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177Y1 - 전선보호캡이 유설된 훌로어 박스 - Google Patents

전선보호캡이 유설된 훌로어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177Y1
KR920002177Y1 KR2019890018862U KR890018862U KR920002177Y1 KR 920002177 Y1 KR920002177 Y1 KR 920002177Y1 KR 2019890018862 U KR2019890018862 U KR 2019890018862U KR 890018862 U KR890018862 U KR 890018862U KR 920002177 Y1 KR920002177 Y1 KR 920002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ap
lid
groove
curved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8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130U (ko
Inventor
이완범
Original Assignee
이완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범 filed Critical 이완범
Priority to KR2019890018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177Y1/ko
Publication of KR910013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1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선보호캡이 유설된 훌로어 박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요구구조를 분해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전선보호캡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개 도시상태의 정면도.
제 5 도는 훌로어박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분해 절결 사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결합사용상태를 나타낸 상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소켓고정판 2 : 캐비넷
3 : 판넬레일 4 : 베이스판넬
5 : 연결테 6 : 뚜껑
7 : 보강판 9 : 보호캡
10 : 지지핀
본 고안은 정보화 시대에 따른 정보기기 즉, 팩시밀리, 전화, 컴퓨터, 텔렉스 내지 타자기, 복사기 등의 도선연결코드를 집합 설치하는 전선보호캡이 유설된 훌로어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콘센트(A)에 결합한 코드(B)의 연결선(C)을 보호하고, 업무중 통행 및 책상등의 배열효과를 누리기 위한 것이다.
다시말하면 종래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업무용 건축물을 신축할때나, 일반주거용 건축물을 신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전기 내지는 정보통신기를 연결사용할 수 있게하는 콘센트가 내설된 훌로어 박스를 벽면과 슬라브(D)등에 시공매설하고 있다.
그리고 특수한 경우 즉, 정보통신 전문사나 대기업등 별도의 정보처리실을 필요로하는 곳에서는, 기존 슬라이브(D)위에 마루판등을 이용하여 그 내부공간에 많은 도선이 내설되도록 함과 동시에 훌로어 박스를 고정설치하여 필요한 기기도선을 연결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훌로어 박스를 설치후 보게되면 마루판 위로 많은 부분이 돌출되있거나, 그 구조가 불합리한 뚜껑전체를 개방시키는 수단으로 되있기 때문에, 기기의 코드(B)를 콘덴서(A)에 연결시키고 나면 그 연결선(C)직경이상으로 뚜껑(6)이 추가 돌출되는 상태와 아울러서 구 뚜껑에 연결선(C)이 압압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같은 이유로 인해 업무중 통행시 부주위로 돌출부 뚜껑을 발뿌리로 차게되거나, 밟게 되면 부상내지는 뚜껑에 압압된 연결선(C)에 절단력을 가하게 되어 연결선(C)이 끊어지거나, 훼손을 초래하게 됐었다.
뿐만 아니라, 책상과 주변기기들을 배열하는 과정에서는 설치된 훌로어 박스의 사용을 고려하여 필요이상의 공간을 둔체로 설치케 되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야기된다.
이와 같은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어쩔수 없이 그 어려움을 감수하는체로 사용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될수 있는한 공간면적을 최대한 활용할수 있고, 연결선(C)을 보호하며, 사용상에 편의를 제공할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덴서(A)와 소켓고정판(1)을 내설케된 배선관 연결구(2a)를 가진 케비넷(2)이 결합 형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나사공(3a)을 천공한 크랭크형 판넬레일(3)을 형성하여 캐비넷바닥(2b)에 내설하여, 나사공(4b)이 천공된 베이스판넬(4)에, 양측으로 두개씩 펀칭절곡한 고정판 끼움부(4a)를 대향지도록 형성하여, 별도의 나사로써 판넬레일(3)에 결합고정하며, 콘센트고정구멍과 나사공이 천공된 두개의 소켓고정판(1)(1')을 각기 절곡형성하되, 한개의 소켓고정판(1)은 판넬고정부(1a)와 나사홈(1b')이 형성된 캐비넷고정부(1b)그리고 콘센트 고정판(1c)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직 내지는 수평으로 형성되도록하고, 다른 한개의 소켓고정판(1')은 8자형 콘덴서 고정구멍과 나사공이 천공되어, 상면(1d)와 콘덴서고정판(1e)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각기 콘덴서(A)를 결합시켜서, 하부에 형성된 각기의 판넬고정부(1a)는 고정판끼움부(4a)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부의 캐비넷고정부(1b)는 케비넷(2)상단 내측면에 나사를 끼워서 고정결합 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형성한 상부에는 사면 하부에 나사고정부(5b)와 걸림턱(5a)을 갖게하고 일측양단에 핀구멍을 천공한 연결테(5)를 절곡형성한다.
