 목적은 상기 결속공구에 있어서 확실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멈춤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상기 결속공구에 있어서 멈춤구의 소비상태를 보고 인지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4의 목적은 상기 결속공구에 있어서 멈춤구를 공구 본체내에 확실하게 수용 유지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5의 목적은 상기 결속공구에 있어서 결속벨트 장전과 멈춤구의 장전작업을 편하게 하는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6의 목적은 상기 결속공구에 있어서 벨트 케이스에서 여분으로 불거져 나온 결속벨트를 감아올려 수납시키는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7의 목적은 상기 결속공구에 있어서 결속벨트의 죄임 조작시에 커터부재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부호(A)는 전선등의 결속공구를 표시한다.
이 결속공구(A)는 공구본체(1)와 장척의 결속벨트를 바깥 감김한 벨트케이스(2)로 구성되고, 결속벨트(3)와 멈춤구(4)에 의해 전선등의 피결속물을 결속하는 것이다.
또한, 결속벨트(3)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그 표면의 랙(rack)형상의 凹凸부분(5)을 갖는 장척 부재이다.
멈춤구(4)는 짧은 사각통모양체로서, 상기 결속 벨트(3)를 끼워통하기하는 끼워통하기구멍(6)을 지니고, 또 대향하는 내벽의 중간부분에 결속벨트(3)의 凹凸부분(5)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클릭(7)을 지니고 있다.
공구본체(1) 내에는 상기 벨트케이스(2)로 부터의 결속벨트(3)를 그 후단에서 진단으로 통과안내시키는 벨트통로(8)와, 상기 결속벨트(3)를 끼워통하게하고 또 그 결속 단부를 멈추기 위한 복수의 멈춤구(4)를 정열상태로 수용하는 멈춤구공급로(9)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벨트통로(8)와 멈춤구 공급로(9)의 각 전단 개구부는 대략 균일하게 형성되고, 또 공구본체(1)의 전단에는 벨트통로(8)의 개구부를 끼우고 멈춤구 공급로(9)애 개구부의 반대쪽으로 돌출편(10)이 형성되고, 이 돌출편(10)의 기초부에는 개구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멈춤구 공급로(9)에는 내부에 수용된 멈춤구(4)의 일부 또는 전부를 투시하는 투시부분(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단개구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멈춤구(4)의 최후단에 걸어맞추는 가소성 발출방지편(13)이 형성되고, 다시 후부 양측에는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출방지편(13)은 멈춤구 공급로(9)에의 멈춤구(4)의 장전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멈춤구 공급로(9) 안으로 진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멈춤구 공급로(9) 내부에 멈춤구(4)를 장전하는 데는 멈춤구 장전장치(15)에 의해 행하고, 또 멈춤구 공급로(9) 내의 멈춤구(4)를 전방으로 가압 공급하기 위해서는 가압장치(16)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멈춤구 장전장치(15)는 제4도(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 부분(17)에서 H-자형 단면의 스틱부분을 연출성형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스틱부분(18)의 선단에는 두갈래부분(19)의 선단에 돌출부분(20)이 형성되어 있다.
스틱부분(18)에 복수의 멈춤구(4)를 관통시킬 때에 멈춤구(4)는 스틱부분(18)의 두갈래부분(19)의 선단돌출부분(20)에 닿지만 두갈래부분(19)이 내측으로 굽고, 멈춤구(4)는 스틱부분(18)으로 진입한다.
멈춤구(4)의 걸어맞춤클릭(7)은 스틱부분(18)에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되므로 걸어맞춤클릭(7)이 손상될 염려는 없다.
이렇게 하여 복수의 멈춤구(4)를 멈춤구 장전장치(15)에 유지시켜서 멈춤구 공급로(9)의 후단 개구부에서 스틱부분(18) 전체를 삽입한 후, 손잡이부분(17)을 당기면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틱부분(18)은 빠지지만 최후단의 멈춤구(4)는 멈춤구 공급로(9)의 발출방지편(13)에 걸어맞춰지므로 멈춤구(4)가 멈춤구공급로(9)에서 발출되는 일은 없다.
