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509Y1 -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509Y1
KR920003509Y1 KR2019890008027U KR890008027U KR920003509Y1 KR 920003509 Y1 KR920003509 Y1 KR 920003509Y1 KR 2019890008027 U KR2019890008027 U KR 2019890008027U KR 890008027 U KR890008027 U KR 890008027U KR 920003509 Y1 KR920003509 Y1 KR 920003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pstan
shaft
cassette
tape rec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432U (ko
Inventor
이문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8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509Y1/ko
Publication of KR9100014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5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제2도의 평면도로서 제3a도는 아이들기어가 치합연동된 상태도이고, 제3b도는 아이들기어가 해체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덱크 5 : 하우징
6 : 캡스턴축 7 : 풀리
8 : 캡스턴기어 9 : 이동편
10 : 아이들기어축 11 : 아이들기어
12 : 장공 14 : 동력전달기어
16 : 가이드홈 17 : 랙
18 : 지지가이드핀 19 : 구동레버
20 : 구동기어 22 : 회동레버
23 : 고정핀 24 : 탄력스프링
본 고안은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캡스턴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카세트를 릴축에 로딩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카세트를 릴축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카세트 로딩모터를 설치하여 이 카세트 로딩모터를 구동시켜 카세트를 릴축으로 가이드되게 하여 정착토록하였다.
따라서, 이에따른 구성이 복잡하여 많은 부품수가 필요했고, 따라서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제작작업에 있어서도 많은 공정이 요구되어 작업공수가 좋지 못하였던 것이다.
뿐만아니라, 별도의 카세트 로딩모터를 구동시켜야 함으로 그에따른 전력낭비가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로 설치시킨 카세트 로딩모터를 구성하지 아니하고 캡스턴축을 회동시켜주는 캡스턴 모터에 의하여 캡스턴축을 회동시켜 줌은 물론 카세트도 함께 가이드시켜 릴축에 로딩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즉 테이프레코더에서 종래에 설치하여 구동시키는 모터하나를 줄임과 동시에 그에따른 구성을 간단하게 한 것으로 캡스턴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기어와 양면랙을 치합 연동되게 설치하고 또한 양면랙과 구동기어를 치합연동되게 설치함으로써 캡스턴 모터의 동력을 상기 기어의 치합연동 또는 이탈에 의하여 카세트를 릴축에 로딩시킴과 아울러 캡스턴축의 회동에 의한 테이프가이드를 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테이프 레코더의 덱크(1)상에 가이드공(2)과 가이드핀(3)이 설치된 카세트홀더(4)를 갖는 하우징(5)을 설치하고, 또한 캡스턴축(6)을 축설한 풀리(7)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축(6)에는 캡스턴기어(8)를 축설하고 이에 이동면(9)과 아이들기어축(10)을 착설한 아이들기어(11)를 치합연동되게 설치하되 아이들기어축(10)은 덱크(1)에 장공(12)을 형성하여 이에 삽입 가이드되도록하며 이동편(9) 양측에는 걸림돌기(13)를 설치한다.
또한 아이들기어(11)에는 동력전달기어(14)를 치합 연동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기어(14)에는 측면과 상면에 각각 기어(15), (15')를 형성하고 가이드홈(16)을 형성한 랙(17)을 치합연동되게 설치하되 가이드홈(16)에는 덱크(1)와 고정된 지지 가이드핀(18)을 삽입하여 지지가이드 될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랙(17)의 상면에 형성한 기어(15')에는 구동레버(19)를 갖는 구동기어(20)를 치합연동되게 설치하되 구동레버(19)에는 장공(21)을 형성하여, 이에 상기 카세트홀더(4)의 가이드핀(3)이 삽설되도록한다.
