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496Y1 - 전기 코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496Y1
KR920002496Y1 KR2019870023743U KR870023743U KR920002496Y1 KR 920002496 Y1 KR920002496 Y1 KR 920002496Y1 KR 2019870023743 U KR2019870023743 U KR 2019870023743U KR 870023743 U KR870023743 U KR 870023743U KR 920002496 Y1 KR920002496 Y1 KR 920002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ion
housing
arm
arm portion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5420U (ko
Inventor
오사무 오노
Original Assignee
다이꼬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하시 히데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꼬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하시 히데또시 filed Critical 다이꼬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5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54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4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코넥터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전기 접속단자를 수납하는 하우징의 구성부재인 본체부의 정면도.
제 2 도는 동평면도.
제 3 도는 저면도.
제 4 도는 측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해본 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요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 7 도는 하우징의 다른 구성부재인 덮개부의 정면도.
제 8 도는 동 평면도.
제 9 도는 저면도.
제 10 도는 측면도.
제 11 도는 제 7 도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해서 본 단면도.
제 12 도는 상기 본체부에 덮개부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제 13a, b 도는 종래의 전기접속 단자의 사시도.
제 14 도는 하우징 내에 동 전기접속단자를 수납한 상태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 15 도는 등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전체 4 : 전기접속단자
6 : 제 1 아암부 7 : 제 2 아암부
9,10 : 접촉면 14 : 하우징
38 : 이격규제부
본 고안은 평케이블(Flat cable) 등의 두께가 얇은 접속용 도전체를 안정되고 확실하게 다른 회로에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이런종류의 전기코넥터로서, 예컨데, 일본국 소화 60년 특허출원 공고 제 35791 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13a 및 b도) 및 소화 60년 특허츨원공고 제 101886 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제 14 도, 제 15 도)이 있었다.
도면에 있어서, 참고부호 A는 도전성 금속소재의 타발에 의해 형성한 접속단자이며, 이 단자(A)는 기부(B)로부터 상방향으로 U자상으로 뻗어나온 제 1 아암(C) 및 제 2 아암(D)과, 기부(B)로부터 하부방햐응로 뻗어나온 납땜부(E)로 이루어졌다.
이 제 1 아암(C)의 자유단은 내부 방향으로 경사되어 있는 동시에 그것의 자유단의 근방에는 제 1 아암(C)의 면에 대하여 거의 직각이며, 또한 이면의 긴쪽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굴곡 시키므로서, 갈고리 형부(F)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갈고리 형부(F)의 상면에는 도전체(G)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면(H)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아암(D)에는 그것의 외연부에 따라서 이 아암(D)의 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굴곡하여 프랜지부(I)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I)의 중앙부에는 외부 방향으로 약간 절곡하여 걸림클릭(J)이 형성되어 있다.
제 13b 도는 상기한 납땜부(E)를 기부(B)의 우단부에 설치한 접속단자(A)이다.
참고부호 K는 상기한 접기접속단자(A)를 수납하는 절연재로 형성된 하우징이며, 이 하우징(K)내에는 전기 접속 단자(A)를 수납하는 복수자의 관통구(L)와, 이 단자(A)의 걸림클릭(J)과, 걸어맞추기 위한 걸림구멍(M)과, 갈고리형부(F)의 접촉면(H)과 플랜지부(I)와의 사이에 끼워 장착되는 볼록상 접촉부(N)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참고 부호 0는 상기한 플랜지부(I)가 삽입되는 지지홈이고, 참고부호L1은 관통구(L)의 입구이고, 참고부호 L2는 출구이다.
