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237A - 화학 발광 점등 요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학 발광 점등 요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5237A KR920005237A KR1019910015040A KR910015040A KR920005237A KR 920005237 A KR920005237 A KR 920005237A KR 1019910015040 A KR1019910015040 A KR 1019910015040A KR 910015040 A KR910015040 A KR 910015040A KR 920005237 A KR920005237 A KR 9200052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s
- chemiluminescent
- plug
- pressure
- wal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관형 요소의 수직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AA)를 따라 취해진 수직 단면도.
제3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형 요소의 수직 종단면도.
Claims (10)
- 반투명한 합성 물질로된 두개의 체임버로 이루어지는 화학 발광 점등 요소로서, 각각의 체임버는 화학발광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 생성물을 함유하며 두체임버중 하나의 압력 증가의 작용을 받아 휘거나 움직이거나 또는 회전할 수 있는 이동가능한 밀착수단에 의해 분리되어 두 화학발광 구성분의 혼합과 그것에 의해 발생하는 빛의 발생을 허용하고, 상기 두 체임버중 하나는 대상에 외부에서 가해진 압력이 그 체임버의 체적을 나머지 다른 체임버의 체적보다 쉽게 감소되게 하는 성질과(이나)형태를 지니는 벽을 지니는 화학발광점등요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한 체임버 형태가 대략적으로 그 모션(generating line)이 파선(brokern line)인 관형 회전 요소의 형태이고, 그 전체 형태는 회전 축선을 따라 가해진 외부 압력의 작용을 받아 그 벨로우(bellow)들이 쉽게 접히는 아코디온 형태인 화학발광점등 요소.
- 제1항에 있어서, 합력이 구심력인 외부 압력의 작용을 받아 감소된 체적을 지닐 수 있는 상기 압축가능한 체임버의 형태가 대략적으로 별형상의 단면을 지니며 프리즘 축선 길이 함수로서 일정하거나 일정하지 않은 프리즘(prism)의 형태인 화학발광 점등 요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밀착수단이 두 체임버를 연결시키는 관형 파이프에 배치되며 그 파이프의 축선에 직교하는 본질적으로 원형인 평평한 디스크로 구성되는, 연부가 상기 관벽에 연속 접촉하는 플러그이며, 상기 디스크와 직경과 벽의 밀착성은 접힌벽들을 지니는 일 체임버를 점하는 압력이 나머지 다른 체임버의 압력보다 충분히 크면 그 디스크가 회전하도록 선택되는 화학발광 점등 요소.
- 적어도 두개의 체임버로 이루어 지는 화학발광 점등요소로서, 각각의 체임버는 화학 발광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산물을 함유하고 요소가 위치하는 매질의 압력이 변하게되면 휘거나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밀착수단에 의해 분리되어 두 화학발광 화합물의 혼합과 그로부터 초래되는 빛의 발생을 허용하는 화학발광점등요소.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 체임버가 적어도 반투명한 합성물질로 만들어지며, 각각 화학발광 반응에 참여할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 생성물을 함유하며, 요소 외측에서 부터 두 체임버 중 하나의 가요성 외벽에 가해진 압력의 작용을 받아 휘거나(고)움직일수 있는 밀폐 요소를 포함하는 간막이 벽에 의해 분리되며, 이 가요성벽의 형태는 점등 요소가 잠기는 유체에 의해 유도되는 압력을 균일하게 받으면 이 압력에 의해 발생된 힘을 밀폐 요소에 직접 또는 플러그에 접촉하는 강성 내부 요소를 통해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화학발광 점등 요소.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요소가 간막이 벽을 절단하는 제거 가능한 밀착 플러그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는 체임버들을 분리하는 벽에 수직한 축선을 지니는 짧은 관형 파이프에 위치하고 그 자체가 상기 파이프의 축선과 동축을 지니는 회전체라는 사실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발광 점등 요소.
