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867Y1 - 농문짝의 시건장치 - Google Patents

농문짝의 시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867Y1
KR920001867Y1 KR2019880016711U KR880016711U KR920001867Y1 KR 920001867 Y1 KR920001867 Y1 KR 920001867Y1 KR 2019880016711 U KR2019880016711 U KR 2019880016711U KR 880016711 U KR880016711 U KR 880016711U KR 920001867 Y1 KR920001867 Y1 KR 920001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groove
hole
main body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511U (ko
Inventor
신용태
Original Assignee
신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태 filed Critical 신용태
Priority to KR2019880016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867Y1/ko
Publication of KR900008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5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8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농문짝의 시건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다.
제 3a,b,c,d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2' : 사각통공
3 : 경사턱 4 : 지지단
5 : 요홈부 6 : 나공
7, 7 : 핀 슬라이딩 홈 9 : 좌측자물쇠
10 : 통공 11 : 슬라이딩 홈
12, 13 : 사각홈 14 : 핀홀
15, 16, 16' : 핀 17 : 우측자물쇠
18 : 슬라이딩 홈 19 : 통공
20 : 핀홀 21, 22 : 사각홈
23 : 카바 24 : 돌출턱
24' : 슬라이딩 턱 25 : 경사면
26, 27 : 핀 슬라이딩 홈 28, 28' : 밀대
29, 29' : 통공 30, 30' : 핀홀
31, 31' : 걸림홈 32 : 농
33 : 문짝 34 : 걸림쇠
35 : 스프링 A : 공간부
본 고안은 농문짝의 시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의 본체(1) 내부는 공간부(A)를 형성하되 좌우 상단부 중앙에 경사턱(3)을 돌설시키고 각각 그 하부쪽으로 중앙에 나공(6)이 형성된 요홈부(5)를 가진 지지단(4)을 도시와 같이 구성하고, 전후방 적정부위에 사각통공(2) (2')을 관통하여 구성시킨 다음 내부 저면으로 핀 슬라이딩 홈(7) (8)을 적정 깊이로 구성시킨 후 공간부(A)저면으로 도시와 같이 상부면에 슬라이딩 홈(11) (18)을 가지고 이와 교차되게 장방향의 통공 (10) (19)을 형성 관통시킨 뒤 역시 좌, 우로 교차되게 사각홈(12) (13) (21) (22)을 형성하고 적정위치에 핀홀(14) (20)을 형성한 좌, 우측 자물쇠(9) (17)를 안착 조립시킨 다음 본체(1)의 사각통공(2)과 좌측자물쇠(9)의 사각홈(12) 내부로 통공(29)과 핀홀(30)이 구성되고 단부에 걸림홈(31)을 가진 밀대(28)를 삽착시켜 관통시키고 각각의 핀(15) (16)을 박아서 스프링(35)을 탄지시킨 후 역시 본체(1)의 사각통공(2')과 우측자물쇠(17)의 사각홈(22)내부로 통공(29')과 핀홀(30')이 구성되고 단부에 걸림홈(31')을 가진 밀대(28')를 삽착시켜 관통시키고 각각의 핀(15') (16')을 박아서 스프링(35)을 탄지시킨 다음 양단부에 경사면(25)을 가진카바(23)의 돌출턱(24)과 본체(1)의 요홈부(5), 슬라이딩 턱(24')과 좌, 우측 자물쇠(9) (17)의 슬라이딩 홈(11) (18), 핀(16) (16')과 핀 슬라이딩 홈(26) (27)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여 카바(23)를 본체(1)에 조립함에 있어서 양경사면(25)이 경사턱(3)하부로 물리도록 하여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농문짝의 시건장치를 살펴보면 그 구성이 실로 조잡스럽고 고장 및 파손이 너무 잦아 아예 시건장치에 신경을 쓰지 않고 있는 사용자가 더 많은 실정이다.
이에 내구성이 높고 사용이 편리한 사건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 오고 있던 바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저을 해결코저 안출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3도의 (b)와 같이 문짝(33)에 부착된 걸림쇠(34)가 우측의 밀대(28')를 밀게되면 당연히 핀(16')이 상하의 핀 슬라이딩 홈(8) (27)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우측자물쇠(17)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간댜.
이때 걸림홈(31')에 걸림쇠(34)가 걸려지게 되고, 결국 문짝(33)이 완전하게 닫히게 되면 우측자물쇠(17)는 완전히 우측으로 취착되고 걸림쇠(34)는 걸림홈(31')에 완전히 물리게 되고 핀(16')은 후방으로 밀려서 제 3 도의 (c)의 상태가 된다.
다음 좌측의 문짝 역시 동일한 요령으로 닫혀지게 되어 (d)의 상태로 되는데 이때 본 고안의 주요 특징이 드러나게 된다.
즉 문짝을 다시 열려고 할 경우 닫는 순서와는 반대로 열지 않으면 문짝은 열려지지 않는 것이다.
왜냐하면 좌측 자물쇠(9)를 몰고있는 핀(16)이 좌측의 핀 슬라이딩 홈(7) (26)의 직선부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우측 자물쇠(17)가 홈을 타고 이동을 할 수가 없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좌측의 문짝을 먼저 열지 않고서는 우측의 문짝은 절대 열리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작동이 정확하고, 견고하며 고장 및 파손의 우려가 없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사각의 본체(1) 내부는 공간부(A)를 형성하되 좌우 상단부 중앙에 경사턱(3)을 돌설시키고 각각 그 하부쪽으로 중앙에 나공(6)이 형성된 요홈부(5)를 가진 지지단(4)을 도시와 같이 구성하고, 전후방 적정부위에 사각통공(2) (2')을 관통하여 구성시킨 다음, 내부 저면으로 핀 슬라이딩 홈(7) (8)을 적정깊이로 구성시킨 후 공간부(A)저면으로 도시와 같이 상부면에 슬라이딩 홈(11) (18)을 가지고 이와 교차되게 장방형의 통공(10) (19)을 형성 관통시킨 뒤, 역시 좌우로 교차되게 사각홈(12) (13) (21) (22)을 형성하고 적정위치에 핀홀(14) (20)을 형성한 좌우자물쇠(9) (17)를 안착, 조립시킨 다음 본체(1)의 사각통공(2)과 좌측자물쇠(9)의 사각홈(12)내부로 통공(29)과 핀홀(30)이 구성되고 단부에 걸림홈(31)을 가진밀대(28)를 삽착시켜 관통시키고 각각의 핀(15) (16)을 박아서 스프링(35)을 탄지시킨 후 역시 본체(1)의 사각통공(2')과 우측자물쇠(17)의 사각홈(22)내부로 통공(29')과 핀홀(30')이 구성되고, 단부에 걸림홈(31')을 가진 밀대(28')를 삽착시켜 관통시키고 각각의 핀(15') (16')을 박아서 스프링(35)을 탄지시킨 다음 양단부에 경사면(25)을 가진 카바(23)의 돌출턱(24)과 본체(1)의 요홈부(5), 슬라이딩 턱(24')과 좌우측자물쇠(9) (17)의 슬라이딩 홈(11) (18), 핀 (16) (16')과 핀 슬라이딩 홈(26) (27)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여 카바(23)를 본체(1)에 조립함에 있어서 양경사면(25)이 경사턱(3)하부로 물리도록 하여 조립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문짝의 시건장치.
KR2019880016711U 1988-10-10 1988-10-10 농문짝의 시건장치 KR920001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711U KR920001867Y1 (ko) 1988-10-10 1988-10-10 농문짝의 시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711U KR920001867Y1 (ko) 1988-10-10 1988-10-10 농문짝의 시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511U KR900008511U (ko) 1990-05-03
KR920001867Y1 true KR920001867Y1 (ko) 1992-03-21

