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977B1 - 개선된 장벽삽입물을 포함하는 분배용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장벽삽입물을 포함하는 분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977B1
KR920003977B1 KR1019830000138A KR830000138A KR920003977B1 KR 920003977 B1 KR920003977 B1 KR 920003977B1 KR 1019830000138 A KR1019830000138 A KR 1019830000138A KR 830000138 A KR830000138 A KR 830000138A KR 920003977 B1 KR920003977 B1 KR 92000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rtion
barrier
insert
barrier inser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200A (ko
Inventor
에스. 프린트 리차드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캔 캄파니
어네스틴 시. 바틀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캔 캄파니, 어네스틴 시. 바틀레트 filed Critical 아메리칸 캔 캄파니
Publication of KR84000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12Connections between body and closure-receiving bu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10Body construction made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Tub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선된 장벽삽입물을 포함하는 분배용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삽입물을 구체화시킨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의 부분측면도로서 단면을 일부 포함하며,
제 2 도는 제 1도 우측 상부의 확대부분 단면도이고,
제 3 도는 장벽삽입물의 측면도이며,
제 4 도는 장벽삽입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의약품, 치마제 (dentifrice), 화장품 및 세면용 화장품 등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용기의 헤드부분내에 있는 개선된 플라스틱 장벽삽입물에 관한 것이다.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는 각종 의약품, 치마제 (예를들면, 치약) 및 의약품 연고 등을 포장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종래의 용기는 보통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었으나, 최근에 이러한 용기는 용기 몸체가 2개의 열가소성층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박(특히, 알루미늄박)의 중간층을 포함하는 다층 플라스틱 적층판으로 만들어진 적층벽구조로 되어 있다. 금속박층은 포장물내로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막고 포장된 제품의 휘발성 성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 장벽역할을 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적층벽구조로된 분배용기에 대해서는 1966년 7월 12일자 허여된 로저 브란트(Roger Brandt) 및 랄프 카쳐(Ralph Kaercher)의 미합중국특허 제 3,260,410호 및 1967년 10월 17일자 허여된 로저 브란트 및 마이클 메스테나스(Michael Mestenas)의 미합중국특허 제 3,347,419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용기 몸체내에 금속박 장벽층을 제공함으로써 용기의 몸체부분에서 내용물의 누출과 산소의 흡수가 방지되지만, 용기의 다른 모든 부분에서, 즉 가슴(breast)부분에서도 내용물의 누출과 산소흡수가 방지되어야함은 필수적이다. 이와같이, 1966년 7월12일자로 로저 브란트에게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 3,260,777호에는 튜브 몸체내에 금속장벽을 제공하는 외에 용기의 가슴부분에도 장벽삽입물을 제공하였다. 상기의 금속장벽층은 금속(예 :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성형시 튜브의 가슴부분에 끼워 넣을 수가 있다. 그렇지만, 보다 바람직한 최근의 구조에서는 금속박 중간층이 2개의 열가소성층 사이에 위치한 적층삽입물을 사용한다. 유사한 장벽삽입물이 1967년 1월 3일자 허여된 로저 브란트의 미합중국특허 제 3,295,725호에 기술되어 있다. 로저 브란트의 상기 두 특허의 내용의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인용되고 있다.
