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471Y1 - Sealed gable top carton having a mouthpiece of one piece molding - Google Patents

Sealed gable top carton having a mouthpiece of one piece mo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471Y1
KR920002471Y1 KR2019910019161U KR910019161U KR920002471Y1 KR 920002471 Y1 KR920002471 Y1 KR 920002471Y1 KR 2019910019161 U KR2019910019161 U KR 2019910019161U KR 910019161 U KR910019161 U KR 910019161U KR 920002471 Y1 KR920002471 Y1 KR 920002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gable top
spout
pull tab
pap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1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미찌히로 안도오
료오이찌 가와지리
히로시 우에마쓰
Original Assignee
다이닛뽕 인사쓰 가부시기가이샤
키다시마 요시도시
메이지 뉴우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마무라 세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11968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3362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240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04942A/en
Priority claimed from JP1643438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33628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35598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4658Y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6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17123U/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닛뽕 인사쓰 가부시기가이샤, 키다시마 요시도시, 메이지 뉴우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마무라 세이조오 filed Critical 다이닛뽕 인사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910019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47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471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65D5/746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7Gable-top containers
    • B65D5/068Gable-top containers with supplemental means facilitating the opening, e.g. tear lines, tear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8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mi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일체 성형주출구를 가진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Gable Top Type Airtight Paper Container with Integrated Molding Outlet

제 1 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의 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gable top type pap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특히 주출구를 도시한 제 1 도의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의 확대파단 단면도.FIG. 2 is an enlarged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the gable top paper container of FIG.

제 3 도는 제 1 도의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의 주출구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pout of the gable top type paper container of FIG.

제 4 도는 제 1 도의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의 주출구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spout of the gable-top paper container of FIG.

제 5 도는 제 3 도 및 제 4 도의 좌측에서 본 주출구의 배면도.FIG. 5 is a rear view of the spout as seen from the left side of FIG. 3 and FIG.

제 6 도는 제 3 도 및 제 4 도의 우측에서 본 주출구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the ejection outlet seen from the right side of FIG. 3 and FIG.

제 7 도는 주출구가 일부 변형된 제 3 도와 같은 도면.FIG. 7 is a view like the third view where the spout is partially modified. FIG.

제 8 도는 제 1 도의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주출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pout suitable for use in the gable top paper container of FIG.

제 9 도는 제 8 도의 주출구의 종단면도.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ejection outlet of FIG.

제 10 도는 제 8 도의 주출구의 파단할 수 있는 뚜껑이 주출면부로 너무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의 설명도로서, 제 9 도와 같은 도면.FIG. 10 is an explanatory view of a method of preventing the breakable lid of the ejection outlet of FIG. 8 from being too pressed against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FIG.

제 11 도는 제 1 도의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주출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pout suitable for use with the gable top paper container of FIG.

제 12 도는 제 11 도의 주출구의 종단면도.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pout of FIG. 11;

제 13 도는 제 11 도의 주출구의 파단할 수 있는 뚜껑이 주출면부로 너무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의 설명도로서, 제 12 도와 같은 도면.FIG. 1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method of preventing the breakable lid of the spout of FIG. 11 from being pressed too much by the spout surface; FIG.

제 14 도는 제 1 도의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주출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pout suitable for use in the gable top paper container of FIG.

제 15 도는 제 14 도의 주출구의 종단면도.1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pout of FIG.

제 16 도는 제 14 도의 주출구의 일부 변형된 사시도.16 is a partially modified perspective view of the spout of FIG. 14;

제 17 도는 제 1 도의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주출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pout suitable for use in the gable top paper container of FIG.

제 18 도는 제 17 도의 주출구의 종단면도.1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pout of FIG. 17;

제 19 도는 제 18 도의 좌측에서 본 제 17 도의 주출구의 배면도.19 is a rear view of the spout of FIG. 17 seen from the left side of FIG. 18;

제 20 도는 제 17 도의 주출구가 일부 변형된 제 19 도와 같은 배면도.FIG. 20 is a rear view of the 19th degree with some modification of the spout of FIG. 17. FIG.

제 21 도는 제 1 도의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주출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21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pout suitable for use with the gable top paper container of FIG.

제 22 도는 제 21 도의 주출구의 종단면도.2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pout of FIG. 21;

제 23 도는 제 22 도의 우측에서 본 제 21 도의 주출구의 정면도.FIG. 23 is a front view of the spout of FIG. 21 as seen from the right side of FIG.

제 24 도는 제 17 도 및 제 21 도의 주출구의 특징을 결합한 제 1 도의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주출구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2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pout suitable for use in the gable top paper container of FIG. 1 combining the features of the spout of FIGS. 17 and 21;

제 25 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주출구의 다른 형태가 포함된 게이블 톱형 종이용기의 파단종단면도.Figure 25 is a broken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gable top paper container containing another form of the sp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6 도는 제 25 도의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의 주출구의 평면도.Fig. 26 is a plan view of the spout of the gable top type paper container of Fig. 25;

제 27 도는 제 25 도의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의 주출구의 측면도.Fig. 27 is a side view of the spout of the gable top type paper container of Fig. 25;

본원 고안은 일반적으로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유, 쥬스등 음료수 또는 그밖의 액체물을 넣기 위한 종이용기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원 고안은 게이블톱(gable top)형으로 알려진 종이용기에 관한 것이며, 이 종이용기에는 상자형의 본체에 2중 경사톱이 갖추어져 있고, 두개의 경사면의 한면으로부터 함유된 액체물을 따라내는 주출구(注出口)가 설치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and in more detail, relates to a paper container for putting beverages or other liquids such as milk and juice. More specifically, the Bowon devise relates to a paper container known as a gable top type, which is provided with a double inclined saw on a box-shaped body, and contains liquid from one side of two inclined surfaces. There is an outlet to drain the water.

게이블톱으로부터 액체물을 따라내는 공지의 방법은 게이블톱의 밀봉(密封)된 리지(ridge)의 대향측을 강제로 서로 분리시켜서 개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상당한 사람의 힘을 요하므로 불편하다. 또, 게이블톱으로부터 액체물을 따라내기 위해 직접 조작하는 것은 위생적 문제점이 있었다.A known method of pouring liquids from the gable top is to force the opposing sides of the sealed ridge of the gable top apart from each other and open. This method is inconvenient because it requires considerable human power. In addition, there is a hygienic problem to directly operate to pour liquid from the gable top.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플라스틱주출구, 특히 주류, 간장등을 종이용기에 넣어 사용하는 플라스틱 주출구의 사용이 제안되어 왔다. 이 주출구는 게이블톱의 경사면의 한면에 부착되며, 따라서 게이블톱의 밀봉된 리지는 함유된 액체를 따라내기 위해 무리하게 개방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구성된 주출구는 두개의 부재로 되어 있으며, 주로 주출면부와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밑단 뚜껑을 제거하고, 다음에 주출면부가 밀봉된 것을 찢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se of plastic injection ports, in particular liquor, soy sauce, etc. in a plastic container has been proposed. This outlet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able top, so that the sealed ridge of the gable top does not have to be unduly opened to pour out the contained liquid. However, the ejection outlet configured as in the prior art has two members, and is mainly compose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and the lid. Therefore, the user has had to remove the hem lid and then tear off the sealed portion of the ejection surface.

두개의 부재의 구성은 종래 기술에 의한 주출구는 이를 열기 위해 상당한 시간 및 힘을 요할 뿐만 아니라, 이의 제조에 있어서 두개의 다른 성형물을 요하므로 제조비가 높았다.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에 위치되어 있는 두개의 부재의 주출구의 부착은 용이하지 않았다.The construction of the two members was expensive because the prior art spouts required considerable time and force to open, as well as two different moldings in their manufacture. The attachment of the spouts of the two members located in the gable top paper container was not easy.

그러모르, 본원 고안은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구성된 신규의 주출구를 제공함으로써,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의 제조 및 사용에 있어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있다.Nevertheless,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in the manufacture and use of a gable-top paper container by providing a novel spout integrally composed of one member.

