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530Y1 - 110v/220v 전원 자동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110v/220v 전원 자동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530Y1
KR920007530Y1 KR2019880019484U KR880019484U KR920007530Y1 KR 920007530 Y1 KR920007530 Y1 KR 920007530Y1 KR 2019880019484 U KR2019880019484 U KR 2019880019484U KR 880019484 U KR880019484 U KR 880019484U KR 920007530 Y1 KR920007530 Y1 KR 920007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lay
input
transformer
o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9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968U (ko
Inventor
공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19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530Y1/ko
Publication of KR900010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9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5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5Converters combining the concepts of switch-mode regulation and linear regulation, e.g. linear pre-regulator to switching converter, linear and switching converter in parallel, same converter or same transistor operating either in linear or switch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10V/220V 전원 자동 절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110V/220V 전원 자동 절환장치의 회로도.
본 고안은 전기 전자기기에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압인 110V/220V 전원 자동 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용 교류전원이 일차코일에 인가되는 트랜스의 2차코일에 입력이 연결된 양파정류부의 출력은 전압 감지용 저항과 평활 콘덴서를 통해 접지함과 동시에 계전기의 접점 스위치를 통해 정전압 정류부의 입력에 연결하고, 전압감지용 저항의 접속점에 베이스가 연결된 계전기 제어부의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계전기 코일에 연결하여된 110V/220V 전원 자동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110V/220V 전원 자동절환 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0V 및 220V 입력용 단자(31-33)가 설치된 일차코일을 갖는 트랜스(T1)의 2차코일은 다이오드(D1,D2)로 구성된 양파정류부(34)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제너다이오드(ZD1) 및 콘덴서(C2)로 구성된 정전압 정류부(35)의 입력에 연결하여 트랜스(T1)의 일차코일측에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의 크기에 따라(즉 110V 또는 220V에 따라) 접속을 달리하여 항상 일정한 전압은 2차코일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사용전입이 220V이면 트랜스(T1)의 일차코일의 단자(31,33)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공급선을 연결하고, 110V이면 단자(31,32)사이에 전원공급선을 연결하므로서, 트랜스(T1)의 2차코일에는 항상 일정한 전압이 유기되어 양파정류부(34)와 평활 콘덴서(C1)을 통해 정류된 직류전압은 항상 일정하게 되므로 정전압 정류부(35)에 인가되는 전압은 항상 동일하나 트랜스(T1)의 설계를 110V/220V 겸용으로 설계해야하므로서 설치면적이 커지고 생산원가가 상승되며, 더우기 사용시에는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압(1l0V 또는 220V)의 크기에 따라 트랜스(T1)의 일차코일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선을 바꾸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과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2개의 입력 단자를 갖는 트랜스의 2차코일에 입력이 연결된 양파전류부의 출력은 전압 감지용 분할저항과 평활 콘덴서를 통해 접지함과 동시에 계전기의 접점스위치를 통해 정전압 정류부의 입력에 연결하고, 전압감지용 분할저항의 접속점에 베이스가 연결된 계전기 제어부의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계전기를 통해 접지하므로서 트랜스의 부피가 적어지게 되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더우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압의 크기를 감지하여 계전기를 통해 자동절환시켜 주므로서 정전압 정류부를 통해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한 110V/220V 전원 자동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의하면 본 고안 장치는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된 양파정류부(1), 평활콘덴서(C1), 트랜지스터(Q1)와 제너다이오드(ZD1) 및 콘덴서(C2)로 구성된 정전압 정류부(2)를 포함하는 정류장치에서, 2개의 입력단자(3,4)를 갖는 트랜스(T1)의 2차코일은 양파정류부(1)의 입력에 연결하고, 전압감지부(5)의 분배저항(R3, R4)을 통해 접지된 양파정류부(1)의 출력은 계전기(RL1)의 접점스위치(SW1)를 통해 공지의 정전압 정류부(2)의 입력에 연결하며, 다이오(D3)를 통해 분배저항(R3, R4)의 접속점에 베이스가 연결된 계전기 제어부(6)의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계전기(RL1)와 계전기 보호용 다이오드(D4)를 통해 접지하여서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고안 장치의 작용효과는 먼저, 트랜스(T1)의 일차코일에 연결된 단자(3, 4)에 상용교류 전압인 110V나 220V가 인가되면 트랜스(T1)의 2차코일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교류전압이 유기되고,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된 양파정류부(1)에서는 이 교류전압을 정류하며, 평활콘덴서(C1)에서 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게 된다.
이때, 트랜스(T1)의 일차코일에 인가된 전압이 220V일 경우에는 양파 정류부(1)를 통해 출력된 전압(V1)이 높게되어 전압감지부(5)의 분배저항(R3,R4)의 접속점의 전압(V3)도 높게되어 계전기 제어부(6)의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됨에 따라 계전기(RL1)도 오프된다.
따라서 계전기(RL1)의 접점스위치(SW1)가 오프되므로 양파정류부(1)를 통해 츨력된 전압이 저항(R1)을 통해 정전압정류부(2)의 입력에 인가되므로 정전압정류부(2)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부하에는 충분한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상용 교류전압이 110V로 트랜스(T1)의 일차코일에 인가되면 트랜스(T1)의 2차코일에 유기된 전압이 적게됨에 따라 양파정류부(1)의 출력이 적게되어 전압감지부(5)의 분배저항(R3, R4)의 접속점의 전압이 트랜지스터(Q2)가 온이될 정도로 낮게 걸리게되므로 계전기 제어부(6)의 트랜지스터(Q2)가 온이된다.
따라서 계전기(RL1)가 온이되므로 계전기(RL1)의 접점스위치(SW1)가 온이되어 양파정류부(1)의 출력이 저항(R1)에 무관하게 접점스위치(SW1)를 통해 정전압 정류부(2)의 입력에 인가됨에 따라 정전압정류부(2)의 출력은 220V에서와 같은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즉,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인가되는 정전압 정류부(2)의 출력전압(B+)보다 분배저항(R3, R4)의 접점부의 전압(V3)이 낮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2)가 온이되어 계전기(RL1)를 온시키게 되므로 계전기(RL1)의 접점스위치(SW1)가 온이되어 양파정류부(1)의 출력이 저항(R1)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인가되므로 정전압정류부(2)의 입력전압(V2)이 충분히 상승하게 되어 부하에 인가되는 정전압 정류부(2)의 출력전압(B+)이 220V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220V가 트랜스(T1)의 일차코일에 인가되는 졍우에는 분배저항(R3, R4)의 접속점의 전압(V3)의 정전압정류부(2)의 출력전압(B+)보다 높게되어 계전기(RL1)의 접점스위치(SW1)가 오프상태에 있게 되므로 양파정류부(1)의 출력이 저항(R1)을 통해 일정치로 떨어져(즉, 110V에서 저항(R1)을 통하지 않고 인가될때와 같은 전압)정전압정류부(2)의 입력에 인가되고, 인가되는 전압이 110V인 경우에는 분배저항(R3, R4)의 접속점의 전압(V3)이 정전압정류부(2)의 출력전압(B+)보다 낮기 때문에 계전기(RL1)의 접점스위치(SW1)가 온상태에 있게되어 양파정류부(1)의 출력이 저항(R1)치에 무관하게 정전압정류부(2)의 입력에 인가되므로 정진압정류부(2)의 출력전압(B+)은 인가되는 상용교류 전압의 크기에 관계없이(즉, 110V 또는 220V에 관계없이)항상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장치는 110V/220V 겸용으로 사용하는 트랜스를 설치하지 않고도 인가되는 전압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전압을 기기의 소자등에 공급시킬 수 있게 되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

