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871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871B1
KR920005871B1 KR1019890010009A KR890010009A KR920005871B1 KR 920005871 B1 KR920005871 B1 KR 920005871B1 KR 1019890010009 A KR1019890010009 A KR 1019890010009A KR 890010009 A KR890010009 A KR 890010009A KR 920005871 B1 KR920005871 B1 KR 920005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x
washing machine
container
shaped memb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204A (ko
Inventor
미쯔지 후시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0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탁기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전체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외부상자의 횡단면도.
제3도는 주요부분의 확대 종단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제3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드로서, 각각 제3도 및 제1도에 상당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상자 1a,1b : 외부상자의 양단
2 : 개방부 7 : 용기형상부재
8 : 문짝 9 : 개구부
10 : 열풍공급장치 19 : 용기형상부재
본 발명은
Figure kpo00001
형상으로 형성된 외부상자를 사용한 구성인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외부상자를
Figure kpo00002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Figure kpo00003
형 상으로 형성된 외부상자를 그 양단 사이의 개방부가 뒷면에 위치하도록 조립하고, 그 외부 상자의 개방부를 뒷뚜껑으로 폐쇄시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세탁기속에 건조기능을 구비한 것은, 전술한 구성에 덧붙여 이조식(二楮式)세탁기의 경우, 세탁조에 병설된 탈수조의 전방에 다시 건조실을 설치하며, 탈수겸용 세탁기의 경우, 세탁.탈수 겸용조를 수용한 통에 건조실을 병설하여 각각 건조실에 세탁탈수후의 세탁물을 수용하여 열풍 건조장치에서 열풍을 공급하여 그 의류를 건조시키도록 되어있다.
세탁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세제, 표백제, 소프터등이 필요한데 종래의 일반 세탁기에서는 그러한 것들의 보관 장소가 없으며, 따라서 종래에는 세탁기와는 별도의 장소에 그것들을 보관하도록 되어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세탁때마다 그것들을 보관장소까지 가지러 가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배치에 있어서 외관을 좋게 하려면 세탁기를 뒷뚜껑이 벽면을 마주보도록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따라서 내부의 점검을 하는 경우에, 세탁기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그것을 다시 회전시켜서 뒷뚜껑이 앞쪽이 되도록 해야 한다는 불편한 조작이 필요했었다.
한편, 건조기능을 가진 세탁기에서는 건조실의 설치로 인하여 전체의 크기가 커지며,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는 설치가 곤란하며, 또한 단가도 높아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세제, 표백제, 소프터등의 보관에 대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게 하는 동시에 내부 점검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배치 장소를 자유로이 선정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고, 둘째로 충분한 건조성능 및 취급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그 전체의 크기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단가도 싸게 억제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Figure kpo00004
형상으로 형성한 외부상자를 사용한것에 있어서, 그 외부 상자를 그 양단 사이의 개방부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조립하고, 그 외부 상자의 개방부를 착탈 가능한 용기형상 부재로 폐쇄하여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Figure kpo00005
형상으로 형성한 외부 상자를 사용한 것에 있어서, 그 외부 상자를 그 양단 사이의 개방부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조립하고, 그 외부 상자의 개방부를 확장 가능한 용기 형상 부재에 의해 폐쇄시키고, 이 용기 형상 부재에 대하여 그 개구부를 폐쇄하는 문짝 및 그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 장치를 설치하여 된 것에도 특징이 있다.
전술한 장치에 따르면, 외부 상자의 전면에 위치하는 개방부를 폐쇄한 용기 형상 부재내에 세재, 표백제, 소프터등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그 용기 형상 부재를 떼어내면 전면에서 외부 상자내부의 점검이 가능하다. 또한, 후면부의 외관을 좋게할 수 있으므로 배치장소의 선정도 자유로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Figure kpo00006
형상으로 형성한 외부 상자를 사용한 것으로서, 그 외부 상자를 그 양단 사이의 개방부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조립하고, 그 외부 상자의 개방부를 착탈가능한 용기 형상 부재에 의해 폐쇄하여 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Figure kpo00007