간단히 설명하면, 보원 고안은 액체물을 함유하기 위한 게이블톱형 종이용기를 제공하며, 이 종이용기는 밀폐된 저부와 상자형의 본체의 상단을 밀봉하는 게이블톱으로 구성된다. 이 게이블톱은 두개의 경사면을 가지며, 그 한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구는 풀탭(pull tab)이 돌출된 뚜껑을 포함하는 일체의 구성의 주출구로서 밀봉된다.Briefly described, the Bowon devise provides a gable top paper container for containing liquid water, which consists of a sealed top and a gable top sealing the top of the box-shaped body. The gable top has two inclined surfaces, one side of which is formed with an opening. These openings are sealed as spouts of any configuration, including lids with protruding pull tabs.

상기한 구성의 주출구는 플라스틱의 일체의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시 상기 풀탭을 잡아당겨 찢어서 뚜껑을 열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이 풀탭은 훅과 일체로 형성되며, 뚜껑을 찢어서 열때 뚜껑이 열려 있도록 유지하기 위해 훅이 게이블톱의 밀봉된 리지에 걸린다. 필요한 액체물을 따라낸 후 상기 리지로부터 훅을 풀고, 뚜껑을 닫고, 다음에 종이용기로 부터 따라낼 때까지 닫혀진 상태로 둔다.The injection port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manufactured by integral injection molding of plastic. Then, in use, the pull tab can be pulled and torn to open the lid. Preferably, the pull tab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ok and the hook is hooked to the sealed ridge of the gable top to keep the lid open when the lid is torn open. After the required liquid has been drained, the hook is released from the ridge, the lid is closed, and left closed until it is poured out from the paper container.

일반적으로 두가지의 기본형을 생각할 수 있다. 그중 하나의 형은 플랜지를 가진 실질적으로 주출면부를 가지며, 이 주출면부의 외단을 찢을 수 있는 뚜껑에 의해 닫혀 있다. 이 주출면부의 내단의 플랜지는 개구를 형성하는 게이블톱의 에지의 내측에 용착된다. 다른 하나의 형은 게이블톱의 에지의 외측에 부착된 평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어느 것이든 간에 주출면부 또는 게이블톱으로부터 풀탭을 잡아당겨 뚜껑을 부분적으로 찢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뚜껑을 열수 있다. 따라서, 액체물을 따를 때, 액체물이 접촉하게 되는 주출구나 종이용기의 주출면부는 손을 댈 필요가 없다. 또, 부분적으로 찢어져 열러 주출구의 나머지 부분에 힌지 연결된 상태로 뚜껑이 완전히 열리도록 유지하기 위해 뚜껑의 단부에 있는 훅이 게이블톱의 리지에 걸리므로 액체물의 주출을 저해하지 않는다.In general, two basic types are conceivable. One type has a substantially ejection face with a flange and is closed by a lid that can tear the outer end of the ejection face. The flange at the inn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is welded to the inner side of the edge of the gable top forming the opening. The other form is a flat plat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edge of the gable top. Either way, the lid can be easily opened by pulling the pull tab away from the ejection surface or gable top to partially tear the lid. Therefore, when pouring the liquid, there is no need to touch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of the ejection or paper container which the liquid water comes into contact with. In addition, the hook at the end of the lid is caught on the ridge of the gable top to keep the lid fully open while being partially torn open and hinged to the rest of the ejection outlet, so that the ejection of the liquid is not inhibited.

물론, 본원 고안에 의한 일체의 구성의 주출구는 종래 기술에 의한 두개의 부재의 설계의 주출구 보다 제조가 훨씬 용이하고, 또한 제조비가 낮다. 또한, 게이블톱의 제위치에 주출구를 부착하는 것도 용이하다. 왜냐하면, 종이용기를 만드는 판지에 열이나 초음파에 의해 용이하게 용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Of course, the spout of the unitary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uch easier to manufacture than the spout of the design of the two membe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er. It is also easy to attach the spout in place of the gable top. This is because it can be easily welded by heat or ultrasonic waves to a cardboard to make a paper container.

본원 고안에 의한 게이블톱형 종이용기는 우유, 쥬스 등을 위한 포장용기로서 적합하다. 상기 음료수용 종이용기는 뚜껑을 연후에 비교적 짧은 시간에 전부 소비된다. 이들 종이용기는 통상 자주 열거나 닫지 않으며, 또 너무 꽉 닫아 두지도 않는다. 이와같은 주출구의 개선은 상기 종이용기에 이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왜냐하면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비가 낮으며, 사용하기에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양호하기 때문이다.Gable top pap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as a packaging container for milk, juice and the like. The beverage paper containers are all consum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after the lid is opened. These paper containers usually do not open or close frequently, nor are they too tightly closed. Such an improvement in the ejection outlet is very suitable for use in the paper container. This is because the configuration is simpl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it is easy to use, and it is hygienically good.

다음에,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원 고안의 게이블톱형 종이용기(20)는 제 1 도에 그 전체가 도시되어 있다. 주로 판지로 만들어진 종이용기(20)는 종래 밀폐된 저부(24)를 가진 상자형의 본체(22)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자형의 본체(22)의 상단에는 두개의 경사면의 게이블톱(26)이 있으며, 제 2 도와 같이 밀봉된 리지(30)가 설치된 두개의 대향경사면(28)을 가지고 있다. 게이블톱(26)의 경사면(28)의 한면은 그 대략 중앙에 형성된 개구(32)를 가지고 있다. 이 개구(32)는 본원 고안의 요부를 이루는 주출구(34)에 의해 밀봉된다. 주출구(34)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피렌등 플라스틱재료로 일체의 성형을 이루고 있다.The gable top paper contain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its entirety in FIG. The paper container 20, which is mainly made of cardboard, is composed of a box-shaped body 22 having a conventionally sealed bottom 24. At the upper end of the box-shaped main body 22, there are two inclined gable tops 26, and two opposing inclined surfaces 28 provided with ridges 30 sealed like second tiles.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28 of the gable top 26 has an opening 32 formed in its approximately center. The opening 32 is sealed by the spout 34 which constitute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ut 34 is formed integrally with a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제 2 도~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출구(34)는 게이블톱(26)의 개구(32)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주출면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주출면부(36)는 종이용기(20)의 내단에서 내부로 열리고, 찢어지도록 형성된 뚜껑(38)에 의해 외단에서 닫혀진다. 풀탭(40)은 뚜껑(38)으로부터 바깥쪽 즉 윗쪽으로 돌출되며, 그 끝에는 게이블톱(26)의 리지(30)를 향하는 훅(42)이 있다.As shown in FIGS. 2-6, the spout 34 is provided with the spout surface part 36 which protrudes outward from the opening 32 of the gable top 26. As shown in FIG. This ejection surface portion 36 is opened at the inner end of the paper container 20 and closed at the outer end by a lid 38 formed to be torn. The pull tab 40 protrudes outwardly, ie upwards from the lid 38, at its end with a hook 42 towards the ridge 30 of the gable top 26.

게이블톱의 리치(30)와 반대방향으로 풀탭(4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리미트스톱(44)은 뚜껑(38)이 찢어져 열린 뒤 다시 닫혀질 때 주출면부(36)의 외단과 걸려서 뚜껑이 주출면부로 너무 눌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리미트스톱(44)은 풀탭(40)은 보강하며, 그 강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리미트스톱(44)은 다음에 설명하는 초음파 또는 열용착수단을 저해하지 않도록 주출면부(36)로부터 너무 돌출되면 안된다. 리미트스톱(44)은 찢어져 열린 뒤에 다시 닫혀진 뚜껑을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뚜껑(38)에서 약간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은 대략 뚜껑(38)의 두께와 같게 한다.The limit stop 44 protruding from the pull tab 4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ach 30 of the gable top is caught by the out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when the lid 38 is torn open, and then closed again. To prevent it from being pressed too much. In addition, the limit stop 44 reinforces the pull tab 40, and is effective in increasing its rigidity. The limit stop 44 should not protrude too far from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so as not to impede the ultrasonic or thermal welding means described later. The limit stop 44 is preferably formed spaced slightly apart from the lid 38 to secure the lid closed after being torn open. This spacing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lid 38.

