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944Y1 - 관이음구 - Google Patents

관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944Y1
KR920003944Y1 KR2019890013519U KR890013519U KR920003944Y1 KR 920003944 Y1 KR920003944 Y1 KR 920003944Y1 KR 2019890013519 U KR2019890013519 U KR 2019890013519U KR 890013519 U KR890013519 U KR 890013519U KR 920003944 Y1 KR920003944 Y1 KR 920003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ylinder
axial direction
fluid passage
pip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901U (ko
Inventor
나오유끼 고다께
Original Assignee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6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9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9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at least one of the valves having an axial b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10T137/87925Separable flow path section, valve or closure in ea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10T137/87925Separable flow path section, valve or closure in each
    • Y10T137/87941Each valve and/or closure operated by coupling motion
    • Y10T137/87949Linear motion of flow path sections operates both
    • Y10T137/87957Valves actuate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이음구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
제2도는 상기 밸브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밸브의 통부가 축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본 고안은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에 접속되는 내약품성이 높은 관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관이음구에 사용되고 있는 밸브 가세용 코일 스프링은 내약품성이 뛰어나 불소수지를 소재로한 압축코일스프링이나 그 소재를 이용하여 금속제 스프링 표면에 코팅하거나 또는 벨로우즈(Bellows)로 형성된 스프링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불소수지의 코일 형상 스프링의 경우, 금속제의 스프링에 비하여 횡탄성 계수가 매우 낮고 그때문에 금속제 스프링과 마찬가지의 하중을 얻을 수 없다. 또, 불소 수지를 코팅한 스프링은 코팅 부분에 핀호올(Pinhole)이 형성되기 쉽고 충분하게 금속을 보호할 수가 없다. 벨로우즈에 있어서는 압축 되었을때에 유동공이 작아지기 때문에 압축되었을시의 벨로우즈의 내경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벨브를 가세하는 수지제의 스프링에 금속제 스프링과 근사한 탄발력을 보유시키고 또한, 유동공을 변화시킬것 없이 사용할수 있고 아울러, 내약품성, 내식성에 뛰어난 관이음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이하의 관이음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그 관이음구는, 유체통로를 가진 관이음구 주통체와 이 유체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하고 이 밸브는 내약품성 수지로 형성된 밸브 두부와 통부를 갖고 이 통부는 직경 방향으로 통벽을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갖고 이들 구멍은 상기 통부에 위치를 축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엇갈리게 비켜서 형성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통부가 축 방향의 탄성을 갖고 있다.
본 고안에 관한 관이음구의 소켓과 플러그를 접속시키면, 밸브가 통부의 탄성에 저항하여 후퇴한다. 이때, 통부에 위치를 원주방향과 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비켜서 설치된 복수의 구멍의 중앙부가 축 방향으로 압축되어서 오목하게 변형되어 유체 통로를 연다. 또 소켓과 플러그를 분리시키면 상기 밸브의 압압이 개방되고 상기 변형된 구멍이 통부의 복원 작용에 의하여 원형으로 복귀되고 이때, 밸브를 압압하여 전진시키고 유체 통로를 닫는다.
