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067Y1 - 스타터 장치 - Google Patents

스타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067Y1
KR920005067Y1 KR2019880016542U KR880016542U KR920005067Y1 KR 920005067 Y1 KR920005067 Y1 KR 920005067Y1 KR 2019880016542 U KR2019880016542 U KR 2019880016542U KR 880016542 U KR880016542 U KR 880016542U KR 920005067 Y1 KR920005067 Y1 KR 920005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starter device
cylinder
shaft
stop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863U (ko
Inventor
아끼라 모리시따
도시노리 다나까
슈조 이소즈미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08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8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0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2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 F02N15/023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of the overrunn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50/00Problems related to engine starting or engine's starting apparatus
    • F02N2250/08Lubrication of starters; Sealing means for sta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타터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스타터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스타터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스타터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스타터 장치를 일부 파단하여 도시한 정면도.
제 5 도는 종래의 스타터 장치를 도시한 제 4 도와 같은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출력 회전축 4 : 오버런닝 클러치
8 : 베어링 11 : 기관 링 기어
20 : 스타터 장치 21 : 피니온
22 : 피니온 이동통 25 : 시일 부재
103 : 출력 회전축 104 : 오버런닝 클러치
104c : 클러치 인너 105 : 피니온 이동통
107 : 슬리이브 베어링 110 : 피니온
111 : 기관 링 기어 120 : 스타터 장치
121 : 유기물 피막
본 고안은 스타터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면 차량의 기관을 시동하는 스타터 장치에 있어서의 피니온 이동통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스타터 장치에 있어서의 피니온 이동통은 예를 들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 61-6679호 공보에 개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었다.
즉, 제 3 도에는 종래의 스타터 장치(1)가 기재되어 있다.
제 3 도에 있어서 2는 전방 기틀, 3은 출력 회전축, 4는 오버런닝 클러치이고, 클러치 아우터(4a)가 출력 회전축(3)에 전후 미끄럼 가능하게 스플라인 계합된다.
4b는 마찰 롤러, 5는 클러치 인너(4c)를 후방에 형성하고 또 출력 회전축(3)에 끼워진 피니온 이동통, 6은 피니온 이동통(5)의 중앙부를 전방 기틀(2)에 지지하기 위한 볼 베어링, 7은 오일 시일, 8은 슬리이브 베어링, 9는 출력 회전축(3)의 전방단에 설치된 스톱퍼, 10은 피니온 이동통(5)의 전방단 외주부에 창설된 피니온, 11은 기관링 기어, 12는 피니온 이동통(5)의 전방 단부에 그 전방단 개구(5a)를 폐쇄하도록 설치된 유저 통형의 카버로서, 출력 회전축(3)의 전방 단부를 덮는 길이를 갖는다.
이 카버(12)는 환형 돌기(12a)에 의해 개구 단부가 피니온 이동통(5)의 전방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카버(12)는 피니온 이동통의 전방단 개구(5a)로 부터 내측으로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이에 의해 슬리이브 베어링(8)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제 5 도에 도시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101은 스타터 장치, 102는 전방 기틀, 103은 출력 회전축, 104는 오버런닝 클러치, 104a는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104)의 클러치 아우터, 104b는 마찰 롤러, 104c는 오버런닝 클러치(104)의 클러치 인너, 105는 그 클러치 인너(104c)를 후방에 형성하고 또 출력 회전축(103)에 끼워진 피니온 이동통, 106은 피니온 이동통(105)의 중앙부를 전방 기틀(102)에 지지하기 위한 볼 베어링, 107은 피니온 이동통(105)의 후단부 내주면에 끼워진 슬리이브 베어링, 109는 출력 회전축(103)의 전방단 외주위에 부착된 스텁퍼, 110은 피니온 이동통(105)의 전방단 외주부에 창설된 피니온, 111은 기관 링 기어, 113은 오버런닝 클러치(104)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시프트 레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피니온 이동통의 후단부는 전술한 바와같이 오버런닝 클러치(104)의 클러치 인너(104c)로서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에 조립되고 피니온 이동통(105)과 오버런닝 클러치(104)는 제 2 도에 도시된 후방 전지 위치로부터 시프트 레버(113)에 의해 일체로 전방 정지 위치(피니온 이동통(105)의 전방 단면이 스톱퍼(109)에 맞닿는 위치)까지 출력 회전축(103)상을 미끄럼 이동한다.
