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964B1 - 광화학증착장치용 적외선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광화학증착장치용 적외선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964B1
KR920004964B1 KR1019880017970A KR880017970A KR920004964B1 KR 920004964 B1 KR920004964 B1 KR 920004964B1 KR 1019880017970 A KR1019880017970 A KR 1019880017970A KR 880017970 A KR880017970 A KR 880017970A KR 920004964 B1 KR920004964 B1 KR 920004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halogen lamp
tungsten halogen
infrared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915A (ko
Inventor
김윤태
전치훈
김보우
김상호
이영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880017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964B1/ko
Publication of KR90001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0Deposi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on a substrate, e.g. epitaxial growth solid phase epitax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화학증착장치용 적외선 가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화학 반응로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적외선 가열장치의 조립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적외광 반사경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 4 도는 텅스텐 할로겐 램프의 분광복사분포도.
제 5 도는 텅스텐 할로겐 램프에 의한 적외선 가열시스템의 등가회로도.
제 6 도는 실리콘 웨이퍼의 적외광 흡수계수.
제 7 도는 텅스텐 할로겐 램프의 발광파장 분포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받침판 101 : 텅스텐 할로겐 램프
102 : 램프소켓 103 : 전력선 연결콘넥터
104 : 적외광 반사경 105 : 압축공기 분출구
106 : 요입면 107 : 베이스
108 : 공기홈 109 : 공기입구
110 : 냉각수관 111: 지지대
본 발명은 반도체 고집적회로 제조공정중 산화규소(SiO2)와 질화규소(Si3N4) 박막을 비롯한 모든 반도체 관련 박막을 증착시키는 광화학 증착장치(Photo-CVD)중 반도체 기판을 가열시키는 적외선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화학 반응공정은 고온에 의한 열화학 반응 대신 화학반응 가스를 광에너지가 높은 자외선으로 분해하여 50-250℃ 정도의 온도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박막이 증착되게 하는 공정이다. 이때 증착된 박막의 증착특성과 전기적, 화학적 특성은 반응가스의 조성비와 유량, 자외선 강도, 기판의 온도등에 의존하게 된다.
특히, 기판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반응가스의 흡착율 및 공정가스의 반응율이 변하여 증착된 박막의 특성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출원발명 제88-11867호의 저온광화학 반응로에 적합한 적외선에 의한 반도체기판의 가열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가열방법인 저항가열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냉벽형(cold wall)으로 급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하고, 열원에 의한 공정기판의 오염이 전혀 없는 텅스텐 할로겐램프에 의한 적외선 가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반도체 관련박막을 증착시키는 광화학 증착장치의 반도체 기판을 가열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착장치의 반응로속의 기판과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와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좌, 우에 입설된 지지대(111)의 사이에 위치하여 조절나사(111a)에 의해 고정되는 받침판(100)과 ; 상기 받침판(1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적외광의 반사가 되는 반사경(104)과 ; 상기 반사경(104)의 양편에 부착되어 상기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를 지지하는 램프소켓(102)를 구성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화학 반응로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적외선 가열장치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모듈로 되어 있어 적외선 가열장치의 받침판(100)에 의해 반응로(A)에 부착되고 상기 적외선 가열장치 받침판(100)의 제거에 의해 반응로(A)로부터 분리시킬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11)를 따라서 적외선 가열장치의 받침판(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반응로(A)속의 기판과 텅스텐 할로겐 팸프(101)으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제 2 도의 적외선 가열장치는 적외선 가열장치의 받침판(100)위에 할로겐 램프(101), 램프소켓(102), 적외선반사경(104)등의 부품들이 조립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100)은 네귀퉁이의 상기 지지대(111)에 조임나사(111a)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반응로(A)속의 기판과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와의 거리조절은 상기 지지대(111)에 설치된 조임나사(111a)를 풀고 가열장치 전체를 지지대(111)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은 열원인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와 램프를 지지하는 동시에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세라믹과 금속으로 구성된 램프소켓(102)에까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 연결 콘넥터(103), 적외광의 효율적인 반사에 의해 기판의 가열효율을 증대시키는 연마질한 알루미늄 판에 순금으로 증착된 적외광 반사경(1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적외광 반사경(104)에는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의 냉각을 위한 압축공기분출구(105)와 냉각수의 순환에 의해 적외광 반사경(104) 자체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관(110)이 반사경의 내부에 관통되어 연결되어 있다.
제 3 도는 적외광 반사경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외광 반사경(104) 자체에 일정간격으로 압축공기 분출구(105)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외광 반사경(104)이면에 이들 압축공기 분출구를 포함하는 요입면(106)으로 사다리형 공기홈(108)이 형성된 베이스(107)를 결합하여 적외광 반사경(104)의 공기입구(109)로부터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하여 샤워방식으로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를 냉각시키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압축공기 분출구(105)사이로 냉각수관(110)이 매입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텅스텐 할로겐 램프와 광화학 반응로까지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외선 가열장치의 성능은 적외광의 출력, 열원인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의 갯수와 위치, 적외광 반사경(104)의 재질과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일정온도(T.K)의 물체표면에서 복사되는 전자파의 분광분포는 식(1)과 같이 표현된다.
Wλ는 분광 복사율(Spectral Emissivity), Pλ는 플랑크 복사분포이다. 적외선 램프의 복사원은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이며 이에 대한 복사분포 Eλ는 제 4 도에 보인 바와 같이 파장에 무관한 분포인 회색체 복사(gray body)분포에 가깝다.
또, 텅스텐 필라멘트는 밀집된 나선형 원통성 구조를 갖고 있으며, 원통면으로 가정할 때, 복사율은 다음의 식(2)와 같이 변화한다.
Figure kpo00001
………………………………………………………………(2)
여기서 td는 필라멘트의 직경, tc는 필라멘트의 피치간격이다. 이때 적외선 램프에서의 텅스텐 필라멘트의 가열은 주울열에 의한 것이며 텅스텐의 복사열과 전도열에 따라 냉각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열수지방정식은 다음의 식(3)으로 표현된다.
Figure kpo00002
………………………(3)
여기서 Q는 주울열이며 램프의 전원 공급장치에서의 전류에 의해 결정된다.
텅스텐 할로겐 램플(101)에 의한 적외선 가열 시스템의 등기회로도는 제 5 도와 같이 표시되어지고, 이 회로의 전류 방정식과 주울열은 식(4)-(6)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3
……………………………………………(4)
Figure kpo00004
…………………………………………………………(5)
Q=i2R(T) ……………………………………………………………(6)
위와 같이 주울열에 의해 발산된 적외광은 투과율이 우수한 석영판을 통과하여 그 위에 위치한 반도체 기판에 흡수되어 열로 바뀐다.
특히 실리콘 웨이퍼인 경우 파장의 변화에 따른 흡수계수는 제 6 도와 같고, 본 발명에서 제시한 열원인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의 발광파장은 제 7 도와 같아서 실리콘 웨이퍼인 경우 특히 효율적인 적외광 흡수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한 텅스텐 할로겐 램프를 열원으로 하는 광화학 반응로에서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사용하면, 첫째, 램프소켓(102)의 손쉬운 분해와 조립에 의한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의 교환으로 적외선 가열장치의 수명을 영구적으로 할 수 있고, 둘째, 순금으로 증착한 높은 반사율의 반사경 사용으로 기판의 가열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셋째, 반사경 표면으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분출과 냉각수의 순환에 의해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뿐만 아니라 광화학 반응로 자체를 냉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가열장치가 반응로 외부에 위치하므로 공정중 열원에 의한 기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다섯째, 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의 조절로 기판온도를 급속히 변화시킬 수 있어 다중박막의 형성 및 공정수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Claims (2)