본 고안에서는 관이음구 주통체의 유체통로에 등 통로의 개페밸브를 내장한 관이음구에 있어서의 상기 밸브를 내약품성 수지로 형성한 밸브 두부와 통부로 구성하고 이 두부에는 통벽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위치를 원주 방향과 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비켜서 뚫어 설치하고 이 통부에 축 방향에로의 탄성을 가지게 하였기 때문에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관이음구 밸브의 폐쇄 기능보다 우월할지언정, 뒤떨어지지 않는 효과를 발휘하고, 소켓과 플러그의 반복적인 착탈에 의하더라도 밸브 페쇄력의 지속성이 크기, 또 하중에 대응하는 탄발력은 통벽의 두께와 구멍의 형상과 구멍수를 바꾸는 것만으로 직경을 바꾸지 않고 용이하게 조정할수가 있다.
또, 내약품성 수지제이므로 금속제 스프링에서 발진되는 바와 같은 약품등에 의한 일화가 생기지 않고 내약품서, 내식성에 뛰어나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표시하는 실시에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소켓, 부호 2는 소켓(1)을 구성하는 주통체를 표시하고 내부에 유체통로(3)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4는 상기 주통체(2)의 유체통로(3)를 개폐하는 밸브를 표시하고 있다. 이 밸브(4)는 내약품성 수지로 형성된 밸브 두부(5)와 통부(6)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7은 밸브 두부(5)의 통부(6)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유체 통공을 표시하고 있다. 부호 8은 소켓(1)을 구성하는 주통체(2)의 유체통로(3)에 형성된 밸브 시트를 표시하고 이 밸브 시트(8)에 상기 밸브(4)의 밸브 두부(5)가 당접되면, 유체 통로(3)가 닫힌다.
밸브 두부(5)와 함께 밸브(4)를 구성하는 통부(6)에는 통벽을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대략 긴 타원형의 구멍(9)의 위치를 축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엇갈리게 비켜서 뚫어 설치되고 이 통부(6)에 축 방향에로의 탄성을 갖게한 구조로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멍(9)이 기수번열의 것과 우수 번열의 것을 그 위치를 90°원주방향으로 비켜서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통부(6)를 축방향으로 압압하면, 상기 구멍(9)의 대략 중앙부(a)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되고 그 변형량에 따라서 통부(6)가 축 방향으로 압축되고 한편, 이 통부(6)의 압압을 개방하면 상기 변형되어 있는 구멍(9)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고 이 구멍(9)의 복원력이 통부(6)에 탄성을 보유시키고 있다.
그와 같은 구성으로된 밸브(4)는 소켓(1)의 주통체(2)의 유체통로(3)내에서, 플러그와 분리시에 밸브 두부(5)가 밸브시트(8)에 당접하고 그리고, 통부(6)의 후단부가 주통체(2)의 유체통로(3)내에 설치된 스톱링(10)에 당접된 상태로 되어 있다.
부호 11은 후술하는 플러그의 외주홈에 계합하는 톡블, 부호 12는 톡블(11)을 압압하는 슬리이브, 부호 13은 슬리이브(12)를 가세하는 스프링을 표시하고 있다.
부호 14는 플러그, 부호 15는 플러그(14)를 구성하는 주통체를 표시하고 내부에 유체 통로(16)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17은 상기 주통체(15)에 유체통로(16)를 개폐하는 밸브를 표시하고 있다. 이 밸브(17)는 상기 소켓(1)의 밸브(4)와 마찬가지로 내약품성 수지로 형성된 밸브두부(18)와 통부(19)로 구성되어 있고 밸브 두부(18)의 통부(19)가까운 위치에는 유체통공(20)이 형성되고 그리고 이 밸브(17)의 밸브 두부(18)가 플러그(14)를 구성하는 주통체(15)의 유체통로(16)에 형성된 밸브시트(21)에 당접함으로서 유체 통로(16)가 닫혀진다.
상기 밸브 두부(18)와 함께 밸브(17)를 구성하는 통부(19)에는 통벽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대략 긴 타원형의 구멍(22)이 위치를 원주 방향과 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비켜서 뚫어 설치되고, 이 통부(19)에 축 방향으로의 탄성을 갖게한 구조로 하고 있다. 즉, 통부(19)를 축 방향으로 압압하면, 상기 구멍(22)의 대략 중앙부 a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되고 그 변형량에 따라서 통부(19)가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이 통부(19)의 압압을 개방하면, 상기 변형되어 있는 구멍(22)이 원래형태로 복귀하고 이 구멍(22)의 복원력이 통부(19)에 탄성을 갖게 하고 있다.
그와 같은 구성으로된 밸브(17)는 플러그(14)의 주통체(15)의 유체 통로(16)내에서 상기 소켓(1)과의 분리시에 밸브 두부(18)가 밸브 시트(21)에 당접되고 그리고 통부(19)의 후단부가 주통체(15)의 유체통로(16)내에 설치된 스톱링(23)에 당접된 상태로 있다.
그리고, 상기 소켓(1)과 플러그(14)를 접속하였을때에 소켓(1)의 밸브(4)와 플러그(14)의 밸브(17)가 서로 맞미는 것에 의하여 통부(6), (19)에 설치한 구멍(9), (22)의 중앙부가 오목 형상을 변형되어 축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서, 각각의 밸브 두부(5), (18)가 후퇴되어 밸브시트(8), (21)에서 떨어지고 유체통로(3), (16)를 연통시킨다.
부호 24는 플러그(14)의 외주에 형성된 계합홈을 표시하고 소켓(1)과 플러그(14)를 접속하였을때에 소켓(1)에 설치된 특볼(11)이 상기 계합홈(24)에 계합되고 이후, 소켓(1)의 슬라이브(12)를 조작하기까지는 특볼(11)과 계합홈(24)의 계합상태가 유지된다. 부호 25는 시일링이다.