피니온 이동통(105)이 상기 전방 정지 위치에 올때 피니온(110)은 기관 링 기어(111)에 맞물리고 오버런닝 클러치(104)를 거쳐 피니온 이동통(105)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기관(도시 않음)이 시동된다.
기관이 시동된 후는 피니온 이동통(105)이 원위치, 즉 후방 정지 위치로 복귀한다.
출력 회전축(103)에 있어서 오버런닝 클러치(104)의 후방 정지 위치보다 후방은 직경이 큰 헬리컬 스플라인 형성 축부(103a)가 되고, 그 단부로부터 전방의 미끄럼 지지 축부(103b)에는 도금(예를들어 크롬 도금)이 실시되어 녹 등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제 3 도의 종래의 스타터 장치(1)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피니온 이동통(5)이 특히 기관에 따라 고속 회전될 때 카버(12)가 원심력에 의해 탈락하거나 혹은 파손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2) 스타터 장치를 엔진에 부착할 때, 카버가 주위의 여러가지 장치 등에 부딛혀서 파손되고, 방진 카버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거나 혹은 오목 변형에 의한 피니온 이동통의 미끄럼 이동 불능 등의 문제가 생긴다.
3) 피니온 이동통(5)의 선단에 부착된 카버(12)는 피니온 이동통(5)의 미끄럼 이동시 출력 회전축(3)의 전방단으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출력 회전축(3)의 전방단보다 전방에 그를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차량의 엔진실에 장착할 때 스페이스 확보가 곤란해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의 카버를 폐지하여 신규한 방진 수단을 설치한 스타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제 5 도의 종래의 스타터 장치에서는 출력 회전축(103)의 미끄럼 지지축부(103b)는 상당히 혹독한 환경하에 놓이기 때문에 미끄럼 이동지지 축부(103b)의 주위면에 실시된 도금은 비교적 단기간에 박리 등을 일으키고, 그 부분으로부터의 녹 발생에 어울려 피니온 이동통(105)의 미끄럼 이동이 저해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출력 회전축의 특히 피니온 이동통이 미끄럼 이동하는 범위에서의 녹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한 스타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방단 외주부에 기관 링 기어와 맞물리기 위한 피니온을 형성하고, 후단부가 클러치 인너로서 오버런닝 클러치에 조립되고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와 함께 출력 회전축에 축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피니온 이동통을 갖는 스타터 장치로서, 상기 피니온 이동통의 내주부에 끼워진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보다 전방에서 상기 피니온 이동통 내주면과 상기 출력 회전축 사이에 개재된 시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본 고안은 상기 피니온 이동통이 상기 전방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니온 이동통 후단부 내주면에 끼워진 베어링의 길이 범위에 있어서 상기 후방 정지 위치에 있는 상기 피니온 이동통으로부터 적어도 돌출하는 축 부분의 주위면에 유기물 피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스타터 장치에 따르면, 시일 부재가 피니온 이동통 내주면과 출력 회전축 외주면의 간극부에 베어링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온 이동통의 전방단 개구가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상기 전방단 개구로부터 베어링 쪽으로 침입하려는 물, 먼지 등을 저지한다.
또한 출력 회전축의 미끄럼 지지 축부에서도 후방 정지 위치에 있는 피니온 이동통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의 주위면에는 유기물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 등이 튀는 심한 환경하에 있으면서도 녹의 발생은 완전히 방지된다.
출력 회전축에서 녹이 나는 부분은 이 축부가 거의 대부분이므로 이로써 피니온 이동통의 미끄럼 불량은 방지된다.
이하, 본 고안의 스타터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스타터 장치(20)가 기재되어 있다.