1966년 7월 12일자 허여된 프랭크 돔슨(Frank Dobson)의 미합중국특허 제 3,260,411호에는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의 몸체 및 머리부분에 장벽층을 사용하여 용기의 전부위에서 내용물의 누출과 산소의 흡수를 방지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1971년 2월 23일자 허여된 로버트 슐츠(Robert Schultz)의 미합중국특허 제 3,565,293호에는 헤드부분의 내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우레이 포름알데히드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낮은 침투성을 갖는 장벽층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의 여러 특허에 기술된 삽입물은 완전히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금속중간층을 가진 적층판 및 금속 삽입물은 제조하기가 어렵고 헤드부분에 이를 설치하기가 까다로우며, 또한 플라스픽 삽입물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 반면에,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삽입물은 치약 및 몇몇 의약품 등과 같이 물을 함유하는 내용물에 의하여 팽윤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팽윤현상으로 인하여 튜브 헤드부분의 측면이 균열되어, 내용물이 누출될 수 있으므로 분명 포장용으로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삽입물은 극히 취약해서 포장을 사용하는 동안 균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가슴부분에 플라스틱 삽입물을 제공함으로써 용기의 전부위에서 정유(essenstial oil) 및 산소의 침투를 줄이면서도, 용기의 파열을 방지하는 적층벽 구조로된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헤드부분에 열가소성물질로된 헤드부분이 물에 대한 팽윤 저항성이 있고 정유 및 산소에 대해 효과적으로 장벽역할을 하는 열가소성 삽입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튜브의 헤드부분을 몸체부분에 사출성형하는 동안 뒤틀리지 않는 삽입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를 보다 효과적이고도 경제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제조하여 헤드부분내에 신속히 설치할 수 있는 열가소성물질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삽입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행 또는 기타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에는 변형가능한 몸체 및 여기에 결합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헤드부분이 제공되며, 헤드부분의 내부표면에 개선된 장벽층을 부착시킨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정유에 대하여 장벽역할을 하고, 물 및 치마제 제품에 팽윤되지 않으며, 비교적 짧은 사출성형 사이클을 갖고, 또한 머리부분 및 튜브몸체를 조립하는 동안 뒤틀림이 없이 용융된 폴리에틸렌과 함께 사출시킬 수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이를 장벽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벽삽입물은 사출성형할 수 있는 등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사출성형할 수 있는 등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도면에서, 제 1 도는 바닥말단(15)의 밀폐되어 있고 상부말단이 이하 삽입물로 통칭하는 원추형 장벽체(21)를 갖는 헤드부분(19)에 결합되어 있는 튜브형 몸체(13)를 갖는 11로 지칭되는 접을 수 있는 용기(11)를 나타낸다.
용기 몸체(11)는 튜브 내용물의 누출이나 산소의 공격에 대해 튜브 내용물을 보호하는 적층벽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튜브 몸체에 사용되는 적층벽구조는 이미 언급된 특허를 포함하는 여러 특허에 기술되어 있다. 제 2 도에 있어서 튜브 몸체의 적층벽은 이하 정의하는 바와같이 외부층(23), 중간층(25) 및 내부층(27)을 포함한다.
외부층(23)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물질이 적합하다. 이 층은 또한 예를들면 인쇄된 종이층 또는 인쇄된 폴리에틸렌층상의 투명한 폴리에틸렌층과 같은 2개 이상으로된 복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층(25)은 금속장벽층인데, 보통 알루미늄박이며, 이는 산소의 공격 또는 내용물의 누출에 대해 용기 튜브내의 내용물을 보호하는 장벽층 역할을 한다.
내부층(27)은 또한 튜브의 내용물과 융화되며 헤드부분에 열을 가해 튜브 몸체에 접합할때 헤드부분에 결합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내부층(27)은 폴리에틸렌이나 또는 2개로된 복합층(예를들면, 내부 폴리에틸렌층 및 이 내부층을 중간 금속박층에 집참시키기 위한 점착층)일 수 있다.
헤드부분(19)은 통상 폴리에틸렌과 같이 쉽게 성형할 수 있는 열가소성물질로된 층인데 통상 안에 나선이 있는 뚜껑(나타나지 않음)으로 잠궈 용기를 밀폐시키기 위해 나선이 만들어져 있는 목부분(29)을 포함하고 있다. 헤드부분(19)은 또한 가슴부분(31)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가슴부분(31)은 이의 주변 밴드 또는 부분(33)이 튜브 몸체(11)의 상부 내부에 열에 의해 결합된다. 가슴부분(31)은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삽입물(21) 밑에 놓인 환상립(lip)(36)을 포함하고 있다.
