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865Y1 -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 Google Patents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1865Y1 KR920001865Y1 KR2019890011193U KR890011193U KR920001865Y1 KR 920001865 Y1 KR920001865 Y1 KR 920001865Y1 KR 2019890011193 U KR2019890011193 U KR 2019890011193U KR 890011193 U KR890011193 U KR 890011193U KR 920001865 Y1 KR920001865 Y1 KR 9200018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bel
- tape
- roller
- trigger
- controllab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04—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label feeding from st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01/00—Portable tools for labelling or tagging, associated with holders when in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10/00—Details of manually controlled or manually operable label dispensers
- B65C2210/0072—Specific details of different part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X-X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력 유지롤러의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라벨 부착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제 5a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라벨 공급을 위한 롤러 구동용 방아쇠 및 그의 동력전달용 클러치의 개략 구성도.
제 5b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6 도는 종래의 라벨 부착구의 요부 단면도.
본 고안은 라벨 부착구에 관한 것으로 개선된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품에 가격이나 싸이즈 또는 상표등이 인쇄된 라벨을 부착시키기 위한 라벨 부착구들이 몇가지 개발되어 있었다.
본 출원인은 그러나 종래의 라벨 부착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988년 11월 29일 미심사 공개된 한국실용신안등록원 공개 제88-19620호 제목 "라벨부착구"(이하 종래 기술로 칭함)를 개발한바 있다.
그 종래 기술은 여러가지 면에서 과거의 문제점을 해결하긴 했으나 여전히 문제점을 갖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 6 도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라벨 테이프(이하 간단히 "를"로 약칭 한다.)를 (K)로부터 라벨을 갖고 있는 테이프(이하 테이프로 약칭한다.) KI은 제1공급 롤러쌍(10) 및 제2공급 롤러쌍(11)과 기어(14), (15) 및 (16)에 의해 이송되며, 테이프(KI)의 공급은 제2공급롤러쌍(11)의 롤러(11b)를 바닥에서 굴려줌으로써 된다.
라벨(H)의 분리는 제1공급롤러쌍 (10)과 제2공급롤러쌍(11)간의 라벨 분리구(12)를 통과하는 테이프(KI)에 장력을 가해줌으로서 가능하다.
장력의 발생은 기어(14)와 (15)의 치차비를 달리하여 제2공급롤러(11)이 제1공급롤러 (10)보다 약간 빨리 돌도록 함으로써 가능했다.
라벨 부착은 분리되어 나오는 라벨(H)를 롤러(13)을 굴려서 붙인다.
결국 라벨 공급제어 수단이 별도로 없으므로 테이프(KI)을 공급하기 위해 공급 롤러(11b)를 바닥에 대고 굴려야만 되고, 더우기 분리되는 라벨을 붙이기 위해 압착 롤러(13)을 상기 공급롤러(11b)와 동시에 바닥에 대고 굴려야만 된다.
따라서 라벨을 부착시켜야 할 상품이 작거나 즉 부착부위가 작거나 또는 부착 장소가 좁을 경우 롤러를 굴릴 수 없으므로 테이프 공급이 되질 않아 라벨을 부착 시킬수 없고, 또한 라벨을 부착시킬 부위가 평평하지 않을 경우에도 롤러를 충분히 움직여 줄 수 없어 라벨을 부착시키기 어려웠다.
또한 라벨 공급제어가 임의로 되지 않아 원하는 위치에 라벨 부착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2이상의 라벨이 상품에 부착되는 경우도 있다.
