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702Y1 - 수유 보조구 - Google Patents

수유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702Y1
KR920003702Y1 KR2019900013969U KR900013969U KR920003702Y1 KR 920003702 Y1 KR920003702 Y1 KR 920003702Y1 KR 2019900013969 U KR2019900013969 U KR 2019900013969U KR 900013969 U KR900013969 U KR 900013969U KR 920003702 Y1 KR920003702 Y1 KR 920003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infant
locker
hing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856U (ko
Inventor
곽후영
Original Assignee
곽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후영 filed Critical 곽후영
Priority to KR2019900013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702Y1/ko
Publication of KR920005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유 보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전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3도는 측판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측판의 절첩 상태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의 사용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면판 2, 2' : 측판
3 : 경첩 4 : 힌지
5 : 유아안치함 6, 7, 7', 10 : 걸대
8 : 유아용사물함 9 : 설합
본 고안은 산모가 젖먹이 유아에게 편리하게 젖을 먹일 수 있도록 안출한 수유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산모가 젖먹이 유아에게 모유를 먹일때는 앉은 상태에서 한쪽팔로 유아를 받치고 먹이게 되므로 팔이 매우 아플 뿐 아니라 젖을 먹이는 동안에는 다른 활동을 할 수 없었으며 또는 일어선 상태에서는 젖을 먹이기가 곤란하여 젖을 먹이면서 활보가 어려운등 여러 가지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유아를 눕힐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 유아안치함에 걸대를 부착하여 이를 어깨에 걸어 메달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고 후면판(1)과 양측판(2), (2')을 절첩되도록 경첩(3) 또는 힌지(4)로서 축지시킨 유아안치함(5)의 측부에 목걸이용걸대(6)를 횡으로 연결시킨 어깨걸이용 걸대(7), (7')를 각각 부착하고 유아안치함(5)의 저부에는 유아용 사물함(8)을 설합(9)식으로 설치하여 전면에 요출받이용 걸대(10)를 부착하여서 되는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1은 측판의 외면에 봉착시킨 포지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유아안치함(5)의 내부에 적당한 이불등을 깔고 이에 유아을 눕힌다음 걸대(6), (7), (7'), (10)를 이용하여 산모의 몸에 걸어 매달으므로서 유아를 손으로 받치지 않고 젖을 먹일 수 있도록 한것인데 이를 실시함에 있어서는 어깨걸이용 걸대(7), (7')를 어깨에 매었을 때 유아안치함(5)에 눕힌 유아가 누워서 산모의 젖을 편안하게 빨 수 있는 높이가 되도록 그 길이를 조절한 후 이를 양쪽 어깨에 걸고 당해 어깨걸이용 걸대(7), (7')를 횡으로 연결한 목걸이용 걸대(6)는 목이나 또는 그 아래의 동부에 오도록 긴장상태로 걸어맨후 유아용사물함(8)에 부착시킨 요추받이용 걸대(10)를 허리에 둘러 걸게되면 유아안치함(5)은 첨부도면 제5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산모의 복부앞에 안정된 상태로 착용된다.
따라서 제5도 및 제6도와같이 서거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유아안치함(5)에 누윈 유아에게 간단히 젖을 먹일 수 있으며 모유가 아닌 젖병을 이용해 우유를 먹일때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유아안치함(5)을 구성하는 후면판(1)과 양측판(2), (2')은 절첩할 수 있도록 경첩(3)이나 힌지(4)로서 축지되어 있으므로 보관할때나 휴대시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측판(2), (2')을 먼저 안으로 회전하여 접은 후 후면판(1)을 아래로 접게 되면 유아안치함(5)은 매우 적은 부피로 축소되므로 전체 크기는 유아용사물함(8)보다 약간 큰 크기로 축소되어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유아안치함(5)의 저부에 형성된 설합(9)식의 유아용사물함(8)에는 유아에게 젖을 먹일 때 필요한 젓병, 기저귀, 수건, 우유등을 휴대하면 외출시에 이들을 넣을 가방등을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도 아울러 가진다.
그리고 본 고안을 제작시에는 유아용사물함(8)의 전면이 착용시에 복부에 당접되므로 첨부도면과 같이 유아용사물함(8)의 전면을 중앙이 요입되도록 호상의 만곡면으로 형성하면 복부의 전면에 밀착되어 편안하고 착용으로 인한 부담감을 가소할 수 있으며 전면의 모서리부분도 호상으로 형성하면 제6도와 같이 착석시 신체의 곡선을 따라 밀접되어 딱딱한 감을 줄일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유아를 손으로 받치지 않고 가정이나 차내에서 젖을 간편하게 먹일 수 있으므로 수유시 팔이 아픈 고통을 해소할 수 있고 수유를 하면서 활동이 가능하여 다른 일을 할 수 있을뿐 아니라 수유용구도 휴대가 가능하여 수유보조구로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주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고 후면판(1)과 양측판(2), (2')을 절첩시키도록 경첩(3) 또는 힌지(4)로서 측지시킨 유아안치함(5)의 축부에 목걸이용 걸대(6)를 횡으로 연결시킨 어깨걸이용 걸대(7), (7')를 각각 부착하고 유아안치함(5)의 저부에는 유아용사물함(8)을 설합(9)식으로 설치하여 전면에 요추받이용 걸대(10)를 부착하여서 되는 수유보조구.
KR2019900013969U 1990-09-06 1990-09-06 수유 보조구 KR920003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969U KR920003702Y1 (ko) 1990-09-06 1990-09-06 수유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969U KR920003702Y1 (ko) 1990-09-06 1990-09-06 수유 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856U KR920005856U (ko) 1992-04-21
KR920003702Y1 true KR920003702Y1 (ko) 1992-06-08

Family

ID=1930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969U KR920003702Y1 (ko) 1990-09-06 1990-09-06 수유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7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908B1 (ko) * 2009-02-16 2011-03-08 황보의 수유 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908B1 (ko) * 2009-02-16 2011-03-08 황보의 수유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856U (ko) 199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8514A (en) Infant carrier
US6061854A (en) Adjustable nursing pillow assembly
US8424732B1 (e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US8701949B1 (e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KR920000588Y1 (ko) 두부안식키트(頭部安息 Kit)
US6708354B1 (en) Adjustable wrap for pillow used for supporting baby when nursing
CA2806360C (en) Baby carrier
AU693612B2 (en) Support pillow with lumbar support for use in nursing and other applications
US6189169B1 (en) Adjustable wrap for pillow used for supporting baby when nursing
US8281435B2 (en) Reversible head-support and bottle-support baby pillow
JP2002105713A (ja) ベビーキャリアー
CN207220454U (zh) 用于婴幼儿坐躺的一体化多功能出行包
US7669743B2 (en) Adjustable infant carrier
KR920003702Y1 (ko) 수유 보조구
US20100200625A1 (en) Infant travel system
CN210407824U (zh) 一种婴幼儿多功能护理腰凳
KR20130034100A (ko)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CN203153169U (zh) 一种多功能便携式婴儿托座
CN212439169U (zh) 一种新型用于产科护理的产妇卧姿调节靠背
JPH09299198A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CN218338060U (zh) 一种多功能哺乳枕
JPH09234140A (ja) ベビーホルダー兼用ウエストバッグ
CN211431922U (zh) 一种便携式可收纳腰凳包
CN202843045U (zh) 多功能折叠婴儿背架
KR102612662B1 (ko) 힙시트와 수유시트로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아기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