주출구(34)는 또한 주출면부(36)의 내단에 장착플랜지(46)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장착플랜지(46)는 개구(32)를 형성하는 게이블톱(36)의 에지의 내면에 수밀용착되어 있다.The spout 34 is also formed to include a mounting flange 46 at the inner end of the spout surface 36. The mounting flange 46 is watertightly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gable top 36 forming the opening 32.

또한, 주출구(34)에는 주변상에 간격을 둔 위치로 주출면부(36)에서 횡으로 돌출된 복수개, 전형적으로 3개 또는 4개의 러그(4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러그는 장착 플랜지(46)의 용착에 필요한 게이블톱(36)의 위치에 주출구(34)를 일시 유지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러그(48)는 이와 장착플랜지의 사이에 게이블톱(26)의 개구(32)의 에지를 걸어 맞추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장착플랜지(46)로 부터 간격을 갖지 않으면 안된다. 일반적으로, 각 러그(48)와 장착플랜지(46)사이의 간격은 게이블톱(26)의 각 경사면(28)의 두께의 약 4~5배가 되어야 하고, 따라서 러그는 게이블톱(26)의 경사면(28)에 주출구(34)를 부착할 때 게이블톱의 에지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이간격은 실제로 1.5~2.0㎜로 한다. 이 간격이 상기 범위 보다 작을 때에는 러그는 게이블톱 에지에 걸리지 못할 것이다. 이 간격이 상기 범위보다 클 때에는 주출구가 게이블톱에서 기울어지며, 장착플랜지(46)의 적당한 용착을 곤란하게 한다.Further, the spout 3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ypically three or four lugs 48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spout surface portion 36 at positions spaced on the periphery. These lugs are for use in temporarily holding the spout 34 at the position of the gable top 36 necessary for the welding of the mounting flange 46. The lug 48 must be spaced from the mounting flange 46 by a distance sufficient to engage the edge of the opening 32 of the gable top 26 between it and the mounting flange. In general, the spacing between each lug 48 and the mounting flange 46 should be about four to five times the thickness of each inclined surface 28 of the gable top 26, so that the lug i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able top 26. When attaching the spout 34 to 28, the edge of the gable top can be easily fitted. This clearance is actually 1.5 to 2.0 mm. When this gap is less than this range, the lug will not be caught on the gable top edge. When this interval is larger than the above range, the spout is inclined at the gable top, making it difficult to properly weld the mounting flange 46.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출면부(36)의 직선단부(제 7 도에서 좌측으로 향한)에 위치한 하나의 러그(제 7 도의 48')와 장착플랜지(46)와의 사이의 간격(S1)은 주출면부의 만곡부상에 배치된 각 다른 러그(48)와 장착플랜지(46)와의 사이의 간격(S2)보다 커야한다. 이와같이, 예를들면 간격(S2)이 종이용기(20)를 만드는 판지의 두께보다 0.1㎜ 클때에는 간격(S1)은 판지의 두께보다 1.5~2.0㎜ 더 크게한다. 간격(S1)과 간격(S2)사이의 이러한 차이는 바람직한 것이며, 이것은 게이블톱의 리지(30)에 평행으로 연장되고, 주출면부(36)의 직선단부에 대항한 게이블톱(26)의 직선에지는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같이, 개구(32)를 형성하는 다른 게이블톱 보다 더 휘기 쉽다.As shown in FIG. 7, the distance S between one lug (48 ′ in FIG. 7) and the mounting flange 46 located at the straight end portion (leftward in FIG. 7)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1 ) should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S 2 between each other lug 48 and the mounting flange 46 arranged on the curved portion of the ejection surface. Thus, for example, when the spacing S 2 is 0.1 mm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ardboard making the paper container 20, the spacing S 1 is 1.5 to 2.0 mm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ardboard. This difference between the spacing S 1 and the spacing S 2 is desirable, which is parallel to the ridge 30 of the gable top, and that of the gable top 26 against the straight end of the ejection surface 36. The straight edge is more flexible than the other gable tops forming the opening 32, as described below.

제 4 도의 평면도와 같이, 밀봉되도록 형성되는 개구(32)를 비롯해서 주출구(34)의 주출면부(36), 뚜껑(38)및 장착플랜지(46)는 모두 야구본루의 형상이며, 직선단부는 게이블톱의 리지(30)를 향하고, 각도를 가지고 돌출된(사실상 적당히 둥근)단부는 게이블톱의 리지와 반대쪽에 있다.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4,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the lid 38, and the mounting flange 46 of the ejection opening 34, including the opening 32 formed to be sealed, are all in the shape of a baseball base, and the straight end portion is The end that faces the ridge 30 of the gable top and protrudes (in fact, is reasonably rounded) at an angle is opposite the ridge of the gable top.

특히, 제 3 도 및 제 4 도에 있어서, 찢어지도록 형성된 뚜껑(38)은 주출면부(36)가 밀봉되었을 때의 직선단부 정상에서 내측에 형성된 제 1 의 홈(50)과, 주출면부의 상단의 두개의 대향측을 따라 주출면부의 상단의 각도를 가지고 돌출된 단부에서 제 1 의 홈(50)의 대향단부까지 연장된 제 2 의 홈(5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의 홈(52)은 풀탭(40)을 잡아당김으로써 뚜껑(38)이 제 2 의 홈에 따라 찢어질 수 있을 만큼 깊게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제 1 의 홈(50)은 뚜껑(38)이 이 홈에 따라 찢기지 않을 정도로 얕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 1 의 홈(50)은 찢어진 뚜껑과 주출면부 사이를 힌지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이리하여 뚜껑(38)은 주출면부의 상단의 직선단부에 힌지단부가, 그리고 각도를 가지고 돌출된 부분에 찢어지도록 형성된 단부가 있다. 풀탭(40)은 뚜껑(38)의 찢어지는 단부의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Figs. 3 and 4, the lid 38 formed to be torn has a first groove 50 formed inward from the top of the straight end when the ejection surface 36 is sealed, and an upp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It is formed by the second groove 52 which extends from the end which protrudes with the angle of the upper end of the extraction surface part along the two opposing sides of to the opposing end part of the 1st groove | channel 50. The second groove 52 is deep enough that the lid 38 can be torn along the second groove by pulling the pull tab 40. However, the first groove 50 is made so shallow that the lid 38 does not tear along the groove. Thus, the first groove 50 is used for hinge connection between the torn lid and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Thus, the lid 38 has a hinge end portion at a straight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and an end portion formed so as to tear at the protruding portion at an angle. The pull tab 40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torn end of the lid 38.

홈(50)과 홈(52)의 깊이는 뚜껑(38)의 두께에 따라서 결정되어야 한다. 제 1 의 홈(50)의 주출면부의 상단의 남은 두께(T1)(제 3 도)는 이러한 게이블톱형 종이용기(20)의 사용시 뚜껑(38)을 반복적으로 열고 닫는데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두께(T1)의 바람직한 범위는 0.4~0.5㎜이다. 한편, 제 2 의 홈(52)의 주출면부의 남은 두께(T2)는 뚜껑(38)을 용이하게 찢을 수 있을 정도로 얇아야 하지만, 게이블톱(26)상에 주출구(34)를 부착하거나 종이용기(20)를 운반하는 동안 찢어질 정도로 얇아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두께(T2)의 바람직한 범위는 0.2~0.3㎜이다.The depth of the grooves 50 and 52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id 38. The remaining thickness T 1 (FIG. 3) of the upp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of the first groove 50 should be sufficient to withst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38 repeatedly in the use of such a gable top paper container 20. . The preferable range of the thickness T 1 is 0.4 to 0.5 mm. On the other hand, the remaining thickness T 2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52 should be thin enough to easily tear the lid 38, but the ejection opening 34 is attached to the gable top 26, or It should not be so thin that it tears while carrying the paper container 20. Therefore, the preferable range of the thickness T 2 is 0.2 to 0.3 mm.