Family

ID=1928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711U KR920001867Y1 (ko) 1988-10-10 1988-10-10 농문짝의 시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8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511U (ko) 199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9849A (en) Pin tumbler side bar cylinder lock
RU2003105894A (ru) Контейнер с пломбой, свидетельствующей о его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м вскрытии
DE20213437U1 (de) Kühlschrank und Lagerungsbehälter für einen Kühlschrank
US5267460A (en) Combination lock
KR920001867Y1 (ko) 농문짝의 시건장치
KR910015265A (ko) 치간 칫솔 손잡이
KR100408448B1 (ko) 조립식 파렛트용 잠금장치
KR940006800A (ko) 자물쇠고정기구를 가진 바인더철구
US3322453A (en) Door check means
KR910007242Y1 (ko) 자물쇠
KR0116682Y1 (ko) 특장차의 도어 록킹장치용 로커
KR920001876Y1 (ko) 농문짝의 시건장치
KR0129237Y1 (ko) 도어록에 있어서 괘정시 외측레버의 공회전장치
KR890001077A (ko) 문짝용 로크 장치
KR880000300Y1 (ko) 자물쇠의 괘해정 장치
KR890000815Y1 (ko) 캐비넷의 자물쇠와 괘정부의 연결장치
JPS584539Y2 (ja) パチンコ機におけるガラス扉枠の施錠装置
KR870002191Y1 (ko) 가구용 손잡이
US3148424A (en) Safety-pin clip
KR900007484Y1 (ko) 도어용 자물쇠
AU713159B3 (en) Moveable element key and lock system
JPS6381385U (ko)
KR200175232Y1 (ko)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잠금 장치
KR200298339Y1 (ko) 셔터잠금장치의 잠금쇠 구조
KR900009987Y1 (ko) 저금통의 조립식 설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