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361Y1 - 자동 급수전 - Google Patents

자동 급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361Y1
KR920006361Y1 KR2019860005716U KR860005716U KR920006361Y1 KR 920006361 Y1 KR920006361 Y1 KR 920006361Y1 KR 2019860005716 U KR2019860005716 U KR 2019860005716U KR 860005716 U KR860005716 U KR 860005716U KR 920006361 Y1 KR920006361 Y1 KR 920006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ter supply
main body
open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5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6777U (ko
Inventor
진영준
Original Assignee
진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준 filed Critical 진영준
Priority to KR2019860005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361Y1/ko
Publication of KR870016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67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hand-operated valves or for combined motor and hand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급수전
제1도는 본 고안 급수전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 선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 선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C-C 선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제6도는 조작간의 판부의 타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전자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8도는 조작간이 눌러진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급수판
3 : 전자판 20 : 본체
21 : 조절통 22 : 내통
23 : 조절간 24 : 손잡이
25 : 토출관 212 : 판실
213 : 조절판 232 : 판체
223 : 판구 26 : 계지핀
27 : 원통카버 32 : 판구
34 :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본 고안은 자동 급수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외선, 광전등의 감지기의 반응작용에 의해서 전자판을 작동하여 냉.온수를 주출구에서 유출시킬 수 있도록, 또는 잠글 수 있도록한 자동급수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진소자. 적외선 발신, 수신 장치의 광반응에 의해서 전자판을 개폐시켜, 냉수, 온수를 급수전의 사구(蛇口) 혹은 주출관에서 유출시키도록, 또는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 급수전은 이미 다종 제안되어 상품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급수전은 사용자가 손을 주출관의 하방으로 뻗을 경우 주출구로 부터 물이 유출되고, 손을 잡아당기면 물이 자동적으로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할때마다 급수전을 계폐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상 대단히 편리하지만, 정전시에 전자판이 작용하지 않아서 사용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에 정전시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수동 개페 수단을 부착한 자동 급수전도 제안된 바 있으나, 구조가 지극히 복잡하고, 조립에 있어서도 수공이 많이들고, 고장이 나기 쉬워서, 특히 수질이 나쁜 경우 또는 수관이 산화 부식된 경우는 수중의 불순물이나 여러가지 잡물질이 복잡한 구조 내부에 남어 있게 되며, 또한 부착되어서 유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며, 고장이 생겨서 사용할 수 없게 됨과 더불어 위생상도 좋지 못하였다. 더욱이, 종래의 자동 급수전에 있어서는 수동 조작부가 2개소에 설치되어 있어서 습관이 들때 까지는 흔히 조작부를 잘못하여 오조작을 행하여 사용상에 있어서 편리하게 설치되어 있지 않었다. 