상기 개선된 형태의 주출구(34)는 종이용기(20)가 제 1 도의 게이블톱형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기 전에 종이용기(20)의 제위치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출구(34)의 주출면부(36)는 그 위의 러그(48)가 개구에서 나와서 이 러그와 장착플랜지(46)와의 사이에서 게이블톱(26)의 에지가 걸릴 때까지 게이블톱(26)의 개구(32)를 통해 내측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장착플랜지(46)는 게이블톱(26)의 에지의 내면에 열이나 초음파로 용착시킬수 있다.The outlet 34 of the improved form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in place of the paper container 20 before the paper container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able top box of FIG. The spout surface 36 of the spout 34 has a gable top 26 until the lug 48 above it emerges from the opening and the edge of the gable top 26 is caught between the lug and the mounting flange 46. It can be inserted from the inside through the opening 32 of the. The mounting flange 46 can be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gable top 26 by heat or ultrasonic waves.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출면부(36)의 직선단부에 있는 러그(48')와 장착플랜지(46)와의 사이의 간격(S1)은 다른 러그(48)와 장착플랜지와의 사이의 간격(S2)보다 0.5~1.0㎜ 더 크다. 이와 같이, 러그(48')에 의해 걸리는 게이블톱의 직선에지가 러그(48)에 의해 걸리는 다른 게이블톱의 에지보다 훨씬 휘어지기 쉽게 이루어져 있어도, 모든 러그(48) 및 (48')는 개구(32)를 지나서 동시에 러그와 장착플랜지(46)와의 사이에 게이블톱의 에지가 걸리게 된다. 주출구(34)는 이러한 방법에 게이블톱(26)의 위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distance S 1 between the lug 48 ′ and the mounting flange 46 at the straight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is between the other lug 48 and the mounting flange. Is 0.5 to 1.0 mm larger than the spacing (S 2 ) of. Thus, even if the straight edge of the gable top caught by the lug 48 'is more prone to bend than the edge of the other gable top caught by the lug 48, all of the lugs 48 and 48' are defined by the opening ( At the same time, the edge of the gable top is caught between the lug and the mounting flange 46 simultaneously. The spout 34 can be easily attached onto the gable top 26 in this manner.

주출구(34)의 주출면부(36)는 열려 있는 내단으로부터 그 밀봉된 외단을 향해 돌출됨에 따라 경사지게 되어있다. 이러한 경사는 게이블톱의 개구(32)를 통해 주출면부(36)가 신속히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사는 초음파혼(horn)이나 열용착헤드가 개구(32)주위의 게이블톱 에지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게이블톱(26)에 장착플랜지를 더욱 용이하게 용착시킬 수 있다.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of the ejection opening 34 is inclined as it projects from the open inner end toward its sealed outer end. This inclination is intended to allow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to be quickly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32 of the gable top. This inclination allows the ultrasonic horn or the heat welding head to easily acc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ble top edge around the opening 32, so that the mounting flange can be more easily welded to the gable top 26.

게이블톱형 종이용기(20)는 원하는 음료수 또는 기타 액체물을 충진할 수 있으며, 그 후에 제위치에 주출구(34)를 부착하고, 상기 공지방법에 의해 게이블톱을 닫고 밀봉시킨다.The gable top type paper container 20 may fill a desired beverage or other liquid water, and then attach the spout 34 in place and close and seal the gable top by the above known method.

함유된 액체물을 주출구(34)의 뚜껑(38)을 열어서 따라낼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이 뚜껑(38)은 풀탭(40)을 잡아 당기거나 게이블 톱의 리지(30)를 향해서 풀탭을 당겨서 열 수 있다. 리미트스톱(44)에 의해 강성을 보강해서 풀탭(40)은 뚜껑(38)의 파열단부에 대해 충분히 힘을 전달한다. 뚜껑(38)의 상기 파열단부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힘을 가하여 당기면, 뚜껑의 파열단부에 있는 깊은 홈(52)의 일부의 주출면부의 상단을 찢은 다음, 풀탭(40)을 계속적으로 약간 당기게 되면, 뚜껑(38)은 상기 깊은 홈(52)에 따라 찢어지며, 뚜껑의 대향 에지와 찢어진 주출면부의 대향 에지에 거칠어진 부분이 생긴다. 뚜껑(38)의 힌지단부에 있는 얕은 홈(50)의 대향단까지 찢어진다.It is possible to pour out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ap 38 of the spout 34. The lid 38 can be opened by pulling the pull tab 40 or by pulling the pull tab towards the ridge 30 of the gable top. The rigidity is reinforced by the limit stop 44 so that the pull tab 40 transmits a sufficient force against the tear end of the lid 38. When intensively applying force to the tear end of the lid 38, tearing the upp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of a part of the deep groove 52 in the tear end of the lid, and then pulling the pull tab 40 slightly, The lid 38 is torn along the deep grooves 52, and roughened portions are formed at opposite edges of the lid and opposite edges of the torn ejection surface. To the opposite end of the shallow groove 50 at the hinge end of the lid 38.

이와같이, 완전히 열린 뚜껑(38)은 주출면부(36)의 힌지단부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뚜껑(38)은 제 2 도의 2점쇄선에 의해 나타낸 바와같이 훅(42)을 게이블톱(26)의 밀봉된 리지(30)에 걸리게해서 완전히 열려 있도록 유지한다. 주출구(34)의 열린 주출면부(36)로부터 액체물을 따라낼 수 있다.In this way, the fully open lid 38 is rotatable on the hinge end of the ejection face 36. The lid 38 latches the hook 42 onto the sealed ridge 30 of the gable top 26 and remains fully open, as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The liquid can be poured out from the open ejection face portion 36 of the ejection outlet 34.

원하는 액체량을 따라낸 뒤에 게이블톱을 리지(30)로부터 훅(42)을 풀고, 주출면부(36)의 상단으로 뚜껑(38)을 누름으로써 다시 닫을 수 있다. 앞에 설명한 바와같이 뚜껑을 찢음으로써 뚜껑 주위와 주출면부(36)의 상단에지에 거칠어진 부분이 생긴다. 따라서, 뚜껑(38)을 다시 닫으면 뚜껑 주위의 거칠어진 부분은 주출면부의 상단에지의 거칠어진 부분과 걸리며, 뚜껑은 그 힌지단부의 탄성에 의해 스프링식으로 개방되지 않고 닫혀져 있게 된다.After the desired amount of liquid has been poured out, the gable top can be closed again by releasing the hook 42 from the ridge 30 and pressing the lid 38 to the top of the ejection surface 36. As described above, the tearing of the lid creates a roughened portion around the lid and on the upper edge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Therefore, when the lid 38 is closed again, the roughened portion around the lid is caught with the roughened portion of the upper edge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and the lid is closed without being spring-opened by the elasticity of the hinge end portion.

사용자는 뚜껑을 다시 닫으려고 너무 큰 힘을 가할 수도 있다. 그러면, 풀탭(40)위의 리미트스톱(44)은 주출면부(36)의 상단에 걸려서 뚜껑(38)이 주출면부안으로 너무 눌리는 것을 방지한다. 리미트스톱(44)이 주출면부(36)의 상단으로부터 윗쪽 즉 바깥쪽으로 약간 간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따라서, 리미트스톱(44)과 주출면부의 상단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 정도로 뚜껑을 주출면부 안으로 누름으로써 뚜껑(38)은 뚜껑 및 주출면부에서 서로 걸린 거칠어진 부분에 의해 뚜껑이 잘못 열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로크된다.The user may apply too much force to close the lid again. The limit stop 44 on the pull tab 40 then catches on the top of the spout surface 36 to prevent the lid 38 from being too pressed into the spout surfac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limit stop 44 is slightly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that is, outward. Thus, by pressing the lid into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by an interval smaller than the gap between the limit stop 44 and the upp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the lid 38 is reliably prevented from opening the lid incorrectly by the rough portions caught between the lid and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Is locked.

제 8 도, 제 9 도 및 제 10 도에는 전술한 주출구(34)의 일부 변형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변형주출구(134)는 상기 주출구(34)의 대신 제 1 도 및 제 2 도의 종이용기의 게이블톱(26)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있다.8, 9 and 10 illustrate some variations of the spout 34 described above. In general, the modified spout 134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gable top 26 of the paper container of FIGS. 1 and 2 instead of the spout 34.

