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493Y1 - 디지탈 텔레비젼의 휴 조정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탈 텔레비젼의 휴 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493Y1
KR920007493Y1 KR2019890016256U KR890016256U KR920007493Y1 KR 920007493 Y1 KR920007493 Y1 KR 920007493Y1 KR 2019890016256 U KR2019890016256 U KR 2019890016256U KR 890016256 U KR890016256 U KR 890016256U KR 920007493 Y1 KR920007493 Y1 KR 920007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signal
overflow
outpu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6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345U (ko
Inventor
임종상
이정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6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493Y1/ko
Publication of KR910010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3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3Hue control means, e.g. flesh ton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텔레비젼의 휴 조정회로
제1도는 색의 벡터 표시도.
제2도는 종래의 버스트 기준위상 변형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B-Y 및 R-Y위상 변형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1-G4 : 제1-제14게인 1-4 : 제1-제4곱셈기
5, 6 : 제1및 제2덧셈기 7,9:재1및 제2멀티플렉서
8, 10 : 제1 및 제2오버플로우검출부 11,12 : 제1및 제2저역여파기
100,200 : 제1 및 제2오버플로우 조정기
본 고안은 고화질 디지탈 텔레비젼 시스템에 있어서 휴(hue)조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광범위한 조정범위를 갖는 휴 조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의 표준방식은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과 PAL(Phase Alternation by Line)방식, 그리고 SECAM(Sequen tial a Memorie)방식의 세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그중에서도 NTSC방식은 칼러 방송과 혹백방송을 양립할 수 있는 방식으로 칼러 방송을 흑백 텔레비젼 수상기로 수신하면 흑백의 화상이 얻어지고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로 수신하면 칼러 화상이 얻어진다. 또 흑백방송을 칼러 텔레비젼 수상기로 수신하면 흑백화면이 재현된다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이 양립성을 실현하기 위해 Y신호라고 불리는 휘도신호를 전송하고 색신호에 대해서는 인간의 시각심리상의 여러 특성 즉 색면적이 작아지면 색의 차이를 느끼기 힘들고 밝기의 차이만을 판별할 수 있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가장 유효한 대역폭인 3.58MHz의 부반송파를 E1,EQ신호로 직각변조하고 다시 이 신호로 주파수간삽방식 즉 눈에 띄기 힘든 형식으로 하여 휘도 신호속에 삽입해서 전송한다.
또 미리 수평동기신호의 백포오치에 최소 8주기 이상의 칼러 버어스트(color burst)신호를 삽입하고 수상기 측에서는 이 신호를 기준위상으로 하여 색복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NTSC시스템에서는 색의 기준이 되는 버스트신호의 기준위상에 대한 위상차로서 각각의 색을 정의할 수 있다. 송신측에서 보내오는 색신호는 평형 변조된 복조색신호인데 수신단에서 필요로 하는 R(Red), G(Green), B(Blue)의 복합신호는 상기 복합 색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얻게 된다.
통상 이러한 변조는 R-Y축과 B-Y축(여기서 Y는 휘도신호성분을 나타낸다)을 갖는 평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R-Y축은 적색차 신호로 변조하는 반송파의 위상을 나타내고 상기 B-Y축은 청색차신호로 변조하는 반송파의 위상을 나타낸다. 제1도에서 임의의 색신호(C)는 R-Y축을 ER-Y, B-Y축을 EB-Y로 잡고 상기 R-Y축과 상기 B-Y축에 평행선을 그어 그 교점과 중심(O)을 연결한 벡터이며. 이 벡터가 그 색신호(C)의 진폭과위상각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기한 색신호(C)는 하기한(1)식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C=EB-YSinθ+EB-YCosθ ……(1)
여기서 R, G, B 각각의 진폭 ER, EG, EB는 하기한 (2)-(5)식의 관계에 의해 ER-Y와 EB-Y로 부터 얻어낼수 있게 된다.
