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406Y1 - 도로 및 인도의 이동식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도로 및 인도의 이동식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406Y1
KR920007406Y1 KR2019890010804U KR890010804U KR920007406Y1 KR 920007406 Y1 KR920007406 Y1 KR 920007406Y1 KR 2019890010804 U KR2019890010804 U KR 2019890010804U KR 890010804 U KR890010804 U KR 890010804U KR 920007406 Y1 KR920007406 Y1 KR 920007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ehicle body
road
vacuum clean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700U (ko
Inventor
김래권
Original Assignee
김래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래권 filed Critical 김래권
Priority to KR2019890010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406Y1/ko
Publication of KR910002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7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로 및 인도의 이동식 진공청소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덮개가 제거된 상태의 일부절결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유압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구동모터 8 : 유압탱크
9 : 수거통 10 : 브로와
11 : 실린더 20 : 개폐문
23 : 자바라덕트 24 : 자바라덕트
25 : T자관 26 : 배출공기정화필터
26' : 필터결합부 27 : 내부흡입관
28 : 자바라덕트 28 : 자바라덕트
30 : 격판 31 : 흡입관연결실
32 : 배출실 33 : L보관
36 : 자바라흡입관 37 : 자유회동관
38 : 선정관 39 : 유니버셜관
40 : 팬 41 : 모터
44 : 컨트롤박스 47 : 손잡이스위치
49 : 쓰레기 흡입로 50 : 공기배출로
본 고안은 도로주변과 인도상에 있는 쓰레기를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도로 및 인도의 이동식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로주변이나 인도에 방치되거나 버려진 쓰레기는 그 대부분이 특정 청소원에 의해 치워지거나 특수장비를 가진 청소차에 의해 제거되었다.
따라서, 청소원은 도로를 청소하기 위하여 손수레를 이용해 인위적인 작업으로 있는 쓰레기를 청소하였는바, 이와같은 수작업에 의한 청소작업은 그 주위를 운행하는 타 차량으로 부터 많은 위험이 있게 되어 작업도중에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비 능률적이고 위험한 청소작업을 차량의 주행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보 소 64-42319호에 개재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이 구조를 보면 수진용기(收塵蓉器)내로 먼지등을 흡입토록 하는 흡풍기가 구비되어 배풍로(排風路)가 지표면을 향하여 분출시키는 분사력과 흡입력에 의해 도로상의 먼지등을 수거토록 하는 것으로, 나름대로 유용한 고안이었으나, 이는 흡입력과 배풍력이 함께 지면으로 작용할때, 가벼운 질량의 먼지와 휴지등은 흡입구멍으로 부터 멀리 이동토록 하여 그 자리는 깨끗하여 지는 결과가 있는 반면 수거효율이 낮아지는 결점과, 구조가 불필요하게 복잡하여 지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수거된 쓰레기를 소거장소등의 폐기처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일일이 수동적으로 옮겨지도록 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불편함과 많은 피로를 느끼게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간편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도로주변의 쓰레기들을 수거할 수 있도록 된 도로용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토록 하고, 그 세척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도로용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 2, 3, 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차체(1)의 저면 뒷방향에는 양쪽으로 후륜(2)을 설치하여, 후륜(2)을 구동가능케하는 구동모터(3)가 차체(1)저면에서 모터브라켓(4)에 의하여 고정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앞방향에는 방향선택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회동이 자유로운 한개의 전륜(5)을 중앙을 설치하였다.
그리나 이와같이 설치한 상기의 차체(1) 중앙에는 동력엔진(101)이 설치될 수 있도록 엔진실(6)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동력엔진과 유압펌프(도시없음)를 설치하고 전륜(5) 상부에는 유압탱크 설치부(7)를 형성하여 유압탱크(8)를 장착한다.
이렇게 설치된 차체(1)의 상면에는 수거통(9)과 브로와(BLOWER)(10)를 각각 장착하되, 첨부도면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수거통(9)내부로 채워진 쓰레기를 간편하게 쏟아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린더(11)의 일단부를 차체(1)에 연결하고 피스톤(12)의 일단부는 수거통(9)저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실린더브라켓(13)과 피스톤브라켓(14)에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수거통(9)의 배면측 하단 양쪽에는 지지편(15)을 갖게하여 고정축(16)에 회동설치 하였으므로, 수거통(9)은 실린더(11)작동에 따라 고정축(16)을 중심으로 회동운동이 가능케 된다.
또한, 수거통(9)상부에는 경첩으로 결합된 덮개(17)에 걸고리(18)를 갖게하여 수거통(9)에 설치한 개폐고리(19)와 상호 결속되도록 하므로서, 수리 또는 수거통 내부의 청소시에 덮개(17)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배면에는 개폐문(20)을 갖게 하되, 상단양측이 힌지(21)를 형성하여 벽체에 설치되도록 하고, 하단에는 개폐문(20)의 개방과 폐쇄를 단속하는 걸림고리(도시없음)에 걸리거나 풀려지도록 하는 단속편(22)을 갖게 하였다.
