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349Y1 - 업소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업소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349Y1
KR920006349Y1 KR2019900005825U KR900005825U KR920006349Y1 KR 920006349 Y1 KR920006349 Y1 KR 920006349Y1 KR 2019900005825 U KR2019900005825 U KR 2019900005825U KR 900005825 U KR900005825 U KR 900005825U KR 920006349 Y1 KR920006349 Y1 KR 920006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purified
purified wa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754U (ko
Inventor
최인식
Original Assignee
최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식 filed Critical 최인식
Priority to KR2019900005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349Y1/ko
Publication of KR910019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07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series connection
    • B01D24/00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4Organic material, e.g. cellulose,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6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fibres, glass beads or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업소용 정수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수유입구 2 : 정수유출구
3 : 정수유출안내관 4 : 정수기몸체
5, 5' : 나사부 6, 6' : 암나사부
8, 8' : 상, 하부캡 10 : 정수유입관
11, 11′: 걸름금망 12, 12', 12" : 정수물질분리용 휠터체
13 : 활성탄층 14 : 이온교환수지층
15a, 15b : 상, 하부맥반석층
본 고안은 주로 음식점이나 다방등과 같이 많은 식수를 필요로 하는 영업장소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한 업소용(業所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부재의 수급이 매우 좋은 직경이 약 10cm정도의 P. V. C관을 정수기몸체로 구성하는 간단한 구조로 정수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저렴한 제작비로 대량생산하여 염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간단한 정수구조로도 정수기능의 효과를 배가시키면서 단시간동안에 많은 량의 정수를 신속하게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수시로 많은 량의 정수를 필요로 하는 업소등에서 깨끗이 정수처리되고 미네랄이 풍부한 알칼리성 정수를 손님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많은 정수기가 소개된 바 있으나 종래의 것은 대부분 정수기능에만 역점을 두고 고안된 것이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또 각 정수기본체는 물론이고 각 부재들이 특수하게 제작되므로 해서 정수기를 제조하는데에는 그의 설계에 맞는 제조금형의 제작과 설비투자를 별도로 하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정수기의 제조단가가 높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급가도 고가가 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정수기 자체가 고가인데 비하여 정수처리기능면에서는 대단히 미흡한 결점이 있어 단시간 동안에 많은 량의 정수를 얻을 수 없는 결점이 있어 많은 량의 정수를 필요로 하는 업소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으며, 또한 전기한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정수기들은 단순히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만을 여과제거하는 기능만을 갖추고 있기때문에 보다 깨끗이 정수처리되고 식수로서 갖추어야 할 미네랄이 풍부한 알칼리성정수를 얻기에는 구조적 결함이 있어 손님들에게 믿을 수 있는 정수를 제공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사항을 일소하고자 개량안출된 것으로 종래 고안이 복잡한 구조로서 소량의 정수를 유출시키는 것과 단순한 구조로서 비 위생적인 정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각 장점만을 발췌하여 보다 깨끗이 정수처리되고 인체에 유익한 알칼리성 정수를 단시간내에 많은 량을 제공할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정수기몸체를 P. V. C관을 이용하므로서 제작비를 현저하게 절감시켜서 염가로 정수기를 생산,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수기 내부에 휠터, 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맥반석을 장입하고, 상부에 원수유입구(1) 와 정수유출구(2)를 장설하고 정수유출구(2)와 연결된 정수유출안내관(3)은 정수기의 내저부에 근접시켜서 된 정수기에 있어서 정수기몸체(4)를 P.V. C관으로 구성하며, 정수기몸체(4)의 상, 하단 외주에 