또한, 조작시 각부재간에 마찰이 일어나기 쉬우며, 장기간 사용후에는 마모로서 누수가 생기고, 고장이 있을 경우 혹은 불순물이 급수전의 내부에 부착된 경우에는 분해하는데 수공이 들고, 부품이 교체와 청소가 용이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 조작간으로 수동과 자동조작으로 절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동일조작간으로서 수온의 조절도 가능케한 자동 급수전을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의 급수전은 수동 조작에 의해서 급수를 수동 및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온의 조절도 행할 수 있는 냉, 온수 급수판과 진자 작용으로서 습수판의 판구를 개폐하는 전자판과, 급수판과 전자판을 수납하고, 사구관을 갖는 케이스로 된 자동 급수판에 있어서, 급수판을 주벽에 냉수 취입구, 온수 취입구와 냉·온수 토출구를 설치한 상하 개방의 원통상 본체와 이 본체에 흡동 회전 자제토록 끼워 삽입 수납하고, 하단에 상기 냉. 온수 취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조절 기능의 조절관을 갖으며, 또한 이 조절판의 상방의 동부 외부벽에 전기 본체의 토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환상 요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요홈내에 적어도 일개소의 관통공을 설치하고, 또한 동체 하부 주벽에 상기 본체의 하단부의 판실과 연통하는 관통공을 설치한 조절통과 이 조절통의 내부에 끼워 삽입고정하고, 주벽에 상기 조절통의 요홈내의 관통공과 연통하는 통수공을 설치함과 동시에, 한단에 판구를 갖는 내통과 그 내통내에 축방향으로 습동 자제토록 끼워 삽입하고, 하단에 판롯드를 통해서 싱기 판구를 개폐하는 판을 설치한 조작간과 이 조작간의 상단에 취부하고, 축방향의 조작으로서 조작간을 내통에 있어서 상하 습동시켜서 상기 판에 의해서 판구를 개폐시키며. 또한 회동 조작에 의해서 조절통, 내통과 조작간과 일체로 되어서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조절판이 냉. 온수 입구를 개폐하도록된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판을 급입구가 급수판 본체의 하단 개구부에 연통토록 취부하고 이 전자판에는 판구를 통해서 상기 급입구와 연통하는 토출구와 해당 관구를 개폐하는 전자 밸브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더욱이 상기 급수판의 토출구와 전자판의 토출구에 2지상으로 기된 입구관부가 이 토출구에 취부되며, 또한 자유단부가 일본의 토출관부에 구성된 토출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전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보통때는 종래의 자동 급수전과 같은 사구의 하방에 손을 뻗으면 물이 전자판의 토출구로 부터 유출되며, 손을 잡어 당기면 물이 자동적으로 잠글 수가 있으며, 정전의 경우,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동에 의해서 손잡이를 하방으로 누르면, 판체가 조절통의 관구를 개방해서 물은 이판구를 경유해서 급수판의 토출구로 부터 유출된다.
일방, 수온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되고, 또한 전기가 다시 들어와서 자동급수로 절환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상방으로 잡어 올려서 판구를 폐쇄하면 되는 것으로서 자동·수동의 절환 및 냉.온수의 조절이 단지 하나의 손잡이 만으로 행할 수 있어서 대단히 편리한 것이다.
또한, 급수판의 내부에 불순물, 잡물등이 남어 있다던지, 부착되어서 청소, 보수등을 하는 경우에는, 계지부제를 조절통으로 부터 께어내면, 조작간을 내통과 조절통과 일체로 되어서 본체의 상방으로 부터 잡어 올려서 본체와 분리시킬 수 있어서, 보수 청소에 매우 편리하고 조립하는 경우에도 대단히 간단한 것이다.
[실시예]
제1도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급수전은 케이스 1과, 이 케이스 1에 내장된 급수판 2와, 이 급수판2의 하방에 취부되어진 전자판 3으로 이루워진다. 케이스 1은 기부 11의 중앙에서 전상방으로 향하여 연장된 사구관 12가 돌설되어 있는 갑제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구관 12의 하단에 케이스 1의 정면에는 예컨데 적외선에 의한 관전작용을 일으키는 감지기 13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케이스 1의 내축에는 상기 감지기 13과 관련되어 진자판 3을 개폐하는 PC보오드 4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판 2는 제2도 표시한 바와같이, 본체 20, 이 본체 20내에 끼워 삽입된 조절통 21, 이 조절통 21내에 끼워 삽입된 내통 22, 내통 22에 삽입 설치된 조작간 23, 조작간 23의 상단에 취부된 핸들 또는 손잡이 24및 본체 20에 연결된 토출관 25로 구성된다.
본체 20은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체이고, 그 하단 주벽에는 냉수 취입구 201과 온수 취입구 202가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냉. 온수 취입구 201, 202의 상방 주벽에는 상기 토출관 25의 일단과 연결된 토출구 203이 설치되어 있으며, 주벽의 상단부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요홈의 도중에 주벽을 관통하는 일대의 수평방향으로 평행되게 끼워진 계지핀 계지홈 204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본체 20의 내주벽에는 조절통 받침좌로 되는 단부 205가 설치되어 있다.