상기한 바와같은 수거통(9)내부와 정면측 벽면에는 도면 제2, 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적정한 크기의 두개의 구멍을 뚫은 다음 그 구멍의 외부면에 동일한 내경을 가진 고무재 자바라덕트(23)(24)를 각각 고착시키며, 그 내측면에는 접속관(25)과 필터결합부(26')를 각각 고정결합시켜서 내부 흡입관(27)과 배출공기 정화필터(26)를 각각 결합한다.
상기 수거통(9) 전면에는 자바라덕트(23)(24)와 일치하는 곳에 분리된 상태의 브로와(10)를 차체(1)에 설치하되, 동일한 크기로 수거통(9)같이 두개의 구멍을 뚫어 그 구멍외측에 자바라덕트(28)(29)를 고정부착하였다.
따라서 그 브로와(10)의 내부에는 도면 제2, 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격판(30)을 용착케하여 흡입관연결실(31)과 진공배출실(32)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흡입관연결실(31)에는 절곡되게 유입을 안내하는 엘보우(33)를 고정설치한 후, 이에 일치하는 외부 즉, 브로와 덮개(34)의 상면으로 죠인트(35)를 결착하여 자바라 흡입관(36)의 사용중에 회동이 자유롭게 하는 자유회동관(37)을 결합하고, 그 단부에는 손잡이를 가진 선정관(38)에 자유로운 각도 움직임을 갖는 유니버셜관(39)을 결합하여 저면의 쓰레기를 흡입케 하였다.
그리고 배출실(32)내부에는 구멍과 일치되는 곳에 팬(40)을 가진 모터(41)가 팬카바(42)에 결합되어 내설된다.
이와같이 결합형성된 브로와(10) 일측면에는 배출구(43)가 있으며, 그 전면에는 조정지시 기능이 입력설치된 컨트럴박스(44)를 설치하여 각각의 작동부와 연결되도록 하였으므로, 전기능이 엔진동력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작동으로 작동토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이에따른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따른 설명은 도면 제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엔진이 구동토록 하면 콤프레셔 펌프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오일이 순환됨과 동시에 유압탱크(8)에는 유압이 충진된다.
이렇게 충진된 유압은 각각 연결된 라인을 따라 작동준비 완료상태에 있게 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스위치(45)를 온(ON)하면 브로와(10)내부의 모터(41)가 작동하면서 팬(40)을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수거통(9)내부의 공기는 배출실(32)과 배출구(4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거통(9)내부는 진공상태가 되면서, 자바라흡입관(36)으로 외부의 공기가 강하게 흡입된다.
그러므로 유니버셜관(39)단부를 쓰레기가 위치된 곳에 근접시키면 쓰레기는 강한 흡입상태에 있는 수거통(9)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와같이 외부의 쓰레기를 비롯한 흙, 먼지등이 수거통(9)에 흡입되어 집적됨에 따라서 그 내부에 일어나는 먼지는 팬(40)의 계속되는 회동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탈출하려는 상태가 되면서 이들은 수거통(9)에 내설된 배출공기정화필터(26)에 흙, 먼지등이 걸려지게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정화된 상태의 깨끗한 공기만이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이 정화필터(26)는 원통형의 필터(도시없음)도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작용에 따라 먼지가 집적된 배출공기 정화필터(26)는 필요에 따라서 덮개(17)를 개방시켜서 분해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에 수거통(9)에 쓰레기가 전체적으로 채워지거나, 또는 청소작업이 끝난 상태에서는 스위치(45)를 오프(OFF)시키고, 적재된 쓰레기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핸들(46)에 압력식으로 설치된 손잡이 스위치(47)를 압압한다.
이에따라 구동모터(3)가 작동하게 되어 그 동력은 후륜(2)의 액슬축을 회동시켜 주게되어 이동이 가능케 된다.