그리고나서, 양측에 핀구멍(6b)을 가진 보호캡설치홈(6a)과 결합핀구멍(6c)을 천공한 뚜껑(6)을 형성하여 그 상면에는, 뚜껑(6)의 형태 크기보다 약간 작은 동형의 보강판(7)을 접착제 내지는 용착수단으로 고정시킨다 결합핀(8)으로 뚜껑(6)과 연결테(5)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된 뚜껑(6)의 보호캡설치홈(6a)에는 그 크기에 맞는 보호켑(9)을 형성하여 결합시키되, 전면측으로 전설유설구가 되는 만곡홈(9a)를 파형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그 중앙에 개방홈(9b)을 갖게하여 수직절곡시키고, 그 배면측으로 지지부(9c)를 형성하며, 양측면에는 하단 전면상에 가진 걸림부(9d)와 수평절곡한 지지편(9e)을 갖게 하고, 만곡장공(9f)을 형성하여, 장축의 지지편(10)으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뚜껑(6)은 연결테(5)에서 결합핀(8)에 의해 도어작동되고, 보호캡(9)은 뚜껑(6)의 보호캡설치홈(6a)에 지지핀(10)으로 결합되어, 개, 폐작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결합된 연결테(5)의 나사고정부(5b)와 절곡형성된 걸림턱(5a)이 캐비넷(2)상단 내부에 삽입되도록하여 첨부도면 제 2 도에서 예시된 바와같이 나사(11)로 결합토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구성된 본 고안은 그 용도를 서두에서 밝혀 이미아는바, 작용효과를 설명키로 한다.
마루판 내지는 슬라브(D)에 캐비넷(2)전체가 매설되도록하여 콘센트(A)와 이에 연결하는 코드(B)의 결합상태는 종래 수단으로 실시되며 이후 본 고안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상기 콘센트(A)는 도면 제 2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상태와 경사상태로 소켓고정판(1)(1')에 각기 고정되 있는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코드(B)를 콘센트(A)에 꽂아 연결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내지, 끝이 가는송곳등을 이용하여 보호캡(9)에 형성된 개방홈(9b)에 찔러서 들어젖힌다.
이와같이 하게되면 지지핀(10)을 중심으로 만곡 장공(9f)전면부, 도면 제 2, 6 도 상태에 있던 보호캡(9)의 만곡 장공(9f)이 지지핀(10)에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개방된다.
개방완료된 상태에서는 보호캡(9)을 전면으로 당겨주게 되는데, 그 이유는, 보호캡(9)이 완전히 개방되었더라도 지지핀(10)의 위치는 만곡장공(9f)하단 끝까지 못미치는 상태일뿐만 아니라, 상기 상태에서, 개방된 보호캡(9)을 누르게 되면 다시 닫혀지기 때문이다.
상기 개방된 상태는 지지편(9c)이 뚜껑(6)저면 양측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열리지 않게되며 이와 같은상태에서 보호캡(9)을 전면으로 당겨주게 되면 지지핀(10)에 만곡장공(9f)하단 끝부가 접히지 않은상태이므로, 지지핀(10)에 만곡장공(9f)하단 끝부분이 접히는 위치까지 보호캡(9)이 앞으로 약간이동됨과 동시에 배면부의 지지부(9c)상단면이 도면 제 3 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보호캡 설치홈(6a)전면 하단이 밀접되면서 걸리게 된다.
그리고나서 개방된 보호캡(9)을 손잡이로 이용하여 2차적으로 뚜껑(6)을 개방시켜주며, 뚜껑(6)은 개방시킨 뒤에 목적에 따라 코드(B)를 각각의 콘센트(A)에 꽂아 결합시키게 되는데, 그 코드(B)를 결합시키는 순서로서는 먼저, 수평상태에 있는 콘센트(A)에는 코드(B)를 수직으로 꽂아결합시키고, 경사 상태에 있는 콘센트(A)상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코드(B)를 밀듯이 꽂아 결합시킨다.
여기에서 수직내지 경사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이유는 코드(B)의 연결선(C)이 서로 겹치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체 공학적으로, 코드(B)의 결합내지는 분리시에 편리성을 도모하게 된다.
그 이유는 내려 꽂는 형식의 수평설치된 콘센트(A)는 뚜껑(6)을 개방시켰을때 그 전면측에 위치되었고, 경사상태의 콘센트(A)는 그 후부에 위치되 있기 때문에, 주변공간이나 뚜껑(6)을 개방시키는 상태가, 완전개방내지는 미개방 상태에 있을때, 뚜껑(6)을 의식하여 전면측에 콘센트(A)에는 수직으로 꽂는것이 합당하게 되며, 그 후부의 경사상에 있는 콘센트(A) 코드(B)을 꽂을때는 수평도 아니고, 수직도 아닌, 경사상으로 코드(B)를 밀어넣듯이 꽂는것이 가장편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센트(A)에서 코드(B)를 결합시키거나,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코드(B)로부터 연결선(C)이 빠져 분리되거나, 느슨해지는 이유로 합선내지는 절단등의 훼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설명한 바와같이 코드(B)를 콘센트(A)를 꽂아 결합시킨 뒤에는 개방되있는 뚜겅(6)을 보호캡(9)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닫아준다.