조절통 21은 상반부가 원통형의 동부 211이 형성되며, 하부에 축경부의 판실 212와, 이 판실 212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원호상의 수온 조절판 213이 형성된 원통체로 되며, 이 조절통 21은 계지핀 26에 의해서 계지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받침좌 205에 받쳐쳐 있으며, 또한 상단이 본체 20로 부터 돌출토록 하여서, 회전자재토록 본체 20내에 끼워 삽입 지지되어 있다.
즉, 조절통 21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암부 261이 계지관 계지홈 204에 삽입 관통되며, 암부 261의 도중 내측부가 조절통 21의 외주벽에 설치된 환상 요홈 214에 계지한 U자형의 계지핀 26에 의해서 회전자제토록 본제 20내에 지지되어져 있다. 상기 계지핀 26은 내, 외측에 각각 돌출한 돌편부 262, 263이 헝성되어 있고, 내측돌편부 262는 본체 20의 주벽에 설치된 계지공 206에 계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조절통 21은 본체 20에 대해서 회전 자재토록 되어 있지만 축 방향의 이동은 불가능한 것이다.
이와같이 취부되어진 조절통 21은 하단의 수온 조절관 213이 본체 20의 하단 공소에 위치하여서, 냉, 온수취입구 201, 202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그 일부 또는 전부의 개구를 개폐 조절 자제토록 되어 있다.
또한, 동부 211과 조절판 213과의 사이에 형성된 판실 212의 주벽에는 본체 20의 내부 공소와 연통된 일대의 통공 214가 설치되어 있으며, 동부 211의 하단부 주벽에는 환상 요홈 215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요홈215내에는 일대의 관통공 2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동부 211의 상방부 주벽에는 일대의 나사공 217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절통 21은 그 주벽에 설치된 링홈에 끼워진 씨일링에 의해서 본체 20의 내주벽과 수밀상태로서 본체내에 수납되어져 있다. 또한, 조절통 21의 상단에는 손잡이 24로 조절통 2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주벽부를 잘라낸 평행면부 218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 참조) 내통 22는 하단에 환상단부 221을 설치하고, 또한 약간 그 상방의 주벽에 상기 관통공 216과 연통되는 일대의 관통공 222를 설치한 원통체로 되어 있고, 외주벽에 설치한 링훔에 끼워진 씨일링에 의해서 조절판 21의 내주벽과 수밀상태로서 조절통 21내에 삽입 실치되며, 나사공 217을 통해서 주벽에 나사 체결된 나사 219에 의해서 조절통 21과 일체로 되어서 취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부 221과 받침좌 205와의 사이에는 중앙부에 관구 223을 형성하며, 탄성재로 된 판좌 224를 단부 221에 끼워 결합되어 있다.
조작간 23은 상하 습동 자제토톡 내통 22에 삽입 설치된 가늘고 긴 봉상으로 되고, 그 하단에는 소경의 축부 231을 연설하여, 그 축부 231의 선단에는 판실 212내에서 상기 판좌 224의 판구 223을 제폐시키는 판체 232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간 23의 대경부는 그 외주벽에 설치된 링홈에 끼워진 씨일링에 의해서 수밀 상태로서 내통22에 끼워쳐 있다. 또한, 조작간 23의 상단의 중앙에는 나사공 233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단부의 외주면에는 손잡이 24를 취부하기 위하여 평면부 234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24는 상면에 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면에 다중 원통부를 설치한 원통체로 되어 있고, 그 외측 원통부 241의 내주면과 본체 20의 상단부 외주면과의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개방되어 있으며, 중간 원통부 234에는 각각 조절통 21과 조작간 23의 상단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끼워 맞춤공이 설치되어져 있으며, 손잡이 24는 이 끼워 맞춤공을 각각 조절통 21과 조작간 23의 상단부에 끼워 맞추고, 나사 244를 상면벽을 관통해서 조작간 23의 나사공 233에 나사 체결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간 23에 취부 되어진다.
또한 손잡이 24의 상면에는 카버 245로서 상기 요부와 나사 244의 두부를 덮어 씌우고, 또한 외측 내통 241의 내주벽에는 손잡이 24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일대의 계지돌기 246이 형성되어 있다(제4도 참조).