멈춤구 가압장치(16)는 제2도 및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세로홈(21a)을 지닌 보디부분(21)의 일단에서 양측으로 짧은 걸림편(22)과 중앙으로 긴 푸시가이드(23)를 각각 평행하게 돌출 형성함과 동시에 푸시가이드(23)에는 푸시블록(24)을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스프링(25)에 의해 선단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멈춤구 가압장치(16)는 멈춤구(4)를 장전한 후, 멈춤구 공급로(9)의 후단 개구부에서 삽입한다.
이에 의해 푸시가이드(23)는 멈춤구(4)의 끼워통하기구멍(6)을 관통하는 한편, 푸시블록(24)이 최후단의 멈춤구(4)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스프링(25)이 축소되고, 또 양측의 걸림편(22)은 멈춤구 공급로(9)의 걸림홈 작동헤드(27)의 개구부에서 밖으로 나온다(같은 도면(e) 참조).
이로서 하나의 결속작업이 종료된다.
또한, 작동헤드(27)는 제1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다음의 멈춤구(4)가 작동헤드(27)내에 공급되고, 다음 결속이 준비된다.
또한, 상기한 결속벨트(3)를 공구본체(1)의 후방(제2도에 있어서의 화살표 X방향)으로 당겨 피결속물(45)을 죄어 붙이기 작업중에 실수로 공구본체(1)와 함께 조작 레버(37)를 잡고 작동 헤드(27)를 제2의 위치에서 제1의 위치 방향으로 움직여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아암(32) 상부에 설치한 스토퍼(39)가, 벨트통로(8)를 구성하는 돌출한 가장자리(8a)에 설치한 개구(8b)를 지나 이 벨트통로(8) 내에 진입하고, 상기 커터부재(38)가 전단 개구부에 위치하는 결속벨트(3)에 닿기 전에 이 결속벨트(3)에 걸어 맞춰진다.
즉, 상기 스토퍼(39)의 선단에 설치한 凹凸이 결속벨트(3)의 랙형상 凹凸부분(5)과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이 결속벨트(3)는 벨트통로(8)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작업중에 작동헤드(27)를 제2의 위치에서 제1의 위치 방향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결속벨트(3)를 후방으로 당기더라도 이 결속벨트(3)는 상기 스토퍼(39)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당길 수 없는 상태에 있다.
이 결과, 커터부재(38)가 결속벨트(3)에 맞닿아 있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무리하게 결속벨트(3)를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커터부재(38)의 날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한 결속공구(A)에 따르면 결속벨트 통로(8)와 멈춤구 공급로(9)가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공구(A)의 선단형상을 호리호리하게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결속상태를 잘 보고 인지할수 있으며, 확실한 결속작업을 행할 수 있을 뿐더러 좁은 공간에서도 결속작업을 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벨트통로(8)와 멈춤구 공급로(9)는 평행하기 때문에 각 전단 개구부의 개구면을 대략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멈춤구(4)는 이들 두 개구부에 정합하는 제1의 위치와 제2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되기 떼문에 그 이동량은 최단으로 되고, 이 때문에 조작 스트로우크도 작고, 취급도 용이하다.
또, 멈춤구(4)의 걸림편은 내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힘을 받기 어렵고, 변형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속벨트(3)의 凹凸부분(5)과 강고, 확실한 멈춤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멈춤구 공급로(9)에는 투시부분(1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멈춤구(4)의 소비상태를 보고 인지할 수 있다.
또, 멈춤구 공급로(9)의 후단에는 발출방지편(1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본체(1) 내에 장전된 멈춤구(4)는 발출하는 일이 없고, 확실하게 내부에 수용지지된다.
따라서, 멈춤구(4)의 장전작업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벨트케이스(2)는 공구본체(1)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 방식이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결속벨트(3)의 장전은 벨트케이스(2) 교환에 의해 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벨트케이스(2)는 벨트 통로(8)를 사이에 끼우고 멈춤구 공급로(9)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케이스(2)에서 벨트통로(8)에 이송되어 있는 결속벨트(3)는 멈춤구(4) 장전의 방해가 되지 않고 작업이 편하다.
그리고, 벨트케이스(2)에서 결속벨트(3)를 여분으로 과다하게 내었을 때는 이것을 측면 개구부에서 감아올릴 수 있기 때문에 결속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작동헤드가 제2의 위치에서 제1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커터부재가 결속벨트에 접근되지만 동시에 스토퍼가 결속벨트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잘못하여 결속벨트를 당겨도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커터 부재의 날이 파손될 염려는 없다.