나설된 나사부(5)(5')에 암나사부(6)(6')가 나설되고 요입환부(7)(7')가 형성된 상,하부캡(8)(8')을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하며 상부캡(8')에 장설된 정수유출구(2)에 연결된 공지의 정수유출안내관(3) 하단에 역"T"자형의 정수유입관(10)을 형성시키고, 이의 양단 내부에 걸름금망(11)(11')을 장착하였으며, 또한 정수기몸체(4) 내부에는 여과천(a)은 위에 여과금망(b)은 밑에 위치시킨 수개의 정수물질분리용휠터체(12)(12')(12")를 적당간격으로 배설하여 이들 각 사이에 공지의 활성탄층(13), 이온교환수지층(14), 상,하부맥반석층(15a)(15b)을 형성시키되 정수기의 총장에 대하여 상부에서 부터 상부맥반석층(15a)는 1/10 정도, 활성탄층(13)은 7/10 정도, 이온교환수지층(14)은 1/10정도, 하부맥반석층(15b)는 1/10 정도를 차례로 장입하여 층진식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1'는 원수유입구(1) 에 연결된 단관, 16.16′는 원수유입용주름관과 수도꼭지용연결구, 17.17'는 정수유출용주름관과 정수유출노즐, 18.18'는 크램프, 19.19'는 패킹을 표시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정수기몸체(4)를 직경이 약 10cm 정도인 통상의 P.V.C 관을 선택하여 적당길이로 절단하고, 그 상, 하단부에 나사부(5)(5')를 형성시킨 다음, 패킹(19)(19')가 요입환부(7)(7') 내면에 밀착상태로 내재되고 암나사부(6)(6')가 나설된 상,하부캡(8)(8')을 나사결합하는 간단한 조립구조로서 정수기본체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서 종래와 같이 복잡한 구조로 구성된 것에 비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정수기본체 내부에 충입되는 각 정수물질인 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및 맥반석을 장입시키는 방법은 하부캡(8')이 나사결합된 정수기몸체(4)의 하부측에 그 총길이에 대하여 약 1/10 정도의 길이에 해당되게 하부맥반석층(15b)을 투입하여 하부맥반석층(15b)에 정수유출안내관(3) 하단에 형성된 역"T"자형의 정수유입관(10)이 묻히도록 한후 여과금망(b) 위에 여과천(a)이 위치한 정수물질분리용휠터체(12")를 정수유입안내관(3)에 끼워주는 상태로 하여 정수기몸체(4) 내부로 장입시킨 다음,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수물질분리용휠터체(12")위에 이온교환수지층(14)를 약 1/10 정도의 길이만큼 투입하고 정수물질 분리용휠터체(12')를 장설한 후 이어서 활성탄층(13)은 많은 분량을 투입하여 약 7/10 정도의 길이를 유지시키고 이의 상층에 정수물질분리용휠터체(12)를 위치시킨 다음 상부맥반석층(15a)를 충진시키면서 상부캡(8)을 나사결합한 후, 상부캡(8) 상면으로 돌출된 단관(1')과 정수유출안내관(3)의 상단을 원수유입구(1)와 정수유출구(2)를 연결시키면 각 정수물질이 선택적으로 충진된 정수기본체의 조립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완성된 정수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도꼭지(도시없음)에 연결된 연결구(16')와 원수유입구(1)를 잇는 원수유입용주름관(16)은 구부리기가 용이하므로 정수기와 수도꼭지와의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정수유출용 주름관(17)도 구부리기가 용이하므로 정수의 유출방향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수도꼭지에서 유출되는 원수는 원수유입용주름관(16)으로 해서 원수유입구(1)를 통해 정수기몸체(4) 내부로 유입되는데, 원수유입구(1)에 연결된 단관(1')은 상부맥반석층(15a)으로 원수를 유출시키게 되므로서 정수기 몸체(4)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는 일단 상부맥반석층(15a)에 체류하게 되므로 유입된 원수에는 일차적으로 맥반석이 용출하는 성분을 함유하게 되며, 이어서 정수의 유출량에 비례하여 상측의 정수물질분리용휠터체(12)를 통과하여 활성탄층(13)에 유입되어 체류, 통과하는 동안에는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활성탄에 흡착, 제거하고, 이어서, 중간측의 정수물질분리용휠터체(12')를 통과하여 이온교환수지층(14)에 유입되어 체류, 통과하는 동안에는 원수의 성분이 이온교환을 하여 중성수(PH7) 상태가 되는데 이때 이온교환수지층(14)을 통과하면서 중성수화되는 물의 성분중에는 상부맥반석층(15a)을 통과하는 동안에 얻은 맥반석의 용출성분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서 이온교환수지층(14) 이 비교적 작은 두께폭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중성화의 상태가 원활하게 진행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이온교환수지층(14)을 통과하여 하부맥반석층(15b)으로 진입한 물은 역"T"자형 정수유입관(10)으로 유입되는 동안에 맥반석에서 용출되는 각종 성분을 함유하게 되어 미네랄이 풍부한 정수가 되어 정수유입관(10)으로 유입되어 정수유출안내관(3)을 통해 상부캡(8)의 정수유출구(2)로해서 유출되어지며, 역"T"자형의 정수유입관(10)의 양단에는 미세메쉬의 걸름금망(11)(11')이 장착되어 정수유입시 맥반석의 작은 알갱이가 정수와 함께 유입되는 물을 방지하여 주므로서 맥반석입자들과 같은 이물질이 전혀 없을 뿐아니라 깨끗일 정수처리되고 미네랄이 풍부한 정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와같은 정수기몸체(4) 내부에는 물이 가득 충입된 상태이므로 정수의 유출량에 따라 원수가 즉시로 유입, 충진되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게 되어 정수를 지속적으로 많은 량씩 유출시킬 수 있어 미네랄이 풍부한 정수를 얻을 수있음은 물론 짧은 시간에도 많은 량의 