그래서, 전기접속단자(A)를 하우징(K)내에 수납하면 이 단자(A)의 납땜부(E)가 하우징(K)의 관통구(L1)의 출구(L2)로 부터 밖으로 돌출한다. 또, 전기접속단자(A)의 플랜지부(I)는 하우징(K)의 지지홈(O)에 삽입되는 동시에 걸림클릭(J)이 걸림구멍(M)에 걸어 맞춤으로써 전기접소단자(A)는 하우징(K)내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 전기접속단자(A)의 갈고리형부(F)의 접촉면(H)의 하부는 하우징(K)의 볼록상 접촉부(N)의 접촉면에 밀착하고, 또한 제 1 아암(C)은 하우징(K)의 내측벽부(P)에 대하여 이 아암(C)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 할 수가 있을 정도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도전체(G)를 하우징(K)의 관통구(L) 입구의 입구(L1)에 삽입하면, 이 도전체(G)는 전기접속단자(A)의 갈고리형부(F)의 접촉면(H)과 하우징(K)의 불록상 접촉부(N)의 접촉면과의 사이에서 협압파지되고, 한편, 전기접속단자(A)의 납땜부(E)를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납땜접속함으로써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전기 코넥터(A)는 상기와 같이 도전성을 가진 제 1 아암(C)의 압압력 만으로 절연성의 볼록상 접촉부(N)에 도전체(G)를 협압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그 전기 접촉이 불안정하며, 특히 평케이블과 같이 극히 두게가 얇은 도전체(G)를 전기접속시킬 경우에는 그것이 현저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 1 아암부와 제 2 아암부를 가진 전기 접속단자와 이 전기접속단자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전기 접속단자의 제 1 아암부 및 제 2 아암부의 대향부분에는 각각 도전체를 끼워서 부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아암부의 접촉면으로 부터 그것의 자유단부를 외측방향으로 굴곡시키고, 하우징에는 상기 제 2 아암부의 자유단부를 이동불능하게 지지하는 이격규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제 1 도 내지 제 12 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전기 접속 단자를 수납하는 하우징의 구성부재인 본체부의 정면도이며, 제 2 도는 동 평면도, 제 3 도는 동 저면도, 제 4 도는 동측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Ⅱ-Ⅱ 선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요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 7 도는 하우징의 다른 구성부재인 덮개부의 정면도, 제 8 도 동 평면도, 제 9 도는 저면도, 제 10 도는 측면도, 제 11 도는 제 7 도의 Ⅱ-Ⅱ선단면도, 제 12 도는 상기한 본체부에 덮개부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 12 도에 있어서, 참고부호 1 은 도전체인 평 케이블이며, 이 평 케이블(1)은 복수개의 선상체(2)를 병열하여 수지피막(3)으로 피복한 것으로, 그의 양단부는 노출시켜 단자로 하고 있다.
참고부호 4는 도전성 금속소자를 타발하여 형성한 전기 접속단자를 나타내고, 이 단자(4)는 기부(5)로 부터 상방으로 뻗어나온 제 1 아암부(6)와 제 2 아암부(7)와 고정부(8)로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제 1 아암부(6)는 기부(5)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뻗어나와 있으나, 제 2 아암부(7)는 그의 자유단부가 제 1 아암부(6)에 근접하도록 경사상태에서 뻗어나와 있다. 또 양 아암부(6, 7)의 자유단부의 근방의 대향면에는 소간극으로써 서로 평행한 접촉면(9, 10)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아암부(6)의 접촉면(9)으로부터 자유단부로 향해서는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아암부(7)는 접촉면(10)으로부터 자유단부로 향해서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한편, 구성형의 고정부(8)는 제 2 아암부(7)의 후부위치에서 기부(5)로 부터 수직상태로 뻗어나와 있으며, 그리하여, 복수개의 전기접속단자(4)의 절반에는 그의 제 1 아암부(6)의 측면에 선형단자(12)의 상단부분이 수직상태로 용착되고, 다른 절반의 전기접속단자(4)에는 기부(5)의 이면에 선형단자(13)의 상단이 수직상태로 용착되어 있다.
참고부호 14는 상기 전기접속단자(4)를 수납하는 절연재로 형성된 하우징이며, 이 하우징(14)은 본체부(15)와 덮개부(16)로 이루어지고, 본체부(15)는 앞벽부(17)와 후벽부(18)와 좌우의 측벽부(19)와 저벽부(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앞벽부(17)의 내면은 상현(17a)으로 향하여 외부방향의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앞벽부(17)의 내면에는 저벽부(20)로 부터 앞벽부(17)의 중간까지의 높이에 있어서 상기한 전기접속단자(4)의 제 1 아암부(6)를 수납하는 고정홈(23)이 격벽(24)을 통하여 병설되어 있다.