Claims (7)

  1. 공구본체와 장척의 결속벨트를 바깥감김한 벨트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공구본체내에는 상기 장척의 결속벨트가 통과 안내되는 벨트통로와 후단개구부에 장전된 복수개의 멈춤구가 정렬상태로 수용되는 멈춤구 공급로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공구본체 앞부분에는 상기 멈춤구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이 개구부에 연속된 멈춤구 지지부가 있으며, 동시에 이 멈춤구 지지부가 상기 멈춤구 공급로의 전단 개구부에 정합되며 멈춤구 공급로 전단개구부에서 송출된 상기 멈춤구를 지지하는 제1의 위치와 상기 벨트통로의 전단 개구부에 정합되며 상기 벨트통로 전단 개구부에서 송출된 결속벨트를 상기 멈춤구에 끼워통하게하는 제2의 위치사이를 이동하는 작동헤드가 설치되며; 이 작동헤드 근방에는 상기 제2의 위치에서 상기 제1의 위치로 이동하는 작동헤드와 연동하여 상기 벨트통로의 전단 개구부의 개구면을 따라 이동하는 커터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벨트상의 표면에는 凹凸부분이 연속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멈춤구에는 상기 결속벨트와의 끼워통하기 구멍이 형성되고, 이 끼워통하기 구멍의 대향하는 내벽중간부에 상기 결속벨트의 凹凸부분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클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구 공급로에는 내부에 수용된 멈춤구의 일부 또는 앞부분을 투시하는 투시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구 공급로의 후단개구부에는 상기 멈춤구의 장전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경사져서 공급로 안으로 진입하는 멈춤구 발출방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벨트통로에 대해서 상기 벨트케이스가 멈춤구공급로 반대쪽에서 공구본체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공구.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케이스의 측면에는 내부에 개구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공구.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본체에서 상기 작동헤드가 제2의 위치에서 제1의 위치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벨트통로내의 결속벨트와 걸어 맞춰지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공구.
KR2019880007699U 1987-07-24 1988-05-25 결속공구 KR92000873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14051 1987-07-24
JP??62-114049 1987-07-24
JP??62-114052 1987-07-24
JP11405187U JPH043935Y2 (ko) 1987-07-24 1987-07-24
JP11405087U JPH043934Y2 (ko) 1987-07-24 1987-07-24
JP11405287U JPH043936Y2 (ko) 1987-07-24 1987-07-24
JP11404987U JPH043933Y2 (ko) 1987-07-24 1987-07-24
JP??62-114050 1987-07-24
JP??63-27968 1988-03-02
JP2796888U JPH043939Y2 (ko) 1988-03-02 1988-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674U KR890003674U (ko) 1989-04-13
KR920008730Y1 true KR920008730Y1 (ko) 1992-12-14

Family

ID=2752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699U KR920008730Y1 (ko) 1987-07-24 1988-05-25 결속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7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674U (ko) 198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800A (en) Magazine for rivet gun
US20030074803A1 (en) Holder assembly for hand-held device
US4953384A (en) Magazine-type wiring accessory crimping tool
KR960012625A (ko) Pc 카드용 전기 커넥터
EP0482902A1 (en) Ear tag applicator
US4196515A (en) Cutter knife
EP0893948B2 (en) Tape connecting method, member, and tool
EP2584387B1 (en) Optical fiber cutter storage case
US6622901B2 (en) Structure of guiding nail in nose section of nailing machine
US4402446A (en) Tag-pin attaching apparatus
KR920008730Y1 (ko) 결속공구
JPH0769318A (ja) 張力制限機能を備えたストラップ引張工具
US6653582B2 (en) Stop lamp switch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US6758247B2 (en) Arrangement for binding an object, in particular cable harness
US6895785B2 (en) Yarn carrier of weft knitting device
JP5273967B2 (ja) フィンガーポンプ装置
KR19980042285A (ko) Pc 카드 커넥터용 카드 이젝트 버튼 장치
JP3916961B2 (ja) ケーブルハーネスを結束するための工具
US4763700A (en) Binding tool
US5429158A (en) Tool for binding an object, especially a cable harness
EP0303723B1 (en) Binding tool
CN112136375B (zh) 带式供料器
JPH021733B2 (ko)
EP2530696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detachable structure for auxiliary unit, and assembly method for movable hook section provided on auxiliary unit
US6332791B1 (en) Card connector with card-ej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2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