ER-Y=0.70ER-0.59EG-0.11EB……(2)
EG-Y=0.30ER-0.41EG-0.11EB……(3)
EB-Y=0.30ER-0.59EG-0.89Es ……(4)
EG_Y=0.51ER_Y-0.59EB_Y……(2)
그런데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색은 다양한 색감들 중 송신측에서 보내는 표준의 색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인위적으로 색을 일정한 관계로 변화시킬 것이 요구되는데 이것이 휴조정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TV에서의 휴조정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스트 기준위상을 변화시켜 색신호(C)의 ER-Y,EB-Y를 ER-Y', EB-Y'로 변형시져 휴를 조정하였다. 즉 변형된 ER-Y'와 EB-Y'에 의해 변형된 ER', EG', EB'을 얻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버스트의 기준위상을 변형시키기 때문에 (R-Y)' 축과 (B一Y)'축 역시 항상 직각을 유지하며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B-Y축상의 값 EB-Y만 혹은 R-Y축상의 값 ER-Y만을 단독으로 변화시키지 못하고 직각을 이루면 두 값이 동시에 변하게 되어 어느 일정한 상태의 색감으로만 제한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B-Y축과 R-Y축을 각각 독립적으로 변화시키는 광범위 휴 조정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축 변형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도로써, 디지탈 신호처리되어 복조분리된 B-Y성분과 (B-Y)'축의 (B-Y)축에 대한 위상변이를 나타내는 제1게인(G1)을 승산하는 제1곱셈기(1)와, 상기 B-Y성분을 (R-Y) '축의 (B-Y)축에 대한 위상변이를 나타대는 제3게인(G3)과 승산하는 제3곱셈기(3)와, 디지탈 신호처리되어 복조분리된 R-Y성분과(B一Y)'축의 (R-Y)축에 대한 위상변이를 나타내는 제2게인(G2)을 승산하는 제2곱셈기(2)와, 상기 R-Y성분과 (R-Y)'축의 (R-Y)축에 대한 위상변이를 나타내는 제4게인(G4)을 승산하는 제4곱셈기(G4)와, 상기 제1및 제2곱셈기(1,2)출력을 합산하여 제1합산신호를 출력하는 제1덧셈기(5)와, 상기 제3및 제4곱셈기(3,4)출력을 합산하여 제2합산신호를 출력하는 제2덧셈기(6)와, 상기 합산신호의 오버플로우 여부를 체크하는 제1오버플로우검출부(8)의 오버풀로우 검출상태에 따라 최대값(MAX) 혹은 상기 제1합산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7)로 이루어진 오버플로우 조정기(100)와, 상기 제2합산신호의 오버플로우 여부를 체크하는 제2오버플로우검출부(19)의 오버플로우 검출상태에 따라 최대값(MAX)혹은 상기 제2합산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8)로 이루어진 제2오버플로우 조정기(200)와, 상기 제1및 제2오버플로우조정기(100,200) 출력에서 각각 고역성분을 제거하여 각각 휴조정된 (B-Y)' 와 (R-Y)' 성분을 발생하는 제1 및 제2저역 여파기(11, 12)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R-Y축 혹은 B-Y축 상의 값 ER-Y을 단독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R-Y' 축은 R-Y축에 대하여 ø만큼 변형시키고 B-Y'축은 B-Y축에 대해θ만큼 변형시킨다. 이때 R-Y축과 R-Y'과 B-Y축과 R-Y'축의 관계는 하기한(6)-(9)식과 같다.
그러므로 복조된 R-Y성분과 B-Y 성분에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 와 ø만큼의 위상변이에 따른 적절한 계수 값을 곱하여 연산해 주면 B-Y축과 R-Y축을 각각 독립적으로 변화시키는 휴조청이 가눙하다.
이때 상기 계수 값들은 마이컵(도시하지 않았음)에서 사전에 연산되어질 수 있으며, 편의상 제1-제4게인(G1-G4)으로 명명하고, 상기 ⑧.⑨식에 의거 하기한(10)-(13)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4도에서 디지탈 신호처리되어 복조분리된 B-Y 성분은 제1및 제3곱셈기(1,3)로 입력되어 각각 제1 및 제3게인 (G1, G3) 값과 승산된다.
마찬가지로 디지탈신호처리되어 복조분리된 R-Y 성분도 제2 및 제4곱셈기(2,4)로 입력되어 각각 제2 및 제4게인(G2,G4)값과 승산되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곱셈기(1, 2) 출력은 제1덧셈기(5)로 입력되어 합산되고 상기 제3 및 제4곱셈기(3, 4)출력은 제2덧셈기(6)에서 합성되어져 각각 제1및 제2오버플로우조정기 (100, 200)로 인가된다.