- 제6항에 있어서, 관형 파이프를 이루는 열가소성 물질이 두 체임버를 분리하는 벽을 성형함과 동시에 수행되는 사출성형에 의한 중복성형 동작에 의해 플러그 주위에 침전되는 사실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관형 파이프가 두체임버를 분리하는 벽의 성형과 동시에 프러그 없이 성형되며, 파이프의 구멍이 플러그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플러그가 그 파이프에 힘으로 초음파 진동과 함께 또는 그것없이 투입되는 사실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 체임버가 적어도 두개의 상이한 깊이를 지니는 보울을 서로 끼워맞춰 만들어지며, 그 상부 원주는 같은 높이에 있으며 용접된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제조 방법.※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BE09000834 | 1990-08-30 | ||
BE9000834A BE1004562A3 (fr) | 1990-08-30 | 1990-08-30 | Element d'eclairage chimiluminescent. |
BE9001098A BE1005525A3 (fr) | 1990-11-20 | 1990-11-20 | Element d'eclairage chimiluminescent. |
BE09001098 | 1990-11-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5237A true KR920005237A (ko) | 1992-03-28 |
Family
ID=2566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15040A KR920005237A (ko) | 1990-08-30 | 1991-08-29 | 화학 발광 점등 요소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5237A (ko) |
FI (1) | FI914084A (ko) |
HK (1) | HK1006997A1 (ko) |
MX (1) | MX9100844A (ko) |
NO (1) | NO913336L (ko) |
-
1991
- 1991-08-26 NO NO91913336A patent/NO913336L/no unknown
- 1991-08-28 MX MX9100844A patent/MX9100844A/es unknown
- 1991-08-29 FI FI914084A patent/FI914084A/fi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1-08-29 KR KR1019910015040A patent/KR9200052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
- 1998-06-23 HK HK98106186A patent/HK1006997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FI914084A (fi) | 1992-03-01 |
FI914084A0 (fi) | 1991-08-29 |
NO913336L (no) | 1992-03-02 |
MX9100844A (es) | 1992-04-01 |
NO913336D0 (no) | 1991-08-26 |
HK1006997A1 (en) | 1999-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U743597A3 (ru) | Трубна муфта | |
US5488544A (en) | Chemiluminescent lighting element | |
KR880008767A (ko) | 이파개성(易破開性)플라스틱 용기 및 이 용기를 구비한 담배용 물필터 | |
KR900010282A (ko) | 내압나선 파형관 | |
GB1522236A (en) | Tubular structure for conveying fluids | |
KR970070682A (ko) | 수지제 파형관 | |
KR920005237A (ko) | 화학 발광 점등 요소 및 그 제조방법 | |
KR890001640A (ko) | 유동조립(流動造粒)장치 | |
KR830007963A (ko) | 방 현 재 | |
KR900702346A (ko) | 기계적 힘변환기 | |
FR2423660A1 (fr) | Recipient a pression, en particulier accumulateur hydropneumatique | |
KR910018784A (ko) | 진동 검출기 | |
KR900010283A (ko) | 내압나선파형관 | |
KR960031105A (ko) | 기포 충전 공동을 밀폐시키는 밸브 | |
DE502004008149D1 (de) | Füllkörper | |
US677307A (en) | Bubble-blowing device. | |
BE812393A (fr) | Perfectionnement aux dispositifs evaporateurs insecticides comportant une paroi de permeation en polymere olefinique | |
KR870010351A (ko) | 합성수지제 양면 코러게이트관 | |
SU1211511A1 (ru) | Форсунка | |
SU1176132A1 (ru) | Стабилизатор пульсаций давлени | |
SU544910A1 (ru) | Ультразвуковое зеркало | |
IE37739B1 (en) | Ball projecting and catching device | |
FI904945A0 (fi) | Nesteakku | |
KR900005114A (ko) | 관 연결부재용 밸브체 | |
SU1688806A1 (ru) | Водовыпуск подземного полив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