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826B1 -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826B1
KR920003826B1 KR1019900004041A KR900004041A KR920003826B1 KR 920003826 B1 KR920003826 B1 KR 920003826B1 KR 1019900004041 A KR1019900004041 A KR 1019900004041A KR 900004041 A KR900004041 A KR 900004041A KR 920003826 B1 KR920003826 B1 KR 920003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ay
gear
cooking chamb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300A (ko
Inventor
박영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4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826B1/ko
Publication of KR91001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8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telescopic rail system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리기
제 1 도는 본 발명에 채용된 트레이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전자레인지의 전체 사시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본 발명에 채용된 트레이의 출입상태를 보인 설명도로서 제 2 도는 트레이가 들어가있는 상태이고. 제 3 도는 트레이가 나와있는 상태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동력전달부재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3 : 도어 113A : 개폐치차
5 : 동력전달부재 6 : 이동안내부재
4 : 트레이
본 발명은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 조리기에 있어, 조리실내에서 조리할 음식물을 떠받쳐주는 트레이가도어의 개, 폐와 동시에 조리실 내, 외부로 자동적으로 출입되도록한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리기들중 그 하나를 들어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면 일반적으로 몸체가 구동부와 조리부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는 발진수단과 냉각수단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되고 그 전면에는 제어반이 설치된다.
그리고 조리부는 구동부의 발진수단으로부터 고주파를 공급받아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실과 이 조리실의 전면개구부를 도어로 개폐되게하면서 조리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조리부의 조리실에 조리할 음식물을 넣고 꺼내기 위한 작업을 수공적으로, 다시 설명하면 도어를 손으로 잡아 열고 조리물을 들어 조리실내에 넣고 도어를 다시 손으로 밀어 닫거나, 또는 조리물의 꺼냄시에는 상기에서와 같이 도어를 먼저 열고 조리실내의 음식물을 손으로 들어내고 다시 도어를 손으로 밀어닫으며 조리작업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조리작업에 많은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을뿐만 아니라 더욱이 조리완료된 음식물을 조리자의 손으로 직접 들어내어야 하므로 이때 조리시 고열로 가열된 조리실내의 열기로 조리자가 화상을 입게되는 등 조리작업에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그리고 근래에와서는 조리물을 떠받쳐주는 트레이를 이용하여 조리물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리실의 바닥면에 트레이가 이동안내부재를 따라 구름접촉식으로 조리실내, 외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조리물을 트레이에 탑재하여 조리실 내, 외로 출입시키고 있으나, 이 또한 조리물을 조리실에 넣거나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조리실내에 조리자의 손을 넣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현재에 와서는 조리부의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상하 여닫이식으로, 즉 조리실의 전면하부 양측에 힌지부재를 설치하고 이 양힌지부재에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한후 도어가 상하여닫이식으로 개폐되게함과 아울러 조리실내에, 상기에서와 같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와 도어의 사이를 별도의 연결부재로 서로 협동하게 연결하고 도어의 개, 폐문동작에 따라서 트레이가 조리실 내, 외로 출입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출입방법도 도어의 수공적인 개폐동작에 의하여 그 출입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에 불편이 따르고 있으며, 또 조리자의 부주위로 도어를 급작히 열게되면 트레이에 탑재되어 있던 조리물이 이탈되거나 조리물의 국물이 넘쳐흘러 버리게되는 등의 사용에 안전성이 결여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의 개폐와 트레이의 출입이 하나의 구동 모우터를 이용하여 동시적이고 자동적으로 이루도록함으로써 조리작업 및 사용에 편리성을 얻게하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모우터와 트레이를 이맞물림식으로 연결하여 구동모우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트레이가 밀려나가고 끌여들어오며 트레이의 출입을 이루도록하므로써 출입동작이 부드럽고 조리물의 출입에 안전성을 얻는 조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구성은, 도어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도어 개폐를 위한 구동력을 받아드리는 개폐치차와, 조리실의 바닥면 상하부로 관출되어 트레이에 출입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트레이가 착탈가능하게 끼워 맞춤결합되는 이동부재와, 구동모우터의 회동력을 도어와 트레이측으로 분배공급하는 동력전달부재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의 하부에 개폐치차를 설치함과 아울러, 조리실의 내에 트레이가 자유로이 미끄럼이동되게 설치하고 이의 조리실 바닥면 상하부로 관출되고 트레이가 착탈가능하게 끼워 맞춤결합되는 이동부재를 조리실 내, 외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한후, 이 이동부재와 도어의 개폐치차 사이에 구동모우터의 회전력을 받아 도어와 트레이 각각에 구동력을 분배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설치하므로써 조리물의 출입에 편리성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은 음식물을 고주파의 전계에 의하여 유도가열하여 조리를 이루는 전자레인지를 표시한 것으로 제 1 도 및 제 2 도, 제 3 도에서 부호 1은 전자레인지의 본체이다.