상기 제1 및 제2오버플로우조정기(100, 200)는 멀티플렉서와 오버플로우 검출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예를 들어 제1오버플로우 조정기(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제1덧셈기(5)로 부터 공급된 신호를 제1멀티 플렉서(7)및 오버플로우 검출부(8)로 각각 입력하여 오버플로우가 검출되면 상기 멀티플렉서(7)가 최대값(MAX)을 출력하고 정상일시에는 상기 공급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최대값(MAX)은 상기 제1오버플로우조정기(100)의 경우 상기 제1덧셈기(5)로 부터 출력되는 제1합산신호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제1합산 신호가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합산 신호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해도 상기 멀티플렉서(7)에서 출력되는 값이 상기 최대값(MAX)을 넘지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오버플로우조정기(20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오버플로우 조정기(100, 200)를 거쳐 조정된 신호는 각각 제1및 제2저역 통과여파기(11.12)를 거쳐 고역성분을 제거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제1저역통과여파기(11)로는 휴조정된 (B-Y)'성분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제2저역통과여파기(12)로는 휴조정된 (R-Y)'성분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R-Y축과 B-Y축을 각각 독립적으로 변화시켜 휴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광범위한 색조정이 가능해져 화질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마이컴을 구비한 고화질 디지탈 텔레비젼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탈 신호처리되어 복조분리된 B-Y 성분과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B-Y)'축의 (B-Y)축에 대한 위상변이 값(G1)을 승산하는 제1곱셈기(1)와, 상기 B-Y 성분을 상기 마이컴으로 부터 출력되는 (R-Y) '측의 (B-Y)'축에 대한 위상변이 값(G3)과 승산하는 제3곱셈기(3)와, 디지탈 신호처리되어 복조분리된 R-Y성분과 상기 마이컴으로 부터 출력되는 (B-Y) '축의 (R-Y)축에 대한 위상변이 값(G2)을 승산하는 제2곱셈기(2)와, 상기 R-Y성분과 상기 마이컴으로 부터 출력되는 (R-Y)'측의 (R-Y)축에 대한 위상변이 값(G4)을 승산하는 제4곱셈기(G4)와, 상기 제1및 제2곱셈기(1, 2) 출력을 합산하여 제1합산신호를 출력하는 제1덧셈기(5)와, 상기 제3및 제4곱셈기(3, 4)출력을 합산하여 제2합산신호를 출력하는 제2덧셈기(6)와, 상기 합산신호의 오버플로우 여부를 체크하여 오버플로우 상태이면 미리 설정된 최대값(MAX)을 출력하고 오버플로우 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2합산신호를 출력하는 오버플로우조정기(200)와, 상기 제1 및 제2오버플로우조정기(100, 200) 출력에서 각각 고역성분을 제거하여 각각 휴조정된 (B-Y)'와 (R-Y)'성분을 발생하는 제1 및 제2저역 여파기(11,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조정 회로.
KR2019890016256U 1989-11-03 1989-11-03 디지탈 텔레비젼의 휴 조정회로 KR920007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256U KR920007493Y1 (ko) 1989-11-03 1989-11-03 디지탈 텔레비젼의 휴 조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256U KR920007493Y1 (ko) 1989-11-03 1989-11-03 디지탈 텔레비젼의 휴 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345U KR910010345U (ko) 1991-06-29
KR920007493Y1 true KR920007493Y1 (ko) 1992-10-15

Family

ID=1929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6256U KR920007493Y1 (ko) 1989-11-03 1989-11-03 디지탈 텔레비젼의 휴 조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4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345U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0101A (en) Chromakey signal producing apparatus
US5526060A (en) Luma/chroma decoder with demodulated control signal
KR100749412B1 (ko) 크로마 과부하 방지 장치 및 크로마 과부하를 방지하는 방법
US4656502A (en) Color mixing or interference reduction circuit in color TV decoding circuits
US4805011A (en) Luminance signal forming circuit for color tv camera which combines luminance signal derived from primary color signals with luminance signal derived from complementary color signals
US4430665A (en) Automatic video signal peaking and color control
US54247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 fading between combed and simple filtered outputs
JPH06121335A (ja) ルミナンス及びクロミナンス分離回路
KR950005066B1 (ko) 계조보정장치
US4775888A (en) Motion detector for chrominance signal in TV receiver
GB1435954A (en) Compatible stereoscopic colouer television system
US5150203A (en) Variable chrominance filtering for encoding television signals
GB2271907A (en) Adaptive chrominance signal separating apparatus
US4736252A (en) Motion detector for chrominance signal in TV receiver
KR920007493Y1 (ko) 디지탈 텔레비젼의 휴 조정회로
EP0464879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and the method thereof
JP3617087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およびカメラ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JPS612488A (ja) 輝度信号搬送色信号分離装置
US5432557A (en) Extended television signal receiver
US4370673A (en) Signal generator for a color television transmitting system
JPH0316076B2 (ko)
KR100562823B1 (ko) 수직 샤프니스 조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tv 수상기
JPH0345095A (ja) 画像輪郭強調回路
JPH10145805A (ja) 色相補正回路
JPH0463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