주출구(134)는 두개의 훅(142), (160)을 가지며, 풀탭(40)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점에 있어서 주출구(34)와 상이하다. 제 1 의 훅(142)은 상기 실시예의 훅(42)과 실질적으로 같으며, 이는 뚜껑이 찢어져 열려 있을 때, 게이블톱의 밀봉된 리지와 걸리도록 리지를 향해 있다. 제 2 의 훅(160)은 게이블톱의 리지의 반대쪽에 있다. 그리고, 뚜껑이 찢어져 열린 후 다시 닫혀지면 뚜껑이 주출면부 안으로 너무 눌릴 때, 주출면부의 외단에 걸리게 되어 있다. 주출구(134)의 구성의 다른 상세는 상기 실시예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것이다.The spout 134 has two hooks 142 and 160 and is different from the spout 34 in that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d of the pull tab 40. The first hook 14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ook 42 of the above embodiment, which is directed towards the ridge to engage the sealed ridge of the gable top when the lid is torn open. The second hook 160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idge of the gable top. When the lid is torn open and then closed again, the lid is caught by the out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when the lid is too pressed into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Other detail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pout 13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상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풀탭(40)위의 두개의 훅(142), (160)은 주출구(34)의 경우와 같이 다만 1개의 훅만이 있을 때 보다 풀탭을 더 강하게 잡을 수 있는 추가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The two hooks 142 and 160 on the pull tab 40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top are additional to hold the pull tab stronger than when there is only one hook as in the case of the main spout 34. Has a purpose.

사용자는 뚜껑(38)을 열기 위해 훅(142), (160)을 모두 잡고, 풀탭(40)을 당길 수 있다.The user may grasp both the hooks 142 and 160 to open the lid 38 and pull the pull tab 40.

뚜껑을 계속해서 더 누를 때 뚜껑(38)은 풀탭(40)위의 리미트스톱(44)에 의해 정해진 리미트를 넘어서 주출면부(36)안으로 강제적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러면,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 의 훅(160)은 주출면부(36)의 상단에 걸리며, 따라서 뚜껑이 주출면부나 종이용기안으로 더 눌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주출구(134)의 뚜껑(38)은 주출면부(36)안으로 무리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수 있다.As the lid continues to be pressed further, the lid 38 may be forced into the ejection surface 36 beyond the limit defined by the limit stop 44 on the pull tab 40. Then,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hook 160 is caught by the upp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thus preventing the lid from being further pressed into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or the paper container. It can be seen that the lid 38 of the spout 134 is double in order to prevent it from being forcibly pressed into the spout surface 36.

제 11 도, 제 12 도 및 제 13 도에는 상기 주출구(35)의 대신 종이용기(20)의 게이블톱상에 부착된 또 다른 주출구(234)가 도시되어 있다. 주출구(234)는 풀탭(40)의 훅(42)과 리미트스톱(44)의 중간점에 절결홈(2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결홈(262)은 풀탭(4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훅(42)과 리미트스톱(44)의 중간점의 두께가 작게 되어 있다. 주출구(234)의 그밖의 구성은 처음에 기술된 주출구(34)의 다른 상세와 같다.11, 12 and 13 show another spout 234 attached to the gable top of the paper container 20 instead of the spout 35. The spout 23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tched groove 262 is formed at the midpoint of the hook 42 and the limit stop 44 of the pull tab 40. The notch groove 262 extends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pull tab 40, and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hook 42 and the limit stop 44 is made small. The other configuration of the spout 234 is the same as the other details of the spout 34 described earlier.

절결홈(262)은 풀탭(40)이 접히도록 하여 뚜껑(38)이 주출면부(36)안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눌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뚜껑(38)은 풀탭(40)의 상단의 훅을 잡음으로써 제 13 도와 같이 뚜껑을 찢어 연후에 다시 닫을 수 있다. 찢어진 뚜껑(38)을 큰 힘으로 다시 닫을때, 풀탭(40)위의 리미트스톱(44)은 주출면부(36)의 상단에지에 걸린다. 풀탭(40)에 대해 힘이 더 가해지면 풀탭은 접힐 것이며, 제 13 도와 같이 게이블톱의 리지를 향해서 굽을 것이다. 그리고, 뚜껑(38)과 리미트스톱(44)에는 풀탭(40)에 가해진 힘이 실질적으로 해제될것이며, 그러므로 제 13 도의 위치에 머물고, 뚜껑은 주출면부(36)의 열린 상단을 적절히 닫을 것이다.The notch groove 262 allows the pull tab 40 to be folded so that the lid 38 can be undesirably pressed into the ejection surface 36. The lid 38 can be closed again after tearing off the lid as in the thirteenth degree by holding the hook of the upper end of the pull tab 40. When the torn lid 38 is closed again with great force, the limit stop 44 on the pull tab 40 is caught by the upper edge of the ejection surface 36. If more force is applied to the pull tab 40, the pull tab will fold and bend towards the ridge of the gable top as in the thirteenth degree. Then, the force exerted on the pull tab 40 will be substantially released on the lid 38 and the limit stop 44, and thus remain in the position of FIG. 13, and the lid will properly close the open top of the spout 36.

상기한 바와같이, 이 주출구(234)의 접힐 수 있는 풀탭은 제 8 도~제 10 도의 풀탭(40)의 이중 혹 풀탭의 대체품으로 생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llapsible pull tab of the spout 234 can be regarded as an alternative to the double or pull tap of the pull tab 40 of FIGS. 8 to 10.

또한, 절결홈(262)은 상기와 같이 풀탭이 접힐 수 있도록 하므로, 그러한 절결홈이나 이에 상당하는 홈은 풀탭의 양측의 어느쪽에나 형성할 수 있다. 접힐 수 있는 상기 풀탭(40)을 가진 주출구(234)는 비교적 부드러운 플라스틱 물질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otch groove 262 allows the pull tab to be folded as described above, such a notch groove or a corresponding groove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ull tab. The spout 234 with the pull tab 40 that is foldable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the use of a relatively soft plastic material.

제 14 도 및 제 15 도에는 본원 고안에 의한 주출구(234)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또한 주출구(34)의 대신에 제 1 도 및 제 2 도의 종이용기(20)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주출구(334)는 함유된 액체물이 빨리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것을 보호해 준다.14 and 15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pout 23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lso used for the paper container 20 of FIGS. 1 and 2 instead of the spout 34. Suitable. The spout 334 protects the contained liquid from deterioration or decay quickly.

변질되기 쉬운 제품을 포장하는데 필요한 것중 하나는 이 제품을 적당한 조건으로 가능한 한 오래 유지시킬수 있는 능력이다. 본원 고안에 의한 종이용기의 주출구가 폴리에틸렌이나 투명성 또는 반투명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는 경우에는 빛이 통과되어 충진된 액체를 쉽게 변질시키게 된다. 대부분의 나라에 있어서는 식품포장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의 범위를 규정하며, 따라서 빛이 식품 포장물을 통과할 수 없게 첨가제의 사용을 금지한다.One of the things you need to pack a product that is susceptible to deterioration is the ability to keep it as long as possible under the right conditions. When the outlet of the pap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lded from polyethylene or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lastic material, light passes through it to easily change the filled liquid. Most countries define the range of plastics that can be used as food packaging, thus prohibiting the use of additives such that light cannot pass through the food packaging.

그러므로, 제 14 도 및 제 15 도의 주출구(334)에 있어서, 뚜껑(38)의 외부면은 (346)로 표시된 바와같이 삽자형의 사선형태로 요철면으로 되어 있다. 뚜껑(38)의 십자형의 요철면(364)은 그 위에서 광원을 반사시키며, 뚜껑을 통과하는 광선의 강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데 유효하다. 주출구(334)의 그밖의 구성은 제 1 도~제 7 도의 주출구(34)의 다른 상세와 실질적으로 같다.Therefore, in the spouts 334 of FIGS. 14 and 15,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38 is an uneven surface in the shape of an oblique line, as indicated by 346. The cross-shaped uneven surface 364 of the lid 38 reflects the light source thereon, and is effective to substantially reduce the intensity of light rays passing through the lid. The other configuration of the spout 334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ther details of the spout 34 in FIGS. 1 to 7.