이 본체(1)는 원통형으로 밀폐되게 구성되어 내부에 조리실(111)을 갖춘 조리부(11)와, 발진수단 그리고 냉각수단등의 전자부품들이 내장되고 전면에 제어반(121)이 구비된 구동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리부(11)는 조리실(111)을 밀폐되게 감싸아 구성시키는 주벽 일부가 절개되어 전면에 개구부(112)가 구비되고, 이 개구부(112)를 통하여 조리물의 출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의 개구부(112)를 조리부(11)의 주벽과 동일 원호상으로 구성되는 도어(113)로 개폐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13)는 구동부(12)에 제어반(121)에 설치된 열림 조작부재(121A) 또는 닫힘 조작부재(121B)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구동모우터(2)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 폐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모우터(2)는, 후술할 수납부(11A)의 내측 주벽 즉 도어(113)의 열림 완료지점에 설치되는 열림감지부재(3A)와, 개구부(112)의 일측주벽에 설치된 닫힘 감지부재(3B)에 의해 그 구동이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또 상기 수납부(11A)는 조리실(111)의 주벽내에 주벽과 동일 원호상으로 구성되어 도어(113)의 열림시 슬라이딩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도어(113)가 수납된다.
또한 수납부(11A)와 개구부(112)의 바닥에는 이 양부위를 합한 전장길이에 걸쳐 이동경로(114)를 구비하고, 이의 이동경로(114)를 통하여 도어(113)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개폐치차(113A)가 조리실(111) 하부로 관출되게하여, 이후에 설명할 동력전달부재(5)와 이맞물림결합되어서 도어의 개, 폐를 위한 구동력을 받아드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리실(111)의 바닥면에는 조리실(111)의 내에서부터 개구부(112)측으로 이어지는 이동안내요입부(111A)를 구비하고, 이 이동안내요입부(111A)상에 통상의 트레이(4)가 자유로이 구름 이동되게 안착되어 도어(112)의 개, 폐 동작과 연동되어 조리실(111)의 내, 외부로 출입되게 구성하였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4 도에서와 같이 도어(113)의 개폐치차(113A)와 트레이(4)의 사이에, 구동모우터(2)의 회전력을 받아 도어(113)와 트레이(4)의 측으로 구동모우터(2)의 구동력을 분배 공급하는 동력전달부재(5)가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5)는 통상의 평치차 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몸체의 외측 주벽을 상하로 나누어서, 상측에는 도어(113)의 개폐치차(113A)와 이맞물림 결합되는 제 1 치차부(51)가 구비되고, 이 제 1 치차부(51)의 직하부에는 제 1 치차부(51)의 반지름보다 약간 큰 반지름을 갖고 제 1 치차부(51)의 외향으로 벗어나 후술할 트레이의 이동부재(6)와 이맞물림 결합되어 트레이(4)에 동력전달부재(5)의 구동력을 간헐적으로 전달하는 제 2 치차부(52)가 구비되며, 이때 제 2 치차부(52)는 동력전달부재(5)의 원주상에 일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외주면 상, 하에 각각 제1, 제 2 치차부(51), (52)를 갖는 동력전달부재(5)는 제 5 도에 잘 나타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5)의 제 1 치차부(51)는 항상 도어의 개폐치차(113A)와 이맞물림된 상태이고, 제 2 치차부(52)는 도어(113)가 열리기 시작할때는 트레이의 이동부재(6)와 이탈되어 있다가, 도어(113)가 열리기 시작하여 일정한 위치에 이르면 제 2 치차부(52)와 후술하는 이동부재(6)의 출입치차(61)가 이맞물림되어 트레이(4)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제 2 치차부(52)는 트레이(4)를 조리실(111), 내, 외부로 출입시킬 수 있는 소정의 원호길이를 갖고 구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재(5)의 몸체 내주벽에는 구동모우터(2)의 구동치차(21)와 이맞물림식으로 결합되는 내접치차부(53)가 구성되어 구동모우터(2)의 회전력이 동력전달부재(5)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력전달부재(5)는 축착부재(54)에 의해 자유로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트레이(4)의 이동부재(6)의 하단에는 동력전달부재(5)와 착탈가능하게 이맞물림결합되어 동력 전달부재(5)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트레이(4)에 출입력을 제공하는 랙(Rack)형상의 출입치차(61)가 마련되어있고, 그 상단이 상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부(611)가 구비되며, 이 결합부(611) 상단이 조리실(111) 바닥면으로 노출되어 이에 트레이(4)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6)는 조리실(111) 바닥면 하부에 설치된 이동안내부재(62)에 의해 결합되어 일직선 상으로 자유롭게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4)의 저면 양측 또는 삼각지점에는 트레이(4)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트레이(4)가 조리실(11)의 내에서 출입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름부재(4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제 2 도는 조리의 진행 또는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에는 도어(113)는 완전히 닫혀있고, 트레이(4)도 조리실(111) 내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리자가 제어반(121)의 열림조작부재(121A)를 조작시키면 구동모우터(2)가 회전되고 이때 발생되는 회전력은 구동치차(21)와 내접치차(53)를 통하여 동력전달부재(5)에 전달되고 이와 동시에 동력전달부재의 제 1 치차부(51)에 이맞물림되어 있던 개폐치차(113A)에 의해 도어(113)는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열리게 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재(5)가 소정거리만큼 회전하여 도어(113)가 거의 열린 위치에 이르면, 이때 동력전달부재(5)에 구비된 제 2 치차부(52)가 트레이(4)의 출입치차(61)와 이탈되어 있던 상태에서 이맞물림되므로 구동모우터(2)의 회전력이 동력전달부재(5)와 출입치차(61)를 통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므로 트레이(4)의 이동부재(6)가 이동되어 트레이(4)를 도어(113)가 열림과 동시에 조리실(111)내에서 자동적으로 끌어내고, 도어(113)가 완전히 열림위치에 이르면 열림감지부재(3A)가 열림상태를 감지하여 구동모우터(2)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제 3 도에서와 같이 트레이(4)는 개구부(112) 회향으로 끌어내져 있다.