또한, 계지핀 26이 본제 20에서 빠지지 않도록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부에 축 방향으로 연장한 스톱퍼 271 및 스릿트 272를 설치한 원통 카버 27이 본체 20의 상단부를 포위토록 취부되어 있으며, 계지핀 26의 돌출편 263을 스톱퍼 271의 내측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 맞춘다.
이 스톱퍼 271은 손잡이 회동시에 상기 계지돌기 246의 일반을 계지시켜 손잡이 24의 회동각도를 규제토록한다.
전자판 3은 급수판 2의 하단에 취부되며, 급수판 2의 하단 개구와 연통하는 취입구 31과 판구 32를 통해서 취입구 31과 연갈되는 토출구 33을 상벽부에 설치한 판본체 30과 이 판본체 30의 하부에 설치되어진 솔레노이드 밸브 34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밸브 34는 제2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 30의 하단 개구부에 취부되며 중앙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하단 패쇄측의 축통부 341'을 갖는 저부케이스 341과 이 케이스 341의 축통부 341' 내에 스프링 342를 통해서 상하 습동자제토록 삽입되고, 상단에 고무등의 탄성부제 343'를 끼워서 착설된 작동간 343과 저부 케이스 341 내에 수납되고 주벽에 축방향의 요홈부 344'를 설치한 원통 344와 외주부에 상기 요홈부 344'내에 삽입한 통수관 345'를 설치한 환상 누름판 345와 이 누름판 345와 원통 344와의 사이에 협지된 환상 가소성부를 통하여 중앙의 원판상 판부 346'가 상기 판구 32를 개패하는 다이아 후램판 346과 이 다이아 후램판 346을 지지하는 작동간 343에 연통되어 판 346을 판구 32에 대해서 개폐시키며, 또한, 중앙에 관상부 347'가 형성되어 있는 판지지판 347과 저부케이스 341의 하부에 축통부 341'의 주위에 설치되어진 방수카버 348'를 갖는 전자코일 348로 구성되었다.
토출관 25는 기단부가 2개의 분지상으로 분기된 입구관부 251, 252를 갖으며, 또한 자유단부가 일본의 합류관 253을 갖는 거의 Y자상의 분기관으로 되며, 관부 251과 252는 각각 급수판 2의 토출구 203과 전자판 3의 토출구 33과 연결되어 있다.
제6도는 본 고안의 타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조작간 23의 하단판체 232의 하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요부235가 설치되어 있으며, 판실 212의 저벽에도 이 요부 235에 대응하는 요부 218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 요부간에는 탄성이 약간 스프링 236이 항상 판체 232를 판구 223를 잠그는 방향으로 부제(付勢)되어 있어서 조작간23이 하방으로 눌러진 경우에는 스프링 236 이 압축되어 씨일링의 마찰력과 상방의 수압에 의해서 판체 232가판구 223의 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진다.
다음에 본 고안의 동작과 사용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항시, 급수전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자판 3의 판 346은 판구 32를 폐쇄하며, 또한 판수판 2의 232는 판구 223을 폐쇄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을 급수전의 사구관 12의 하방에 손을 얻으면, 감지기 13이 반응해서 전자판 3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작동간 343이 전자 작용에 의해서 하방으로 끝어 들임과 동시에 다이아 후램판 343이 내압의 변화에 의해서 지지판 347을 통해서 가소성부의 변형에 의해서 하강하여 판구 32를 개방한다(제8도 참조)판구 32가 개방하면 냉, 온수 취입구 202, 202로 부터 유입된 물이 취입구 31, 관구 32, 토출구 33을 경유해서 토출관 25에서 유출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물을 사용한 후 손을 끌어 들이면 감지기 13의 작용으로서 전자판 3의 작동이 정지하며, 작동간 343이 스프링 342의 탄발력으로 지지판 347을 통해서 판 346을 눌러 올려서 다시 판구 32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 때에 저부 케이스 341에 유입된 물이 수압으로서 판 346을 폐쇄 상태로 유지시켜서 물이 잠그게 되어진다.