  1. 반도체 관련 박막을 증착시키는 광화학 증착장치의 반도체 기판을 가열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착장치의 반응로속의 기판과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와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좌, 우에 입설된 지지대(111)의 사이에 위치하여 조절나사(111a)에 의해 고정되는 받침판(100)과 ; 상기 받침판(1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적외광의 반사가 되는 반사경(104)과 ; 상기 반사경(104)의 양편에 부착되어 상기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를 지지하는 램프소켓(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학 증착장치용 적외선 가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반사경(104)은 내부에 상기 텅스텐 할로겐 램프(101)의 냉각을 위해 수직방향으로 압축공기분출구(105)와 상기 냉각에 의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상기 압축공기 분출구의 위치와 격자상태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냉각수관(1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학 증착장치용 적외선 가열장치.
KR1019880017970A 1988-12-30 1988-12-30 광화학증착장치용 적외선 가열장치 KR920004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970A KR920004964B1 (ko) 1988-12-30 1988-12-30 광화학증착장치용 적외선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970A KR920004964B1 (ko) 1988-12-30 1988-12-30 광화학증착장치용 적외선 가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915A KR900010915A (ko) 1990-07-11
KR920004964B1 true KR920004964B1 (ko) 1992-06-22

Family

ID=1928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970A KR920004964B1 (ko) 1988-12-30 1988-12-30 광화학증착장치용 적외선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494B1 (ko) * 1999-07-15 2002-01-09 김용일 원자층 에피택시 공정을 위한 반도체 박막 증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915A (ko)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0644B2 (en) Heating configuration for use in thermal processing chambers
KR100977886B1 (ko) 열처리 장치 및 기억 매체
US902973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apid thermal processing
US7986871B2 (en) Processing multilayer semiconductors with multiple heat sources
US8338809B2 (en) Ultraviolet reflector with coolant gas holes and method
US20110089166A1 (en) Temperature measurement and control of wafer support in thermal processing chamber
TW201923902A (zh) 通過燈具燈絲設計與定位控制燈具紅外輻射輪廓
US9842753B2 (en) Absorbing lamphead face
KR19990042689A (ko) 화학기상증착 장비의 가열장치
US20140003800A1 (en) Processing multilayer semiconductors with multiple heat sources
JP2012178576A (ja) 熱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JP2023517274A (ja) 水平回転運動でのビーム移動によるスポット加熱
KR920004964B1 (ko) 광화학증착장치용 적외선 가열장치
KR100375396B1 (ko) 준고온벽을갖춘반응챔버
US10957563B2 (en) Chamber wall heating for a millisecond anneal system
WO2014176174A1 (en) Absorbing lamphead face
KR920008041B1 (ko) 급속열처리 장치용 적외선 가열장치
KR100620444B1 (ko) 열처리 방법
KR920008036B1 (ko) 광화학 증착 및 급속열처리 장치용 진공 반응로
JPH0634244U (ja) マイクロ波プラズマ処理装置
KR920008010Y1 (ko) 화학증착장치용 기판 가열장치
JPS62154618A (ja) 気相成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