이 실시예를 도시한 제 1 도에 있어서, 제 3 도에 도시된 종래의 스타터 장치(1)를 구성하는 부분과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은 동일 참조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스타터 장치(20)는 전방단 외주부에 기관링 기어(11)와 맞물리기 위한 피니온(21)을 형성하고 또 후단부가 클러치 인너(4c)로서 오버런닝 클러치(4)에 조립되고, 출력 회전축(3)에 축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피니온 이동통(22)을 구비한다.
이 피니온 이동통(22)은 슬리이브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8)이 끼워져 있는 내주부의 내경보다 피니온(21)의 치저(21a)로 되어 있는 부분의 내경쪽이 작게 되어 있다.
즉, 피니온(21)의 치저(21a)의 내주부와 출력 회전축(3)의 외주면 사이는 미소 클리어런스(23)로 형성되어 치저(21a)가 두껍게 되고, 이로써 피니온(21)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한편, 베어링(8)이 배치되어 있는 피니온 이동통(22)의 내주부와 출력 회전축(3)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부(24)에 있어서 베어링(8)보다 최전방 위치가 되는 피니온(21)의 치저 측면에 인접한 곳에 예를 들면 오일 시일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재(25)가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스타터 장치(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피니온 이동통 자체의 동작은 종래와 같고, 오버런닝 클러치(4)가 도시되지 않은 시프트 레버에 의해 전방(화살표(26)의 방향)으로 이송 가압되면, 피니온 이동통(22)도 일체적으로 이송 가압되므로 피니온(21)이 링 기어(11)와 맞물린다.
이와 동시에 출력 회전축(30)이 도시하지 않은 직류 전동기에 의해 회전 가압되므로 오버런닝 클러치(4)를 거쳐 피니온 이동통(22)이 회전가압되고 링 기어(11)를 거쳐 엔진(도시않음)이 시동된다.
엔진 시동후 링 기어(11)에 의해 피니온(21)이 고 회전 속도로 역 가압되지만 오버런닝 클러치(4)의 일방향 회전력 전달 기능에 의해 이 회전력은 직류 전동기의 출력 회전축(3)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스타터 장치(20)에 따르면 시일 부재(25)가 간극부(24)에 있어서 베어링(8)보다 전방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과, 피니온(21)의 강도 확보를 위해 치저(21a)가 두꺼워져 그 내주부와 출력 회전축(3)의 외주부 사이가 미소 클리어런스(23)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피니온 이동통(22)의 전단 개구로부터 물이나 먼지의 침입이 거의 완전히 저지된다.
제 2 도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스타터 장치(3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관한 스타터 장치(30)에서는 피니온 이동통 전방단으로부터 피니온(21)의 치저(21a)의 일부 내주부에 형성된 확경 요부(31)에 시일 부재(25)가 배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25)를 이와같은 위치에 배치해도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타터 장치(20)와 방수, 방진에 의해 동등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스타터 장치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4 도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스타터 장치(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 4 도에 있어서 제 5 도에 도시되는 종래의 스타터 장치와 동일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은 동일 참조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스타터 장치(120)에서는 출력회전축(103)의 미끄럼 지지 축부(103b)에 있어서 피니온 이동통(105)이 전방 정지 위치에 있을 때의 슬리이브 베어링(107)의 미끄럼 정지 위치보다 전방의 길이 범위에 걸쳐 그 주위면에 예를들면 불소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피막(121)이 예를 들면 코팅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유기물 피막(121)은 출력 회전축(103)의 미끄럼 지지 축부(103b)에 있어서의 전술한 길이 범위중에서도 특히 후방 정지 위치에 있는 피니온 이동통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가 차량 주행중에 튀어오르는 물 등으로 젖고, 또 먼지의 부착이 심하기 때문에 이 축부가 특히심한 환경하에 있으면, 녹 발생도 이 축부가 가장 빠르므로 적어도 이 축부의 주위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피니온 이동통(105)의 미끄럼 불량은 그 발생을 거의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스타터 장치에 따르면 피니온 이동통 내주면과 출력 회전축 외주면의 간극부에 베어링 보다 전방측에서 시일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피니온 이동통의 전방단 