산소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내용물의 누출을 용기의 전부위에서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다 상세히 이하 설명하는 바와같이 헤드부분(19)과 결합된 새로운 삽입물(21)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장벽 삽입물의 선택은 여러 가지를 고려하는데, 여기에는 산소공격에 대한 보호 및 내용물 누출방지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 및 과거선행 장벽삽입물 직면했던 어려움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로 만든 삽입물은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의 제조에 있어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는데 특히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다른 장점중의 하나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삽입물은 선행기술에서 사용하던 유형의 적층 삽입물에서 처럼 금속층을 사용하지 않고 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미합중국특허 제 3,665,293호(출원인:Schultz)에는 불침투성 및 내용물과의 융화성을 기준으로 선택된 각종 수지로 만들어진 삽입물의 용도가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수지의 예로는 아미노수지(예 :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미드(예 : 나일론)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슐츠의 특허에서는 목적하는 정도의 불침투성 및 내용물 융화성을 갖는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둘다의 기타 플라스틱물질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이 특허권 소유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삽입물을 만들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1979년 1월 2일자 허여된 칼 메저레(Karl Magerle)의 최근의 미합중국특허 제 4,132,331호에는 폴리에틸렌으로된 외부층, 폴리에스테르로된 장벽시이트 및 역시 폴리에틸렌으로된 내부층의 3층으로된 튜브 몸체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튜브 몸체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장벽시이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헤드부분에는 이와 결합된 폴리에스테르 삽입물이 포함되어 있지않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어진 장벽삽입물은 각종 치마제 (예:치약) 또는 의약품(예 : 면도용 크림) 등에 존재하는 물에 팽윤되지 않음이 밝혀졌다. 또한 상기 물질은 결정형이며 비교적 짧은 사출성형 사이클을 가지고 있다. 이 물질은 보다 빨리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 자체의 가격이 높지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더욱 빨리 만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열가소성 물질과는 달리, 튜브 헤드제조에 사용된 용융된 폴리에틸렌을 뒤틀림이 없이 PBT 삽입물의 상부에 직접 사출시킬 수 있다. 알 수 있겠지만, 사출성형을 하는 동안 뒤틀림이 없음은 접을 수 있는 용기의 제조에 있어 확실히 아주 중요하다.
상기 특성외에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어진 삽입물은 포장물의 외부에서 내용물로 침투하는 경향이 있는 산소에 대해 장벽을 제공하는 외에 정유 및 치마제 나 의약품내에 보통 존재하는 성분에 대해 장벽역할을 한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PBT 삽입물(21)은 헤드부분(19)중 가슴부분(31)의 내부형태에 일치되도록 설계된 원추형부분(35)을 가지고 있다. 원추형부분(35)은 머리부분(37)내부에 단단히 고착되어 있다.
실제에 있어, 장벽삽입물(21)을 작업장치상에 놓고 그 위에 튜브헤드(19)를 사출성형시킨다. 튜브 헤드부분(19)의 사출성형은 두가지 역할을 하는데 헤드부분을 슬리브(Sleeve)부분에 연결시켜 포장을 완성시키고, 또한 장벽삽입물을 이의 환상립(36)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삽입물(21)은 이 목적을 위한 마개-형 잠금링을 갖는 예비-성형된 헤드부분의 내부표면에 탁 끼워 넣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삽입물을 헤드부분과 결합시키는 방법은 본 발명의 중요한 사항이 아니며, 슐츠의 상기 특허를 위시하여 선행특허들에 공지되어 있다.
선택한 삽입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었으나 사출성형할 수 있는 등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사출성형할 수 있는 등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의 혼합물로 만든 삽입물도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삽입물의 형태, 구조 및 구성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용기 여러 부분의 배열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변형 및 개량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Claims (8)

  1. 변형가능한 몸체, 몸체에 결합되어 있는 열가소성물질의 헤드부분(19) 및 헤드부분(19)의 내부표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사출성형 가능한 등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사출성형 가능한 등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장벽삽입물(21)을 포함하는,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11).
  2. 제 1 항에 있어서, 장벽삽입물이(21)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11).
  3. 제 1 항에 있어서, 장벽삽입물(21)이 사출성형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11).
  4. 침투성이 낮은 변형가능한 몸체, 몸체의 한쪽 말단에 결합된 주변 밴드부분(33)을 포함하는 열가소성물질의 헤드부분(19) 및 헤드부분의 내부표면에 일치되게 부착되고 상기 몸체의 내벽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한 주연을 갖는 장벽삽입물(21)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헤드부분(19)은 장벽삽입물(21)의 주연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를 유지하는 환상립(36)을 포함하고, 장벽물질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사출성형 가능한 등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사출성형 가능한 등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11).