만약, 정전으로서 전자판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손잡이 24를 누름에 의해서 수동 조작으로 절환할 수 있게 된다.
즉,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24를 누로면 조작간 23의 판체 232가 판구 223을 열계 한다. 이때, 전자판 3의 판구 32가 폐쇄되어서 냉, 온수 취입구 201, 202로 부터 본체 20에 유입된 물을 통공 214, 관실212, 관통공 222, 2l6, 환상 요홈 214, 토출구 203을 경유해서 토출관 25로 부터 유출된다.
이 경우 손잡이 24를 다시 위로 잡아 당기지않는 이상은, 물은 잠겨지지 않고 흘러나온다. 또한, 평상 전기가 들어온 상태에 있어서 장시간 물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또는 다량의 물을 반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와 동일하게 손잡이 24를 누름에 의해서 물을 연속적으로 유출시킬 수가 있어서, 그냥 다른곳에서 일을 볼수 있으며, 또한 물을 잠글 경우는 손잡이를 잡어 올리면 된다.
또한, 통상 전기가 들어욘 상태에 있어서, 손잡이를 누르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손을 사구의 하방으로 뻗으면 전자판 3은 역시 작동하여서, 이 때에 물은 상, 하의 토출구로 부터 각각 관 251, 252로 들어오며, 이것은 판 253 내에서 함류하여 유출되는 고로,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그래서 손을 갑어 당기면 전자판은 자동적으로 판구 32를 폐쇄하여 하방의 관 252로 부터의 물은 잠겨지게 되지만 급수판의 관구 223은 아직 열려 있어서, 물이 계속 판 251을 경유해서 토출관 25로 부터 유출된다. 그리고 물을 잠글시에는 손잡이를 상기와 같이 잡어올리면 된다.
또한, 본 실시에에 있어서는 냉, 온수 취입구 201, 202를 각각 반분식 개방한 상태 즉 냉, 온수가 각각 동일한 유량으로서 본체 20에 유입되어 함류하여 온수를 얻은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만약 수온을 적의 조절하는 경우, 혹은 단지 냉수 또는 온수를 얻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조절판 21은 내통 22, 조작간 23과 일체로 되어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이 되며, 냉수 또는 온수의 취입구 201, 202의 일방의 개구를 증대시키면 동시에 타방의 개구를 감소시켜서 회동의 종점에 있어서 일방의 개구를 전개시킴과 동시에 타방의 개구를 전폐시키게 되어서 임의로 수온을 조절하며 또한 온수 혹은 냉수만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 24의 회동시, 돌기부 246이 카버 27의 스톱퍼 271에 당접이 되어서 그 이상 회동이 안되어 손잡이의 회동 각도가 규제 되어진다.
또한, 장기간 사용후, 만약 급수전의 씨일링, 관체등 부품이 마모되어 그것을 교체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또는 급수전의 내부에 불순물이 끼어 있던지, 부착되어서 청소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카버 27을 벗겨서 계지핀 26을 빼어내고, 다음에 손잡이를 잡어 올리면, 조절통, 내통 조작간과 손잡이가 일체로 되어서 본체로 부터 분리되며, 본체와 전자판만이 케이스내에 남게 되어서 본체를 외부에서 청소할 수 있옴과 동시에 상기 조절통, 내통, 조작간을 외부에서 간단하게 분해하여 부품의 교체, 청소를 할 수 있으며, 후에 조립도 간단하게 행할수 있어서 대단히 편리하고 항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서, 평상시에는 전자판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물을 유출시킬 수 있고, 또한 잠글 수 있으며, 동시에 정전시 도는 필요시에는 단지 한개의 손잡이에 의한 조작에 의해서 수동으로 절환이 되고, 수온을 조절하거나, 냉수 또는 온수만을 얻을 수 있옴과 동시에 급수전이 고장 또는 불순물이 끼어 있을 경우 또는 부착이 된 경우에는 용이 하게 분해가 되어 청소, 부품의 교제등이 용이하게 분해가 되어 청소, 부품의 교체등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서, 항시 위생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보수비율이 절감되고 또한 대단히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등의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동 조작에 의해서 수온을 조절 기능하게 구성된 급수판과 이 급수판과 관련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설치한 수로를 개폐하는 전자판과 상기 급수판 및 전자판을 내부에 수납하여 사구관을 갖춘 케이스로된 자동급수전에 있어서, 상기 급수판을 하부 주벽에 냉수입구와 온수입구를 대향되게 설치하고 또한 그 상방 중앙부에 토출구를 설치한 상하단 개방의 원통상 급수판 본체와, 계지부제에 의해서 습동 회전자제토록 상기 본체내에 삽입 수납시키며, 하단에 상기 냉수입구와 