정수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하다가 각 정수물질을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상, 하부캡을 나해하여 해체하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정수기본체를 장구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정수기몸체를 시중에서 수급이 원활한 P.V.C 관을 이용하므로서 정수기의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또 각 정수물질인 맥반석, 활성탄 및 이온교환수지로 된 각 정수층의 충입방법도 간편하여 조립, 생산을 신속하게 수행시킬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또 염가로 제공할 수 있을 뿐아니라 정수기능이 좋으며 많은 량의 물을 정수처리할 수 있는 처리기능의 배가를 꾀할 수 있어 많은 량의 정수를 필요하는 영업소등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도 경제성을 지닌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정수기 내부에 휠터, 활성탄, 이온교환수지, 맥반석을 장입하고 상부에 원수유입구(1)와 정수유출구(2)를 장설하고 정수유출구(2)와 연결된 정수유출안내관(3)은 정수기의 내저부에 근접시켜서 된 정수기에 있어서 정수기몸체(4)를 P.V.C 관으로 구성하며, 정수기몸체(4)의 상,하단 외주에 나설된 나사부(5)(5')에 암나사부(6)(6')가 나설되고 요입환부(7)(7')가 형성된 상, 하부캡(8)(8')을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며, 상부캡(8')에 장설된 정수유출구(2)에 연결된 공지의 정수유출안내관(3) 하단에 역"T"자형의 정수유입관(10)을 형성시키고, 이의 양단 내부에 걸름금망(11)(11')을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정수기.
  2. 제1항 기제에 있어서, 정수기몸체(4) 내부에는 여과천(a)은 위에 여과금망(b)은 밑에 위치시킨 수개의 정수물질분리용휠터체(12)(12')(12")를 적당간격으로 배설하여 이들 각 사이에 공지의 활성탄층(13), 이온교환수지층(14), 상, 하부맥반석층(15a)(15b)을 형성시키되, 정수기의 총장에 대하여 상부에서부터 상부맥반석층(15a)는 1/10 정도, 활성탄층(13)은 7/10 정도, 이온교환수지층(14)은 1/10 정도, 하부맥반석층(15b)는 1/10 정도로 차례로 장입하여 충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정수기.
KR2019900005825U 1990-05-04 1990-05-04 업소용 정수기 KR920006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825U KR920006349Y1 (ko) 1990-05-04 1990-05-04 업소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825U KR920006349Y1 (ko) 1990-05-04 1990-05-04 업소용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754U KR910019754U (ko) 1991-12-19
KR920006349Y1 true KR920006349Y1 (ko) 1992-09-17

Family

ID=1929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825U KR920006349Y1 (ko) 1990-05-04 1990-05-04 업소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3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540B1 (ko) * 2007-01-18 2008-05-06 최용호 선박용 순수 생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767B1 (ko) * 2003-02-18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정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540B1 (ko) * 2007-01-18 2008-05-06 최용호 선박용 순수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754U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9809A (en) Water cleaner
US4289617A (en) Water softening and reverse osmosis system
KR20080112169A (ko) 정수기용 필터
KR920006349Y1 (ko) 업소용 정수기
CN207445705U (zh) 一种反冲洗净水器装置
CN101991988A (zh) 净水器内置组合滤腔的滤胆清洗方法
CN206872553U (zh) 一种多级过滤净水器
CN206142935U (zh) 一种节水型净水机
CN101991987A (zh) 净水机内置组合滤腔的滤胆清洗方法
CN205442802U (zh) 净水机前自清洗可调的前置过滤器
CN205953729U (zh) 智能过滤净化水机
CN212770207U (zh) 一种家用自紊流净水器
CN2910897Y (zh) 家用饮水矿化过滤器
JPS6232565Y2 (ko)
ES8501990A1 (es) Un metodo y un aparato para retirar solidos de un liquido que contiene solidos en suspension
CN204601812U (zh) 多档出水过滤装置
CN211025407U (zh) 一种y型透明过滤器
CN2147890Y (zh) 磁化净水器
CN204588910U (zh) 一种前置过滤器
CN216170191U (zh) 一种全自动分体净水机
CN216549997U (zh) 一种具有多种矿物质的净水器
CN220385932U (zh) 一种纯水过滤器
CN213202598U (zh) 一种家用污水回用装置
CN2736343Y (zh) 一种可拆卸多级再生净水器
CN208711159U (zh) 一种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