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087B1 -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087B1
KR920008087B1 KR1019890018816A KR890018816A KR920008087B1 KR 920008087 B1 KR920008087 B1 KR 920008087B1 KR 1019890018816 A KR1019890018816 A KR 1019890018816A KR 890018816 A KR890018816 A KR 890018816A KR 920008087 B1 KR920008087 B1 KR 920008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arm
rail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513A (ko
Inventor
권혁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087B1/ko
Publication of KR91001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장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장치 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장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장치의 상측 아암부 평면도.
제5도는 종래의 슬라이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개폐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어 2 : 브라켓트
3 : 아암 5 : 로울링부
6 : 편심축 7 : 제1로울러
8 : 제2로울러 10 : 직선상 가이드레일
11 : 변위레일 11a : 내측부
11b : 변위부 11c : 직선부
12 : 레일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공간을 넓히고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되도록 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도어는 여닫이 방식의 도어와 비교하여 볼때 주변물체와 근접된 상태에서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도어의 유효개폐폭을 크게할 수 있기 때문에 승하차는 물론 화물을 하역 또는 적재하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차량의 측면 외측으로 겹쳐져 돌출상태가 되고, 닫힌 상태에서는 측면과 완전하게 일치되어 평탄면으로 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은 도어의 개폐상태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져야 한다.
제5도는 종래의 슬라이딩도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어(A)의 상부에 아암(B)과 일체로 된 브라켓트(C)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아암(B)의 일측단에는 로올러(D)가 설치되어 있고, 이 로올러(D)는 가이드레일(E)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슬라이딩장치는 아암(B)이 도어(A)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레일(E)의 선단부를 차체 안쪽으로 굴곡 형성하여 도어(A)가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굴곡량(L)만큼 가이드레일(E)이 실내를 침범하기 때문에 실내공간이 축소되고 이에 따라 미관이 좋지 않게 됨은 물론 승차하시 간섭을 받게 된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89-1304호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수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개선안은 아암이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개폐시 외부충격을 받는 경우에는 도어의 흔들림이 발생하고, 도어가 닫히는 순간에는 스프링의 변위량이 증가되어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이 요구되고 있다.
게다가 하부 레일이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반하여 상부레일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부아암이 레일 끝단부에서 아암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하게 되므로 도어의 상부가 그리는 궤적과 하부가 그리는 궤적이 상이하게 되어 도어의 원활한 개폐를 기대할 수 없다.
한편, 일본국 특허공보 소화 47-16451호는 직선상의 가이드레일에 변위레일을 나란히 배치하고, 변위레일의 일단부를 가이드레일과 교차상으로 배치시킨 구조의 슬라이딩 도어를 개시하고 있다.
이 방식은 레일의 만곡도를 낮추면서도 도어의 개폐범위를 크게 할 수 있는 잇점은 있지만, 변위레일의 일부가 가이드레일을 교차하여 배치되는 관계로 차실내로 돌출되는 변위레일에 의해 공간의 점유률은 아직도 높은 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공간을 넓히고 도어의 개폐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합차량의 실내상변에 2줄의 가이드레일이 배치되고, 이들 가이드레일을 타고 활주하는 로울러의 상대적 변위에 의해 도어의 상단부에 연결된 아암이 연동하여 상기한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레일은 그 내측의 차체쪽 변과 그 대향변 사이를 가로 질러 배치되는 변위 레일을 포함하고, 일측단이 상단측브라케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아암은 그 자유단에 축수를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한 축수는 가이드레일과 변위레일을 타고 활주하는 제1, 제2로울러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편심축과 아암축을 상하축방향으로 상호 편심되게 연장 형성하고 있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장치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횡단면도, 제3도는 종단면도, 제4도는 아암부의 평면도로서, 부호(1)은 도어를 지칭한다. 도어(1)은 상단면에는 브라켓트(2)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이 브라켓트(2)에는 아암(3)이 리베팅되는 핀(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한 아암(3)의 타측단에는 로울링부(5)가 설치된다.
로울링부(5)는 축수(6)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상단의 편심축(6a)은 제1로울러(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며, 또 하단의 아암축(6b)은 제2로울러(8)와 부시(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게 된다. 또한 축수(6)의 아암축(6b)은 아암(3)의 타측단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 부착된다.
한편 차체(도시생략)에 부착되는 직선상 가이드레일(10)은
Figure kpo00001
자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측 상면에는 대략 직선상 가이드레일(10)의 V2크기로 된 변이레일(11)이 직선상 가이드레일(10)의 차체쪽 변(10a)과 그 대향변(10b) 사이로 고정 설치되어 레일부(12)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변위레일(11)은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직선상 가이드레일(10)에서 차체쪽 변(10a)에 접촉 위치하는 내측부(11a)와, 이 내측부(11a)로부터 직선레일(10)의 대향변(10b)로 연장되는 변위부(11b), 그리고 변위부(11b)로부터 직선상 가이드레일(10)의 대향변(10b)과 접촉된 채로 곧게 연장되는 직선부(11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변위레일(11)에는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제1로울러(7)가 활주가능하게 위치되며, 또 직선상 가이드레일(10)의 하단에 형성된 턱을 타고 제2로울러(8)가 활주 가능하게 현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도어(1)가 열린 상테에서 도어(1)를 닫는 과정에서, 도어(1)가 슬라이딩될때 제1로울러(7)는 변위레일(11)을 타고 이동하므로 구간별로 변화를 일으키고, 제2로울러(8)는 단지 직선상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이동하므로 도면의 화살표 "가"에 따르는 단순한 직선운동만 하게 된다. 따라서 제1로울러(7)가 변위레일(11)의 직선부(11c)를 타는 구간에서는 도어(1)가 차체에 평행하게 이동한다.
그렇지만 제1로올로(7)가 변위부(11b)를 타는 구간에서는 이 제1로울러(7)를 지지하는 편심축(6a)의 위치가 변화되괴 시작하여 도면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3)을 선회시키게 되고, 그 결과로 제1로울러(7)가 내측부(11a) 종점에 도달하면 도어(1)는 화살표 "나"로 도시한 경로에 따라 완전히 닫혀지게 된다.
반대로 도어(1)를 열때는 상기와는 역순으로 작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딩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배치되는 직선상 가이드레일의 안쪽에 소정의 곡류로 만곡된 변위레일을 설치하고, 이 변위레일을 타고 주행하는 로울러와 상기한 직선상 가이드 레일을 타고 주행하는 로울러가 아암축의 상하측에서 상호 편심위치로 놓이게 함과 동시에 이들 로을러를 지지하는 아암축을 도어 상부에서 연장된 아암의 자유단에 고정부착시킨 구성이므로 차량의 실내에는 단지 직선상의 가이드레일만이 존재하게 될뿐, 다른 부품은 전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실내의 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승하차시 간섭을 주는 일이 없게 되고, 또한 부품의 구조나 형상이 극히 간단하여 제조하기 용이한 이점을 갖추고 있다.