그리하여 조리물을 트레이(4)에 얹히거나 또는 조리된 음식물을 간편히 꺼낼 수 있어 종래 조리실내에서 조리물을 꺼냄에 화상 위험이 따랐던 문제점을 완전 배제하고 사용에 안전성을 얻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반(121)의 닫힘 조작부재(121B)를 조작시키면 구동모우터(2)는 역전하고 상기와는 역순으로 동작을 이루며, 도어(113)가 완전폐문위치에 이르면 닫힘감지부재(3B)가 이를 감지하고 구동모우터(2)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때 도어(113)는 완전폐문을 유지하고 트레이(4)는 조리실(111)의 내에 끌려들어와 조리를 대기한다.
그러므로 도어의 개, 폐문동작과 동시에 트레이가 자동적으로 조리실 내, 외로 출입되게 하므로써 사용에 편리성은 물론 제품성을 높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어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도어의 개, 폐를 위한 구동력을 받아 드리는 개폐치차부와, 트레이가 착탈가능하게 끼움식으로 결합되고 조리실의 바닥면 상하부로 관출되어 조리실의 내, 외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며 트레이에 출입력을 전달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개폐치차부와, 이동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모우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도어와 트레이측으로 분배공급하는 동력전달부재를 갖추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동력전달부재는 몸체를 통상의 평기어형상으로 구성하여 그 외주벽 상하측에 도어의 개폐치차와 결합되어 구동모우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 치차부와, 이동부재와 접탈하며 구동모우터의 회전력을 간헐적으로 전달하는 제 2 치차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내주벽에는 구동모우터의 회전력을 받아드리는 내접치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동력전달부재의 제 2 치차부와 간헐적으로 이맞물림되어 제 2 치차부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트레이의 출입을 제공하는 출입치차와, 조리실 바닥면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치차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재와, 조리실의 바닥면상으로 관출되어 트레이가 착탈가능하게 끼워 맞춤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KR1019900004041A 1990-03-26 1990-03-26 조리기 KR920003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4041A KR920003826B1 (ko) 1990-03-26 1990-03-26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4041A KR920003826B1 (ko) 1990-03-26 1990-03-26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300A KR910016300A (ko) 1991-11-05
KR920003826B1 true KR920003826B1 (ko) 1992-05-15

Family

ID=1929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041A KR920003826B1 (ko) 1990-03-26 1990-03-26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8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300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517B1 (ko) 착탈자재한 용기를 갖춘 가열조리기의 용기착탈방법 및 그 장치
EP3680559B1 (en) Cooking appliance
KR20080095529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및 후드
KR20040024394A (ko) 토스터를 갖춘 전자렌지
EP3680557B1 (en) Cooking appliance
EP3681250B1 (en) Cooking appliance
KR920003826B1 (ko) 조리기
EP3973828B1 (en) Cooking appliance
CN108361764B (zh) 加热烹调器
KR100421858B1 (ko) 토스터 겸용 전자레인지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60062226A (ko) 피자 오븐의 도어 구동장치
JP2537944B2 (ja) 調理装置
CN220344176U (zh) 一种嵌入式多功能厨用烹饪器具
CN218074598U (zh) 厨房电器
RU2242157C1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с тостером для хлеба
CN215686996U (zh) 烹饪器具
KR940007589Y1 (ko) 오븐레인지의 회전대 정회전 구조
CN219397014U (zh) 具有煎牛排功能的空气炸锅
CN220024802U (zh) 具有旋转烤笼功能的烤箱
KR200302294Y1 (ko) 인출가능한음식물트레이를갖는전자렌지
CN111938458B (zh) 一种烘烤装置及控制方法
JP3695034B2 (ja) 複合加熱炊飯器
JP6917733B2 (ja) 加熱調理器
KR200178414Y1 (ko) 전자레인지 도어
KR200193607Y1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