상기 뚜껑(6)을 닫게되면 연결선(C)이 만곡장공(9f)에 자리를 잡은 상태로 끼워지게 되며, 그 보호캡(9)의 걸림부(9d)는 도면 제 3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테(5)의 걸림턱(5a)에 얹혀걸리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는 바닥면 즉 설치한 마루판이나 슬라브(D)로 부터 돌출된 부분은 보호캡(9)상단 일부분만이기 때문에 일측에서는 발끝에 걸리지 않게되며, 타측에 발끝이 걸리더라도 그 보호캡(9)이 돌출된 부분은 미세하므로, 부상당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특히 통행중에 보호캡(9)을 밟더라도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부(9d)가 연결테(5)의 걸림턱(5a)에 얹혀걸려있는 상태이므로,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므로 연결선(C)이 눌러 훼손되거나, 절단되어 합선되는 문제들을 말끔히 해소하게 되고, 코드(B)를 꽂아 결합하는 과정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도 뚜껑(6)이 완전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책상등 기기들의 자리배치를 무리없이 할 수 있도록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콘센트(A)와 소켓고정판(1)을 내설하고 배선관 연결구(2a)를 가진 케비넷(2)이 결합 형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크랭크형 판넬레일(3)을 캐비넷바닥(2b)에 고정설치하고 고정끼움부(4a)를 형성한 베이스판넬(4)을 결합하며 상면(1d)에 콘센트고정판(1e)이 경사지게 형성한 소켓고정판(1')이 결합되고 걸림턱(5a)이 형성된 연결테(5)를 형성하여 보호캡설치홈(6a)이 형성된 뚜껑(6)에 통형의 보강판(7)이 상면에 결합되며 반원형의 파형만곡홈(9a)과 개방홈(9b)을 갖게하며 지지부(9c)를 가진 보호캡(9)하단 전면 양측에 걸림부(9d)와 지지편(9e)을 형성하고 만곡장공(9f)을 형성하여 지지편(10)과 결합핀(8)으로 결합하고 연결선(C)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보호캡이 유설된 훌로어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뚜껑(6)전면 중앙에 보호캡설치홈(6a)을 형성하여 만곡홈(9a)과 개방홈(9b)이 형성되고 지지부(9c)를 갖게되며 걸림부(9d)와 지지편(9e)이 형성된 보호캡(9)일단부에 양측에 만곡장공(9f)을 천공하여 장축의 지지핀(10)으로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보호캡이 유설된 훌로어 박스.
KR2019890018862U 1989-12-13 1989-12-13 전선보호캡이 유설된 훌로어 박스 KR920002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862U KR920002177Y1 (ko) 1989-12-13 1989-12-13 전선보호캡이 유설된 훌로어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862U KR920002177Y1 (ko) 1989-12-13 1989-12-13 전선보호캡이 유설된 훌로어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130U KR910013130U (ko) 1991-07-30
KR920002177Y1 true KR920002177Y1 (ko) 1992-03-28

Family

ID=1929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8862U KR920002177Y1 (ko) 1989-12-13 1989-12-13 전선보호캡이 유설된 훌로어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1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130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7145B2 (en) Recessed outlet box assembly
US4536612A (en) Box for raised floors
US5479747A (en) Conduit connecting mechanism for a screen panel
US5354953A (en) Cable holding device
CA2437683C (en) Electrical floor access module system
US20090301774A1 (en) Electrical floor access module system
US4627684A (en)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WO2011011813A1 (en) Electrical installation system & method
KR920002177Y1 (ko) 전선보호캡이 유설된 훌로어 박스
KR200207493Y1 (ko)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KR970000842Y1 (ko) 접속박스
JPH08112144A (ja) 机等のコード配線装置
CN215732366U (zh) 一种利于拆卸的保护型插座
JPH10210626A (ja) 情報コンセント
KR200312313Y1 (ko) 책상의 케이블 덕트
AU688479B2 (en) Wall system
KR200171331Y1 (ko) 배선덕트용 배선기구고정구
KR200159750Y1 (ko) 콤팩트 한 텔레비젼의 실내 안테나장치
JP2588913Y2 (ja) コンセントボックス取付け装置
JPH0613563Y2 (ja) 配線設備
KR200167086Y1 (ko) 단자 블록
KR200285785Y1 (ko) 파티션
KR20000030246A (ko) 조립토록 된 전선거치대
JP3093824B2 (ja) フロア用配線器具
JPH03395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