온수입구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호상판을 실치하고 동체 상부 주벽에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상요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요홈내에 적어도 일개소의 관통공을 설치하며, 동체 하부 주벽에 상기 본체의 하부공소와 연통하는 관통공을 설치한 조절통과, 이 조절통의 내부에 끼워 넣어서 고정이 되고, 주벽에 상기 조절통의 관통공과 연통하는 통수공을 설치하며, 또한 하단에 판구를 설치한 내통과 이 내통내에 축방향으로 습동자제토록 끼워넣고, 하단에 판 롯드와 판롯드의 선단에 설치하며 상기 판구를 개폐하는 원판상판을 구비한 조작간과, 이 조작간의 상단에 취부되며, 축방향의 조작으로서 조작간을 내통에 대해서 상하 습동되게 하며, 또한 회동조작으로서 조절통. 내통올 조작간과 일체로 되어서 상기 본체내에서 회동 시킬 수 있는 손잡이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판을 입구가 급수판 본체의 하단 개구부와 연통토록 상기 본체의 하단 개구부와 연통토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취부하며, 이 전자판에는 관구를 통해서 상기 입구와 연락되는 토출구와 상기 판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갖으며, 상기 급수판의 토출구와 전자판의 토출구에 2지상으로 분리된 입구관부가 이 토출구에 취부되고, 또한 자유단부가 일본으로된 토출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전.
KR2019860005716U 1986-04-26 1986-04-26 자동 급수전 KR920006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5716U KR920006361Y1 (ko) 1986-04-26 1986-04-26 자동 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5716U KR920006361Y1 (ko) 1986-04-26 1986-04-26 자동 급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777U KR870016777U (ko) 1987-11-30
KR920006361Y1 true KR920006361Y1 (ko) 1992-09-17

Family

ID=1925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5716U KR920006361Y1 (ko) 1986-04-26 1986-04-26 자동 급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3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777U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9728A (en) Single-axis control automatic faucet
EP0248079B1 (en) Faucet valve with anti-siphon back flow preventer
KR0122172Y1 (ko) 자동밸브 조립체
US4971287A (en) Solenoid operated flush valve and flow control adapter valve insert therefor
EP0095523B1 (en) High rise kitchen spout
US4471798A (en) Flushing cisterns
MX2007010264A (es) Control para un drenaje de agua residual de bañera.
US4805661A (en) Faucet valve with anti-siphon back flow preventer
US11885432B2 (en) Rigid piston valve incorporating a solenoid
JPH04297631A (ja) ハンドシャワーユニットの設置構造
KR920006361Y1 (ko) 자동 급수전
US4426745A (en) Ablutionary shower systems
GB2084868A (en) Tap and plug actuator assembly
CN216158354U (zh) 一种出水龙头
US4084607A (en) Leakage drain for single lever control valve
US2645452A (en) Curb stop and drain
JPH0439496Y2 (ko)
US3592229A (en) Operating structure for a two-way single handle mixing faucet
CA1309211C (en) Drain fitting with detented open position
US20030122096A1 (en) Retrofit for mechanical combination plumbing fixture
US5621988A (en) Valves for removable tank of steam iron
JPH0547803Y2 (ko)
CN104948822B (zh) 一种排冷出水装置
EP0437164A2 (en) Shower having a water outlet adjustable in two positions
US6539973B1 (en) Water pressure-assisted flush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