물론 뚜껑(38)의 외부면 뿐만 아니라 내부면도 또한 상단한 정도로 빛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해 요철면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출구의 주출면부(36)도 또한 같은 목적을 위치(366)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요철면으로 할 수 있다. 주출구의 이러한 요철은 필요한 성형 표면이나 면을 가공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Of course, the inner surface as well as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38 may also be a concave-convex surface to prevent the passage of light to the top. Further, as shown in FIG. 16, the ejection face portion 36 of the ejection outlet can also serve the same purpose as the uneven surface as indicated by the position 366. Such unevenness of the spout can be easily performed by processing the required molding surface or surface.

제 17 도, 제 18 도 및 제 19 도에 도시된 주출구(434)의 다른 실시예는 뚜껑(38)과 풀탭(40)사이의 접합에 보강부(468)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부(468)는 풀탭(40)의 폭에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뚜껑(38)의 힌지단부를 향해 있는 풀탭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다. 주출구(434)의 그밖의 구성은 제 1 도~제 7 도의 주출구(34)의 다른 상세와 실질적으로 같다.Another embodiment of the spout 434 shown in FIGS. 17, 18 and 19 is formed to include a reinforcement 468 at the junction between the lid 38 and the pull tab 40. The reinforcement 468 extends along the width of the pull tab 40 and is located opposite the pull tab facing the hinge end of the lid 38. The other configuration of the spout 434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ther details of the spout 34 in FIGS.

보강부(468)는 풀탭(40)을 손상없이 뚜껑(38)에 접합시키는데는 물론 뚜껑(38)이 찢어져 열린 후 다시 닫혀질 때 풀탭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용된다. 풀탭(40)이 너무 휘기 쉬우면 그 위에 설치된 리미트스톱(44)은 뚜껑(38)이 풀탭을 눌러서 다시 닫혀질 때 윗쪽으로 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리미트스톱(44)이 주출면부(36)의 상단에 걸리지 않게 되고, 주출면부 안으로 뚜껑이 눌리게되며, 보강부(468)는 가능성을 없애준다.The reinforcement 468 is used to bond the pull tab 40 to the lid 38 without damage as well as to prevent the pull tab from bending when the lid 38 is torn open and then closed again. If the pull tab 40 is too flexible, the limit stop 44 installed thereon may be directed upward when the lid 38 is closed by pressing the pull tab again. Therefore, the limit stop 44 is not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the lid is pressed into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468 eliminates the possibility.

제 20 도에는 비교적 얇은 리브형상의 변형보강부(468')가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이것도 뚜껑(38)과 풀탭(40)사이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는 제 17 도~제 19 도의 보강부(468)와 같은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 두개의 리브를 서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것은 그 사이에 이물질이 축적되기 때문이다.A relatively thin rib shaped reinforcement portion 468 'is shown in FIG. 20, which is also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between the lid 38 and the pull tab 40. As shown in FIG. This rib acts like the reinforcement 468 of FIGS. 17-19. However, it is not preferable to install these two ribs at positions away from each other, because foreign matter accumulates therebetween.

제 21 도, 제 22 도 및 제 23 도에는 주출구(534)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풀탭(40)은 축경부(縮徑部)(580)에 의해 뚜껑(38)에 접합되어 있다. 이 주출구(534)의 그밖의 구성은 제 1 도~제 7 도의 주출구(34)의 상세와 같다.21, 22 and 23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pout 534, the pull tab 40 being joined to the lid 38 by an axis diameter portion 580. FIG. . The other structure of this spout 534 is the same as the detail of the spout 34 of FIGS.

뚜껑(38)을 찢어 열도록 하기 위해 풀탭(40)을 잡아당길 때, 상기 축경부(570)에 의하면 뚜껑(38)에 당기는 힘을 집중시킨다. 그 결과 풀탭이 상기 모든 실시예와 같이 뚜껑에 직접 접합되어 있는 경우 보다 적은 힘으로 뚜껑(38)을 열 수 있다.When pulling the pull tab 40 to tear the lid 38 open, the shaft 570 concentrates the pulling force on the lid 38. As a result, when the pull tab is directly bonded to the lid as in all the above embodiments, the lid 38 can be opened with less force.

제 24 도에 도시된 주출구(634)의 다른 실시예는 제 17 도~제 19 도의 주출구(434)와 제 21 도 및 제 23 도의 주출구(534)의 특징이 결합되어 있다. 풀탭(40)은 힌지단부에 형성된 보강부(668)를 갖춘 축경부(670)에 의해 뚜껑(38)에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의 장점은 앞에 기술하였다.Another embodiment of the spout 634 shown in FIG. 24 combines the features of the spout 434 of FIGS. 17-19 and the spout 534 of FIGS. 21 and 23. The pull tab 40 is joined to the lid 38 by an axis diameter portion 670 having a reinforcement portion 668 formed at the hinge end portion. The advantages of these features are described above.

제 25 도, 제 26 도 및 제 27 도에 주출구(734)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주출구는 추출면부가 없는 것으로 상기 모든 실시예와 다른 것이다. 주출구(734)는 실질적으로 평판형상이며, 풀탭(740)이 바깥쪽으로 돌출된 비교적 두꺼운 (738)으로 구성되고, 풀탭(740)끝에 훅(724)이 있으며, 장착플랜지(746)는 뚜껑(738)의 주위에 배설되어 있다. 뚜껑(738)과 장착플랜지(746)는 모두 제 26 도의 평면도와 같이 야구본루 형상으로 되어 있다. 뚜껑(738)은 게이블톱(26)의 한쪽의 경사면(28)에 대응한 형상의 개구(32)에 부착된다. 그리고, 장착플랜지(746)는 게이블톱의 인접에지에 용착되어 있다. 장착플랜지(746)는 그 내측에 홈(7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게이블톱의 리지(30)쪽의 직선단부의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홈(772)은 게이블톱의 리지(30)에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풀탭(740)은 게이블톱의 리지(30)에서 반대쪽의 뚜껑(738)의 단부에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spout 734 is shown in Figs. 25, 26 and 27, which is different from all of the above embodiments with no extraction surface. The spout 734 is substantially flat and consists of a relatively thick 738 with the pull tab 740 protruding outwardly, with a hook 724 at the end of the pull tab 740, and the mounting flange 746 has a lid ( 738) is excreted around. Both the lid 738 and the mounting flange 746 have a baseball base shape 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The lid 738 is attached to an opening 32 of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inclined surface 28 of the gable top 26. The mounting flange 746 is welded to the adjacent edge of the gable top. The mounting flange 746 has a groove 772 formed therein, which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straight end portion on the ridge 30 side of the gable top. The groove 772 extends parallel to the ridge 30 of the gable top. The pull tab 740 is disposed at an angle at the end of the lid 738 opposite the ridge 30 of the gable top.

이와같이, 풀탭(740)을 잡아 당김과 동시에 장착플랜지(746)는 게이블톱(26)으로부터 찢어지고, 일단 풀탭의 가장 인접한 곳에서 일부가 찢어져서 홈(772)의 양단까지 계속 찢어지며, 장착플랜지(746)의 일부가 홈(772)에서 접혀지게 된다. 풀탭(740)은 게이블톱의 개구(32)를 통해서 함유된 액체물을 따라내기 위해 제 25 도의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게이블톱의 리지(30)에 걸린다.As such, the pull flange 740 is pulled out and at the same time the mounting flange 746 is torn off from the gable top 26, and a part of the pull tab is torn at the closest part of the pull tab to continue tearing to both ends of the groove 772. A portion of 746 is folded in groove 772. The pull tab 740 is hung on the ridge 30 of the gable top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25 to pour out the liquid contained through the opening 32 of the gable top.

게이블톱의 개구(32)를 다시 닫기 위해 풀탭(740)상의 훅(742)을 게이블톱의 리지(30)로부터 풀고, 장착플랜지(746)의 일부분과 더불어 게이블톱의 개구에 뚜껑(738)을 닫을 수 있다. 뚜껑(738)은 개구를 형성하는 게이블톱의 에지와의 마찰에 의해 안정되게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장착플랜지(746)는 게이블톱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한다.Unhook the hook 742 on the pull tab 740 from the ridge 30 of the gable top to close the opening 32 of the gable top, and attach the lid 738 to the opening of the gable top with a portion of the mounting flange 746. Can be closed. The lid 738 can be closed stably by friction with the edge of the gable top forming the opening. Then, the mounting flange 746 is to be supported against the gable top.

