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699Y1 - 몰탈시공용 비드(vead) - Google Patents

몰탈시공용 비드(v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699Y1
KR920002699Y1 KR2019890005739U KR890005739U KR920002699Y1 KR 920002699 Y1 KR920002699 Y1 KR 920002699Y1 KR 2019890005739 U KR2019890005739 U KR 2019890005739U KR 890005739 U KR890005739 U KR 890005739U KR 920002699 Y1 KR920002699 Y1 KR 920002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groove
width
mortar
n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5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0446U (ko
Inventor
김덕용
Original Assignee
김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용 filed Critical 김덕용
Priority to KR2019890005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699Y1/ko
Publication of KR900020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04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04F15/14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142Dividing strips or boundary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몰탈시공용 비드(VEAD)
제 1 도는 이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이 고안의 측면 구성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이 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홈구성요소 2 : 초벌바르기기준요소
3 : 앵커요소 4 : 마감바르기기준요소
5 : 폭조절수단 6 : 틈은폐수단
7 : 차폐수단 51 : 글로브
52 : 소폭돌조 53 : 대폭돌조
54 : 속수편 55 : 록커
61 : 바닥부재 62 : 수용부
71 : 속수편 72 : 수용부
73 : 글로브 74 : 차폐부재
이 고안은 몰탈 시공용 비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소 홈의 폭을 선택하여 시공 할수 있게하고 또한 홈 이면에 완충부재의 사용에 대신할수 있는 차폐구조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몰탈 시공용 비드는 주로 몰탈면에 형성되는 홈을 정교하고 뚜렸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 되고 있으며, 몰탈바르기 과정에서 초벌 바르기 또는 마감바르기의 기준요소와 윤곽의 기준요소를 제공함으로써 몰탈 바르기 작업의 효율을 높여주고, 또한 정밀시공을 유도하며, 몰탈면의 장식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의 비드와는 사용 목적에 있어서 다소 상이한 비드로서는 본 고안자에 의하여 선출원으로서 제안 되고 있는 걸래받이등의 솟은 턱주기비드, 들어간 턱주기비드, 이질재료 시공시 경계면에 시공되는 비드 또는 천정재 접속용 비드 등이 있다.
선출원으로서 제안되고 있는 홈내기 비드 에서는 중앙에 절단홈을 구비하여 홈내기 비드를 턱주기 비드로 전용할수 있게 되어 있는 것, 이등분 홈내기 비드의 형태를 큰폭과 좁은폭의 것으로 구성하여 서로 짝지움에 따라 홈의 폭을 대, 소로 선택할수 있게 되어 있는것 그리고 일정한폭의 완전한 홈을 형태로 구성되어진 것 등이 있으나, 상기 절단홈을 갖는 것은 현장에서 비드를 쪼개어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몰탈바르기 작업지연요소가 되고 또한 홈의 폭을 대, 소로 선택할수 없으며, 상기 짝지어 사용할수 있게 되어 있는 분리형비드는 연결부의 틈새가 홈의 외면으로 노출되어 정교한 맛을 잃을 뿐아니라 틈새를 막기위하여 이면에 완충부재(백업)를 끼워 사용해야만 하는 것으로서 그 이용이 불편하며, 상기 완전한 홈의 형태로되어 있는 비드는 홈의 규격이 단일화되어 현장에서 시공상의 융통성을 유지할수 없는 것이었다.
이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비드들의 결점을 감안하여, 현장에서 홈의 폭을 대, 소로 선택할수 있고, 틈새가 보이지 아니하며, 완충부재를 사용치 않아도 되는 몰탈시공을 홈내기비드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비드는 2단계로 홈의 폭을 조절할수 있게 하는 2단계 폭 조절수단과, 상기 폭의 조절시 틈이 보이지 않게 하는 은폐수단과, 상기의 폭 조절에 의하여 이면의 개구발생을 방지하는 차폐수단을 보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고안의 홈내기 비드에서 홈구성 요소(1)와, 초벌바르기 기준요소(2)과, 앵커요소(3)와, 마감바르기 기준요소(4)를 보유함은 선행 출원에서와 같다.