  1. 2개의 입력단자(3, 4)를 갖는 트랜스(T1)의 2차코일은 양파정류부(1)의 입력에 연결하고, 전압감지부(5)의 분배저항(R3, R4)을 통해 접지된 양파정류부(1)의 출력은 계전기(RL1)의 접점스위치(SW1)를 통해 공지의 정전압정류부(2)의 입력에 연결하며, 다이오드(D3)를 통해 분배저항(R3, R4)의 접속점에 베이스가 연결된 계전기 제어부(6)의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계전기(RL1)와 계전기 보호용 다이오드(D4)를 통해 접지하여서된 110V/220V 전원 자동 절환장치.
KR2019880019484U 1988-11-30 1988-11-30 110v/220v 전원 자동 절환장치 KR920007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484U KR920007530Y1 (ko) 1988-11-30 1988-11-30 110v/220v 전원 자동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484U KR920007530Y1 (ko) 1988-11-30 1988-11-30 110v/220v 전원 자동 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968U KR900010968U (ko) 1990-06-04
KR920007530Y1 true KR920007530Y1 (ko) 1992-10-15

Family

ID=1928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9484U KR920007530Y1 (ko) 1988-11-30 1988-11-30 110v/220v 전원 자동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5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968U (ko) 199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844B1 (ko)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전원장치
US4914560A (en) Protection circuit for switching mode power supply circuit
US3719859A (en) Voltage sensing and switching circuit
KR920007530Y1 (ko) 110v/220v 전원 자동 절환장치
US5909365A (en) Leakage current power supply
US6483681B1 (en) Fault-current protective switchgear
US4163271A (en) Electronic switching apparatus
US3335358A (en) Regulated power supply with current overload protection using magnetic field responsive error signal producing means
US5410187A (en) Output circuit for controlling a relay which has capability for operating with wide range of input voltages
US3522508A (en) Control circuit in electrical generating system
KR920000346Y1 (ko) 110v/220v 자동전환용 정전압 회로
KR880001584Y1 (ko) 유도성 부하의 전력 공급 장치용 돌입전류 방지 장치
KR910003618Y1 (ko) 교류검출 과전압 방지회로
JP2558621B2 (ja) 電源回路
KR840001051Y1 (ko) 전압 자동 조절회로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KR840001565Y1 (ko) 자동 절환 전원회로
KR0111722Y1 (ko)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
KR960030524A (ko) 교류입력전원 변동을 보상하는 전원보상회로
KR890001714Y1 (ko) 전압 안정화 회로
KR960032850A (ko) 매우 단순한 형태의 110/220v 전압 자동 절환장치
JPH0340080Y2 (ko)
KR930007089Y1 (ko) 컴퓨터의 전원 안전 장치
KR900000146Y1 (ko) 전원스위칭회로
JPS5828439Y2 (ja) 断線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