그리고 상기 덱크(1)에는 작동레버(22)를 고정핀(23)으로 회동가능하게 착설하되 작동레버(22)는 상기 이동편(9)를 밀어 작동토록하며, 또한 상기 아이들기어(11)이 아이들기어축(10)과 밀착지지되도록 탄력스프링(24)을 탄력설치하여서 된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25은 테이프 가이드롤러, 26은 탄력스프링(24)의 이탈방지용 스톱퍼, 27은 핀치롤러, 28은 벨트, 29는 카세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세트(28)를 릴축(도시치않음)에 로딩시키기 위하여 하우징(5)에 설치한 카세트홀더(4)에 카세트(29)를 밀어넣으면 이때 카세트홀더(4)에 설치되어 있는 감치스위치(도시치않음)에 의하여 카세트(29)가 카세트홀더(4)에 장착되어 있음을 감지하여 기기내에 장치되어 있는 마이콤(도시치않음)으로 전달한다. 이때 마이콤에 의하여 캡스턴 모터(도시치않음)를 구동시키면 캡스턴모터의 구동력은 벨트(28)에 의하여 풀리(7)를 회동시킨다. 풀리(7)가 회동됨에 따라 풀리(7)에 축설한 캡스턴기어(8)를 회동시키고 캡스턴기어(8)를 회동시킴에 따라 이와 치합연동된 아이들기어(11)를 회동시키며, 아이들기어(11)를 회동시킴에 따라 이와 치합연동된 동력전달기어(14)를 회동시킨다. 또한 동력전달기어(14)에 랙(17)의 측면기어(15)와 치합 연동되어있어 동력전달기어(14)가 회동함에 따라 랙(17)은 직선운동을 한다. 이때 랙(17)의 상면기어(15')와 치합연동된 구동기어(20)를 회동시킨다. 구동기어(20)가 회동함에 따라 이에 형성된 구동레버(19)가 회동된다. 이때 구동레버(19)는 카세트홀더(4)의 가이드핀(3)과 삽설되어 있으므로 구동레버(19)가 회동함에 따라 카세트(29)가 장착된 카세트 홀더(4)를 가이드공(2)를 따라 가이드시켜 릴축에 카세트(29)를 로딩시키는 것이다.
이후 상기 마이콤에 의하여 캡스턴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카세트(29)가 릴 축에 로딩되는 작동이 완료되는 것이다.
다음 테이프레코더는 모우드 변환을 하게되는데 빨리감기나, 뒤감기시에는 본 고안에서의 작동변화는 일어나지 않고 정상플레이를 하기위하여 테이프로딩모터(도시치않음)가 작동되면 이때 테이프를 로딩시키기 위하여 테이프 가이드롤러(25)가 가이드된다. 이때 테이프 가이드롤러(25)와 고정설치된 회동레버(22)가 고정핀(23)을 중심으로 회동을 하게되는데, 이때 회동레버(22)는 아이들기어(11)에 축설된 이동편(9)을 밀게되어 아이들기어(11)는 캡스턴기어(8)와 동력전달기어(14)에서 이탈된다.
그러므로 캡스턴기어(8)와 동력전달기어(14)가 떨어져 캡스턴기어(8)의 구동력은 동력전달기어(14)로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것이다. (제3b도 참조)
이후, 카세트(29)의 테이프가 완전히 정상플레이를 하기위한 로딩이 이루어지면 다시 상기 마이콤에 의하여 캡스턴모터를 구동시켜 캡스턴 축(6)을 회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핀치롤러(27)는 캡스턴축(6)과 밀착시켜 그 사이에 테이프가 삽입되어 이들의 밀착력에 의하여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것이다. 테이프주행이 끝나면, 즉, 정상플레이가 완료되면 캡스턴모터는 구동이 정지된다.
다음, 정상플레이가 끝나고 언로딩시키기 위하여 테이프 로딩모터를 가동시키면 상기에서 테이프가 로딩될때 테이프 가이드롤러(25)가 가이드되는 반대방향으로 가이드 됨에따라 회동레버(22) 역시 반대반향으로 회동하여 회동레버(22)가 밀착하여 밀고있는 이동편(9)으로부터 이탈하게된다. 이때 아이들기어축(10)과 밀착지지되어 탄력설치된 탄력스프링(24)의 탄발력에 의하여 아이들기어축(10)을 밀게되면 아이들기어축(10)은 장공(12)에서 가이드되어 아이들기어(11)는 상기의 캡스턴기어(8)와 동력전달기어(14)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다시 치합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언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릴축에 장착된 카세트(29)를 인출시키기 위하여 다시 캡스턴모터를 작동시켜 역회동 시키면 벨트(28)에 의하여 풀리(7)를 회동시킨다. 이때 풀리(7)의 회동 역시 역회동한다. 따라서 이와 일체로 축설된 캡스턴기어(8)도 역회동하고 이 역회동을 이용하여 릴축에 장착된 카세트(29)는 릴축으로부터 이탈되어 외부로 인출하게 되는 것인데, 이에대한 작동순서는 상기에서 카세트(29)를 릴축에 장착할때와 역순서로 이루어지며 이에따라 작동원리는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의 지지가이드핀(18)은 랙(17)의 가이드홈(16)에 삽입지지되어있어 랙(17)이 직선운동을 할때 안정된 직선운동을 할수있도록 하는 역할을하며, 이동편(9) 양측의 걸림돌기(13)는 이동편(9)이 이동할때 안정된 이동을 이룰수있도록 함은 물론 아이들기어(11)가 회동하여 아이들기어축(10)이 회동할때 이동편(9)은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이를 더욱 안정되게 하기위하여 걸림돌기(13)를 이동편(9) 양측에 설치하여 안정성을 부여한 것이다.