이 고안은 다음의 구성들에 의하여 상기 선행고안과는 명백히 상이한 것이다.
이 고안은 폭 조절수단(5)과, 틈새은폐수단(6)과, 차폐수단(7)을 보유한다.
상기 폭 조절수단(5)은 좌부재측의 글로브(51)내면에 소폭 및 대폭 설정용으로 형성되는 소폭돌조(52) 및 대폭 돌조(53)와, 우부재측의 속수편(54)외단에 형성되는 록커(5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틈새 은폐수단(6)은 홈의 대, 소폭을 커버하는 좌부재측의 바닥부재(61)와, 우부재측에 구성되고 또한 바닥부재(61)의 출입을 허용하면서 홈구성요소(1)가 접속되어 틈새의 발생을 허용하지않는 수용부(6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수단(7)은 좌부재측의 속수편(71)과 우부재측의 수용부(72) 그리고, 좌부재측의 글로브(73) 및 우부재측의 차폐부재(74)로 되어 있는 것이다.
도면상의 미설명부호 8은 초벌바르기 몰탈, 9는 마감바르기 몰탈을 보인 것이다.
이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고안 비드의 사용법은 좌부재와 우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홈구성요소(1)가 몰탈마감면 상의 정 위치에 오도록 시멘트 반죽을 이용하여 비드를 벽면에 부착한다음, 초벌바르기 기준요소에까지 몰탈의 초벌 바르기를 시행하고, 다시 마감 바르기 기준요소에까지 마감몰탈을 채워 바르면 되는 것인데, 몰탈 시공 상태에서 보면 홈의 윤곽 및 홈의 형태는 비드에 의해서 형성되므로, 홈의 형태나 윤곽이 정밀하게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몰탈의 두께나 마감면을 정확하게 시공할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고안에서는 특히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홈의 대, 소폭을 시공 현장에서 선택할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홈의 대, 소폭의 선택은, 좌부재의 속수편(54)끝에 구성된 록커(55)가 글로브(51)의 소폭돌조(52)에 걸려있을때에 대응되어 있는 홈구성요소(1)는 가까히 접근하여 (제 4 도) 홈은 소폭상태가 되는 것이고, 좌부재 속수편(54)끝의 록커(55)가 글로브(51)의 대폭돌조(53)에 걸려 있을때 상기 홈구성요소(1)는 간격이 멀어져 홈은 대폭상태가 되는 것이므로 소폭상태로 제공된 비드의 홈을 대폭상태로 바꾸기 위해서는 좌우부재를 좌우로 벌려주어, 상기 소폭돌조(52)에 걸려있는 록커(55)를 대폭돌조(53)의 위치로 이동시켜주면 되는 것이며, 상기의 조작에 의하여 대응되어있는 홈 구성요소(1)는 대응간격이 멀어져 홈의 폭이 확대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록커(55)는 돌조(53)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확대된 홈의 폭은 일정한 등폭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홈의 폭이 조절됨에도 불구하고, 홈의 내면에서 틈새가 보이지 아니한다. 즉, 상기 홈의 폭이 조절시 좌부재측의 바닥부재(61)가 우부재측의 수용부(62)에 출입되면서, 상기 바닥부재(61)의 상면이 상기 수용부와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기때문에 이 고안된 비드는 상기와 같이 그 폭조절을 행하더라도 외부에서 틈이 보이지 아니하여 벌레의 칩거지로 사용될수있는 틈을 허용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또한 정교 단정한 외관을 유지시킬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고안은 상기 비드의 신축 연결부에 완충부재를 사용할필요가 없는 것이다. 즉, 상기 비드에 구성된 차폐수단(7)은 상기 소폭상태를 유지하고 있을때에는 물론 대폭상태를 유지하고 있을때에도 다같이 속수편(71)이 수용부(72)에 걸려있고 또한 차폐부재(74)가 글로브(73)의 개구를 봉쇄하게되어 상기 비드의 폭 조절상태에 관계없이 비드의 후방 개구가 닫혀 있게되어 별도의 충진재 또는 완충재의 사용이 없이도 벽체의 열팽창 수축등에 따르는 물리적변화에 적응할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벽면의 표면에 나타나는 균열현상을 미연에 방지할수가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비드를 실외벽면에 가로열로 시공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글로브(73)와 차폐부재(74)등에 의하여 빗물의 내부 유입을 방지 할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이 고안은 상기의 비드의 폭조절 동작시에 상기 바닥부재(61)가 수용부(62)에 안내되고 또한 속수편(71)이 수용부에 안내됨에 의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 고안은 현장에서 신속하게 대폭 또는 소폭으로 선택하여 시공할수가 있고, 시공후 좌, 우부재가 은폐되어 정교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완충부재없이 사용할수 있는 몰탈시공용 비드를 제공하게 된것이다.