개구(32)를 형성하는 게이블톱의 에지는 뚜껑(738)이 찢어져 열린 뒤 이 주출구(734)에 의해 완전히 닫을수 없다. 그러나, 특히 종이용기가 비교적 짧은 시간에 우유, 쥬스등 기타 음료수가 모두 소비된다면 아무런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내측에서 게이블톱에 용착되는 여기에 개시된 다른 주출구는 주류 및 간장과 같은 보다 침투성인 액체물에 사용할 수 있다.The edge of the gable top forming the opening 32 cannot be completely closed by this spout 734 after the lid 738 is torn open. However, especially if the paper container is consumed all the other beverages such as milk, juice, etc. in a relatively short time does not cause any problem. Other outlets disclosed herein, which are deposited on the inside of the gabletop, can be used for more permeable liquids such as liquor and soy.

상기와 같이, 본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여기에 기술한 실시예는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원 고안에 어떤 제한을 가하는 것이 아니며,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상기 실시예에 각종 변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출구는 평면도와 같이 야구의 본루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원형, 4각형, 3각형, 6각형등이어도 된다. 또, 뚜껑(38)에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홈(50), (52)은 주출면부(36)의 밀봉된 외단의 내면에서 절결할 필요는 없다. 그대신, 제 1 의 홈(50)보다 총깊이가 더 깊은 두개의 홈을 주출면부의 외단의 내외면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merely examples, and do not impose any limit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make changes. For example, the spout does not have to be a baseball base, as in a plan view, and may be a circle, a hexagon, a triangle, a hexagon, or the like. In addition, the two grooves 50 and 52 formed in the lid 38 need not be cut off at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ed out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Alternatively, two grooves deeper in total depth than the first grooves 50 may be formed on bot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outer edge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Claims (21)