그리고, 스톱퍼(26)은 압축스프링(24)의 압축된 탄발력을 유지하고 또한 탄력스프링(24)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카세트(29)를 로딩시키기 위한 카세트 로딩모터를 구성하지 아니하고 캡스턴모터에 의하여 캡스턴축(6)을 회동시켜 테이프의 정상플레이를 행할수 있음은 물론 카세트(29)의 로딩을 함께 이룰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종래의 복잡한 구성을 간단히하여 원가절감 및 작업공수를 좋게함은 물론 전력의 낭비를 줄일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2)

  1. 테이프레코더의 덱크(1)상에 하우징(5)과 풀리(7)를 갖는 캡스턴축(6)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축(6)에 캡스턴기어(8)을 축설하고, 또한 아이들기어(11)와 동력전달기어(14) 및 랙(17)을 설치하되 이들이 치합연동되게 설치하며 랙(17)에는 구동기어(20)를 치합연동되게 설치하여 카세트(29)를 로딩 및 언로딩 시킬수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아이들기어(11)에는 이동편(11)과 아이들 기어축(10)을 설치하고 아이들기어축(10)은 덱크(1)에 장공(12)를 형성하여 이에 가이드되도록 삽설하며, 또한 회동레버(22)를 고정핀(23)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이동편(9)을 작동하도록하고 탄력스프링(24)을 탄력 설치하여 상기 아이들기어축(10)을 탄력 지지하며, 랙(7)에는 가이드홈(16)을 형성하여 이에 지지가이드핀(18)이 삽입되고, 구동기어(20)에는 구동레버(19)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
KR2019890008027U 1989-06-10 1989-06-10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 KR920003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027U KR920003509Y1 (ko) 1989-06-10 1989-06-10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027U KR920003509Y1 (ko) 1989-06-10 1989-06-10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432U KR910001432U (ko) 1991-01-24
KR920003509Y1 true KR920003509Y1 (ko) 1992-05-30

Family

ID=1928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027U KR920003509Y1 (ko) 1989-06-10 1989-06-10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5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432U (ko) 199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57921B1 (en) Magnetic recording/playback device
US5003418A (en) Reel-driving clutch assembly for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890013620A (ko) 릴 구동 장치
US5251845A (en) Reel driving apparatus for tape recorder
KR920003509Y1 (ko) 테이프레코더의 로딩장치
KR91000011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
US3967796A (en) Automatic return device for use in cassette tape recorder
US5833163A (en) Reel table driving apparatus for tape cassette recorder
US4423847A (en) Tape reel driving mechanism
KR100213082B1 (ko)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 구동장치
KR100189930B1 (ko) 테이프 릴 구동장치
KR950002289Y1 (ko) Vtr의 랙 플레이트와 링기어 구동용 3단 캠기어 장치
KR900003246B1 (ko) Vtr의 로딩장치
KR860001854Y1 (ko) 브이티알(vtr)의 로우딩링 구동용 동력 전달장치
JPH1092060A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用リールテーブル駆動装置
KR890006625Y1 (ko) 2단 기어를 이용한 브이 씨 알의 로딩장치
KR890004761B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오더(dat)의 로딩장치
KR011790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클러치장치
KR950005748Y1 (ko) 테이프 릴 구동을 위한 클러치 구동장치
JPH056586Y2 (ko)
KR910003267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데크의 테이프 구동장치
KR900007824Y1 (ko)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JPH021711Y2 (ko)
KR900005074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릴 구동장치
KR940001217Y1 (ko) 비데오의 릴 회전 방향 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