  5. 제 4 항에 있어서, 장벽삽입물(21)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11).
  6. 제 4 항에 있어서, 장벽삽입물(21)이 사출성형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접을 수 있는 분배용기(11).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벽삽입물(21)이 헤드부분(19)의 목을 통해 연장되는 목부분(29)을 포함하는 접을수 있는 분배용기(11).
  8.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벽삽입물(21)이 헤드부분(19)의 목을 통해 연장되는 목부분(29)을 포함하는 접을수 있는 분배용기(11).
KR1019830000138A 1982-01-15 1983-01-15 개선된 장벽삽입물을 포함하는 분배용기 KR920003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932782A 1982-01-15 1982-01-15
US339327 1982-01-15
US???339327 1982-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200A KR840003200A (ko) 1984-08-20
KR920003977B1 true KR920003977B1 (ko) 1992-05-21

Family

ID=2332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138A KR920003977B1 (ko) 1982-01-15 1983-01-15 개선된 장벽삽입물을 포함하는 분배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S58124623A (ko)
KR (1) KR920003977B1 (ko)
AU (2) AU555478B2 (ko)
BE (1) BE895511A (ko)
CA (1) CA1183496A (ko)
IN (1) IN157199B (ko)
PT (1) PT760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2480A5 (de) * 1991-01-21 1993-09-30 Maegerle Karl Lizenz Verpackungstube.
FR2679527B1 (fr) * 1991-07-25 1993-09-24 Cebal Tete de tube en matiere plastique a revetement interieur a effet barriere et piece utilisable pour ce revetement.
FR2784657B1 (fr) 1998-10-19 2000-11-17 Cebal Tube a tete en materiaux multicouch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E102005010639A1 (de) * 2005-03-08 2006-09-14 Huhtamaki Ronsberg,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Verpackungsbehälter, insbesondere dosenartiger Behälter
WO2019088934A1 (en) * 2017-11-03 2019-05-09 Kimpai Lamitube Co., Ltd. In-mold assembly method of tubular shoulder for tub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8262A (en) * 1978-09-04 1980-03-17 Toppan Printing Co Ltd Collapsible tube and its preparation
JPS6055285B2 (ja) * 1978-09-30 1985-12-04 凸版印刷株式会社 チユ−ブ容器の製造方法
JPS55107650A (en) * 1979-02-07 1980-08-18 Toppan Printing Co Ltd Extruding tube and its pr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76092B (en) 1986-01-10
BE895511A (nl) 1983-04-15
IN157199B (ko) 1986-02-08
AU555478B2 (en) 1986-09-25
PT76092A (en) 1983-02-01
AU545604A3 (en) 1985-08-13
AU8974682A (en) 1983-07-21
CA1183496A (en) 1985-03-05
AU545604B3 (en) 1985-08-13
JPS58124623A (ja) 1983-07-25
KR840003200A (ko) 198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1968A (en) Collapsible containers
US3347419A (en) Collapsible dispensing tube
EP1043235B1 (en) Multilayer container
US4690299A (en) Bulk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US3912154A (en) Container end closure attachment
US3734393A (en) Wide mouth tubular container construction
US8056209B2 (en) Tubular, especially can-shaped, receptacle for the accommodation of fluids, a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US4526297A (en) Collapsible laminated tube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it
WO2008118563A1 (en) Laminated container seal with removal tab bound by adhesive
US5195661A (en) Composite fluid carrier
EP1107916B1 (en) Holographic decorated tube package
US4182475A (en) Drum closure assembly
KR920003977B1 (ko) 개선된 장벽삽입물을 포함하는 분배용기
US4252265A (en) Drum closure assembly
US20050238264A1 (en) Gusset ba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0918018A1 (en) Rigid thermoplastic squeeze container having self-sealing dispensing valve
GB2077243A (en) Taphole closures
EP3744655B1 (en) Tube container having shutoff function on shoulder and ne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40076782A1 (en) Multilayer container
US318257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lined fiber containers
JPS6055285B2 (ja) チユ−ブ容器の製造方法
US3116001A (en) Top and bottom chine construction for
JP3616218B2 (ja) 積層剥離容器
JPS6318582Y2 (ko)
GB1598267A (en) Collapsible containe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