형상으로 형성한 외부상자를 사용한 것에 있어서, 그 외부 상자를 그 양단 사이의 개방부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조립하고, 그 외부 상자의 개방부를 확장 및축소 가능한 용기 형상 부재로 폐쇄하고, 이 용기 형상 부재에 대하여 그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짝 및 그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장치를 설치하여 된 것에도 특징이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르면, 외부 상자의 전면에 위치하는 개방부를 폐쇄한 용기 모양의 부재내에 세제, 표백제, 소프터등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그 용기 형상 부재를 떼어내면 전면으로부터 외부상자 내부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뒷면부의 외관을 좋게할 수 있으므로, 배치장소의 선정도 자유로이 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용기형상 부재내에는, 세탁탈수후의 세탁물을 넣을수도 있으므로, 넣은 뒤에 문짝을 폐쇄하고, 열풍공급 장치에서 열풍을 공급하도록 하면, 전술한 세탁탈수후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경우, 확장 및 축소 가능한 용기 모양의 부재에 대하여 그것을 넓힌 상태로 사용하도록 하면, 세탁탈수후의 세탁물에 온풍이 잘 통과하게 되어 상태가 양호하게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용기 형상 부재에 대한 의류의 출입도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효과있게 확장 및 축소 가능한 용기형상 부재에 대하여 그것을 축소시킨 상태에서는 전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어서, 그만큼 외부 상자도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에서, '1'은 외부 상자이며, 이것은 얇은 강판을 제2도에 나타낸
Figure kpo00008
형으로 절곡 성형하여 된것으로, 그 양단부(1a),(1b) 사이에 개방부(2)가 형성되어 있다. '3'은 외부상자(1)내에 배치된 조체(糟體)이며, 이것은 세탁조(4) 및 탈수조(도시하지 않음)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상자(1)는 상단부에서 조체(3)를 고정하고 하단부가 기대(5)에 부착되며, 개방부(2)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짜여져 있다. 기대(5)에는 도시되지 않은 세탁모드 및 탈수 모드가 부착되어 있다. 이어서, 제3도에서 '6'은 세탁조(4)의 안바닥부에 설치된 교반체로서, 이것은 전술한 세탁모드로 구동되도록 되어있다. '7'은 전방에 대하여 오목한 형상을 한 용기형상 부재로서, 이것은 상단부를 조체(3)의 상단외부둘레 가장자리부의 끼워 맞추는 오목한곳(3a)에 끼워 맞추어 외부상자(1)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개방부(2)를 폐쇄시키고 있다. '8'은 용기 형상 부재(7) 전면의 개구부(9)를 폐쇄하는 한쌍의 문짝으로 각각 한쪽의 가장자리부가 개구부(9)의 일부쪽 가장자리부 및 다른쪽 가장자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문짝(8)을 개방하면, 용기 형상 부재(7)의 전면개구부(9)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그래서 용기 형상 부재(7)에 세제, 표백제, 소프터등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꺼내는 것도 거기에서 가능한 것으로, 세탁할때마다 다른 보관 장소까지 가지러 가야했던 종래와는 달리, 사용하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용기 형상 부재(7)를 떼어내면 외부상자(1)의 개방부(2)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세탁기를 설치한 상태로 내부 점검을 할 수 있으며, 세탁기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재차 회전시킨다는 귀찮은 작업이 필요했었던 종래와는 달리 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세탁후의 배면부는 평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외관이 양호하므로, 세탁기의 배치창소는 벽을 향하는 위치로 한정시킬 필요가 없고, 자유로이 선정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의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즉, '10'은 기대(5)에 부착된 열풍공급 장치로서, 이것은 모터(11)과, 이 모우터(11)로 구동되는 송풍날개(12)와, 이 송풍날개(12)를 둘러싸는 케이스(13)와, 이 케이스(13)의 토출부(13a)에 설치된 PTC 히터(14)로 구성되어 있다. '15'는 용기 형상 부재(7)의 하면부에 형성된 열풍공급구로서, 이 열풍 공급구(15)와, 케이스(13)의 토출부(13a)와의 사이를 연결관(16)으로 연결하고 있다. '17'은 용기 형상 부재(7)내의 상부에 설치된 행거이다. '18'은 문짝(8)의 각각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이다.
전술한 구조인것의 경우, 세탁기탈수를 종료한 세탁물을 행거(17)에 걸고, 문짝(8)을 폐쇄시킨뒤, 열풍공급 장치(10)를 운전시키면, 모우터(11)의 회전에 따른 날개(12)의 송풍작용으로 외부상자(1)내의 공기가 케이스(13)내로 흡입되고, PTC 히이터(14)를 통과하는 사이에 열풍공급구(15)에서 용기 형상 부재(7)내에 공급된다.
그리고, 그 열풍은, 용기 형상부재(7)내에서 행거(17)에 걸려진 세탁물을 건조시킨뒤 배기구(18)에서 세탁기 밖으로 배출된다. 이 제2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의 효과에 덧붙여 용기 형상부재(7)내에서 세탁탈수후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또한, 용기 형상 부재(7)내에 물통을 보관하고 있을때에도 간헐적으로 열풍공급 장치(10)를 운전시키면, 용기 형상 부재(7)내의 습기를 제거하여 그 용기 형상 부재(7)내를 건조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서 습기를 꺼리는 세제등의 보관에 적합하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것에 대해서는 제2의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즉 '19'는 전술한 용기 형상 부재(7)에 대신하는 용기 형상부재로서, 이 용기 형상 부재 본체(20)와, 이 앞 부분에 연결되어 부착된 주름형 동체(21)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그 주름형 동체(21)의 신축성에 의해 이 경우 전후로 확축 가능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이 경우, 문짝(8)을, 각각 한쪽 가장자리부가 주름형 동체(21)의 전면 개구부(22)의 한쪽 가장자리부 및 다른쪽 가장자리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그 개구부(22)를 개폐시키도록 되어있다.