또, 상기한 각 수납홈(21)과 고정홈(23)을 잇는 저벽부(20)의 표면에는 전기접속단자(4)의 기부(5)의 하단팽출부(5a)가 진입하는 홈(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홈(21) 및 고정홈(23)의 저벽부(20)에는 상기한 선형단자(12 및 13)가 삽입되는 관통구(26)가 저벽부(20)의 이면으로 향하여 관통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4)의 저벽부(20)의 이면은 상기한 관통구(26)의 부분이 긴쪽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홈부(27)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앞벽부(17)의 좌우단부와 측벽부(19)와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덮개부(16)의 가이드판(28)이 삽입 자재한 위치 결정홈(29)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하우징(14)의 앞벽부(17)의 외면에는 그것의 좌우위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축(30)이 하부에는 원호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14)의 좌우의 측벽부 (19)의 외면의 하부에는 하우징(14)의 걸림용 훅크(32)가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16)는 하우징(14)의 상면을 폐색하는 천판부(33)와 이 천판부(33)의 이면의 좌우로 부터 대향하는 돌출된 한쌍의 가이드판(28)과 하우징(14)의 앞벽부(17)의 외면에 밀착하는 앞판부(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판부(33)에는 평케이블(도전체)(1)이 삽입되는 가로긴 삽입구(3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좌우의 가이드판(28)에 있어서 삽입구(35)의 긴쪽 방향의 한쪽에는 상기한 제 1 아암부(6)의 상반부가 삽입되는 수납홈(36)의 격벽(37)을 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격벽(37)의 하단은 본체부(15)에 덮개부(16)를 장착하였을 때, 본체부(15)의 격벽(22)의 상단에 맞닿지 않도록 짧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34)의 긴쪽 방향의 다른 쪽에는 전기접속단자(4)의 제 2 아암부(7)와 고정부(8)와의 사이에 끼워 장치되는 이격규제부(38)가 돌설되어 있으며, 이 이격규제부(38)의 외측면은 상기한 고정부(8)의 전면측과 밀착하도록 수직한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격 규제부(38)의 내면측에는 전기접속단자(4)의 제 2 아암부(7)를 삽입하는 삽입홈(39)이 격벽(40)을 통하여 병설되어 있다. 또, 각 삽입홈(39)이 있는 이격 규제부(38)의 내측면에는 천판부(33)의 이면에 접하는 상위부분은 제 2 아암부(7)의 자유단부가 맞닿도록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것의 하위부분은 하단으로 향하여 이격규제부(38)의 외측면에 근접하는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판부(34)의 외면에는 상기한 하우징(14)의 앞벽부(34)의 외면에는 상기한 하우징(14)의 앞벽부(17)의 외면에 형성된 훅크(30) 및 원호부(31)가 침입하는 창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전기접속단자(4)의 제 1 아암부(6)를 본체부(15)의 수납홈(21)에 삽입하고, 전기접속단자(4)의 고정부(8)를 고정홈(23)에 삽입하는 동시에 기부(5)의 하단 팽출부(5a)를 홈(25)에 삽입한다. 또, 선형단자(12,13)는 저벽부(20)의 관통부(26)을 통과하여 이면의 홈(27)으로 부터 외부로 돌출한후, 교호로 홈(27)에 따라서 직교상으로 절곡한다.
이어서, 하우징(14)의 본체부(15)에 덮개부(16)를 장착한다. 이때 덮개부(16)의 수납홈(36)에 제 1 아암부(6)의 상반부 부분을 침입시켜, 이격규제부(38)가 제 2 아암부(7)와 고정부(8)의 사이에 끼워 장치되는 동시에, 하우징(14)내의 위치 결정홈(29)에 가이드판(28)이 침입하도록 장착한다. 이에 의해, 덮개부(16)의 이격규제부(38)의 외면은 고정홈(23)내에 고정부(8)를 압압하여 전기접속단자(4)를 이동불능하게 고정시키고, 이 이격규제부(38)의 삽입홈(39)의 상면부에는 제 2 아암부(7)의 자유단부가 후부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맞닿는다. 또, 덮개부(16)의 앞판부(34)는 하우징(14)의 앞벽부(17)의 외면에 밀착한다. 이때 앞판부(34)의 창구멍(41)내에는 상기한 하우징(14)에 형성된 후크(30) 및 원호부(31)가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해서 전기 접속단자(4)는 하우징(14)내에 수납된다.