라벨을 테이프 KI으로부터 확실하게 분리해주기 위해 테이프에 긴장력을 가하기 위한 장력 발생수단(14, 15)을 갖고 있으므로 테이프의 마찰 저항이 커져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방아쇠 작동에 의해 라벨 공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라벨 공급제어용 방아쇠를 갖는 라벨 부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테이프로부터 라벨이 확실하게 분리 될 수 있도록 초기에 테이프에 가해진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 라벨 부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세팅된 롤을 다른것으로 교환 할시에 삽입된 테이프를 회수하는 한편 새로운 테이프의 초기 세팅을 위해 롤러들을 구동 기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클러치 수단을 갖는 라벨 부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방아쇠 작동에 의해 라벨 테이프를 이송시켜서 테이프로부터 라벨 선단이 분리되면서 압착 롤러 밑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노출된 라벨을 압착 롤러를 굴려서 붙여 줄 수 있도록 구성 함으로써 숙련없이 아무나 쉽게 좁은 장소에서도 붙이고 싶은 곳에 정확하게 붙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태양에 의하면, 몸체(C)와 라벨(H)을 갖는 테이프(K1)의 롤(K)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C) 상부에 설치되는 폴리부(A)와 테이프(K1)로부터 라벨(H)을 분리시키기 위한 라벨 분리구(12)와, 상기 라벨분리구(12)밑에 설치되는 테이프 초기 세팅용 테이프 안내구(18)와, 라벨(H)을 압착시키기 위해 몸체(C)선단부에 회전자재로 설치되는 압압롤러(13)와 사용 배출된 테이프(K1)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23), 그리고 손잡이(25)를 포함하는 라벨 부착구에 있어서, 라벨테이프 롤(K)로부터 테이프(K1)를 입력시키기 위한 제1공급롤러(28)와, 상기 제1공급롤러(28)와 상기 제1공급롤러(28)로부터 공급 이송되는 테이프(K)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2공급롤러(29)와, 상기 제1및 제2공급롤러(28, 29)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그들에 인접 비치되면, 또한 테이프(K1)에 초기에 가해진 장력을 그대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 유지롤러(30)와, 상기 장력 유지 롤러(30)를 구동시키기 위해 선단부에 구동기어(34)를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손잡이(25)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방아쇠(35)와, 상기 장력유지 롤러(30)와 방아쇠(35) 간에서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31)을 더 포함하며, 그에 의해 방아쇠(35) 작동시 라벨(H)의 선단이 분리 노출되고, 압압롤러(13)에 의해 노출된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전 도면에 걸쳐 제 6 도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로 나타낸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라벨 공급제어 수단을 갖는 라벨 부착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참조문자 A는 풀리부로서 라벨이 일정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붙어 있는 테이프의 롤(K)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내며, B는 롤러부로서 롤(K)로부터 테이프(K1)를 이송시키고, 테이프(K1)로부터 라벨(H)을 분리시키고, 그리고 분리된 라벨(H)을 부착시키기 위한 롤러 및 기어 집합체를 나타내며, C는 몸체를 나타내며, (25)는 손잡이, (35)는 상기 롤러부 B를 구동시켜 테이프(K1)을 공급하여 라벨을 분리 공급하기 위한 방아쇠를 그리고 (40)은 롤(K)로부터 테이프(KI)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 수단을 나타낸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X-X 선 횡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라벨 공급제어 수단을 갖는 라벨 부착구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볼 수 있는바와 같이, 롤러부(B)는 제1공급롤러(28), 제2공급롤러(29), 장력유지롤러(30) 및 압축롤러(13)으로 구성되며, 롤러들(10), (11) 및 (30)은 서로 협동하도록 상호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롤러(13)는 몸체(C)선단 코 부분에 독립적으로 회전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들은 모두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등의 탄성재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롤러(28)와 (29)사이에는 테이프로부터 라벨을 분리시키기 위한 라벨 분리구(12)가 설치되어 있으며, 롤러(13)과 (29)사이에는 라벨 테이프 안내구(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구(18)는 롤(K)의 테이프(K1)을 롤러부(B)에 초기 세팅할때 테이프 선단을 롤러(29)로 안내해 주는 기능을 한다.
롤러(28)는 롤러(30)와 협동하여 입력되는 테이프(K1)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롤러(29)역시 롤러(30)와 협동하여 테이프(K1)으로부터 라벨(H)이 분리된 테이프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롤러(30)는 롤러(28)과 (29)를 동시에 구동시킨다.
롤러(30)은 제 3 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예를 들어 그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치차형 부재 예를들어 기어(30a)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의 일측면상에는 또 다른 기어(30b)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기어(30a)는 롤러(30)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한 상태에 있으므로 인접한 롤러(28) 및 (29)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슬립되는일 없이 안정된 협동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롤러(28)로부터 라벨분리구(12)를 경유하여 롤러(29)로 이송되는 테이프(K1)에 안정된 초기의 긴장 상태를 계속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라벨 분리구(12)에서 라벨(H)가 실패없이 분리되는 것을 보장해 줄 수 있다. 또한 기어(30b)는 구동력 전달 기어로서 제 2 도에 점선으로 나타낸바와 같은 클러치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랫치기어(31), 아이들 기어(32) 및 (33) 그리고 구동기어(34)에 순서적으로 협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구동기어(34)는 원호형으로서 방아쇠(35)의 선단부에 구성된다.