전술한 구성인 경우, 세탁 탈수후의 세탁물의 건조를 제2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그 경우 용기형상 부재(19)의 주름형 동체(21)를 앞쪽으로 신장 시킴으로써, 그 용기 형상 부재(19)를 넓혀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탈수후의 세탁물에 온풍이 잘 되어지므로써, 상태가 양호하게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용기 형상 부재(19)가 확정되어 있으므로, 그것에 대한 의류의 출입도 쉬워진다. 따라서, 이 제 3 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분한 건조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취급성도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이와같이 효과가 있는 확장 및 축소 가능한 용기 형상 부재(19)에 대하여 그것을 주름형 동체(21)를 후방으로 압축시키므로써, 수축된 상태로 하면 전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일반 가정에서의 설치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외부상자(1)나 기대(5)등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단가도 낮게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형상 부재의 확장 및 축소 가능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주름형 동체(21)와 같은 주름형인것에 의하지 않고 복수개의 동체의 슬라이드가 가능한 조립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그밖에, 본 발명은 전술하고 또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서, 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범위 제1항의 세탁기에서는,
Figure kpo00009
형으로 형성한 외부 상자를 그 양단 사이의 개방부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조립시키고, 그 전면의 개방부를 용기 형상 부재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게 폐쇄하였으므로, 그 용기 모양의 부재내에 세제, 표백제, 소프터등을 보관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용기 형상 부재를 떼어냄으로써 세탁기를 부착시킨 상태대로 전면에서 외부상자 내부의 점검이 가능하며, 또한 배치상태의 선정을 자유로이 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2 항의 세탁기에서는
Figure kpo00010
형으로 형성한 외부상자를 그 양단 사이에 개방부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조립하고, 그 전면의 개방부를 확장 및 축소 가능한 용기 형상 부재에 의해 폐쇄되고, 이 용기 형상부재에 대하여 그 개구부를 폐쇄하는 문짝 및 그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설치하였으로, 충분한 건조성능 및 흡수성을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전체의 크기를 작게 억제할 수 있어서, 일반 가정에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단가도 싸게 억제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외부상자(1)와, 이 외부상자의 내부에 설치된 세탁기구로 된 세탁기에 있어서, 외부상자는,
    Figure kpo00011
    형상의 둘레벽 부분과, 이
    Figure kpo00012
    형상의 둘레벽의 각 선단부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며, 그 전면이 설질적으로 개구된
    Figure kpo00013
    형으로 구성되어지고, 이 외부 상자의 전면 개방부(2)를 폐쇄하는 착탈이 용이한 용기 형상 부재(7)를 가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외부상자(1)와, 이 외부상자의 내부에 설치된 세탁기구로 된 세탁기에 있어서, 외부상자는,
    Figure kpo00014
    형상의 둘레벽 부분과, 이
    Figure kpo00015
    형상의 둘레벽의 각 선단부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돌출부로 되며, 가 그 전면이 실질적으로 개방된
    Figure kpo00016
    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이 외부 상자의 전면 개방부(2)를 폐쇄하는 문짝(8)을 가진 확장 및 축소 가능한 용기 형상 부재(19)와, 이 용기 형상 부재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 장치(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890010009A 1988-07-14 1989-07-14 세탁기 KR920005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75767 1988-07-14
JP17576788 1988-07-14
JP63253297A JPH02119898A (ja) 1988-07-14 1988-10-07 洗濯機
JP63-253297 1988-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204A KR910003204A (ko) 1991-02-27
KR920005871B1 true KR920005871B1 (ko) 1992-07-23

Family

ID=2649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009A KR920005871B1 (ko) 1988-07-14 1989-07-14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119898A (ko)
KR (1) KR920005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7295B2 (en) 2002-03-12 2005-02-22 Maytag Corporation Tub mounted, vertically oriented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19898A (ja) 1990-05-07
KR910003204A (ko) 199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1914A (en) Access laundry appliance
KR920005871B1 (ko) 세탁기
KR100505225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JPH06343794A (ja) アイロン台内臓蓋組立体の洗濯機
US2688197A (en) Clothes drier
ITPN980058U1 (it) Essicatore domestico migliorato a tamburo rotante ecaricamento frontale
JPH02116397A (ja) 乾燥装置
JPH0124909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11788226B2 (en) Water recirculation insert for laundry appliance
KR0129953Y1 (ko) 건조겸용 세탁기
JPH01145098A (ja) 洗濯機
JPH0421391U (ko)
JPH01249097A (ja) 洗濯機
JPH0316637Y2 (ko)
KR100200897B1 (ko) 의류보관함
JPH01136700A (ja) 洗濯機
KR0123412B1 (ko) 세탁기의 세탁물 수납장치
KR200153266Y1 (ko) 세탁기의 세탁물 걸이장치
KR930003709Y1 (ko) 소형 의류 건조기
JPH0438995A (ja) 洗濯機
KR102124479B1 (ko) 세탁장치
KR0132202Y1 (ko) 세탁기의 건조 장치
KR200324532Y1 (ko) 방습제가 내장된 벽걸이용 세탁세제 통
KR200203887Y1 (ko) 톱커버 걸이 구조를 가지는 드럼세탁기
JPH021101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