Claims (2)

  1. 유체로통로를 가진 관이음구 주통체와 이 유체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한 관이음구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내약품성 수지로 형성된 밸브 두부와 통부를 갖고, 상기 통부는 직경 방향으로 통벽을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갖고 이들 구멍은 통부에 위치를 원주방향과 축방향으로 엇갈리게 비켜서 형성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통부가 축방향으로의 탄성을 갖고 있는 관이음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원주방향으로 길고 가느다란 형상을 갖는 관이음구.
KR2019890013519U 1988-09-14 1989-09-12 관이음구 KR92000394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20705 1988-09-14
JP1988120705U JPH0324957Y2 (ko) 1988-09-14 1988-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901U KR900006901U (ko) 1990-04-03
KR920003944Y1 true KR920003944Y1 (ko) 1992-06-13

Family

ID=1479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519U KR920003944Y1 (ko) 1988-09-14 1989-09-12 관이음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51710A (ko)
JP (1) JPH0324957Y2 (ko)
KR (1) KR9200039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011408A (pt) 1999-06-10 2002-04-02 Unilever Nv Acoplamento para a interconexão de dois corpos ocos, e, pistão adequado para uso no acoplamento
WO2000076906A1 (en) 1999-06-10 2000-12-21 Johnsondiversey, Inc. Coupling
ATE255063T1 (de) * 1999-06-10 2003-12-15 Johnson Diversey Inc Kupplung
US7770360B2 (en) * 2005-12-05 2010-08-10 Ds Smith Plastics Limited Form fill and seal container
JP2010159772A (ja) * 2009-01-06 2010-07-22 Joplax Co Ltd 管継手
US20120031515A1 (en) * 2010-08-06 2012-02-09 Value Plastics, Inc. Shutoff Valves for Fluid Conduit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7955A (en) * 1977-05-31 1979-02-06 International Paper Company Tamperproof shipping valve
US4421296A (en) * 1980-07-17 1983-12-20 Medical Valve Corporation Disposable plastic reciprocating valve
US4700744A (en) * 1986-03-10 1987-10-20 Rutter Christopher C Double shut-off fluid dispenser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41788U (ko) 1990-03-22
US4951710A (en) 1990-08-28
KR900006901U (ko) 1990-04-03
JPH0324957Y2 (ko) 1991-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5670Y2 (ko)
US5607139A (en) Coupling for coupling together hoses or pipes for a pressure medium
US5074524A (en) Quick disconnect coupler
US6916007B2 (en) Closure valve apparatus for fluid dispensing
US2864628A (en) Quick disconnect coupling
BR0101219B1 (pt) conexão hidráulica subaquática.
US5368070A (en) Radial seal fluid couplers
US4614348A (en) Anti-blowout seal
US4447040A (en) Fluid line coupling with relief valve
US5044401A (en) Integral valve and seal for a quick connect coupling
KR890016304A (ko) 신속 연결 유체 커플링
KR930004155Y1 (ko) 이중관식 관 이음매
US5709017A (en) Tool for installing an air valve assembly
US4685490A (en) Coupling
US7225831B2 (en) Fluid flow control valve
JPH08312863A (ja) 配管接続装置
US6508269B2 (en) Quick connector with one-way check valve
US2321260A (en) Tube coupling
US3285283A (en) Quick disconnect couplings
US4856823A (en) Coupling with improved locking/unlocking member
GB2172367A (en) Valve seal: pipe coupling
KR920003944Y1 (ko) 관이음구
US6866064B2 (en) Coupling assembly having a coupling member removably securable in an apparatus
US4915351A (en) Hose coupling valve
US4621840A (en) Self-locking, selectively releasable mechanism for locking structural parts together with load relieving ret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