방아쇠(35)는 손잡이(25)밑에 스프링(3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랫치기어(31)은 중앙에 긴축공(31a)를 갖고 있으며 또한 축(30a)상에서 자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방아쇠(35)로부터의 구동력을 장력 유지롤러(30)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 기능을 한다.
이기어(31)은 롤(K)를 다른 것으로 교환 할때 롤저부(B)에 세팅된에 테이프(K1)를 쉽게 뽑아내는 한편 초기세팅시에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랫치기어(31)이 랫치 즉, 연결되어 있으면 롤러들이 역회전되질 않으므로 테이프(K1)를 쉽게 뽑아낼 수 없다.
기어(31)의 긴축공(3a)라벨 부착구를 간단히 뒤집으면 자중에 의해 협동하는 다른 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풀림방지구(40)은 풀리부(A)상에 지지된 롤(K)로부터 테이프(K1)이 저절로 느슨하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롤(K)를 탄성적으로 가볍게 지지시켜 줄수 있도록 원호형 판 스프링을 몸체(C)에 고정시켜 구성한다.
미설명번호 23은 배출되는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이다.
상술한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라벨 부착구의 작용효과를 제 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 도는 본 고안의 라벨 부착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도면이다.
우선 롤(K)의 초기 세팅을 설명하면 테이프 안내구(18)을 점선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 시킨후 테이프(K1)의 선단부를 가지런히 자르고, 테이프상의 라벨을 3-4개 미리 떼어낸 다음 롤러(10)와 (30)사이에 끼우고 방아쇠(35)를 부드럽게 작동하면 테이프(K1)가 라벨 분리구(12)를 지나 테이프 안내구(18)에 의해 롤러(11)과 (30)사이로 안내되어 커터(23)밖으로 나온다.
그다음 세팅된 테이프(K1)으로부터 라벨(H)가 라벨분리구(12)에서 확실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테이프(K1)에 팽팽한 장력을 주기 위해 라벨 부착구를 뒤집는다.
그러면 클러치 수단인 랫치기어(31)은 그의 긴축공(31a)가 축(31b)상에서 자중에 의해 이동하여 다른 기어들(30b)및 (32)로부터 분리 된다.
그다음 테이프 선단부와 롤(K)를 잡고 어느 한쪽을 팽팽하게 잡아 당겨 준 다음 다시 뒤집어 주면 랫치기어(31)이 다시 자중에 의해 결합되므로 가해진 장력이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세팅이 왼료된다.
이와같이 세팅 완료된 상태에서 만일 롤을 다른 것으로 교환하고 싶으면 랫치기어(31)을 분리시킨후 테이프를 뽑아 낸다음 초기 세팅단계를 반복하면 되므로 아주 편리하다.
상술한 세팅 완료 상태에서 라벨을 붙이기 위해 우선 테이프안내구(18)를 원 위치로 한다음 방아쇠(35)를 작동하면 기어(31)-(35)와 롤러(10), (11)및 (30)이 구동하여 테이프(K1)이 이송되고, 테이프(K1)로부터 라벨(H)의 선단이 분리 되면서 롤러(13)밑으로 노출되고, 그 다음 노출된 라벨(H)의 선단을 붙이고 싶은 곳에 대소 롤러(13)를 굴리면 라벨(H)이 완전 분리될때 까지 테이프가 공급되면서 원하는 곳에 부착된다.
이상과 같이 방아쇠(35)를 작동 시킨다음 롤러(13)을 굴리기만 하면 라벨이 부착되므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라벨을 정확하게 부착 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했으나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로서, 제 5a 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아이들기어(32)와 (33)을 생략할 수 있고 기어(34)를 방아쇠와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제 5b 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랫치기어(31) 및 아이들기어(32), (33)을 모두 생략하고 그대신 다른 공지된 방식에 의한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는 장력 유지 롤러(30)를 사용할 수도 있고, 방아쇠(35)의 피보트 축의 위치를 후방에 위치 시킬수도 있음을 당 분양의 숙련된자는 이해할 것이다.