Claims (1)

  1. 홈구성요소(1)와, 초벌바르기 기준요소(2)와, 앵커요소(3)와, 마감바르기 기준요소(4)를 가지는 홈내기 비드에 있어서, 좌부재 측의 글로브(51)내면에 소폭및 대폭설정용 소폭돌조(52)및 대폭돌조(53)를 구성하고 우부재측의 속수편(54) 외단에 록커(55)를 구성한 폭조절수단(5)과, 좌부재측의 바닥부재(61)와 우부재측의 수용부(62)로 구성되는 틈새 은폐수단(6)과, 좌부재측의 속수편(71)과 우부재측의 수용부(72) 그리고 좌부재측의 글로브(73)와 우부재측의 차폐부재(74)로 구성되는 차폐수단(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탈시공용 비드.
KR2019890005739U 1989-05-02 1989-05-02 몰탈시공용 비드(vead) KR920002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5739U KR920002699Y1 (ko) 1989-05-02 1989-05-02 몰탈시공용 비드(v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5739U KR920002699Y1 (ko) 1989-05-02 1989-05-02 몰탈시공용 비드(ve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446U KR900020446U (ko) 1990-12-13
KR920002699Y1 true KR920002699Y1 (ko) 1992-04-27

Family

ID=1928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5739U KR920002699Y1 (ko) 1989-05-02 1989-05-02 몰탈시공용 비드(ve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6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923A (ko) * 2004-12-17 2006-06-21 병 균 임 온돌바닥의 미장층 균열방지용 신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446U (ko) 199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3686A (en) Outer hearth pad
US4716704A (en) Fabric covered spline assembly
IT1237856B (it) Fabbricazione di componenti mediante deposizione stratificata
SE7907171L (sv) Stol for askadarplats
KR920002699Y1 (ko) 몰탈시공용 비드(vead)
USD416099S (en) Candle holder
KR20120134947A (ko) 천정 몰딩용 코너장식구
ITMO970132A0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tessere per mosaico dotate di aspett o anticato e tessere cosi' riprodotte.
US5109644A (en) Glass block for use as a cornerstone or an end block
IT1310979B1 (it) Metodo per fabbricare piastrelle aventi l'aspetto delle antichepiastrelle rustiche di fabbricazione artigianale.
ITFI940031U1 (it) Un decoro per mobili,in particolare per parti a legno visto di mobili imbottiti.
KR830001845Y1 (ko) 입체 도형이 형성된 합성수지제 거울테
KR20230071088A (ko) 우물조명 프레임
JP2547298Y2 (ja) 台所キャビネット用化粧材
JPH06173503A (ja) 垣形成用支柱
KR200143036Y1 (ko) 외장용 다이케스팅 판넬
JPH0767707A (ja) 時計バンドの駒
KR890008543Y1 (ko) 장식용 시계
JPS6310030Y2 (ko)
KR960010477Y1 (ko) 건축용 계단대
KR940004884Y1 (ko) 유리고정구
KR200260493Y1 (ko) 모서리 타일
IT1247618B (it)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rivestimenti decorativi per i mobili d'arredamento
KR860001612Y1 (ko) 모자이크 장식구
JPS632651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