그리하여, 평 케이블(1)의 단자부를 하우징(14)의 삽입구(35)로 부터 삽입하고, 이 단자부를 제 1 아암부(6)와 제 2 아암부(7)의 접촉면(9, 10)사이에 압입하면, 제 1 아암부(6)의 자유단부는 자기의 탄성력에 버티면서 후부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제 2 아암부(7)의 자유단부는 자기의 탄성력에 버티면서 후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그것의 자유단부가 이격 규제부(38)에 의해 저지되어 있으므로, 접촉면(10)이탄성력에 버티면서 후퇴한다. 따라서, 평케이블(1)의 단자부는 제 1 아암부(6) 및 제 2 아암부(7)자체의 복원력과 제 2 아암부(7)의 접촉면(10)에서의 복원력에 의해 견고하게 협착된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 1 아암부(6)와 제 2 아암부(7)를 가진 전기접속단자(4)와, 이 전기접속단자(4)를 수납하는 하우징(14)으로 이루어지고, 전기 접속단자(4)의 제 1 아암부(6) 및 제 2 아암부(7)의 대향부분에는 각각 도전체(1)를 끼워 부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촉면(9, 10)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아암부(7)의 접촉면(10)으로부터 그것의 자유단부를 외측방향으로 굴곡시키고, 하우징(14)에는 상기한 제 2 아암부(7)의 자유단부를 이동불능하게 지지하는 이격규제부(3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체부(1)를 전기접속단자부(4)의 제 1 아암부(6)와 제 2 아암부(7)의 접촉면(9, 10)사이에 압입하면 제 1 아암부(6)의 자유단부는 자기의 탄성력에 버티면서 후부방향으로 이동한 또, 제 2 아암부(7)의 자유단부는 자기의 탄성력에 버티면서 후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그것의 자유단부가 이격규제부(38)에서 저지되어 있으므로, 접촉면(10)에 있어서의 복원력에 의해 견고하게 끼워부착되고, 특히, 평케이블과 같은 두께가 얇은 도전체(1)의 전기 접속에는 안정되고 확실하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 1 아암부와 제 2 아암부를 갖는 전기접속단자와, 이 전기접속단자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전기접속단자의 제 1 아암부 및 제 2 아암부의 대향부분에는 각각 도전체를 끼워 부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아암부의 접촉면으로 부터 그것의 자유단부를 외측향으로 굴곡시키고, 하우징에는 상기 제 2 아암부의 자유단부를 이동불능하게 지지하는 이격규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넥터.
KR2019870023743U 1987-01-16 1987-12-30 전기 코넥터 KR92000249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004735U JPH0535593Y2 (ko) 1987-01-16 1987-01-16
JP87-4735 1987-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420U KR880015420U (ko) 1988-09-15
KR920002496Y1 true KR920002496Y1 (ko) 1992-04-22

Family

ID=1159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743U KR920002496Y1 (ko) 1987-01-16 1987-12-30 전기 코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35593Y2 (ko)
KR (1) KR9200024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431Y2 (ko) * 1988-11-10 1992-12-03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2725A (en) * 1974-10-11 1976-04-12 Tetsukosha Kk 10hh88 aminopirito * 1*22a benzo * d * pirimijin 100 on 77 karubonsan oyobi sonojudotaino seizoho
JPS5393887A (en) * 1977-01-28 1978-08-17 Mitsubishi Petrochemical Co Analysis of nitrogen oxides in gases
JPS577186U (ko) * 1980-06-13 1982-01-14
JPH0441587Y2 (ko) * 1984-09-18 1992-09-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12784U (ko) 1988-07-20
JPH0535593Y2 (ko) 1993-09-09
KR880015420U (ko) 198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0079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metal fittings and guide portions
US5240430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to circit board application
US4602842A (en)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4808113A (en)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US4634195A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device
EP0112144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US3787801A (en) Double thickness p.c.b. flag terminal
JP3113116U (ja) Fpc用電気コネクタ
CA1239202A (en) Electrical connector
KR960036215A (ko)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용 전기 커넥터
EP0540260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to circuit board application
JP3424150B2 (ja) 電気コネクタ
US4921439A (en) Center wire trap terminal and connector
US5882231A (en) Switch connecting structure
US604540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olded electrical contacts
EP0109297B1 (en)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tact member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US3234499A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EP0385314A1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cable to board applications
KR920002496Y1 (ko) 전기 코넥터
KR850003995A (ko) 전기 접속자 조립체
US4634200A (en) Low profile stacking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4310210A (en) Plug-in type connector
JPH0555456U (ja) バスバーのタブ接続端子
US4494818A (en) Mounting member for electrical contacts
EP0385019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reloaded terminals and method of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