Claims (8)
- 몸체(C)와 라벨(H)을 갖는 테이프(K1)의 (K)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C)상부에 설치되는 폴리부(A)와, 테이프(K1)로부터 라벨(H)를 분리시키기 위한 라벨 분리구(12)와, 상기 라벨분리구(12)밑에 설치되는 테이프 초기 세팅용 테이프 안내구(18)와, 라벨(H)을 압착시키기 위해 몸(C)선단부에 회전자재로 설치되는 압압롤러( )와, 사용 배출된 테이프(K1)을 절단하기 위한 머터(23), 그리고 손잡이(25)를 포함하는 라벨 부착구에 있어서, 라벨 테이프 롤(K)로부터 라벨테이프(K1)를 입력시키기 위한 제1공급롤러(28)와, 상기 제1공급롤러(28)로부터 공급 이송되는 테이프(K1)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2공급롤러(29)와, 상기 제1 및 제2공급롤러(28, 29)를 동시에 구동 시키도록 그들에 인접 배치되며 또한 테이프(K1)에 초기에 가해진 장력을 그대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 유지롤러(30)와, 상기 장력 유지롤러(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선단부에 구동기어(34)를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손잡이(25)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탄성력으로 설치되는 방아쇠(35)와, 상기 장력유지롤러(30)와 방아쇠(35)간에서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31)을 더 포함하며, 그에 의해 방아쇠(35)에 의해 노출된 라벨을 부착 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 제 1 항에서, 상기 풀리부(A)상에 지지된 라벨 롤(K)의 테이프(K1)가 느슨하게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라벨 롤(K)를 가볍게 탄성 지지하도록 몸체(C)상에 고정되는 원호형 판 스프링으로된 풀림방지구(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 제 1 항에서 상기 장력 유지롤러(30)는 그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롤러(30)의 표면 보다 약간 돌출되는 다수의 치형돌기(30a)를 원주상에 갖고 있으며, 또한 그의 일측면에 구동력 전달 기어(30a)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인 제어가능 라벨 부착부.
- 제 1 항에서 클러치 수단(31)은 동력 차단 및 초기세팅을 위해 자중에 의해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긴축공(30a)을 갖는 랫치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 제 1 항에서, 클러치 수단(31)은 동력 차단 및 초기세팅을 위해 협동하는 기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수단을 갖는 것이 특징인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35)는 피보드축(37)이 전방에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35)는 피보드축(37)이 후방에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 제 1 항에서, 상기 롤러들(13, 28, 29 및 30)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등의 탄성재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1193U KR920001865Y1 (ko) | 1989-07-31 | 1989-07-31 |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1193U KR920001865Y1 (ko) | 1989-07-31 | 1989-07-31 |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2546U KR910002546U (ko) | 1991-02-25 |
KR920001865Y1 true KR920001865Y1 (ko) | 1992-03-21 |
Family
ID=1928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90011193U KR920001865Y1 (ko) | 1989-07-31 | 1989-07-31 |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1865Y1 (ko) |
-
1989
- 1989-07-31 KR KR2019890011193U patent/KR9200018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2546U (ko) | 1991-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061776B1 (en) |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cartridge therefor | |
US5065894A (en) | Dispenser for bandages | |
US5178717A (en) | Adhesive applicator | |
US3783083A (en) | Composite web of pressure sensitive labels | |
US3954550A (en) | Tape applying device | |
KR870000396B1 (ko) | 복합레이블연속체 | |
US3741847A (en) | Hand labeler | |
US3955711A (en) | Dispenser for self-stick strip-carried labels | |
EP1171349B1 (en) | Label applicator apparatus | |
USRE25056E (en) | fritzinger | |
US4273046A (en) | Attaching mechanism for inking device of portable label printing machine or the like | |
KR920001865Y1 (ko) | 제어가능 라벨 부착구 | |
JPS6117274B2 (ko) | ||
US6382291B2 (en) | Dispenser for self-adhesive material | |
US3006502A (en) | Dispenser for precut pressure sensitive tape | |
JPS624299B2 (ko) | ||
US3930927A (en) | Tape dispenser for double-coated tape | |
JPS6251815B2 (ko) | ||
US4447281A (en) | Dispenser for applying adhesive tape | |
US2839256A (en) | Recording apparatus | |
US3527385A (en) | Tape dispensing device | |
JPH10330021A (ja) | 粘着テ−プ貼付器 | |
US3043365A (en) | Adhesive transfer machine | |
JPH0141718Y2 (ko) | ||
AU566608B2 (en) | Newspaper wrapp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