상기 방법으로 쓰레기 처리장까지 이동한 후에는 단속상태에 있는 걸림고리(도시없음)를 풀어서 단속편(22)을 해제시킨 다음, 조절밸브(48)를 상승시켜 "온"시키면 실린더(11)의 피스턴(12)이 빠져 나오면서 도면 제4도와 같은 상태로 수거통(9)을 들어 올리면서 동시에 개폐문(20)가 개방되어 수거통(9)내부의 쓰레기(51)를 쏟아 넣게 되며, 쓰레기(51)의 하차가 끝난후에는 조절밸브(48)를 다시 조작하여 수거통(9)을 원위치 하강시킨 다음, 엔진(101)의 시동을 끄면 모든 작동이 정지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수거통(9)이 상승 또는 하강될때 수거통(9)과 브로와(10)에 각각 설치된 자바라덕트(23)(24)(28)(29)는 상호 분리, 밀접되는 상태에 따라 도면 제2, 4도에서 표현된 바와같이 수거통(9)이 상승할때에 수거통(9)의 자바라덕트(23)(24)는 상부가 벌어지게되고 브로와(10)에 설치된 자바라덕트(28)(29)는 하부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거통(9)이 원위치되기 위하여 하강하게 될 때에는 브로와(10)의 자바라덕트(28)(29)와 수거통(9)에 설치된 자바라덕트(23)(24)가 일치되어 밀접되면서 상호 압압하는 상태가 되어 도면 제2도와 같이 쓰레기 흡입구(49)와 공기배출구(50)가 밀접된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빗자루 사용에 의한 먼지발생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먼지 발생에 의한 불쾌감을 해소하게 되며, 먼지나 모래와 같은 잔재물까지 말끔히 청소하게 되어 도로의 하수구가 막히는 것을 예방하게 되고, 청소원이 인도상에서 청소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차량으로 부터의 사고위험을 예방함과 동시에 항시 깨끗한 도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엔진실(6)이 형성된 차체(1)의 저면으로 구동륜을 형성착하고, 상기 차체(1)의 상부로는 도로에서 부터 수거된 오물들이 채워지도록 속이 빈 함체형의 수거통(9)내부에 정화필터(26)가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차체(1)의 일측단에 형성된 고정축(16)으로 상기 수거통(9)의 하부 끝단을 힌지결합하여 조작신호에 의해 출몰되는 실린더(11)의 전진동작으로 상기 수거통(9)이 회동되며 개폐문(20)을 통해 내부 쓰레기를 배출토록 설치하며, 상기 수거통(9)의 일측으로 세워져 송풍토록 하는 부로와(10)의 이음부로는 상호 신축이 가능하며, 그 내부로 통로가 형성토록 하는 자바라덕트(23)(24)(28)(29)를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인도의 이동식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1)는 선단을 향하여 핸들(46)을 연장시키고, 상기 핸들(46)에는 손잡이 스위치(4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인도의 이동식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와(10)의 내부로 설치되는 격판(30)에 의해 엘보관(33)이 위치되어 흡입력이 직각되게 연결시키는 흡입관 연결실(31)과 모터(41)에 의해 팬(40)이 구동토록 배출실(32)을 각각 구분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및 인도의 이동식 진공청소기.
KR2019890010804U 1989-07-25 1989-07-25 도로 및 인도의 이동식 진공청소기 KR920007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804U KR920007406Y1 (ko) 1989-07-25 1989-07-25 도로 및 인도의 이동식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804U KR920007406Y1 (ko) 1989-07-25 1989-07-25 도로 및 인도의 이동식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700U KR910002700U (ko) 1991-02-26
KR920007406Y1 true KR920007406Y1 (ko) 1992-10-12

Family

ID=1928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804U KR920007406Y1 (ko) 1989-07-25 1989-07-25 도로 및 인도의 이동식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4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885B1 (ko) * 2011-01-18 2011-05-31 주식회사 청오에이치앤씨 이동식 진공 청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603A (ko) * 2000-09-09 2002-03-15 하재욱 소형 진공 흡입 시스템
KR100799944B1 (ko) * 2007-05-16 2008-02-01 주식회사 디아이피 음식물 쓰레기 공기 흡입 이송에서의 각종 협잡물과 고압공기간 분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885B1 (ko) * 2011-01-18 2011-05-31 주식회사 청오에이치앤씨 이동식 진공 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700U (ko) 199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2970A (en) Apparatus for sewer cleaning and the like
US3995754A (en) Garbage vacuum compactor device
JPS62170220A (ja) 清掃とこすり洗いの両方の機能を兼ね備えた機械と方法
KR101037885B1 (ko) 이동식 진공 청소장치
KR920007406Y1 (ko) 도로 및 인도의 이동식 진공청소기
US3300807A (en) Cleaning apparatus
CN113047204A (zh) 一种市政环卫用负压吸尘自动清扫装置
JPH08158337A (ja) スイーパー
CN211732679U (zh) 垃圾转运车用提升装置
US2496028A (en) Vacuum street cleaner
JP3350025B2 (ja) 電気掃除機
KR200153135Y1 (ko) 좁은 도로 청소기
CN2159410Y (zh) 吸入布袋式清洁车
KR100413502B1 (ko) 청소차량의 흡입구 개폐장치
CN110565567A (zh) 一种带人行道落叶收集及吸污功能的扫路车
CA1115466A (en) Mobile sewer cleaning and vacuum unit
CN215053818U (zh) 一种市政管道的清理机器人
CN211872802U (zh) 小型电动自吸式清洁车
KR101145092B1 (ko) 이동식 진공 청소장치
KR200273893Y1 (ko) 도로청소차의 쓰레기 유도장치
KR200365038Y1 (ko) 도로 청소용 차
KR200267550Y1 (ko) 청소차량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2037632B1 (ko) 차량 탑재용 미세먼지 집진기
KR20000073248A (ko) 승강가능한 흡입구체를 가진 야외용 청소장치
KR200161652Y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