개구가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상기 전방단 개구로부터 베어링 방향으로 침입하려 하는 물, 먼지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 피니온 이동통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어 있던 방수, 방진용 카버를 불필요해지며, 피니온 이동통 고속 회전시에 있어서의 카버의 원심력에 의한 탈락 파손의 우려가 없고, 또 스타터 장치 설치시에 있어서의 큰 공간부의 확보등의 필요도 없고 실로 실용적인 스타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스타터 장치에 따르면 피니온 이동통이 전방정지 위치에 있을 때의 후단부 베어링의 미끄럼 정지 위치보다 전방의 출력 회전축 길이 범위에 있어서 적어도 후방 정지 위치에 있는 피니온 이동통으로부터 돌출하는 축 부분의 주위면에 유기물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출력 회전축에서의 녹 발생 또는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피니온 이동통의 미끄럼 불량도 없고 내구성이 있는 스타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전단 외주부에 기관 링 기어(11)와 맞물리기 위한 피니온(21)을 형성하고, 후단부가 클러치 인너(4c)로서 오버런닝 클러치(4)에 조립되어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4)와 함께 출력 회전축(3)에 축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진 피니온 이동통(22)을 갖는 스타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니온 이동통(22)이 전방 정지 위치에 있을때 상기 피니온 이동통(22)후단부 내주면에 끼워진 베어링(8)의 미끄럼 정지 위치보다 전방의 상기 출력 회전축(3)의 길이 범위에 있어서 적어도 후방 정지 위치에 있는 상기 피니온 이동통(22)으로부터 돌출하는 축 부분의 주위면에 유기물 피막(12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피막(121)은 불소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장치.
KR2019880016542U 1987-11-06 1988-10-07 스타터 장치 KR92000506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0612(U) 1987-11-06
JP1987170612U JPH0174364U (ko) 1987-11-06 1987-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63U KR890010863U (ko) 1989-07-11
KR920005067Y1 true KR920005067Y1 (ko) 1992-07-27

Family

ID=1590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542U KR920005067Y1 (ko) 1987-11-06 1988-10-07 스타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74364U (ko)
KR (1) KR9200050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443B2 (ja) * 1989-05-24 1997-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雰囲気溜室を備える装置及びスタータ
DE102008002115A1 (de) * 2008-05-30 2009-12-03 Robert Bosch Gmbh Freiausstoßender Sta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74364U (ko) 1989-05-19
KR890010863U (ko) 198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5035A (en) Device for supporting pinion shaft of electric motor for starting engine
US20090183594A1 (en) Clutch for starters
KR900013200A (ko) 스타터장치
KR930002641Y1 (ko) 스타팅 모터의 피니온 스톱퍼 장치
US4104926A (en) Starter motors
KR960011120A (ko) 스타터
KR910005541A (ko) 시동기
KR900005062A (ko) 시동 전동기
KR920005389B1 (ko) 시동 전동기
KR920005067Y1 (ko) 스타터 장치
KR950009045B1 (ko) 중간 기어형 스타터
US4777836A (en) Engine starter gearing
KR890015486A (ko) 동축형 기동기
KR930000322Y1 (ko) 시동 전동기
ES2089740T3 (es) Dispositivo de tope de piñon de motor de arranque para motor de combustion interna.
KR910017063A (ko) 시동장치
US4926705A (en) Starte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970006971A (ko) 2방향 차동클러치
JPH05195924A (ja) 内燃機関用のピニオン突出し形スタータ
KR970070529A (ko) 시동장치에 있어서의 거버너장치
KR930006315A (ko) 중간 기어부착 시동 전동기
KR900014736A (ko) 스타터 장치
KR890015900A (ko) 오버러닝(over running)클러치장치
KR880014247A (ko) 시동 전동기
US4813121A (en) Method of mounting a cover for an over-running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