Claims (1)

  1. 승합차량의 실내 상변에 2줄의 가이드레일이 배치되고, 이들 가이드레일을 타고 활주하는 로울러의 상대적 변위에 의해 도어의 상단부에 연결된 아암이 연동하여 상기한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레일(10)은 그 내측의 차체쪽 변(10a)과 그 대향변(10b)사이를 가로 질러 배치되는 변위레일(11)을 포함하고, 일측단이 도어(1)의 상단측 브라케트(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아암(3)은 그 자유단에 축수(6)를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한 축수(6)는 가이드레일(10)과 변위레일(11)을 타고 타고 활주하는 제1, 제2로울러(7)(8)를 각각 지지하기 이한 편심축(6a)과 아암축(6b)을 상하측방향으로 상호 편심되게 연장 형성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1019890018816A 1989-12-18 1989-12-18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920008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8816A KR920008087B1 (ko) 1989-12-18 1989-12-18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8816A KR920008087B1 (ko) 1989-12-18 1989-12-18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513A KR910011513A (ko) 1991-08-07
KR920008087B1 true KR920008087B1 (ko) 1992-09-22

Family

ID=1929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816A KR920008087B1 (ko) 1989-12-18 1989-12-18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0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912B1 (ko) * 2012-03-12 2013-08-27 주식회사 엠이티엔지니어링 회전반경 가변형 힌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912B1 (ko) * 2012-03-12 2013-08-27 주식회사 엠이티엔지니어링 회전반경 가변형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513A (ko) 199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18369B (zh) 用于车辆的滑动车门装置
US5172518A (en) Driving apparatus for doors
KR102603543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US4738003A (en) Door opening/closing hinge device
JP7489179B2 (ja) 対向型スライドドア作動装置
US9216631B2 (en) Roof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12477562A (zh) 一种车辆的车门开关装置和车辆
KR920008087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US6286261B1 (en) Vehicle sliding door track and guide elements
US4569553A (en) Sliding door track guiding mechanism
US4924627A (en) Down stop for cross arm window regulator
US9297192B2 (en) Multi-joint slider device
KR920008089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CN112721591A (zh) 一种车辆的车门开关装置和车辆
KR920008085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920006607Y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920008086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920008084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920008090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920006610Y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JPH057059Y2 (ko)
JPH0534969Y2 (ko)
KR920006608Y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920006609Y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KR100456517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차체에 대한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