밀폐된 저부(24)와 밀봉된 게이블톱(gable top)(26)을 가진 상자형의 본체(22)로 이루어지고, 상기 게이블톱은 두개의 대향하는 경사면(28)을 가지며, 한쪽의 경사면에는 함유된 액체물을 따라내기 위한 개구(32)가 형성되는 게이블톱형 종이용기에 있어서, 일체의 플라스틱 성형의 주출구(34, 134, 234, 334, 434, 534, 634, 734)는 개구(32)를 밀봉하고, 이 주출구는 또한 돌출된 풀탭(40)을 가진 뚜껑(38)을 포함하며, 이 뚜껑은 상기 풀탭을 잡아당김으로써 찢어져 열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체물을 함유하는 게이블 톱형 밀폐종이용기.It consists of a box-shaped body 22 having a closed bottom 24 and a sealed gable top 26, the gable top having two opposing inclined surfaces 28, on one inclined surface. In the gable top paper container in which the opening 32 for pouring out the contained liquid is formed, the ejection openings 34, 134, 234, 334, 434, 534, 634, and 734 of the integral plastic molding are formed in the opening 32. ) And the spout also comprises a lid 38 having a protruding pull tab 40, which lid is adapted to tear open by pulling on the pull tab. Top sealed paper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형의 본체(22)의 게이블톱(26)은 밀봉된 리지(30)를 가지며, 상기 주출구(34)의 풀탭(40)은 뚜껑(38)이 열려 있도록 유지하기 위해 찢어져 열려 있을 때, 게이블톱의 밀봉된 리지에 걸리는 훅(42)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2. The gable top (26) of the box-shaped body (22) has a sealed ridge (30), and the pull tab (40) of the spout (34) holds the lid (38) open. A gable top type closed paper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include a hook (42) caught on the sealed ridge of the gable top when torn op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34)는 게이블톱(26)의 개구(32)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주출면부(36)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출면부는 종이용기의 내단에서 내부로 열리고, 외단에서 뚜껑(38)에 의해 밀봉되며, 상기 뚜껑은 풀탭(40)을 잡아당기면 상기 주출면부로부터 최소한 부분적으로 찢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The ejection opening 34 is formed to include an ejection surface portion 36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pening 32 of the gable top 26,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from the inner end of the paper container to the inside And open at the outer end and sealed by a lid (38), the lid being torn at least partially from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by pulling the pull tab (4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34)의 뚜껑(38)은 게이블톱(26)의 두개의 경사면(28)사이의 리지(30)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힌지 단부와, 리지와 반대쪽에 위치하는 파열단부를 가지며, 상기 뚜껑(38)은 그 힌지단부에 절결된 비교적 얕은 직선의 제 1 의 홈(50)과, 뚜껑의 양측의 대향측에 따라 제 1 의 홈의 대향단을 향해 뚜껑의 파열단부에서 연장된 제 1 의 홈보다 깊이가 더 깊은 제 2 의 홈(5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풀탭(40)은 뚜껑의 파열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풀탭을 잡아당김으로써 뚜껑은 제 2 의 홈에 따라 찢어지며, 제 1 의 홈은 찢어진 뚜껑과 주출면부 사이의 힌지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 용기.4. The lid 38 of the spout 34 is a hinge end positioned proximate the ridge 30 between the two inclined surfaces 28 of the gable top 26, and opposite the ridge. And the lid 38 has a relatively shallow straight first groove 50 cut out at the hinge end thereof, and a lid toward the opposite end of the first groove along opposite sides of the lid. The pull tab 40 is formed by a second groove 52 deeper than the first groove extending from the tear end portion, and the pull tab 40 is formed adjacent to the tear end portion of the lid. 2. A gable top closed paper container characterized by being torn along two grooves, the first groove having a function as a hinge between the torn lid and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블톱(26)의 개구(32) 및 주출구(34)의 주출면부(36)와 뚜껑(38)은 모두 평면도로 볼때 야구본루형상이며, 각각 게이블톱의 리지(30)를 향한 직선단부와 그 반대쪽에 각도를 가지고 돌출한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5. The opening 32 of the gable top 26 and the spout surface 36 and the lid 38 of the spout 34 are both baseball-shaped in plan view, and each of the gable top ridges ( 30. A gable-top sealed paper container having a straight end toward 30 and an end protruding at an angle to the opposite end thereof.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34)는 주출면부(36)의 내단 부위에 장착플랜지(46)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플랜지는 개구(32)를 형성하는 게이블톱(26)의 에지부분의 내면에 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5. The gutter top 26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pout 34 is formed to include a mounting flange 46 at an inner end portion of the spout surface 36, and the mounting flange has an opening 32. Gable top closed paper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el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34)의 주출면부(36)는 그 내단으로부터 외단을 향해 연장됨에 따라 경사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8. The gable top type closed pap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of the ejection opening (34) is inclined as it extends from the inner end toward the outer en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34)는 게이블톱에 용착하기 위한 장착플랜지(46)와 러그 사이에 게이블톱의 개구의 에지를 걸리도록해서, 게이블톱(26)의 제위치에 주출구를 지지하기 위해 주출면부(36)로 부터 횡으로 돌출한 복수개의 러그(48)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7. The spout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pout 34 catches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gable top between the mounting flange 46 and the lug for welding to the gable top. Gable top type closed paper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lugs (48)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면부(36)상의 러그(48)는 각각 게이블톱(26)의 각 경사면(28)의 두께의 약 4~5개의 거리가 되도록 장착플랜지(46)로부터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9. The lugs 48 on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are spaced from the mounting flange 46 such that they are about 4-5 distances from the thickness of each inclined surface 28 of the gable top 26, respectively. Gable top type sealed paper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블톱(26)의 개구(32)는 게이블톱(26)의 두개의 경사면(28)의 사이에 있는 리지(30)에 대해 평행으로 직선으로 연장된 일단부를 가지며, 하나의 러그(48')는 주출구(36)에 위치하여 개구의 직선단부에 인접하는 게이블톱의 에지와 걸리며, 상기 하나의 러그(48')는 다른 러그(48)보다 장착플랜지(46)로부터 더 큰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9. The opening 32 of the gable top 26 has one end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ridge 30 between the two inclined surfaces 28 of the gable top 26. One lug 48 ′ is located at the spout 36 and engages the edge of the gable top adjacent to the straight end of the opening, with one lug 48 ′ mounted mounting flange 46 over the other lug 48. Gable top closed paper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arger distance from th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34)의 풀탭(40)은 뚜껑(38)이 찢어어져 열린 후 다시 닫힐 때 주출면부(36)의 외단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있는 리미트스톱(44)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뚜껑이 주출면부 안으로 너무 눌리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 용기.4. The pull tab 40 of the spout 34 includes a limit stop 44 which protrudes so as to be caught by the outer end of the spout surface 36 when the lid 38 is torn open and then closed again. And a lid is formed so as not to be pressed too much into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34)의 풀탭(40)상의 리미트스톱(44)은 뚜껑(38)으로부터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12. The gable top closed paper container as claimed in claim 11, wherein the limit stop (44) on the pull tab (40) of the spout (34) is spaced from the lid (3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34)의 풀탭(40)은 뚜껑(38)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상에 제 1 및 제 2 의 훅(142, 160)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제 1 의 훅(142)은 뚜껑(38)이 주출면부(36)로부터 부분적으로 찢어질 때 게이블톱(26)의 리지(30)에 걸리도록 밀봉된 리지(30)에 향해 있으며, 제 2 의 훅(160)은 밀봉된 리지(30)의 반대측에 있으며, 뚜껑이 찢어져 열린 후 다시 닫혀질 때 뚜껑이 풀탭의 리미트스톱(44)에 의해 정해진 리미트를 넘어서 주출면부안으로 눌릴때, 주출면부(36)의 외단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12. The pull tab 40 of the spout 34 is formed to include first and second hooks 142, 160 on an end away from the lid 38. 142 is directed toward the sealed ridge 30 so as to engage the ridge 30 of the gable top 26 when the lid 38 is partially torn from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and the second hook 16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aled ridge 30, when the lid is torn open and closed again, the lid is caught by the outer end of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36 when the lid is pushed into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beyond the limit defined by the limit stop 44 of the pull tab. Gable top type sealed paper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234)의 풀탭(40)에는 리미트스톱(44)보다 뚜껑(38)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한 절결홈(262)이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이 찢어져 열린 후 풀탭을 누름으로써 다시 닫혀질 때 풀탭은 절결홈에서 접힐 수 있고, 따라서 풀탭의 리미트스톱에 의해 리미트를 넘어서 주출면부 안으로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The pull tab 40 of the spout 234 is formed with a notch groove 262 located farther from the lid 38 than the limit stop 44, and the pull tab is opened after pressing the pull tab. And the pull tab can be folded in the notch groove when closed again, thus preventing the pull tab from being pushed into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beyond the limit by the limit stop of the pull tab.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334)의 뚜껑(38)은 입사하는 광선을 확산 반사시키도록 요철면(364)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4. The gable top type closed pap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lid (38) of the spout (334) has an uneven surface (364) to diffusely reflect incident ligh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의 주출면부(36)도 또한 입사광선을 확산 반사시키도록 요철면(366)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16. The gable top closed pap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ejection face portion (36) of the ejection outlet is also an uneven surface (366) to diffusely reflect incident l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434)는 뚜껑(38)과 풀탭(40)사이의 접합부에 보강부(468, 468')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2. The gable top type closed paper containe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spout (434) is formed to include a reinforcing part (468, 468 ') at the junction between the lid (38) and the pull tab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434)의 뚜껑(38)은 게이블톱(26)의 두개의 경사면(28)사이의 리지(30)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힌지 단부와 리지와 반대쪽에 위치하는 파열단부를 가지며, 풀탭(40)은 뚜껑의 파열단부에 위치하여 뚜껑이 파열단부로부터 힌지단부를 향해 찢어져 상기 힌지단부에서 주출면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주출구는 뚜껑과 풀탭 사이의 접합부에 보강부(468, 468')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는 뚜껑의 힌지단부를 향해 있는 풀탭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2. The lid 38 of the spout 434 is positioned opposite the hinge end and the ridge, which is located close to the ridge 30 between the two inclined surfaces 28 of the gable top 26. The tear tab has a tear end portion, and the pull tab 40 is positioned at the tear end portion of the lid so that the lid is torn from the tear end portion to the hinge end portion and hinged to the ejection surface portion at the hinge end portion, and the ejection outlet reinforces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lid and the pull tab. And a reinforcing part loca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pull tab toward the hinge end of the l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534)의 풀탭(40)은 축경부(570)에 의해 뚜껑(38)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2. The gable top type closed pap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 tab (40) of the spout (534) is joined to the lid (38) by the shaft diameter portion (57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634)는 뚜껑(38)과 풀탭(40)의 축경부(670) 사이의 접합부에 보강부(668)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20. The gable top closed paper as claimed in claim 19, wherein the spout 634 is formed to include a reinforcing portion 668 at a junction between the lid 38 and the shaft portion 670 of the pull tab 40. Vessel. 제 1 항에 있어서, 뚜껑(738)을 포함하는 주출구(734)는 평판형상으로서 개구(32)를 형성하는 게이블톱(26)의 에지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뚜껑(738)은 풀탭(740)을 잡아당김으로써 게이블톱에서 찢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블톱형 밀폐종이용기.2. A spout 734 comprising a lid 738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an edge of a gable top 26 that forms an opening 32 in the form of a plate, the lid 738 having a pull tab. Gable top type sealed paper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ear in the gable top by pulling (740).
KR2019910019161U 1984-10-26 1991-11-12 Sealed gable top carton having a mouthpiece of one piece molding KR92000247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161U KR920002471Y1 (en) 1984-10-26 1991-11-12 Sealed gable top carton having a mouthpiece of one piece mo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4085 1984-10-26
JP16119684U JPH0333625Y2 (en) 1984-10-26 1984-10-26
JP161196 1984-10-26
JP59224085A JPS61104942A (en) 1984-10-26 1984-10-26 Spout for packaging vessel
JP16434384U JPH0333628Y2 (en) 1984-10-30 1984-10-30
JP164343 1984-10-30
JP193539 1984-12-03
JP19355984U JPH0344658Y2 (en) 1984-12-20 1984-12-20
JP201906 1984-12-30
JP20190684U JPS61117123U (en) 1984-12-30 1984-12-30
KR850007235 1985-09-30
KR2019910019161U KR920002471Y1 (en) 1984-10-26 1991-11-12 Sealed gable top carton having a mouthpiece of one piece mold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235A Division KR860003142A (en) 1984-10-26 1985-09-30 Cable top-type sealed paper container with integral molding out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471Y1 true KR920002471Y1 (en) 1992-04-22

Family

ID=334373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235A KR860003142A (en) 1984-10-26 1985-09-30 Cable top-type sealed paper container with integral molding outlet
KR2019910019161U KR920002471Y1 (en) 1984-10-26 1991-11-12 Sealed gable top carton having a mouthpiece of one piece molding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235A KR860003142A (en) 1984-10-26 1985-09-30 Cable top-type sealed paper container with integral molding out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60003142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142A (en) 1986-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8333A (en) Sealed gable top carton having a mouthpiece of one piece molding
US4948015A (en) Carton equipped with liquid pouring-out device
KR950014818B1 (en) Quadrangular shaped container for fluids
US4815655A (en) Opening arrangement for packing containers
RU2192997C2 (en) Pourout element made with possibility of re-closing and laminated package with flat end face furnished with such element
CA1316130C (en) Container with an opening device
CA2238507C (en) Device for opening and reclosing containers
JPH0235606Y2 (en)
KR920002471Y1 (en) Sealed gable top carton having a mouthpiece of one piece molding
JP4671071B2 (en) Pouring device
JPH068021Y2 (en) Paper container with spout
JP7490192B2 (en) Plug for liquid-filled container and liquid-filled container equipped with said plug
BRPI0408938B1 (en) low, flat spill closure with laminate or film breaker for composite packaging or container openings which are closed with a thick film
JPH0219379Y2 (en)
JPH0333631Y2 (en)
JPH031380Y2 (en)
JP2521350Y2 (en) cap
JPH0344659Y2 (en)
JPH031381Y2 (en)
JPH0239947Y2 (en)
JPH0333627Y2 (en)
JP2535950Y2 (en) Spout with hinge cap
JPH0333633Y2 (en)
JPH0232600Y2 (en)
JPH031382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0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